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912Y1 - 절첩식 다용도 책상 - Google Patents

절첩식 다용도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912Y1
KR930002912Y1 KR2019900014479U KR900014479U KR930002912Y1 KR 930002912 Y1 KR930002912 Y1 KR 930002912Y1 KR 2019900014479 U KR2019900014479 U KR 2019900014479U KR 900014479 U KR900014479 U KR 900014479U KR 930002912 Y1 KR930002912 Y1 KR 9300029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leg
plate
hinge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4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829U (ko
Inventor
박공구
Original Assignee
박공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공구 filed Critical 박공구
Priority to KR2019900014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912Y1/ko
Publication of KR9200058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8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9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9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 A47B3/087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with struts supporting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 A47B2003/0835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being superimposed, hinged and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첩식 다용도 책상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다용도 책상의 조립 전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다용도 책상의 조립 측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다용도 책상의 분해 전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다용도 책상의 분해 측면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다용도 책상을 펴고 접는 상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다용도 책상을 완전히 접어 놓은 상태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다용도 책상을 누워서 사용하는 상태도.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다용도 책상에 연장 다리부를 연결하여 놓은 조립상태도.
제9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다용도 책상에 조립 연결하는 연장 다리부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L,1R : 좌,우 책상부 2L,2R : 좌,우 독서대
3 : 연장다리부
본 고안은 절첩이 가능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
책상은 책을 보거나 글을 쓰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하는 사람의 체형이나 습관에 따라서 방바닥에 앉거나 들어누어서도 사용할 수 있고 또 의자에 앉아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책상을 절첩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그때 그때마다 앉음책상, 의자책상, 운반책상, 형태로 그 구조를 변경할 수 있게하고자 하는 절첩식 다용도 책상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책상은 일정한 모양으로 고정이 되어 사용자가 오래동안 책을 보다가 피곤함을 느껴 좀더 편안한 자세로 책을 보고자 하여도 책상의 구조를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책상의 사용을 쉽게 기피하는 현상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독서대를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자유로이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하고, 책상판은 포개 접을 수 있게 하며, 높이조절 다리를 조립하여 필요에 따라서 책상의 높이 또한 조절할 수 있는 절첩가능한 책상을 제공하고자 고안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따라 구성을 구체적으로 기재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절첩식 다용도 책상은 크게 나누어 책이나 노트를 올려 놓고 책을 읽거나 기록을 하도록 된 책상부(1)와, 책이나 기록물을 꽂아 눈으로 보기 좋은 위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독서대(2)와, 책상을 방바닥에 앉은 자세로 사용하는 앉음형 책상에서 의자에 앉은 자세로 사용하는 의자형 책상으로 만들기 위하여 책상다리를 연장하는 연장다리부(3)로 나눌 수 있다.
책상부(1)는 이동과 운반에 편리하도록 하고자 좌책상부(1L)와 우책상부(1R)로 2개로 분할하여 힌지(H1)로 결합하고 있다.
좌책상부(1L)와 우책상부(1R)는 각각 프레임(11-11L,11R)을 만들고 프레임(11) 위에는 하나씩의 상판(12=12L,12R)을 붙이고 프레임(11) 아래에는 2개씩의 다리(12=13L,13R)를 절첩이 가능하도록 부착하고 있다.
책상부(1)는 좌책상부(1L)와 우책상부(1R)로 힌지(H1)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적으로 만들고 있으므로 편의상 좌책상부(1L)로 설명하고자 한다.
(각 부의 구성중 앉은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좌측에 위치하는 부품은 번호 뒤에 L자를, 우측 부품은 R자를 붙이며 좌,우 구별의 필요가 없을 때에는 번호만 부여함)
좌책상부(1L)의 프레임(11L)은 전,후 횡프레임(111A,111B)과 좌,우 종프레임(111C,111D)를 상호 단단히 고정하여 만들고 있다.
횡프레임(111A,111B)의 안쪽에는 쐐기홈(113)을 파고 쐐기홈(113)에 끼우는 쐐기(114)를 별도로 만들어 준비하여 두며 횡프레임중 후프레임(111B)에는 기록판 고정구(18)를 만들어 놓고 별도로 준비하고 있는 기록판(19)을 고정구멍(102)을 통하여 부착하고 뗄 수 있도록 한다. 기록판(19)에는 기록지를 고정하는 고정클립(193)을 부착하여 둔다.
종프레임(111C,111D)에는 버팀목(15)을 끼울 수 있도록 각각 축수홈(116)을 파고 이 축수홈(116)에는 버팀목(15)을 끼우게 되는데 이 버팀목(15)은 다리(13)을 사용상태로 펼쳤을 때에 다리가 안쪽으로 접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다리(13)의 고정대(133)를 받치는 받침부(153)를 가공하고 있으며, 버팀목(15)의 양쪽 끝단부에는 축핀(151)을 가공하여 이축핀(151)을 종프레임(111C,111D)에 파고 있는 축수홈(116)에 회동이 가능하게 끼워 사용하는 것이며, 독서대(2)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경사각 조절판(24)을 고정하는 고정나사봉(16)을 끼워 고정하여 놓고 고정나사(17)를 준비하고 있다.
프레임(11)의 상부에는 상판(12)을 부착한다.
다리(13)는 2개의 다리몸체(131,131)를 다리고정대(133)로 고정하고 있으며 다리몸체(131)와 다리고정대(133)의 고정을 보다 확실히 하기 위하여 보강쇠(135)로 보강하고 있다.
다리(13)는 한쪽 끝단부를 힌지(H2)로 상판(12)과 연결하여 다리를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 하고 있으며 다른쪽 끝단부에는 볼트홈(136)을 가공하여 나중에 연장다리부(3)와의 연결에 사용한다.
독서대(2)는 책을 받쳐놓고 독서를 하거나 또는 연필, 고무등 필기 용구를 올려놓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좌,우 책상부(1L,1R)에 각각 힌지(H3)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있다.
좌,우 독서대(2L,2R)는 각각 독서대 몸체(2)에 1개 또는 2개의 책 받침판(22)을 힌지(H4)로 절첩이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독서대 몸체(21)의 측면이나 뒷면에는 독서대(2)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각 조절판(24)을 만들어 힌지(H5)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경사각 조절판(24)에는 안내홈(241)을 파고 이 안내홈(241)을 책상부(1)의 고정나사봉(16)에 끼워 고정나사(17)로 경사를 조절하면서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우독서대(2R)의 독서대 몸체(21)의 뒷쪽에는 드러 누워서도 책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책을 꽂는 책꽂이판(25)을 힌지(H6)로 연결하여 둔다.
책꽂이판(25)에는 책두께에 따라 책을 끼울 수 있는 폭을 조정하기 위하여 여러개의 폭조정홈(252)을 파고 있으며 이 폭조정홈(252)에는 투명판으로 된 책받침편(26)을 끼우고 뺄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좌,우 책꽂이판(25,25)의 아래쪽에는 책이 밑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책받침판(27)을 힌지(H7)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둔다. 지금까지 만들어진 책상은 방바닥에 앉아서 사용하는 앉은형 책상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의자에 앉아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연장다리부(3)로 책상다리를 연장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연장다리부(3)는 의자형 책상에 높이에 알맞는 길이로 만들어진 다리몸체(311)에 스터트 볼트(34)를 끼우는 볼트홈(312)을 뚫어 연장다리(31)를 만들어 이 연장다리(31)를 스터트 볼트(34)로 앉음형 책상다리(13)에 파고 있는 볼트홈(136)과 맞추어 조립하는 것이다.
이렇게 조립 결합한 상태만으로 다리가 흔들리거나 안정성이 없을 때에는 종보강대(32,32)와 횡보강대(33)에 각각 볼트홈(322,332)을 뚫고 연장다리(31)를 조립할 때에 스터트 볼트(34)에 이들 보강대(32,33)를 함께 끼워 조립하므로서 보다 튼튼한 연장다리부(3)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있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다용도 책상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6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다용도 책상을 이동과 운반이 편리하도록 완전히 포개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앉음형 책상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좌책상부(1L)와 우책상부(1R) 양쪽으로 벌려서(제5도 참조) 좌책상부(1L)와 우책상부(1R)가 일직선상에 오면 좌,우 책상부(1L,1R)의 횡프레임(111A,111B)에 각각 파고 있는 쐐기홈(113)에 쐐기(13)을 박아 넣어 좌,우 책상부(1L,1R)가 일직선 상태를 변함없이 유지하도록 한다.
좌,우 책상부(1L,1R)의 프레임(11)안에 포개져있던 좌,우 양쪽다리(13L,13R)를 펼치고 다시 눕혀져 있던 버팀목(15)을 세워서 다리 고정대(133)를 받쳐서 다리가 접어지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한 다음 독서대(2)를 들어 올리면 독서대(2)가 힌지(H3)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며 독서대(2)가 책을 보기좋은 경사로 되면 경사조절판(24)을 펼친 다음 안내홈(241)을 고정나사봉(16)에 끼우고 고정나사(17)로 단단히 조여 주므르서 독서대(2)가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독서를 하다가 머리를 앞 또는 뒤로 하여 독서를 하고자 할때에는 고정나사(17)를 풀어 독서대(2)가 눈이 피로하지 않는 거리와 경사각을 갖도록 위치를 조정한 다음 고정나사(17)를 잠근 다음 독서를 하게 되면 눈에 피로가 오지 않고 장시간 독서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책을 독서대 몸체(21)에 올려 놓을 때에는 책받침판(22)을 펼쳐 놓아야 할 것이다.
만일 드러누워서 책을 보고자 할 때에는 우독서대(2R)의 독서대 몸체(21)뒤에 조립하고 있는 책꽂이판(25)과 책받침판(27)을 각각 펼치고 책꽂이판(25)의 책두께에 알맞는 조정홈(252)을 선택하여 투명체로 된 책받침편(26)을 끼우고 이 사이로 책을 넣고 누워서 책을 보면 되는 것이며 누워서 기록을 하고자 할 때에는 기록판(19)을 고정구(192)로 고정하고 기록판(19)의 클립(193)으로 기록지를 지지한 다음 필기구로 기록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책상을 의자형 책상으로 변형하여 의자에 앉아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연장다리(31)를 보강대(32와 33)와 함께 스터드볼트(34)로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만일 책상을 사용하지 않고 포개놓고자 할 때와 이동을 할 때에는 이동할 때의 역순으로 조작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다용도 책상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방바닥에 앉은 자세, 누운 자세 그리고 의자에 앉은 자세를 선택할 수 있고 또 책을 독서에 알맞는 경사각과 거리로 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독서를 하여 눈에 피로가 오지 않고 싫증이 나지 않는 것이다.

Claims (4)

  1. 좌책상부(1L)와 우책상부(1R)로 2개로 분할하여 힌지(H1)로 결합하되, 좌,우책상부(1L,1R)는 횡프레임(111A,111B)과 종프레임(111C,111D)을 고정하여 좌,우 프레임(11L,11R)을 만들고 좌,우 프레임(11L,11R)에는 각각 상판(12L,12R)을 붙이며 횡프레임(111A,111B)에는 쇄기홈(113)을 파고 쇄기(114)를 준비하고,종프레임(111C,111D)에는 축수홈(116)을 파고 이 축수홈(116)에는 버팀목(15)의 양쪽 끝단부에 가공한 축핀(151)을 회동 가능하게 끼워 조립하며, 다리몸체(131)에 다리 고정대(133)로 고정하여 되는 다리(13)는 힌지(H2)로 상판(12)에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다용도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좌,우책상부(1L,1R)에는 좌,우 독서대(2L,2R)를 힌지(H43)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독서대(2)를 만들되, 좌,우 독서대(2L,2R)는 각각 독서대 몸체(21)의 앞면쪽에 책받침판(22)을 힌지(H4)로 연결하고, 우독서대(2R)의 독서대몸체(21) 뒷면쪽에는 책조정홈(252)을 파고 책받침판(26)을 갖춘 책꽂이판(25)과 책받침판(27)을 각각 힌지(H6,H7)로 연결하며, 좌,우 독서대 몸체(22)에는 경사각 조절판(24)을 힌지(H54)로 연결하여 책상부(1)에 고정하는 고정나사봉(16)과 고정나사(17)로 독서대(2)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다용도 책상.
  3. 제2항에 있어서 책상부(1)의 프레임(12)에는 기록판 고정구(18)를 구성하고 기록판 고정구멍(192)과 기록지 고정클립(193)을 구비한 기록판(19)을 고정구(18)로 붙이고 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다용도 책상.
  4. 제1항에서 제3항까지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리(13)에는 다리몸체(311)에 볼트홈(313)을 뚫어되는 연장다리(31)를 스터드볼트(34)로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다용도 책상.
KR2019900014479U 1990-09-18 1990-09-18 절첩식 다용도 책상 KR9300029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4479U KR930002912Y1 (ko) 1990-09-18 1990-09-18 절첩식 다용도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4479U KR930002912Y1 (ko) 1990-09-18 1990-09-18 절첩식 다용도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829U KR920005829U (ko) 1992-04-21
KR930002912Y1 true KR930002912Y1 (ko) 1993-05-24

Family

ID=19303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4479U KR930002912Y1 (ko) 1990-09-18 1990-09-18 절첩식 다용도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9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582B1 (ko) * 2002-06-11 2007-10-22 반츨 메탈바렌파브릭 게엠베하 셀프 서비스 상점용 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582B1 (ko) * 2002-06-11 2007-10-22 반츨 메탈바렌파브릭 게엠베하 셀프 서비스 상점용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829U (ko) 199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89166A1 (en) Compact articulated lectern for a book, papers or other such articles
US6896322B1 (en) Folding chair
KR200393407Y1 (ko) 보조책상을 갖는 학생용 책상
US4046417A (en) Folding furniture piece
US6513443B2 (en) Portable collapsible pulpit
US4969698A (en) Portable desk
US2896695A (en) Convertible seat
KR930002912Y1 (ko) 절첩식 다용도 책상
KR200407154Y1 (ko) 접이식 독서대
KR20210024858A (ko) 다용도 독서대
CA3045987A1 (en) Interretractable folding piano stand
US20230011689A1 (en) Nap apparatus for desk
US9797545B2 (en) Interretractable folding stand
US5507549A (en) Convertible furniture
KR102020604B1 (ko) 슬림구조의 접이식 휴대용 독서대
KR200405780Y1 (ko) 미용실 작업의자의 독서대.
KR950008821Y1 (ko) 상하좌우 조절이 용이한 이동식 독서대
TW200917997A (en) A bed set structure with foldable table board
KR100580947B1 (ko) 강의용 일체형 책걸상
CN217610054U (zh) 折叠书架
JP2767091B2 (ja) 折り畳み式の棚付きテーブル
JP2605311Y2 (ja) 折りたたみ式テーブル
JPH0744172Y2 (ja) リバーシブルテーブル
KR950010058Y1 (ko)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
JP3234737U (ja) 木製卓上型傾斜調整可能な学習作業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5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