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270B1 - 웨이퍼 표면연마법 - Google Patents

웨이퍼 표면연마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270B1
KR930003270B1 KR1019900016180A KR900016180A KR930003270B1 KR 930003270 B1 KR930003270 B1 KR 930003270B1 KR 1019900016180 A KR1019900016180 A KR 1019900016180A KR 900016180 A KR900016180 A KR 900016180A KR 930003270 B1 KR930003270 B1 KR 930003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wafer
abrasive
grinding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6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8855A (ko
Inventor
이재호
송운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6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270B1/ko
Publication of KR920008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2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웨이퍼 표면연마법
제 1 도는 종래의 웨이퍼 표면연마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웨이퍼 표면연마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마정반(FLAT) 2 : 연마제
3 : 연마용액 4 : 웨이퍼
5 : 링(GROOVED) 6 : 웨이퍼홀더
7 : 가압판 100 : 거품
본 발명은 반도체 웨이퍼 제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품의 완충효과를 이용하여 표면결합을 최소화한 웨이퍼 표면연마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칩제조를 위한 준비단계인 웨이퍼 준비공정은, 웨이퍼의 앞면은 반도체소자 형성영역으로 사용되고 뒷면은 금속증착(Gold deposition) 및 조립(Assembly)공정에 필요하다는 점에서 중요시되고 있다. 이는 주괴(Ingot)의 두미절단, 연삭(Grinding), 절삭(Slicing) 및 연마공정(Lapping)으로 진행되는 웨이퍼 형성작업(Shaping Operation)과 에칭(Etching)작업, 경면처리작업(Polishing) 및 세척(Clean)작업으로 진행되는데, 이중에서도 웨이퍼 형성작업의 마지막 단계인 연마공정과 경면처리(경면연마, Polishing)작업은 절단가공에서 발생된 웨이퍼의 표면파괴층을 제거하고 평면도(평탄의 정도) 및 두께의 정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웨이퍼의 결함을 최소화하여 수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더 중요시되고 있다.
웨이퍼 연마는 크게 물리적(Mechanical)연마와 화학적(Chemical)연마로 구분할 수 있다. 물리적연마는 연마정반 위에 연마제(Dry method) 혹은 연마제와 연마용액을 혼합(Wet method)한 것을 공급해서 웨이퍼를 가공하는 방법이고, 화학적연마는 질산, 과산화수소 및 불산등의 혼합연마용액에 웨이퍼를 담금으로써 가공하는 방법이다.
제 1 도를 참조하여 상기 물리적연마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제 1 도는 물리적연마법 중에서도 습식법(Wet method)에 관한 것이다. 연마제(2)와 연마용액(3)을 혼합한 것을 연마정반(1)과 웨이퍼(4)사이에 넣어서 양자에 압력을 가하면서 서로 교차회전시켜 가공함으로써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것이다.
상기 연마제(2)와 상기 연마용액(3)을 혼합한 것을 상기 연마정반(1)과 웨이퍼홀더(6)에 장착된 상기 웨이퍼(4)사이에 넣은 후 상기 웨이퍼홀더(6)에 압력을 가한다. 이때 상기 연마정반(1)과 웨이퍼홀더(6)는 서로 교차되는 방법으로 회전한다.
물리적연마법은 연삭(Grinding)과 절삭(Slicing)된 웨이퍼 표면의 불규칙한 파상을 없애고, 표면을 평활하게 하여 웨이퍼의 가공변질층을 작게 하지만 연마작업이 웨이퍼(4)와 연마정반(1)사이의 연마제 자체의 물리적인 작용에 의해서만 진행되므로, 작업 중 연마제에 의해 웨이퍼에 가해지는 압력은 반도체재료에 눈으로 관찰되지 않는 미세한 결함등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있는데, 특히, 갈륨비소(GaAs)와 같은 화합물반도체 재료는 실리콘재료에 비해 더욱 더 취약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웨이퍼 연마 공정중에 미세한 결함유발과 연마기의 기계적 진동에 의한 얇은 웨이퍼의 파손(Breakage)등의 위험성에 노출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문제시 되고 있다.
물리적연마법에서 발생한 웨이퍼의 미세한 가공변질층은 화학적연마(에칭)에 의해 제거하게 되는데, 이는, 질산, 과산화수소등의 산화재와 불산등이 섞인 혼합용액에 웨이퍼를 담금으로써 가공하는 연마법이다.
가공변질층을 없애주고 연마기의 기계적 진동에 의한 웨이퍼 파손이 없다는 것이 화학적연마법의 커다란 장점이나, 혼합되는 화학용액의 양, 결정의 크기, 용기의 크기, 연마시간, 온도등에 따라 연마속도가 크게 달라져서 용액의 양, 교반 및 온도등의 연마변수조절이 정교해야 하고, 연마용액의 화학적 성질에 의해 미세한 산화막이 웨이퍼 표면에 형성되는 표면결합을 유발할 수 있으며, 표면 평탄도가 나쁘게 된다는 결점이 있다. 화학적연마는 결정면의 판정, 결정면의 검출등에도 이용되는데 혼합용액의 배합은 그 목적이나 반도체 재료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물리적연마와 화학적연마의 단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물리적연마법과 화학적연마법을 결합한 물리·화학적(Mechanical-Chemical)연마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웨이퍼 표면상의 미세한 산화막, 연마변수의 정교한 조절 및 기계진동에 의한 웨이퍼 파손등의 결함들을 완전히 개결하지는 못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물리적연마법, 화학적연마법 및 물리·화학적연마법에서 발생한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거품의 완충효과를 이용한 웨이퍼 표면연마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종래 물리적연마법에 사용된 연마제에 거품을 일으킬만한 적당한 연마용액 및 연마변수를 공급해 줌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거품효과는 연마제를 거품위에 부유하게 함으로 연마제의 압력이 연마정반을 통하여 직접 웨이퍼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종래의 연마법보다 훨씬 더 웨이퍼 표면을 미려하게 연마할 수 있고, 거품의 쿠션효과에 의해 기계적 진동으로 인한 미세한 웨이퍼의 파손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웨이퍼 표면연마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연마방식에서 사용되는 연마기는 래핑머신 12인치(Lapping Machine 12")로써, 상기 연마기는 실리카 글래스(Silica Glass)로 만들어졌으며 플래트 타입(Flat Type)인 연마정반(1)과 그루브 타입(Grooved Type)의 링(5)을 가진다.
상기 연마정반(1)은 연마제를 사이에 두고 웨이퍼(4)와 직접 접하게 되는 부분이므로 연마정반의 평면도(평탄의 정도)는 곧 웨이퍼의 평면도라 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고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압판(7)과 웨이퍼홀더(6)가 상기 링(5)에 의해 가변적으로 고정되어진 상기 웨이퍼홀더(6)에 웨이퍼(4)를 장착한다. 고정도의 평면도를 유지한 상기 연마정반(1)은 웨이퍼(4)를 장착한 상기 웨이퍼홀더(6)와 상반되는 위치에 있어 상기 가압판의 압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가압판(7)에 압력을 예컨대, 0.05~0.20kg/㎠로 가해주고, 상기 연마정반(1)과 상기 웨이퍼홀더(6)를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예컨대, 연마정반의 회전속도가 10~50RPM이 되도록 회전시키면서 연마작업을 시작한다. 상기 연마작업중 가공분위기의 온도는 15~25℃로 유지하며, 연마용액(3)으로 사용되는 탈이온수에 연마제(2), 예컨대, 1㎛ 정도 크기의 Al2O3를 10%정도의 비율로 섞어 공급함으로써 상기 연마정반(1)위에 거품을 일으키도록 한다. 거품의 표면장력에 의해 연마중에도 이들 거품이 계속 유지되고 연마제가 이들 거품상에 부유하는 형태로 연마가 진행된다.
거품효과를 이용한 본 발명의 웨이퍼 표면연마법은 연마정반 위에 거품을 일으키도록 연마제, 연마용액 및 연마변수를 적절히 조합하여 작업을 진행하므로, 거품의 쿠션효과를 이용하여 종래 물리적연마법에서 문제시 된 가공변질층에 의한 표면결합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기계적 진동에 의한 웨이퍼 파손을 줄일 수 있으며 화학적연마법을 거치지 않고도 고정도의 웨이퍼 표면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종래 화학적연마법에서 문제시 된 산화막 형성 및 표면평탄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내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6)

  1. 연마정반과 웨이퍼홀더에 장착된 웨이퍼를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웨이퍼에 압력을 가하여 웨이퍼와 연마정반 사이의 연마제에 의해 웨이퍼의 표면을 가공하는 웨이퍼 표면연마법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와 연마정반 사이에 거품을 발생시키는 연마용액을 주입하여 회전시 발생되는 거품상에 상기 연마제를 부유시켜 연마정반에 가해지는 압력이 연마제를 통하여 직접 웨이퍼의 표면에 가해지지 않도록 유지시키면서 표면을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표면연마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용액은 탈이온수로 하고, 상기 연마제는 1㎛ 정도 크기의 Al2O3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표면연마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제와 연마용액의 비는 1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표면연마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은 0.05~0.20kg/㎠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표면연마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정반 및 링의 형태는 각각 플래트타입과 글루브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표면연마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정반의 속도는 10~50RPM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표면연마법.
KR1019900016180A 1990-10-12 1990-10-12 웨이퍼 표면연마법 KR930003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6180A KR930003270B1 (ko) 1990-10-12 1990-10-12 웨이퍼 표면연마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6180A KR930003270B1 (ko) 1990-10-12 1990-10-12 웨이퍼 표면연마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855A KR920008855A (ko) 1992-05-28
KR930003270B1 true KR930003270B1 (ko) 1993-04-24

Family

ID=1930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6180A KR930003270B1 (ko) 1990-10-12 1990-10-12 웨이퍼 표면연마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2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631A (ko) 2018-12-12 2020-06-23 주식회사 포스코 연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631A (ko) 2018-12-12 2020-06-23 주식회사 포스코 연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855A (ko) 1992-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0469A (en) Method for polishing detector material
JP5953645B2 (ja) 半導体基板の切断方法及び半導体基板の切断装置
JP2006222453A (ja) シリコンウエーハの製造方法及びシリコンウエーハ並びにsoiウエーハ
JPS5958827A (ja) 半導体ウエ−ハ、半導体ウエ−ハ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ウエ−ハの製造装置
JPH09260314A (ja) 半導体ウェーハ製造方法
JPH0429640B2 (ko)
KR930003270B1 (ko) 웨이퍼 표면연마법
JP2019012849A (ja) ウェハ加工方法及びウェハ加工システム
JP2588326B2 (ja) 半導体ウエーハの製造方法
JP2016167618A (ja) ウェハ割断方法及びウェハ割断装置
JP2019012848A (ja) ウェハ加工方法及びウェハ加工システム
JP6327490B2 (ja) ウェハ加工装置及びウェハ加工方法
JP6593663B2 (ja) ウェハ加工方法及びウェハ加工システム
JP2019169719A (ja) レーザ加工システム
JP2019071476A (ja) レーザ光学部
JP2019012850A (ja) ウェハ加工方法及びウェハ加工システム
JP2019096911A (ja) レーザ加工システム
JPH0553057B2 (ko)
JP2018142717A (ja) ウェハ加工方法及びウェハ加工システム
JP2890450B2 (ja) 研磨方法
KR980011977A (ko) 경면 연마 웨이퍼 제조방법
JP6979608B2 (ja) 研削装置及び研削方法
JPH056881A (ja) 半導体ウエーハの製造装置
WO2001096065A1 (fr) Procede de polissage de pieces
JP2017123475A (ja) 抗折強度の高い薄型チップの製造システム及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