KR930003336B1 - 나선형 컬을 갖는 인조모발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나선형 컬을 갖는 인조모발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336B1
KR930003336B1 KR1019910010448A KR910010448A KR930003336B1 KR 930003336 B1 KR930003336 B1 KR 930003336B1 KR 1019910010448 A KR1019910010448 A KR 1019910010448A KR 910010448 A KR910010448 A KR 910010448A KR 930003336 B1 KR930003336 B1 KR 930003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rod
curling rod
curling
hair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056A (ko
Inventor
손해영
Original Assignee
손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해영 filed Critical 손해영
Priority to KR1019910010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336B1/ko
Publication of KR930000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1/00Artificial feathers
    • A41G11/02Implements or machines for making artificial feat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나선형 컬을 갖는 인조모발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체 구성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 방향 단면도.
제 3 도는 모발속권취부의 부분사시도.
제 4(a)도 제4(b)도 제4(c)도는 모발속권취부의 작동 상태도.
제 5 도는 나선형 컬을 갖는 인조모발의 개략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컬성형봉 7 : 경사공급판
9,10 : 안내로울러쌍 17 : 공급안내관
18 : 스풀지지대 19 : 회전공급대
23 : 모발속스풀 25 : 모발속공급채널
26 : 모발속 27 : 경사면
28 : 돌출부 30 : 가열터널
본 발명의 나선형 컬(curl)을 갖는 인조모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나선형 컬성형봉을 연속공급하여 이에 인조모발을 적당한 장력하에 나선형으로 권취하고 나선형 컬성형봉에 권취된 인조모발을 연속하여 가열고정하는 자동화 공정으로 구성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선형 컬을 갖는 인조모발은 주로 아프리카 흑인계 사람들이 사용한다. 즉, 이들 아프리카 흑인계 사람들의 모발은 그 형태가 매우 곱슬곱슬한 컬을 이루고 성장함에 따라 모발단부가 두피에 접촉하여 자극을 주므로 이들은 모발을 가능한 한 짧게 자르거나 짧은 모발을 여러부분으로 나누어 묶는 습관이 있다. 이들은 모발장식을 위하여 인조모발을 사용하여 인조모발은 다양한 컬모양으로 장식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것이 나선형 컬을 갖는 인조모발이다. 그리고 이러한 나선형 컬을 갖는 인조모발이 아프리카 흑인계 사람들의 모발 장식용으로 사용하던 본래의 목적으로부터 시작되어 특히 여성의 머리장식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이러한 나선형 컬을 갖는 인조모발은 실제모발의 굵기에 가까운 아크릴, PVC 또는 PP로 된 합성섬유의 필라멘트를 사용하며 수십-수백개의 필라멘트를 접속한 모발속을 적당한 길이의 컬성형봉에 나선형으로 감고 이를 가열가마에 넣어 셋팅, 즉 가열 고정하여 제조한다.
종래, 나선형 컬을 갖는 인조모발의 제조기술은 먼저 적당한 길이의 컬성형봉을 준비하고 이를 수동 또는 기계적으로 회전시키며 이에 연속길이의 모발속을 손으로나선형이 되게 감고 컬성형봉의 전 길이에 모발속이 감기는 것이 완료되었을 때에 감기지 않은 모발속을 절단하고 컬성형봉에 나선형으로 감긴 모발속의 양단이 컬성형봉으로부터 풀리지 않게 고정한 다음 모발속이 나선형으로 감겨 있는 컬성형봉을 여러개 수집하여 이들을 가열가마에 넣고 가열시킨다. 이러한 가열로 컬성형봉에 감긴 모발속은 컬성형봉상에서 가열고정되어 나선형 컬을 갖게 된다. 이후에 성형봉의 양단에서 묶여 있는 모발속의 양단을 풀고 성형봉의 일측으로부터 모발속을 손으로 밀어내어 성형봉으로부터 모발속을 분리해 낸다. 이 모발속은 연속나선형의 컬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성형봉에 연속길이의 모발속을 손으로 감아야하므로 생산성이 낮다. 또한 모발속이 감긴 컬성형봉을 가열가마에 넣어 가열할 때에는 인조모발 자체가 가열시 그 길이방향으로 수측되는 성질을 갖는 아크릴, PVC 또는 PP로 된 합성섬유의 필라멘트로 되어 있어 가열고정시의 수축량을 감안하여 연속길이의 모발속을 컬성형봉에 감을 때의 모발속에 일정한 장력이 가하여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모발속을 감아야한다. 예를들어 큰 힘이 가하여진 상태, 즉 큰 장력하에 모발속이 컬성형봉에 감기어 가열고정되는 경우 가열고정후에 모발속을 컬성형봉에서 분리해 내기 어렵다. 또한 일정한 장력이 가하여지지 않는 경우 나선형 컬의 형태가 불균일하게 되어 상품의 질이 떨어진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컬성형봉에 인조모발을 손으로 감을 때에는 숙련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나선형 컬선형봉이 연속공급되고 이에 인조모발이 적당한 장력하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며 나선형 컬성형봉에 권취된 인조모발이 연속하여 가열 고정되는 일련의 공정이 자동화 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도면에서는 제 1a 도와 제 1b 도로 나누어 도시하였음)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장치의 구성을 보인 것이다. 제 1 도의 장치는 컬성형봉공급단(1), 모발속공급단(2), 모발속권취단(3)과 가열고정단(4)으로 연속구성되어 있다. 예를들어 컬성형봉(5)은 직경이 1.5-2.5㎝이고 길이가 60-80㎝인 중공관체의 금속봉이며, 선단에는 소경의 결합부(6)가 형성되어 선행공급된 컬성형봉(5)의 후단측에 삽입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다. 컬성형봉공급단(1)을 적당한 경사공급판(7)으로 구성되고 이에 결합부(6)가 공급방향으로 향하도록 컬성형봉(5)이 공급되며 컬성형봉(5)은 자중으로 하향되어 최저위치에 이르면 마이크로 스위치와 같은 감지기(8)에 의하여 그 최저위치가 전기적으로 감지된다. 컬성형봉(5)이 그 최저위치로 공급되는 경사공급판(7)의 전방에는 적당한 간격을 두고 2개조의 안내로울러쌍(9)(10)이 배설되어 있다. 한편 경사공급판(7)의 하측에는 감지기(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전자클러치가 구성되어 있으며, 피니언(11)이 착설된 피니언 구동모우터가 착설되고 이 피니언(11)에는 스프링(12)으로 외향탄지된 래크(13)가 결합되며 래크(13)의 후단에는 컬성형봉(5)의 후단부를 밀어 공급하는 공급봉(14)이 착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컬성형봉공급단(1)은 경사공급판(7)에 결합부(6)가 공급측으로 향하도록 배열된 다수의 컬성형봉(5)이 공급되며 컬성형봉(5)이 그 최저위치에 이르면 마이크로스위치와 같은 감지기(8)가 이를 감지하여 피니언구동모우터의 회전력이 전자클러치를 통하여 피니언(11)에 전달되고 이 피니언(11)의 회전으로 래크(13)가 공급방향으로 전진한다. 이러한 래크(13)의 전진운동으로 공급봉(14)은 최저위치에 있는 컬성형봉(5)의 후단을 밀어 그 선단의 결합부(6)가 선행공급되어 안내로울러쌍(9)(10)에서 안내공급되는 컬성형봉(5)의 후단에 결합된다. 이후 피니언(11)이 피니언구동모우터로부터 전자클러치에 의해 기계적으로 분리되고 공회전상태가 되며 이때에 래크(13)는 그 후단의 스프링(12)에 의하여 제 1 도에서 보인 공급준비 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안내로울러쌍(9)(10)에는 연속결합된 컬성형봉(5)이 안내공급된다.
컬성형봉공급단(1)의 선단측에는 제 1 도와 제 2 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모발속공급단(2)이 배치된다.
이 모발속공급단(2)은 안내로울러쌍(9)(10)을 통하여 안내공급되는 연속의 컬성형봉(5)에 일렬로 정렬되게 기대(15)에 지지대(16)로 고정된 기다란 관체형태의 공급안내판(17)과, 이 공급안내판(17)을 축으로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고 후단측에 스풀지지대(18)를 갖는 회전공급대(19)로 구성된다. 회전 공급대(19)는 베어링(20)를 통하여 공급안내관(1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벨트(21) 또는 체인등으로 모우터(22)에 결합되어 이에 의하여 회전구동된다. 회전공급대(19)의 스풀지지대(18)에는 등간격으로 수개, 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모발속스풀(23)의 브라킷트(24)로 지지되어 있다. 한편, 회전공급대(19)에는 스풀지지대(18)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모발속공급채널(25)이 공급안내관(17)의 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이 모발속공급채널(25)은 회전공급대(19)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편심위치에 놓여 있다.
모발속권취단(3)은 상기 모발속공급단(2)의 공급안내관(17)에서 그 단부를 변형시킨 구성과 이를 통하여 안내되는 연속 컬성형봉(5), 그리고 모발속공급단(2)의 회전공급대(19)가 결합된 구조로 구성된다.
이미,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컬성형봉에는 적당한 장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모발속이 권취되도록하므로서 가열 고정후 비록 모발속이 수축된다하여도 컬성형봉에서 그 축방향으로 쉽게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모발속권취단(3)의 기능을 설명하기전에 모발속공급단(2)의 작동을 설명한다.
모발속공급단(2)의 스풀지지대(18)에는 브라킷트(24)에 모발속스풀(23)이 지지된다. 이 모발속스풀(23)의 모발속은 예를들어 스풀지지대(18)에 3개의 모발속스풀(23)이 지지되는 경우컬성형봉(5)에 갈기는 모발속(26)의 굵기에 대하여 그 굵기가 1/3이다. 처음에 모발속(26)은 회전공급대(19)의 모발속공급채널(25)을 통하여 회전공급대(19)의 선단측으로 연장되고 모발속(26)의 선단이 공급 안내관(17)의 선단측에 나와 있는 컬성형봉(5)에 손으로 감아 적당히 고정된다. 물론 이와 같은 작업시 컬성형봉(5)의 연속된 공급과정이나 회전공급대(19)의 회전은 중지된 상태에 있다.
장치의 작동시 공급안내관(17)을 통하여 컬성형봉(5)이 안내공급되면서 직선운동하고 회전공급대(19)가 회전하므로 모발속공급채널(25)을 통하여 공급되는 모발속(26)은 공급안내관(17)의 선단을 빠져나오는 컬성형봉(5)의 부분에 나선형으로 권취된다.
상기 언급된 바 있는 공급안내관(17)의 단부가 변형된 구성은 컬성형봉(5)에 나선형으로 연속권취되는 모발속(26)의 강력을 낮게 유지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공급안내관(17)의 단부가 그 외주면이 내주면측으로 만곡되게 경사진 경사면(27)을 가지며 경사면(27)의 일측에 공급안내판(17)의 전방측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연장된 돌출부(28)를 갖도록 변형된다.
공급안내관(17)의 경사면(27)과 돌출부(28)의 작용은 제 3 도와 제 4(a) 도 제 4(b) 도 제 4(c) 도에서 설명된다.
회전공급대(19)가 회전하고 컬성형봉(5)이 전진하면 회전공급대(19)의 모발속스풀(23)을 통하여 공급되는 모발속(26)은 이것이 최종적으로 컬성형봉(5)에 감긴부분에 의하여 당기어지면서 공급된다. 모발속(26)은 스풀지지대(18)의 모발속스풀(23)에서 상기와 같은 “당기는 힘”에 의해 풀리어 회전공급대(19)의 모발속공급채널(25)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급안내관(17)의 경사면(27)에 닿으면서 컬성형봉(5)에 나선형으로 권취된다. 따라서 컬성형봉(5)에 권취되는 모발속(26)은 장력하에 권취된다. 이때에 모발속(26)은 경사면(27)에 닿으면서 이를 일주회전하여 컬성형봉(5)에 권취되며 경사면(27)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28)에서는 모발속(26)이 이 돌출부(28)에 의하여 곧바로 컬성형봉(5)에 권취되지 아니하고 그 권취되는 직경이 증가된 상태에서 돌출부(28)의 선단을 미끌어져 내려가 컬성형봉(5)에 권취되어 결과적으로는 넉넉한 여유를 가지고 컬성형봉(5)에 권취된다. 따라서, 컬성형봉(5)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모발속(26)의 장력이 낮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모발속(26)이 권취된 컬성형봉(5)은 안내로울러쌍(29)의 안내를 받고 모발속권취단(3)의 전방에 설치된 가열고정단(4)으로 보내어진다. 이 가열고정단(4)은 전후개방된 원통형의 가열터널(30)로 구성되고 이 가열터널(30)은 전기히터를 열원으로하고 있다.
컬성형봉(5)에 나선형으로 권취된 모발속(26)은 이 가열터널(30)을 지나면서 셋팅되어 나선형 형태를 유지한다.
가열터널(30)을 나오는 컬성형봉(5)은 안내로울러쌍(31)를 안내를 받으며, 최종적으로 작업자는 최선단측 컬성형봉(5)을 분리하고 컬성형봉(5)과 이에 인접한 것 사이의 모발속(26)을 절단하고 컬성형봉(5)에서 그 축선방향으로 모발속(26)을 밀어내면서 분리한다.
이와 같이하여 분리된 모발속(26)이 나선형 컬을 갖는다. 나선형 컬을 갖는 모발속은 최종적으로 컬성형봉(5)의 길이만큼 절단되어 그대로 이를 머리장식에 사용하거나 반으로 접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중공관체의 금속봉으로 된 컬성형봉(5)에 연속길이의 모발속(26)을 권취하여 나선형 컬을 갖는 인조모발을 제조함에 있어서, 컬성형봉(5)을 연속공급하며 직선방향으로 전진시키고 전지하는 컬성형봉(5)의 축선을 중심측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전공급대(19)에서 연속길이의 모발속(26)을 공급하여 전진하는 컬성형봉(5)에 모발속(26)이 연속하여 나선형으로 권취되게하며 모발속(26)이 나선형으로 권취된 컬성형봉(5)을 전진하는 컬성형봉(5)의 전방에 설치된 가열터널(30)을 지나도록하여 나선형으로 권취된 모발속(26)이 가열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컬을 갖는 인조모발의 제조방법.
  2. 중공체의 급속봉으로 된 컬성형봉(5)에 연속길이의 모발속(26)을 권취하여 나선형 컬을 갖는 인조모발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이 장치의 도입부에 경사공급판(7)과 일련의 안내로울러쌍(9)(10)이 착설되어 선단에 소경의 결합부(6)를 갖는 일정길이의 컬성형봉(5)이 경사공급판(7)에서 공급되어 안내로울러쌍(9)(10)을 지나면서 직선상으로 연속공급되고, 안내로울러쌍(9)(10)의 전방에 연속된 컬성형봉(5)이 지나는 공급안내관(17)이 착설되고 그 주위에 스풀지지대(18)를 갖는 회전공대(19)가 회전가능하게 착설되며 스풀지지대(18)에 지지된 모발속스풀(23)로부터 공급되는 모발속(26)이 회전공급대(19)의 편심위치에 형성된 모발속공급채널(25)을 통하여 공급되면서 전진이동하는 컬성형봉(5)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도록하며, 회전공급대(19)의 전방에 가열터널(30)을 착설하여 모발속(26)이 나선형으로 권취된 컬성형봉(5)이 지나가도록하므로서 나선형으로 권취된 모발속(26)이 가열고정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컬을 갖는 인조모발의 제조장치.
  3. 청구범위 2항에 있어서, 회전공급대(19)가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공급안내관(17)의 선단에 외주면에서 내주면측으로 만곡되게 경사진 경사면(27)을 형성하고 이 경사면(27)의 일측에 완만한 경사를 이루어 연장된 돌출부(28)을 형성하여 회전공급대(19)에서 공급되어 컬성형봉(5)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모발속(26)이 돌출부(28)에 걸렸다가 컬성형봉(5)에 권취되게 하여 이에 권취되는 모발속(26)의 장력을 낮추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10010448A 1991-06-24 1991-06-24 나선형 컬을 갖는 인조모발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930003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0448A KR930003336B1 (ko) 1991-06-24 1991-06-24 나선형 컬을 갖는 인조모발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0448A KR930003336B1 (ko) 1991-06-24 1991-06-24 나선형 컬을 갖는 인조모발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056A KR930000056A (ko) 1993-01-15
KR930003336B1 true KR930003336B1 (ko) 1993-04-26

Family

ID=19316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448A KR930003336B1 (ko) 1991-06-24 1991-06-24 나선형 컬을 갖는 인조모발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3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556B1 (ko) * 2019-09-24 2020-07-13 김신애 레게스타일 가발을 위한 인공모 가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1243A4 (en) * 2018-01-16 2020-11-25 YG Chem Co., Ltd. M &XC8; CHE CONTINUOUS OF FILAMENTS HAVING A CHARACTER OF GRADIENT LENGTH IMPLEMENTED BY A WAVY TEXTURE &XC9; E AND A SPIRAL ROTATIONAL TORSION, AND ITS PROCESS &XC9; D &XC9; MANUFACTUR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556B1 (ko) * 2019-09-24 2020-07-13 김신애 레게스타일 가발을 위한 인공모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056A (ko) 199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555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d continulusly advancing a helically wound mandrel surface
CH424072A (fr)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fil formé d'un ou plusieurs filaments synthétiqués continus en polymère thermoplastique, et appareil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édé
US4620412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inserting optical fibers in helical grooves of a cable core
US6027059A (en) Coiler apparatus and method
US254172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separable fasteners
KR930003336B1 (ko) 나선형 컬을 갖는 인조모발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FI61011C (fi) Upplindningsapparat foer samling av en straeng till en spole
GB2057341A (en) Process of and apparatus for curving a casing of stretched plastic material
US3057363A (en) Device for curling hair and method
US20090223590A1 (en) System and methods for forming barbed tape product
DE1965087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Kranzen von thermoplastischen, schrumpffähigen Schlauchhüllen
US3553782A (en) Machine for coiling filamentary material
US62603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piral garland
US3486962A (en) Reinforced rubber bands,etc.
US3145523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and mating coils of filamentary material
US3065519A (en) Method of producing crimped thermoplastic yarns
US2203561A (en) Manufacture of chenille yarn
US4307488A (en) Combined strand compresser and doffer and end dresser
US3284995A (en) Self-sizing torsion bar orifice assembly
US31524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plastic filament coils for zipper fasteners
JPS62158027A (ja) 平坦な螺旋状のリンク組立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US2896393A (en) Continuous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paper yarn
US47334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egnating a woven, stranded or knitted sleeve or tube of flexible fibres or threads
US4207127A (en) Method of producing a continuous flexible tubular conduit
GB20563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tinuous flexible tubular cond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