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291Y1 - 수신기의 자동이득 조절회로 - Google Patents

수신기의 자동이득 조절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291Y1
KR930003291Y1 KR2019880019614U KR880019614U KR930003291Y1 KR 930003291 Y1 KR930003291 Y1 KR 930003291Y1 KR 2019880019614 U KR2019880019614 U KR 2019880019614U KR 880019614 U KR880019614 U KR 880019614U KR 930003291 Y1 KR930003291 Y1 KR 9300032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agc
circuit
signal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9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986U (ko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9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291Y1/ko
Publication of KR9000109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9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2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2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5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bandpass amplifiers (H.F. or I.F.) or in frequency-changers used in a (super)heterodyne receiver
    • H03G3/3068Circuits generating control signals for both R.F. and I.F.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2Automatic gai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신기의 자동이득 조절회로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도의 구체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디오 디텍터회로 2 : 튜너
3 : RF AGC회로 4 : IF AGC회로
5 : IF AGC보호회로
본 고안은 수신기의 자동이득 조절(Auto Gain Control)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기의 RF(Radio Frequency)와 IF(Intermediate Frequency)의 이득을 자동으로 모두 조절하여 수신신호의 모든 대역에 대해 안정된 출력을 얻을 수 있는 자동이득조절(이하 "AGC"라 칭함)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이득 조절은 통신기기 및 오디오, 비디오, 시스템의 수신기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여 입력 레벨의 변동이 있어서 출력레벨이 변동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 원리를 이용한 자동이득 조절회로는 입력반송과 전압의 강약을 불문하고, 항상 출력반송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는 출력전압을 정류하여 그것으로 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AGC를 이용한 종래기술로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는데, 이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예이다.
제1도는 입력되는 비디오 IF신호를 3차에 걸쳐 증폭하고, 화상복조를 화상반송파(Carrier)에 의해 제어하며, 흑백 노이즈를 반전하는등 비디오를 감지(Detect)하는 비디오 디텍터회로(1)와, 동조기로 채널접속을 변환하는 고주파 증폭과 국부발진 및 혼합기능을 하나로 결합한 튜너(2)와, 대체로 상기 튜너(2)와 결합되어 상기 비디오 디텍터회로(1)의 RF이득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튜너(2)의 RF입력의 변화에 무관하게 출력레벨을 안정화 하도록 제어하는 RF AGC회로(3)로 구성된다.
따라서 튜너(2)를 통해 비디오 RF신호가 입력되어 증폭과 혼합에 의해 IF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IF신호가 비디오 디텍터회로(1)에서 비디오를 복조하고 그리고 RF이득조절제어신호를 출력하여 RF AGC회로(3)에 입력하면 해당이득 갖도록 튜너(2)에서 조절된다.
이때 튜너(2)는 RF신호의 원하는 대역에서 RF신호가 변화하더라도 안정된 출력을 얻어 냈었다.
그러나 종래는 RG AGC만 사용하였으므로 소정의 원하는 대역에서 변동이 없었어야 하나 예를들어, 입력대역 0dBm~-65dBm내의 주파수 변동에서 출력의 변동이 없어야 하나 RF AGC만 이용하면 -25dBm~-50dBm 대역 내에서만 해당이득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25dBm이상에서나 -50dBm의 이하에서 주파수변동에서 안정된 출력을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으로 이득 조절을 하되 IF AGC보호회호를 부가하고 RF 및 IF대해 모두 이득조절하여 입력 RF신호 변동 대해 전대역을 커버할 수 있어 안정된 출력을 얻어낼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모든 수신기에서의 자동이득 조절용 보호회로로 적용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로서, 제2도는 비디오 디텍터회로(1), 튜너(2) 및 RF AGC회로(3)의 구성은 제1도와 동일구성에 동일부호를 사용하였으며, IF AGC회로(4)는 상기 RF AGC회로(3)와 함께 튜너(2)에 함께 실장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고안은 비디오 디텍터회로(1)의 IF AGC필터단(14)과 IF AGC회로(4)의 입력단 사이에 IF AGC제어신호를 발생하는 IF AGC회로(5)를 연결하고, 상기 IF AGC보호회로(5)의 출력단을 상기 IF AGC회로(4)의 입력단에 연결되도록하여 RF신호변경에 대해 전대역을 커버하여 안정된 출력을 얻어 내도록 한 것이다. 즉, RF신호 입력단(RF)으로 입력되어 튜너(2)에서 IF증폭 및 믹싱하여 IF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IF 신호를 비디오 디텍터회로(1)에 입력하면 비디오 디텍터회로(1)의 RF AGC출력단으로 RF AGC제어신호를 출력하고, IF AGC필터단(14)으로 IF AGC를 위한 신호가 발생한다. 상기 IF AGC필터단(14)의 출력 신호를 IF AGC보호회로(5)에서 2차에 걸쳐 평활하여 DC화 하고, 증폭 및 변환하며, RF변동에 따른 원하는 출력범위의 조절값에 의해 IF AGC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IF AGC보호회로(5)의 출력신호를 IF AGC회로(4)에 입력하여 튜너(2)의 RF신호변환에 대한 이득을 RF AGC회로(3)의 출력신호와 동시에 제어한다.
따라서 튜너(2)는 RF신호의 변동에 대해 전대역의 이득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IF 신호를 얻어낼 수 있다. 예를들어 RF AGC회로(3)가 -25dBm~-50dBm영역의 이득을 제어할수 있다면, 그이상과 그이하의 영역은 IF AGC보호회로(5)에 의해 튜너(2)의 출력을 이득제어하여 RF AGC에 의해 제어한 이상과 이하의 대역에 대해 이득제어하여 입력 RF신호가 어느대역에서 변동 되더라도 원하는 안정된 출력을 얻어 낼 수 있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도의 구체회로도로서, 제3도중 비디오 디텍터회로(1), RF AGC회로(3), IF AGC회로(4), 튜너(2)도 역시 제2도와 동일부호를 사용하였으며, IF AGC보호회로(5)는 상기 비디오 디텍터 회로(1)의 IF AGC필터단(14)에 VTR스위치(SW)와 저항(R1)을 연결한다. 상기 저항(R1)를 통한 IF AGC제어신호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하되, 가변저항(VR1)에 의해 입력신호에 대해 출력신호의 레벨을 조정하고, 캐패시터(C1)에 의해 잡음이 바이패스 되도록 연결한다.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로 저항(R3)을 통해 전원(VCC)이 인가되며, 저항(R4)을 접지와 결합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동작점을 일정치에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트랜지스터(Q1)에 에미터에 저항(R2)을 연결하여 트랜지스터(Q1)를 통한 증폭신호의 이득을 향상시키고, 캐패시터(C2)에 의해 평활화하며 저항(R5)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된 신호는 트랜지스터(Q2)의 동작에 의해 콜렉터로 출력되는 출력을 반전된다. 상기 반전된 출력은 가변저항(VR2)에 의해 원하는 출력에 대해 변동범위를 조절한다. 이어서 캐패시터(C3)에 의해 2차로 평활화하여 원하는 IF AGC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IF AGC보호회로(5)를 통한 신호가 IF AGC회로(4)로 인가되어 IF자동이득을 제어하므로 RF입력신호가 변동하더라도 전대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이득을 제어한다.
즉, 본 고안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RF AGC,IF AGC(3,4)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3도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실현하였다. 이에 따른 실시예는 비디오 디텍터회로(1)에서 나오는 DC전압을 저항(R1)을 통여 비디오 디텍터회로(1)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 동작의 미세한 전류를 트랜지스터(Q1)의 입력전류로 사용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1)의 출력을 인버팅하기 위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한다. 여기서 가변저항(VR1)은 하나의 저항으로 대치가 가능하나 비디오 디텍터회로(1)의 출력이 변동할시, 예를들어 7.5V-7V와 11.5V-11.0V등과 같이 출력노드(14)의 출력이 한 값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비디오 디텍터회로 이용에 따른 출력전압의 변화)가변저항(VR1)을 조정하여 트랜지스터(Q1)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캐패시터(C1,C2)는 미세한 입력전류변동에 민감하게 동작하므로 평활용 캐패시터를 사용하여 트랜지스터(Q1)의 입력 및 출력의 변동이 없도록하여 트랜지스터(Q1) 및 (Q2)의 동작상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상기 트랜지스터(Q2)는 인버팅 기능으로 입력이 높은 전압에서 낮은 전압으로 변화시[이것을 비디오 디텍터회로 입력변동 값에 따른 출력노드(14)의 변화]출력을 낮은 전압에서 높은 전압으로 출력되도록한다.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출력을 가변저항(VR2)에 의하여 출력전압을 조정하여 원하는 전압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것은 IF AGC회로(4)에서 필요한 전압치(값)을 임의로 조정하여 맞추어 줄수있도록 되어있다. 즉 가변저항(VR1)은 트랜지스터(Q1)의 입력을 제어하여 트랜지스터(Q2)의 입력을 조정하며, 가변저항(VR2)는 IF AGC회로(4)에 필요한 전압을 조정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비디오 신호에 대한 이득제어를 예로 하였지만 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다면 자동이득을 제어가 요구되는 어떤 구성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RF, IF AGC에 의해 모두 이득제어하여 어떤 RF신호가 변화되도라도 안정된 출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AGC를 사용하는 모든 이득제어회로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비디오디텍터회로(1), RF AGC회로(3), IF AGC회로(4)의 튜너(2)를 구비한 수신기의 자동이득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디텍터회로(1)의 IF AGC필터단(14)에 VTR 스위치(SW)와 저항(R1)을 연결하고, 상기 저항(R1)을 통한 IF AGC제어신호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부터 입력신호에 대해 출력신호의 레벨을 조정키 위해 가변저항(VR1)을 접지시키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로 저항(R3)을 통해 전원(Vcc)이 인가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동작점을 일정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트랜지스터(Q1)에 저항(R4)을 연결 접지시키며, 상기 트랜지스터(Q1)를 통한 증폭신호의 이득을 향상시키기 위해 에미터에 저항(R2)을 연결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출력을 캐패시터(C2)에 의해 평활화하며 저항(R5)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된 신호는 트랜지스터(Q2)의 동작에 의해 반전되어 상기 IF AGC회로(4)에서 원하는 출력 대해 변동범위를 조절키위해 가변저항(VR2)을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연결하고 캐패시터(C3)에 의해 2차로 평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자동이득 조절회로.
KR2019880019614U 1988-11-30 1988-11-30 수신기의 자동이득 조절회로 KR9300032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9614U KR930003291Y1 (ko) 1988-11-30 1988-11-30 수신기의 자동이득 조절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9614U KR930003291Y1 (ko) 1988-11-30 1988-11-30 수신기의 자동이득 조절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986U KR900010986U (ko) 1990-06-04
KR930003291Y1 true KR930003291Y1 (ko) 1993-06-07

Family

ID=1928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9614U KR930003291Y1 (ko) 1988-11-30 1988-11-30 수신기의 자동이득 조절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2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986U (ko) 199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4092A (en) Differential feed-forward amplifier power control for a radio receiver system
US5603113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for both receiver and transmitter adjustable amplifiers including a linear signal level detector with DC blocking, DC adding, and AC removing components
EP0428170B1 (en) Radio receiver comprising automatic gain controlling function
US7057426B2 (en) Frequency converter, orthogonal demodulator and orthogonal modulator
US7039376B2 (en) AGC amplifier circuit for use in a digital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apparatus
US4229707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US4262363A (en) Signal seeking stop circuit for amplitude modulated receiver
US4538300A (en) Linear signal strength detector in AM radio
KR930003291Y1 (ko) 수신기의 자동이득 조절회로
US4362999A (en) AM Stereo phase modulation decoder
CA1081791A (en) Am receiver
US4404431A (en) AM Stereo receiver
KR0177676B1 (ko) 자동이득 제어 지연점 조정회로
JPH0282804A (ja) 光受信用前置増幅器
US4393354A (en) Crossover circuit for use in automatic gain control systems
EP0398351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broadcast FM satellite waves
KR960007561Y1 (ko) Pif의 비디오 뮤트를 이용한 튜너의 agc 제어회로
KR930003451Y1 (ko) 자동이득조절형 영상수신장의 에지이득조절회로
US3968438A (en) Off channel gain control circuit
KR0153853B1 (ko) 영상기기용 튜너
JPS6046133A (ja) ラジオ受信機
KR0182658B1 (ko) 국부발진장치의 자동이득 조절회로
JPH0746988Y2 (ja) Fm受信機のagc制御回路
KR0178316B1 (ko) 튜너의 출력 제어방법 및 출력 제어장치
KR0178317B1 (ko) 튜너의 출력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8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