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058Y1 -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 - Google Patents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058Y1
KR950010058Y1 KR2019930023902U KR930023902U KR950010058Y1 KR 950010058 Y1 KR950010058 Y1 KR 950010058Y1 KR 2019930023902 U KR2019930023902 U KR 2019930023902U KR 930023902 U KR930023902 U KR 930023902U KR 950010058 Y1 KR950010058 Y1 KR 950010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coupled
table assembly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3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141U (ko
Inventor
최세훈
Original Assignee
최세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세훈 filed Critical 최세훈
Priority to KR2019930023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058Y1/ko
Publication of KR9500131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1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0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0Travelling or trunk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 조립체를 상측의 테이블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5도는 제1도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1도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제7도는 제1도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 조립체에 책꽂이를 조립하여 테이블의 높이를 승강시키기 위한 결합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제9도는 제8도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제10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 조립체의 높이를 승강시키기 위한 책꽂이의 또다른 결합 상태를 예시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제1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 조립체의 절첩 상태에서 절취한 요부 횡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테이블 11, 12 : 사이드 보드
13 : 센터 보드 15 : 붙박이 너트
20 : 커버 보드 21 : 스크류
30 : 메인 측면 지지대 31 : 메인 크로스 판넬
32 : 체결공 40 : 메인 전면 지지대
42, 43 : 휭거 조인트 44 : 연장부
46 : 플랜지 46a : 고정핀
47 : 받침대 48 : T자형 가이드 홈
50 : 책꽂이 60 : 서브 측면 지지대
70 : 서브 배면 지지대 100 : 책상
본 고안은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Table)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테이블은 식탁, 책상, 티 테이블(Tea Table), 탁구대 및 이와 유사한 물품등을 포괄하는 용어로서 그 이용 분야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미리 밝혀 두는 바이며,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채용예를 예시하기 위해 본 고안이 책상에 채용된 것으로 가정하여 본 고안이 의도하는 진정한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이며 상세하고 명료하게 설명하게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큰 부피와 체적을 지니는 관계로 책상의 이동시 매우 불편하다. 특히, 가구의 재배치 또는 이사시 책상 운반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책상을 배치하기 어려운 협소한 주택의 경우, 책상을 버리거나 혹은 책상을 필요로 하는 이웃에게 주기도 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에도 조립식 책상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책상은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설계되어 책상 운반시 각각의 구성요소를 분해할 수 있으나 분해된 상기 구성요소 역시 부피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휴대하기에는 매우 불편하였다. 이와같은 문제는 책상 이외에도 전술한 바와같은 테이블류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조립식 테이블에 따른 문제점을 극복하고 휠씬 소형으로 콤팩트하게 조립되며, 분해 및 조립이 매우 원활하고, 조립 상태에서는 외관이 미려한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테이블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를 서로 중첩되도록 매우 소형으로 절첩하여 휴대가 극히 용이하고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테이블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평상시 바닥에 앉아 사용하는 좌식(坐式) 테이블로 사용하고, 필요시 테이블의 높이를 조절하여 의자를 사용할 수 있는 절첩 가능한 입식(立式) 테이블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는 복수개로 분할되고 서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테이블과 ; 상기 테이블의 양측 가장자리 면에 절첩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커버 보드와 ; 상기 커버 보드의 일측 가장자리 면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절첩되는 메인 크로스 판넬을 포함하는 한쌍의 메인 측면 지지대와 ; 상기 각각의 메인 측면 지지대의 양측면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되, 하측에 플랜지를 갖는 받침대를 구비하고, 소정 형상으로 절결된 각각의 연장부의 끝단에 교호적으로 결합되는 한쌍의 휭거 조인트가 대칭되게 형성된 4개의 메인 전면 지지대와 ; 상기 테이블의 높이를 승강시키기 위한 테이블 높이 조절 수단 ;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에 대하여 더욱 세부적인 구성요소를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11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 조립체,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에 본 고안의 절첩 가능한 테이블 조립체를 채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책상(100)은 크게 테이블(10), 커버 보드(20), 메인 측면 지지대(30) 및 메인 전면 지지대(40)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각 구성요소들은 서로 대칭되게 설계되어 있는 관계로 일측의 구성요소를 통해 설명하게 될 것이다.
상기 테이블(10)은 복수개로 분할 된 사이드 및 센터 보드(11)(12)(13)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할된 각각의 사이드 및 센터 보드(11)(12)(13)는 서로 인접한 분할면에 통상의 경첩 등과 같은 절첩 수단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양측단이 상측으로 절첩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및 센터 보드(12)(13)의 사이에는 비교적 협소한 스페이서 보드(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페이서 보드(14)는 상기 책상의 절첩시 다른 절첩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센터 보드(13)는 양측의 사이드 보드(11)(12) 보다 적어도 큰 폭으로 설계되어 상기 책상(100)의 절첩시 양측의 상기 메인 측면 및 전면지지대(30)(40)의 절첩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센터 보드(20)의 저면에는 그 상면이 개폐되는 서랍이 부착되어 있으며, 제3도에서 더욱 상세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보드(11)(12)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고 중앙에 장공(16)을 갖는 브라켓트(17)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메인 측면 지지대의 절첩 및 전개를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사이드 및 센터보드(12)(13)의 저면에는 그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복수개의 붙박이 너트(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 보드(20)는 상기 사이드 보드(11)(12)의 외측 가장자리 면에 상기의 절첩 수단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책상(100)의 전개시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테이블(10)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체결 및 분해 가능한 스크류(21)가 상기 붙박이 너트(15)속에 나사 결합되어진다.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측면 지지대(30)는 상기 커버 보드(20) 및 사이드 보드(11)(12)의 저면과 이웃한 일측면에 붙박이 너트(15)에 체결 및 분해 가능한 볼트(22)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 보드(20)의 일측 가장자리 면에 상기 절첩 수단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측면 지지대에는 수직에서 수평방향 혹은 수평에서 수직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메인 크로스 판넬(31)를 갖는다.
상기 메인 크로스 판넬(31)은 양측 테두리면의 내측면에 체결공(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책상(100) 설치시 메인 전면 지지대(40)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 전면 지지대(40)의 횡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메인 전면 지지대(40)는 중앙 전면부에 소정 형상의 절결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측면 지지대(30)의 양측 가장자리 면에 대칭되게 한쌍으로 수직하게 고정되되, 상기 메인 측면 지지대(30)와 내측면에 포개지도록 상기 절첩 수단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한쌍의 메인 전면지지대(40) 중 일측의 전면 지지대(40)가 상기 메인 측면 지지대(30)에 중첩되고 중첩된 상기 메인 전면 지지대(40) 위로 나머지 메인 전면 지지대(40)가 포개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메인 전면 지지대(40)의 상측에는 대칭되는 타측 메인 전면 지지대(40)와 만나는 부위에 휭거 조인트(42)(43)를 갖는 연장부(4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휭거 조인트(42)(43)는 암수로 이루어진 한쌍의 체결부재로서, 대칭되는 각각의 연장부(44)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44)의 일면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휭거 조인트(42)(43)와 일정 거리 이격되고 등간격으로 배열된 스크류(21)를 갖는 보스(4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 전면 지지대(40)의 하측에는 그 내.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46)를 갖는 받침대(4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대(47)의 저면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T자형 가이드 홈(48)이 형성되어 있다. 제8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 플랜지(46)의 평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고정핀(46a)이 형성되어 전술한 메인 크로스 판넬(31)의 전개시 그 체결공(32)속에 상기 고정핀(46a)이 결합되어 상기 메인 전면 지지대(40)가 횡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히 지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에 대하여 그 작용예와 작용효과를 역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책상의 설치 상태를 살펴보면, 복수개로 분할된 테이블(10)을 제1도를 도시된 바와같이 전개하여 상기 사이드 보드(11)(12)의 외측 테두리면에 절첩 가능하게 고정된 커버 보드(20)를 상기 테이블(1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절첩한 뒤 상기 테이블(10)의 저면에 형성된 붙박이 너트(15)에 상기 커버 보드(20)를 관통하는 스크류(21)로 나사 결합하여 견고히 고정시킨다. 또한 테이블 사용시 상기 테이블(10)의 평면에는 제1도에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고무재로 이루어진 테이블 매트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테이블 매트는 소정 위치에 절결된 필기구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 보드(20)가 결합되면, 상기 커버 보드(20)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메인 측면 지지대(30)가 수직하게 전개되도록 상기 사이드 보드(11)(12)의 저면에 형성된 브라켓트(17)의 장공(16)을 관통하여 고정된 볼트(22)를 해제하여 상기 메인 측면 지지대(30)를 조절한 뒤 상기 메인 측면 지지대(30)의 양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한쌍의 메인 전면 지지대(40)를 상기 메인 측면 지지대(30)에 대해 대략 직각 방향으로 전개한다. 이때, 상기 메인 전면 지지대(40)의 상단은 상기 테이블(10)의 저면에 위치되되, 그 저면에 형성된 붙박이 너트(15)와 상기 전면 지지대(40)의 연장부(44)의 일면에 형성된 휭거 조인트(42)(43) 및 보스(45)를 정합시켜 내장된 스크류(21)를 통해 나사 결합하고 상기 해체된 볼트(22)를 체결하여 상기 메인 측면 지지대(30)를 견고히 결합한다. 물론, 상기 연장부(44)의 끝단에 각각 결합된 암수로 이루어진 휭거 조인트(42)(43)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테이블(10)의 저면에 역시 조립된다.
상기 메인 전면 지지대(40)가 설치되면, 상기 메인 측면 지지대(30) 상에 절첩 가능하게 고정된 메인 크로스 판넬(31)을 전개하여 상기 메인 전면 지지대(40)의 받침대(47)상에 안착시키되,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받침대(47)의 내측 플랜지(46)상에 형성된 고정핀(46a)에 상기 메인 크로스 판넬(31)의 일측 테두리면에 형성된 체결공(32)이 결합하여 견고히 고정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기 메인 크로스 판넬(31)은 책상 사용시 각종 서적 및 서류를 올려 놓는 공간으로 활용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같은 책상(100)은 사용자가 방바닥에 앉아 사무를 처리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설치되어 진다.
만일, 사용자가 의자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테이블의 높이를 높이기 위한 테이블 높이 조절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책상위에 놓여 있는 책꽂이(50)를 사용하여 책상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책꽂이(50)는 상기 메인 측면 및 전면 지지대(30)(40)의 길이 및 폭과 동일한 서브 측면 및 서브 배면 지지대(60)(70)를 지니며, 상기 서브 측면 지지대(60)는 상기 서브 배면 지지대(70)의 양측 가장자리 면에 내측방향으로 절첩되도록 절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측면 지지대(60)의 상단에는 상기 메인 전면 지지대(40)의 하측 받침대(47)와 대칭되는 형상의 역 T자형 가이드 홈(6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상기 서브 전면 지지대(40)의 받침대(47)와 동일한 받침대(6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브 배면 지지대(70)에는 소정 구간 절결되고 절결된 부분이 개폐 가능하게 절첩되는 서브 크로스 판넬(7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책꽂이(50)는 상기 서브 측면 지지대(60)를 상기 서브 배면 지지대(70)에 대해 대략 직각 방향으로 전개한 뒤 상기 서브 배면 지지대(70)상에 형성된 상기 서브 크로스 판넬(71)을 수평방향으로 전개하여 그 하단에 형성된 받침대(62)의 내측 플랜지(63) 상에 안착시키되 상기 서브 크로스 판넬(7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체결공(71a)을 상기 내측 플랜지(63) 상에 형성된 고정핀(63a)에 결합하여 횡방향 유동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전개된 상기 책꽂이를 상기 메인 전면 지지대(40)의 받침대(47)의 저면에 상기 책꽂이(50)의 상단 즉, 그 좌우측의 서브 측면 지지대(60)의 상단을 일치시킴으로써 서로 대칭되게 결합된 각각의 T자형 가이드 홈(48)(61)이 결합되어 I형 가이드 홈(61a)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I형 가이드 홈(61a)속으로 I형 체결키(64)를 삽입하여 상기 메인 전면 지지대(40)에 책꽂이(50)를 결합한다.
또한,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전면 지지대의 하측 받침대(47)에 상기 책꽂이(50)를 고정시키기 위한 또다른 형태의 체결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전면 지지대(40)의 받침대(47) 저면에 그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체결홈(49)속에 상기 측면 지지대(60)의 상단에 상기 체결홈(49)에 삽입되는 단턱(65)를 형성하여 상기 체결홈(49)과 단턱(65)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메인 전면 지지대(40)에 상기 책꽂이(50)를 결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책꽂이(50)를 통해 상기 책상(100)의 높이를 높여 사용자가 의자를 사용할 수 있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책상(100)과 책꽂이(50)를 휴대하기 위해 절첩 할 경우,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책상(100)과 책꽂이(50)의 조립과정의 역순으로 상기 책상(100) 및 책꽂이(50)를 절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는 매우 작은 부피로 절첩되어 휴대 또는 보관이 매우 용이하고 좌식(座式) 및 입식(立式)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책꽂이 등과 같은 진열대를 별도로 구입 할 필요가 없으며 조립 및 분해가 매우 용이하다.
본 고안에 따른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는 책상에 채용된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책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식탁, 회의용 테이블, 탁구대와 같은 운동기구 또는 이와 유사한 물품에 모두 채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을 가할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본 고안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상과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등록청구범위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Claims (13)

  1. 복수개로 분할되고 서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테이블(10)과 ; 상기 테이블(10)의 외측 가장자리 면에 절첩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커버 보드(20)와 ; 상기 한쌍의 커버 보드(20)의 일측면 가장자리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메인 측면 지지대(30)와 ; 상기 한쌍의 메인 측면 지지대(30)의 양측면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단에는 플랜지(46)를 갖는 받침대(47)를 구비하고, 타측단에는 연장부(44)를 일체로 포함하는 메인 전면 지지대(40) ;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의 저면에 그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복수개의 붙박이 너트(15)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 보드(20)가 상기 붙박이 너트(15)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의 저면에 그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복수개의 붙박이 너트(15)를 형성하고, 상기 붙박이 너트(15)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21)를 지니며 상기 각각의 연장부(44)의 끝단에 암수를 한쌍으로 교호적으로 결합되는 휭거 조인트(42)(43)와, 상기 휭거 조인트(42)(43)와 일정거리 이격된 복수개의 보스(45)를 갖는 상기 메인 전면 지지대(40)가 상기 스크류(21)에 의해 상기 테이블(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이 사이드 보드(11)(12), 센터 보드(13) 및 스페이서 보드(14)로 분할되고 상기 테이블(10)이 상측 방향으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면 지지대(10)가 상기 메인 측면 지지대(30)의 일면에 중첩되도록 절되되, 상기 메인 전면 지지대(40)가 상기 메인 측면 지지대(30)에 중첩되고, 그 위로 타측 메인 전면 지지대(40)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면 지지대(40)가 상기 메인 측면 지지대(30)에 대해 대략 직각 방향으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측면 지지대(30) 상에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 또는 수평에서 수직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메인 크로스 지지대(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의 저면에 하방으로 연장되고 장공(16)를 갖는 브라켓트(17)가 형성되고 상기 장공(16)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 측면 지지대(20)의 일면에 체결 및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22)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측면 및 전면 지지대(30)(40)와 결합하여 상기 테이블(10)의 높이를 승강시키기 위한 테이블 높이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높이 조절 수단이 상기 메인 전면 지지대(40)의 받침대(47)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개폐 가능하게 절첩되는 서브 크로스 판넬(71)를 갖는 서브 배면 지지대(70)와 ; 상기 서브 배면 지지대(70)의 양측 가장자리 면에 내측 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측단에 역 T자형 가이드 홈(61)을 지니며 그 하측단에는 플랜지(63)를 갖는 받침대(62)를 일체로 포함하는 서브 측면 지지대(60)와 ; 상기 역T자형 가이드 홈(61)에 삽입되는 I형 체결키(64) ;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면 지지대(40)의 받침대(47) 일면에 그 가장자리 면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체결홈(49)과, 상기 체결홈(49)에 삽입되는 단턱(65)을 갖는 서브 측면 지지대(6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면 지지대(40)의 받침대(47)의 일면에 형성된 T자형 가이드 홈(48)과 상기 서브 측면 지지대(60)의 상단에 형성된 역 T자형 가이드 홈(61)을 결합하여 I형 가이드 홈(61a)이 형성되고 상기 I자형 가이드 홈(61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I형 체결키(6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크로스 판넬(71)의 양측 가장자리 면에 체결공(71a)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62)의 내측 플랜지(63)에 고정핀(6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
KR2019930023902U 1993-11-15 1993-11-15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 KR950010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902U KR950010058Y1 (ko) 1993-11-15 1993-11-15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902U KR950010058Y1 (ko) 1993-11-15 1993-11-15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141U KR950013141U (ko) 1995-06-15
KR950010058Y1 true KR950010058Y1 (ko) 1995-11-25

Family

ID=1936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3902U KR950010058Y1 (ko) 1993-11-15 1993-11-15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0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141U (ko)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2838A (en) Foldable and assembleable desk
CA2653394C (en) Modular folding table
US6032590A (en) Knockdown table/chair assembly
US5257701A (en) Adjustable portable exercise desk
US5546873A (en) Furniture worksurface unit and method
US3512857A (en) Modular furniture
US20180213926A1 (en) Table top and skirt with foldable legs
CA2221914C (en) Ready to use foldable computer desk
US20110115350A1 (en) Folding tv cabinet
EP0790791B1 (en) Collapsible support structure
US5562050A (en) Collapsible article of furniture
US6976732B2 (en) Convertible furniture system comprised of modular convertible box frames and methods of forming various furniture configurations therefrom
KR200207937Y1 (ko) 절첩식책상
US5997113A (en) Hand foldable and portable furniture
US6513443B2 (en) Portable collapsible pulpit
US6158831A (en) Preassembled foldable office suite
US20120007484A1 (en) Folding TV table
US9039106B2 (en) Convertible furniture system base and modular applications including armchairs, tables, and storage cabinets
MX2007009112A (es) Escritorio de configuración variable con una superficie de trabajo con características de cierre o bloqueo.
KR950010058Y1 (ko) 절첩 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조립체
US4960303A (en) Folding table and seat assembly
JP3685022B2 (ja) パネル付きデスク
US6186591B1 (en) Table with self-adjusting midframe support
WO2000074524A2 (en) Selectively variable modular space system with shelving and enclosures
US5452554A (en) Modular furniture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