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671Y1 - 브라운관 보호회로 - Google Patents

브라운관 보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671Y1
KR930002671Y1 KR2019880007489U KR880007489U KR930002671Y1 KR 930002671 Y1 KR930002671 Y1 KR 930002671Y1 KR 2019880007489 U KR2019880007489 U KR 2019880007489U KR 880007489 U KR880007489 U KR 880007489U KR 930002671 Y1 KR930002671 Y1 KR 9300026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omparator
circuit
diode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7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3980U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7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671Y1/ko
Publication of KR8900239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39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6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6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9Arrangements or assemblies in supply circuits for the purpose of withstanding high volt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라운관 보호회로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고압드라이브 회로 CP1, CP2: 비교기
D1, D2, D4, D5: 다이오드 D3: 제너다이오드
C1-C5: 콘덴서 R1, R2: 저항
본 고안은 편향 코일의 펄스를 검출하여 편향 코일 정지시 고압 드라이브 회로의 고압 출력을 차단시킴으로써 브라운관을 보호해 주도록한 브라운관 보호회로에 관한 것이다.
수직 및 수평 편향 회로가 정지 되었을 때 그대로 고압이 인가되게 되면 브라운관의 형광면이 손상되게 되므로 편향 회로가 정지되었을 때에는 인가되는 고압을 차단시켜 주어야 브라운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편향회로 정지 검출 회로와 보호회로를 각각 구성해 주어 편향회로 정지 검출 회로로 편향회로의 정지 상태를 검출하게 되면 보호회로를 동작시켜 고아을 차단시켜 주도록 하였으나 회로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보다 간단한 회로의 구성으로 편향회로의 정지시 고압을 차단시켜 주어 브라운관의 형광면을 보호해 주도록 한 것으로 수평, 수직 편향 코일의 펄스 출력을 직류 전압으로 바꾼후 비교기에서 기준전압과 비교되게 구성하여 펄스 출력이 인가될 때에는 고압 드라이브 회로를 정상 동작시키고 펄스 출력이 인가되지 않을 때 즉 편향 코일의 정지시에는 고압 드라이브 회로의 고압 출력을 차단시켜 주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평 편향 코일(H-DY)과 수직 편향 코일(V-DY)에 펄스 검출 콘덴서(C1)(C2)를 연결하여 편향 코일의 펄스를 검출하게 구성하고 콘덴서(C1)(C2)에는 직류전압 변환용 다이오드(D1)(D2)의 평활용 콘덴서(C4)(C5)를 연결하여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킨 후 비교기(CP1)(CP2)의 비반전단자(+)에 인가되게 구성하며 비교기(CP1)(CP2)의 반전단자(-)에는 전원(B+)이 저항(R1)과 제너다이오드(D3) 및 콘덴서(C3)를 통하여 일정한 기준전압으로 인가되게 구성한다. 그리고 비교기(CP1)(CP2)의 출력측에는 저항(R12)을 통하여 전원(B+)이 인가되게하여 일정 전위를 유지시켜 주어 오동작을 방지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제어용 다이오드(D4)(D5)를 통하여 고압 드라이브 회로(5)의 제어단자(P)와 연결되게 구성한다.
이때 고압 드라이브 회로(5)는 제어단자(P)의 전위가 로우레벨로 떨어지는 순간 고압 출력을 차단시켜 준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편향회로가 고장으로 정지되었을 때 브라운관의 형광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하여 수직, 수평 편향 코일의 정지 상태를 검출해 주어 고압 출력을 차단시키도록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수직 및 수평 편향 코일의 출력이 정상일때와 정지될때로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수평, 수직 편향 코일의 출력이 정상일때를 살펴보면 수평 편향 코일(H-DY)에서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펄스는 펄스 검출용 콘덴서(C1)에서 검출되고 검출된 펄스 신호는 직류전압 변환용 다이오드(D1)와 평활용 콘덴서(C4)를 통하여 직류 전압으로 변환된 후 비교기(CP1)의 비반전 단자(+)에 하이레벨 전위로 인가되게 되므로 반전단자(-)로 저항(R1)과 제너다이오드(D3) 및 콘덴서(C1)에 의해 기준전압이 인가되는 비교기(CP1)의 출력측으로는 하이레벨 전압이 출력되게 된다.
즉 수평 편향 코일(H-DY)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이때의 출력 펄스를 검출하여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킨후 비교기(CP1)의 비반전 단자(+)에 인가시킴으로써 비교기(CP1)의 출력측으로는 하이레벨 전압이 출력되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수직 편향 코일(V-DY)이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할때에도 상기와 같은 동작을 거쳐 비교기(CP2)의 출력 측으로 하이레벨을 출력시키게 된다.
따라서, 수평, 수직 편향 코일(H-DY)(V-DY)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비교기(CP1)(CP2)의 출력측으로 하이레벨이 출력되게 되므로 제어용 다이오드(D4)(D5)가 차단상태가 되어 고압 드라이브 회로(5)의 제어단자(P)는 로우레벨로 떨어지지 않아 고압 드라이브 회로(5)는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비교기(CP1)(CP2)의 출력측에 연결된 저항(R2)은 오동작 방지용으로 전원(B+)을 비교기(CP1)(CP2)의 출력측에 인가시켜 주므로 수평 및 수직 편향 코일(H-DY)(V-DY)이 정상적인 상태에서 비교기(CP1)(CP2)의 출력레벨을 확실히 하이레벨 전위로 설정해 주어 제어용 다이오드(D4)(D5)를 완전히 차단시켜 주므로써 오동작 없이 고압 드라이브 회로(5)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수평, 수직 편향 코일(H-DY)(V-DY)이 고장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구동을 하지 않을 때에는 고압드라이브 회로(5)를 그대로 동작시키게 놓아두면 브라운관의 형광면이 손상되게 되므로 이때에는 고압을 차단시켜 주어야만 브라운관의 형광면을 보호해줄 수 있게 된다.
즉 수평, 수직 편향 코일(H-DY)(V-DY)이 정지되면 펄스 출력이 콘덴서(C1)(C2)로 검출되지 않아 비교기(CP1)(CP2)의 비반전단자(+)에는 로우레벨이 되므로 제너다이오드(D3)와 저항(R1) 및 콘덴서(C3)에 의하여 기준전압이 인가되는 반전단자(-)의 전압 레벨보다 작게 되어 비교기(CP1)(CP2)의 출력측으로는 로우 레벨이 출력되게 된다.
비교기(CP1)(CP2)의 로우레벨 출력은 제어용 다이오드(D4)(D5)를 “턴온”시켜 고압 드라이브 회로(5)의 제어단자(P)가 로우레벨로 떨어지도록 하므로서 고압 드라이브 회로(5)는 고압 출력을 차단시키게 된다.
즉 수평, 수직 편향 코일(H-DY)(V-DY)이 동작을 멈추게 되면 비교기(CP1)(CP2)의 비반전단자(+)에는 로우레벨이 인가되므로 비교기(CP1)(CP2)의 출력측으로 로우 레벨이 출력되어 제어용 다이오드(D4)(D5)를 “턴온”시켜 고압 드라이브 회로(5)의 제어단자(P)를 로우레벨로 떨어뜨려 주므로써 고압 드라이브 회로(5)의 고압 출력을 차단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수평, 수직 편향 코일(H-DY)(V-DY)의 정지시에는 고압이 출력되지 않아 브라운관의 형광면이 손상되지 않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수평, 수직 편향 코일의 펄스 출력을 검출하여 직류 레벨화 시킨후 비교기에서 기준전압과 비교되게 하여 제어용 다이오드를 제어해 주므로써 고압 드라이브 회로의 구동을 제어해주어 브라운관을 보호해 주도록 한 것으로 종래와 같이 편향 코일 정지회로와 보호회로를 병행하여 각각 구성시키지 않고 간단한 회로를 이용하여 브라운관의 형광면을 보호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수평, 수직 편향 코일(H-DY)(V-DY)의 펄스 출력을 검출하는 콘덴서(C1)(C2)와, 검출된 펄스를 직류 레벨화하는 다이오드(D1)(D2) 및 콘덴서(C4)(C5)와, 직류 레벨화된 전압을 제너다이오드(D3)와 저항(R1) 및 콘덴서(C3)에 의한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측에 안정화용 저항(R3)을 연결함과 동시에 다이오드(D4)(D5)를 통하여 고압 드라이브 회로(5)가 연결되게 구성한 브라운관 보호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비교수단은 비교기(CP1)(CP2)로 구성된 브라운관 보호회로.
KR2019880007489U 1988-05-19 1988-05-19 브라운관 보호회로 KR9300026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7489U KR930002671Y1 (ko) 1988-05-19 1988-05-19 브라운관 보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7489U KR930002671Y1 (ko) 1988-05-19 1988-05-19 브라운관 보호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980U KR890023980U (ko) 1989-12-04
KR930002671Y1 true KR930002671Y1 (ko) 1993-05-19

Family

ID=19275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7489U KR930002671Y1 (ko) 1988-05-19 1988-05-19 브라운관 보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6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980U (ko) 198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2432A (en) Fault detection apparatus for a transformer isolated transistor drive circuit for a power device
US7423384B2 (en) Lamp voltage feedback system and method for open lamp protection and shorted lamp protection
US5375032A (en) Trip control device for circuit breaker
KR100251837B1 (ko) 오디오 출력 채널용 보호 장치
KR930002671Y1 (ko) 브라운관 보호회로
JPS644376B2 (ko)
CN108270199B (zh) 一种输出过压保护电路
KR100222079B1 (ko) 모니터보호장치
CA2193909A1 (en) Ground fault detector for gas discharge tubing
US4965692A (en) Overload detector and protection circuit
US4591769A (en)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a DC motor
KR930002312Y1 (ko) X선 발생 보호회로
KR0159719B1 (ko) 로직회로 보호장치
JP2793264B2 (ja) 無停電電源装置
KR0147896B1 (ko) 마이컴을 이용한 고압출력 보호회로
US11025158B2 (en) Power supply apparatus capable to extend hold-up time length of output voltage
KR920000099Y1 (ko) 수직 편향 출력의 검출 회로
KR101748852B1 (ko) 단락 감지 회로
KR970005104Y1 (ko) 과전류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KR930005833Y1 (ko) 비임전류 자동제어회로
KR940007079B1 (ko) 스위칭 모드파워 서플라이의 보호회로
US4905116A (en) X-radiation protection circuit
KR0176818B1 (ko) 인버터 구동기기의 안정화회로
KR910004028Y1 (ko) 이상전압 검출 제어회로
JPH04325866A (ja) 直流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