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589Y1 - 구동진폭의 조절이 가능한 요람의 구동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구동진폭의 조절이 가능한 요람의 구동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589Y1
KR930002589Y1 KR2019910006668U KR910006668U KR930002589Y1 KR 930002589 Y1 KR930002589 Y1 KR 930002589Y1 KR 2019910006668 U KR2019910006668 U KR 2019910006668U KR 910006668 U KR910006668 U KR 910006668U KR 930002589 Y1 KR930002589 Y1 KR 9300025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tude
sensor
cradle
flip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6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0788U (ko
Inventor
서태섭
유정길
정장교
김병규
곽희환
곽중구
Original Assignee
대우정밀공업 주식회사
권오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정밀공업 주식회사, 권오준 filed Critical 대우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6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589Y1/ko
Publication of KR9200207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07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5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5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00Beds
    • Y10S5/915Beds with vibr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구동진폭의 조절이 가능한 요람의 구동 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구동계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어계를 도시한 상세회로도.
제3도는 제어계의 동작을 도시한 파형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작동구
3 : 와이어 4 : 완충스프링
5 : 구동제어부 6 : 진폭조절부
7 : 진폭선택부 8 : 진폭검출부
9 : 드라이브회로 AND1- AND2: 앤드게이트
NOR1: 노어게어트 FF1, FF2: 플립플롭
SOL : 솔레노이드
본 고안은 전동력을 이용한 요람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흔들리는 진폭의 조절이 가능한 요람의 구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람은 프레임에 상자형의 요람바구니를 끈이나 봉으로 유동되게 연결설치되고 상기 상자형의 요람바구니를 손으로 흔들거나 편심축, 캠축등으로된 기계적 이용해 흔들었다.
요람바구니를 손으로 흔드는 경우 일일이 손으로 흔들어야 하므로 힘이 많이 들고 번거로운 것이었으며, 요람바구니를 기계적 장치로 흔드는 경우는 전기소모가 많고 마찰소음이 심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힘이 들지 않고 번거롭지 않으며 전기소모 및 마찰소음이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사람이 흔드는 것과 같이 요동이 없고 편안한 동시에 원하는 진폭에서 전동력을 제거하므로서 진폭의 변화를 조절할 수 있도록된 구동진폭의 조절이 가능한 요람의 구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 상기 목적을 구현하고자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기술구성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본 고안은 구동제어계를 갖는 하우징(1)내에 진자운동의 최고속도점에 리미트스위치 또는 포터커플러로 이루어지는 센서(S1)를 설치하고, 이 우측으로 센서 (S2)를 설치하여 제어계(CTRL)에 입력연결하되 제어계의 출력을 조절하는 진폭센서(S3)를 회동측에 결합되는 “T”형 작동구(2)의 일측바아에 회전각 검출이 가능하도록 근접설치하고 상기 작동구(2)의 다른 바아에는 상기 제어(CTRL)의 출력으로 구동되는 솔레노이드(SOL)의 작동력을 연결하며 또 다른 바아는 완충스프링(4)을 통하여 미도시된 요람의 바켓에 연결되는 와이어(3)와 연결하여 이루되, 제어계(CTRL)는 접지신호를 검출하여 능동상태가 되는 플립플롭(FF1)의 프리셋입력단(S)에 상기 센서(S2)를 연결하고 크리어입력단(C)에 센서(S1)를 입력연곁하여 그 출력단(Q)에 콘덴서(C1)와 저항(R1)을 개재하여 플립플롭(FF2)에 프리셋 입력단(S)에 트리거(trigger)펄스를 인가하기 위한 원쇼트회로(OS)를 연결하고 플립플롭(FF2)의 출력단(Q)에 드라이브회로(9)와 솔레노이드(SOL)를 출력연결하며, 진폭을 조절하기 위한 진폭조절부(6)는 다단으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전원 Vcc에 연겉된 다수의 선택스위치 (SS/W)와 솔레노이드(SOL)구동을 진폭으로 검출하는 동수의 진폭센서(S3)로된 진폭검출부(8)가 앤드게이트(AND1-AND4)에 각각 입력되게 하여 앤드레이트(AND1-AND4)의 출력을 논리노어게이트(NOR1)에 입력연결하여 이 출력을 상기 구동제어부(5)에 플립플롭(FF2)의 크리어 입력단(C)에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미설명된 부호로서 B는 전원부이고, 10은 센서(S1,S2)의 위치검출을 위한 작동구이며. 11은 후크이다.
상술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요람(12)에 바켓(13)의 일측으로 와이어(3)의 종단에 결합된 후크(11)를 걸어 설치하게 되면 연결된 와이어(3)는 흔들림에 따라서 수평이동되고, 이때 센서(S1, S2)는 와이어(3)의 움직임을 검출하게 된다.
센서(S1, S2)는 리미트스위치 또는 포터커플러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센서(S2)가 동작되고 센서(S1)가 동작되는 사이에 플립플롭(FF1)의 출력(Q)은 발생되고 이 출력이 falling edge 될때 이 신호에 의하여 원쇼트회로(OS)는 플립플롭(FF2)에 프리셋(S)단에 트리거신호를 인가하고 이 신호에 따라 능동상태가 되는 플립플롭(FF2)은 출력을 발생하여 드라이브회로(9)를 통하여 솔레노이드(SOL)를 구동시키게 작용한다.
이솔레노이드(SOL)의 작동력은 “T”형 작동구(2)의 일단을 회동축을 중심으로 잡아당기게 하고 따라서 완충스프링(4)에 연결된 와이어(3)가 당겨져 요람은 운동방향으로 작동력을 받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전동의 흔들림은 강, 약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강, 약의 조절은 솔레노이드(SOL)출력을 제어하는 진폭조절부(6)에 의한다. 즉 진폭선택부(7)의 선택스위치(SS/W)온 시킴으로서 희망하는 진폭을 선택하면 특정 앤드게이트(AND1-AND4)중 하나의 일측입력이 “H”상태가 되고, “T”형 작동구(2)가 진폭센서(S3)를 지날때 “H”출력되어 상기 특정 앤드게이트에 두입력이 능동상태가 되면 “H”출력되던 노어게이트(NOR1)는 “L”상태로되어 플립플롭(FF2)에 크리어(C)입력을 인가하며 따라서 희망진폭에 도달되었을때 솔레노이드(SOL)는 오프되고 이로서 요람의 흔들림은 조절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사용될수 있는 진폭센서(S3)는 접점식이나, 광센서 또는 가변저항등으로 사용될수 있으며 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전동력을 이용하여 요람을 혼들어주게되고 지속시킬 수 있어 번잡함이 없고 편리한 동시에 센서에 의한 솔레노이드의 동작점은 진자운동의 속도최고점에서 실시됨으로 안정감을 제공하는 동시에 동력소모가 적으며, 그 진동폭은 가변조절이 가능하며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갖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흔들리는 요람은 형성함에 있어서, 구동제어계를 갖는 하우징(1)내 일측으로 진자운동의 최고속도검에 센서(S1)그 우측에 센서(S2)를 각각 설치하고, 회동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T”형 작동구(2)의 일측바아에 진폭센서(S3)를 설치하여 제어(CTRL)에 입력연결하되 다른바아에는 제어계(CTRL)의 출력으로 구동되는 솔레노이드(SOL)의 작동력을 연결하고 또 다른 바아는 완충스프링(4)을 통하여 와이어(3)를 결합하여 이 와이어를 통상의 요람버켓에 연결되도록 하되, 제어계(CTRL)는 상기 센서(S1, S2)가 크리어, 프리셋단에 입력연결되는 플립플롭(FF1)을 콘덴서(C), 저항(R)을 통하여 원쇼트회로(OS)에 연결하고 이 트리거펄스로 구동되는 플립플롭(FF2)로 된 구동제어부(5)의 출력을 드라이브회로(9)를 통하여 솔레노이드(SOL)에 연결하되 진폭조절(6)는 진폭선택부(7)와 진폭센서(8)의 입력이 다단 앤드케이드(ANDl-AND4)에 각각 접속되어 그 출력단에 노어케이스(NOR1)를 통하여 상기 플립플롭(FF2)의 크리어단에 입력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진폭의 조절이 가능한 요람의 구동제어장치.
KR2019910006668U 1991-05-10 1991-05-10 구동진폭의 조절이 가능한 요람의 구동 제어장치 KR9300025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6668U KR930002589Y1 (ko) 1991-05-10 1991-05-10 구동진폭의 조절이 가능한 요람의 구동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6668U KR930002589Y1 (ko) 1991-05-10 1991-05-10 구동진폭의 조절이 가능한 요람의 구동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788U KR920020788U (ko) 1992-12-18
KR930002589Y1 true KR930002589Y1 (ko) 1993-05-17

Family

ID=19313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6668U KR930002589Y1 (ko) 1991-05-10 1991-05-10 구동진폭의 조절이 가능한 요람의 구동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58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1882A (ko) * 2003-06-30 2004-12-03 고기홍 스탭핑 모터를 이용한 스윙요람의 자동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788U (ko) 199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5113A (en) Open top swing & control
JPH06225561A (ja) パワーウインド装置のモータ制御方法
US8491402B2 (en) Control method and swing mechanism for an infant and child swing
KR950013592A (ko) 진동기구와 가변 진폭 진동 압축 롤러용 진동 발생 장치
US8398498B2 (en) Suspension swing device
KR930002589Y1 (ko) 구동진폭의 조절이 가능한 요람의 구동 제어장치
US5453732A (en) Shift lever position sensor
US4723514A (en) Exhaust timing control system for two-cycle engines
RU94011566A (ru) Механизм для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а выбор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рибойным положением берда в ткацком станке для плюшевого трикотажного переплетения
CN109435544B (zh) 一种机械臂绘图装置
JPS60135344A (ja) 車輛用ミラ−の振動防止装置
US6816770B1 (en) Direction and speed 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5054376A (en) Electric ceiling fan
KR970005780Y1 (ko) 선풍기의 풍향 조절장치
KR100440497B1 (ko) 전동부채
OBLER Variable speed drive[Patent]
AU2003100495A4 (en) Tilt switch and motion sensor
JPH06225563A (ja) パワーウインド装置のモータ制御方法
JPH0299447A (ja) ワイパ制御装置
SU1650992A1 (ru) Механизм с качающейс шайбой
JP2852550B2 (ja) 回転羽根式のレベル計
JP2852546B2 (ja) 回転羽根式のレベル計
KR920004552Y1 (ko) 선풍기의 좌, 우선회 조정장치
US3023567A (en) Timing mechanism
JPH0280771A (ja) 構造物の風振動抵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5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