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956Y1 - 장식 놀이구 - Google Patents

장식 놀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956Y1
KR930002956Y1 KR2019910004904U KR910004904U KR930002956Y1 KR 930002956 Y1 KR930002956 Y1 KR 930002956Y1 KR 2019910004904 U KR2019910004904 U KR 2019910004904U KR 910004904 U KR910004904 U KR 910004904U KR 930002956 Y1 KR930002956 Y1 KR 930002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ransparent sphere
holder
optical fiber
fl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49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9244U (ko
Inventor
안한균
Original Assignee
안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한균 filed Critical 안한균
Priority to KR20199100049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956Y1/ko
Publication of KR9200192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2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9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8Leaded light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장식 놀이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위치 2 : 손잡이끈
3 : 전구 4 : 후레쉬
5 : 받침판 6 : 홀더
7 : 광섬유체 8 : 광섬유사
9 : 원형판 10 : 투명구
11 : 다색판 12 : 장식물
본 고안은 장식놀이구에 관한 것으로, 후레쉬를 내장하고 투명구를 고정시키는 탄성재질의 홀더와, 투명구와 홀더사이에 이동가능토록 위치시킨 다색판으로 이루어지며, 후레쉬를 켠다음 홀더를 잡고 흔들면 투명구 내의 광섬유가 현란하게 다색판의 색깔대로 빛을 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놀이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장식놀이구로는 단순히 청각을 이용하여 각종 동물소리를 내도록 하는 부류와, 각종 색깔의 램프가 점등되는 원리를 이용한 부류가 알려져 있으나 사용자가 쉽게 싫증을 내게 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손운동을 겸할 수 있는 장식놀이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후레쉬를 홀더내에 끼우고, 내부에 광섬유체로 집속되는 광섬유사가 내장된 투명구를 홀더상단부에 고정시키되, 투명구와 홀더 사이엔느 좌,우이동이 후레쉬의 불빛을 받아들이는 다색판을 위치시킴으로써, 전구를 켜고 흔들면 광섬유사가 함께 좌우이동됨과 동시에 다색판도 좌, 우로 이동되어, 광섬유사에서 현란한 색상이 발현되도록 하는 장식놀이구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단에 스위치(1) 및 손잡이끈(2)이 위치되고 상단면 중앙에 전구(3)가 고정된 후레쉬(4)와, 탄성재질의 원통형이며 상단에 받침판(5)이 일체로 된 홀더(6)와, 하면이 평평한 원형판(9)을 이루며 원형판(9) 중앙에 광섬유체(7)가 고정되어 그 과섬유체(7)와 일체로 연장된 광섬유사(8)가 내부에 수장된 투명구(10)와, 상기 받침판(5)과 투명구(10)사이에 좌,우이동 가능토록 위치되며 후레쉬(4) 빛을 받는 다색판(11)과, 투명구(10) 상단에 고정되는 장식물(12)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판(5)의 중앙에는 통공(13)을 형성하되, 홀더(6) 내경보다 작도록 하여 받침판(5)의 하면중앙부에 내턱(14)을 이루게 한다. 또한 받침판(5)의 내주연부에 원형판(9)의 외주연과 접하게 되는 돌륜(15)을 형성하며, 투명구(10)의 상단에는 장식물(12)을 고정시키는 돌기부(16)가 돌출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조립하여 사용할 때에는, 홀더(6) 하단에 후레쉬(4)선단을 대고 밀어 끼워 넣으며 받침판(5)의 내턱(14)에 후레쉬(4)의 선단이 닿게하여 전구(3)가 통공(13)에 위치 되도록 한다. 다음 받침판(5)의 통공(13) 부위에 다색판(11)을 위치시키고, 투명구(10)의 원형판(9) 외주연과 돌륜(15)을 접착시켜 일체화시키고, 돌기부(16)에 장식물(12)을 끼워넣어 고정시킨다.
이와같이 조립된 본 고안을 사용할 때에는 홀더(6)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손으로 후레쉬(4)의 스위치(1)를 온 시키면 전구(3)에 불이 들어온다. 이때 홀더(6)를 잡고 흔들면 투명구(10)도 동시에 흔들이며, 이에 따라 투명구(10)내의 광섬유사(8)도 동시에 흔들리게 된다. 물론 광섬유사(8)은 그 속성상 빛을 받아 전도케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홀더(6)를 잡고 흔들면, 받침판(5)과 원형판(9) 사이에서 다색판(11)이 좌,우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후레쉬(4)의 스위치(1)를 온 시킨 다음 흔들면, 전구(3)의 빛이 다색판(11), 광섬유체(7), 광섬유사(8) 및 투명구(10)를 통하여 차례로 전도됨으로써 현라하게 빛을 발하게 된다. 이때 다색판(11)에는 여러가지 색을 표면에 일정면적씩 칠하여서, 다색판(11)이 좌,우 이동 될때마다 여러가지 색이 순간순간 광섬유사(8)를 통하여 전도되어 반사되게 된다. 이때 홀더(6)를 잡고 흔들어 줌에 따라 여러가지 빛이 반사되므로, 이를 가지고 노는 아이들은 자신도 모르게 손운동을 하게 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돌기부(16)에 장식물(12)을 끼워 이를 감상할 수 있는 바, 싫증이 날때 마다 다른 형상의 장식물(12)을 교체 사용하도록 하면 장식의 효과가 높게 되며, 가지고 놀지 않을때에는 손잡이끈(2)에 손목을 끼워 가지고 다님으로써 쉽게 분실되지 않도록 한다. 만약 후레쉬(4)의 바테리(도시하지 않음)가 소모되었을때에는 홀더(6)에서 후레쉬(4)를 분리시키고 바테리를 교체한 다음 재조립하면 영구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투명구(10)내에 비전도성 투명액체를 넣을 경우 또다른 장식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후레쉬와 홀더와 다색판과 투명구를 조합하여 홀더를 잡고 흔들때에 후레쉬에 의한 불빛이 투명구 내의 광섬유사에 전도됨으로써 투명구를 통하여 반사되어 영롱한 빛깔을 발하여 시각적 장식효과를 제공하며, 홀더를 잡고 흔듦에 따라 자연적으로 손운동을 제공하며, 투명구 상단에 여러장식물을 교체하여 장식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장식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등 편리한 장식놀이구이다.

Claims (1)

  1. 하단에 스위치(1) 및 손잡이끈(2)이 위치되고 상단면 중앙에 전구(3)가 고정된 후레쉬(4)와, 탄성재질의 원통형이며 상단에 받침판(5)이 일체로 된 홀더(6)와, 하면이 평평한 원형판(9)을 이루며 원형판(9) 중앙에 관섬유체(7)가 고정되어 그 광섬유체(7)와 일체로 연장된 광섬유사(8)가 내부에 수장된 투명구(10)와, 상기 받침판(5)과 투명구(10) 사이에 좌,우이동 가능토록 위치되며 후레쉬(4) 빛을 받는 다색판(11)과, 투명구(10) 상단에 고정되는 장식물(1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놀이구.
KR2019910004904U 1991-04-10 1991-04-10 장식 놀이구 KR930002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4904U KR930002956Y1 (ko) 1991-04-10 1991-04-10 장식 놀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4904U KR930002956Y1 (ko) 1991-04-10 1991-04-10 장식 놀이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244U KR920019244U (ko) 1992-11-16
KR930002956Y1 true KR930002956Y1 (ko) 1993-05-24

Family

ID=19312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4904U KR930002956Y1 (ko) 1991-04-10 1991-04-10 장식 놀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95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692Y1 (ko) * 2011-12-07 2013-08-29 강훈 발광유도학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244U (ko) 199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7644A (en) Doll having illuminated color change fiber optic feature
JPH0733840Y2 (ja) 遊戯装置
US4701146A (en) Illuminated infant toy
US6135606A (en) Combined dancing light lollypop-pacifier holder
CA2215153C (en) Ornamental carrier with flashlight-type eyes
US5165781A (en) Flashlight with color producing chambers
US5037346A (en) Toy flashlight
US7771247B2 (en) Novelty light-up toy
US5743782A (en) Illuminable toys having replacable illuminable edibles
US8672571B2 (en) Illuminated marking device and apparatus
US20020126507A1 (en) Luminescent lollipop
US5860732A (en) Lava lazer licks candy holding and consumption device
US20030016529A1 (en) Illuminated lollipop or candy sucker
US5547190A (en) Lighted nunchakus
US5480338A (en) Luminescent screen image making toy
KR930002956Y1 (ko) 장식 놀이구
KR200392109Y1 (ko) 다색 발광 볼펜
KR930002955Y1 (ko) 장식 놀이구
US10898016B1 (en) Illuminated dome scene cup
GB2242364A (en) Portable articles with flashing lights e.g. balls, toys, signs
GB2221626A (en) Light-emitting toy
JP3121098U (ja) アクセサリー玩具
US5816883A (en) Fiber optic wand with illuminated figurehead
CN219701077U (zh) 一种可自由分离的玩具棍棒
US20070238386A1 (en) Light Emitting Bubble Cre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