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357B1 - 쇼케이스 - Google Patents

쇼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357B1
KR930002357B1 KR1019900022419A KR900022419A KR930002357B1 KR 930002357 B1 KR930002357 B1 KR 930002357B1 KR 1019900022419 A KR1019900022419 A KR 1019900022419A KR 900022419 A KR900022419 A KR 900022419A KR 930002357 B1 KR930002357 B1 KR 930002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owcase
disposed
rod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2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419A (ko
Inventor
김덕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22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357B1/ko
Publication of KR920011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3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쇼케이스
제1도는 종래의 회전식 도어구조를 가진 쇼케이스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슬라이드식 도어구조를 가진 쇼케이스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여닫이 및 미닫이가 가능한 도어구조를 가진 쇼케이스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 도어를 슬라이드해서 열경우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제3도에 있어서 도어를 회전시켜서 열경우를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제6도(a)는 도어의 평면도.
제6도(b)는 도어의 상부에서 본 상부프레임의 평면도.
제6도(c)는 도어의 하부에서 본 하부프레임의 평면도.
제6도(d)는 도어의 상부프레임을 확대해서 도시한 일부절결 확대도.
제7도는 제3도에 도시한 롤러수단의 화살표 A-A선의 확대단면도.
제8도(a)는 제4도의 화살표 C-C선의 단면도.
제8도(b)는 제4도의 화살표 B-B선의 단면도.
제8도(c)는 접속부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쇼케이스 1' : 캐비넷 본체
2 : 좌측벽판 3 : 우측벽판
4 : 후벽판 5 : 조명유니트
6 : 바닥판 8 : 힌지부재
9,11 : 도어 10 : 장식판
21 : 도어 21h : 안내절결부
21i : 구멍 21p : 가스켓
23 : 좌측벽판 24 : 우측벽판
25 : 바닥판 26 : 천핀
28 : 힌지부재 28a : 돌기부
29 : 하부안내홈 30 : 상부안내홈
31 : 로드 34 : 고정부재
36 : 다리부재 37 : 베어링
38a,38b : 클릭 39 : 코일스프링
40 : 하우징 40a : 내측면
41 : 슬라이더부재 43 : 베어링
45 : 베이스부 46 : 클릭부재
47 : 제1의 스프링 51 : 상부브래킷
52 : 하부브래킷 56 : 브래킷커버
56b : 경사부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를 여닫이 및 미닫이가 모두 가능한 쇼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쇼케이스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닫이만이 가능한 회전식 도어구조와, 제2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미닫이만이 가능한 슬라이드식 도어 구조의 2종류가 있다.
제1도는 종래의 회전식 도어구조를 가진 쇼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써, 동도면에 있어서, (1)은 캐비넷 형상의 쇼케이스로써, 이 쇼케이스(1)는 좌우측벽판(2),(3), 후벽판(4), 조명유니트(5) 및 바닥판(6)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상품을 진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상기 내부공간부의 좌우측벽판(2)(3)에 일단부가 고착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선반지지부재(7a)에 의해서 지지된 선반부재(7)상에 판매할 상품을 진열하고 있었다. 또, 쇼케이스(1)의 내부공간을 소정의 도시하지 않은 냉각사이클에 의한 냉각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우측벽판(3)의 상하부에 힌지부재(8)(8)에 의해 도어(9)의 우측프레임(9a)이 우측벽판(3)의 일측면을 기준으로 해서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도어(9)는 좌우측프레임(9a)(9b) 및 상하부 프레임(9c)(9d)으로 구성되고, 진열상품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이들 프레임(9a,9b,9c,9d)에 의해서 형성되는 장방향 형상의 구획부에는 투명플라스틱재 또는 유리등의 투명판(9e)이 고착되어 있다. 동도면에 미설명부호 10은 쇼케이스(1)의 기계실을 덮는 장식커버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식(여닫이식)의 쇼케이스에 있어서는 상품을 진열한 공간부의 우측벽판(3)쪽에 진열된 상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도어(9)를 완전히 열어야 하므로 냉력손실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2도는 종래의 또 다른 슬라이드식(미닫이식) 도어구조를 가진 쇼케이스(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써, 제1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분을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에 도시한 회전식 쇼케이스(1)의 구조와 다른 점은 2개의 도어(11)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며, 손잡이(11f)(11g)중 어느 하나를 화살표(A) 방향으로 밀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도어(11)가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드식의 도어를 가진 쇼케이스(1)에 있어서는 한쪽의 도어(11)를 열어서 진열된 상품을 꺼내야 하므로, 상품을 꺼낼 수 있는 행동반경이 제약을 받을뿐만 아니라, 꺼내야할 물건이 반대쪽에 있을 경우에는 소비자가 움직여서 다른쪽의 도어(11)를 열은 후 꺼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냉력손실이 적으며 소비자가 쇼케이스 좌우의 어느 위치에서나 상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여닫이 및 미닫이가 가능한 쇼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쇼케이스는 좌우측벽판과, 바닥판과 천판 및 도어로 이루어진 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천판의 좌측상부면에 고정되어서 상기 도어를 지지함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롤러수단과, 도어의 슬라이드 개폐시에 상기 롤러수단을 안내하도록 도어의 상부프레임에 형성된 L자 형상의 안내절결부와, 상기 천판 및 바닥판의 전면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 및 하부안내홈과, 상기 도어의 회전개폐시에 회전중심이 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개폐시에 상부 및 하부안내홈을 따라서 이동하는 접속부재를 가진 힌지수단을 갖추어서 도어의 슬라이드 및 회전개폐를 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여닫이 및 미닫이가 가능한 도어구조를 가진 쇼케이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제3도 및 제4도는 도어를 슬라이드해서 열경우 및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열 경우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7도는 제3도에 도시한 롤러수단의 화살표 A-A선 단면도이고, 제8도(a)는 제4도의 화살표 C-C선 단면도이고, 제8도(b) 제4도의 화살표 B-B선 단면도이고, 제8도(c)는 접속부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도 내지 제8도에 있어서, (1')는 캐비넷 본체로써, 이 캐비넷 본체(1')는 좌우측벽판(23)(24), 바닥판(25) 및 천판(26)에 의해서 상품을 진열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10)은 캐비넷 본체(1')의 하부에 배설된 장식판으로써, 그 하부에는 쇼케이스 전체를 지지하는 4개의 다리부재(36)가 하측코너부에 수평조절 가능하도록 각각 배설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캐비넷 본체(1')의 전면부에는 상부 및 하부프레임(21c)(21d)의 우측근처를 관통해서 형성된 구멍(21i)(21j)내에 슬라이딩 및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힌지부재(28)의 돌기부(28a)가 삽입되어서 도어(21)가 바닥판(25) 및 천판(26)의 우측, 즉 돌기부(28a)를 중심으로 회전작동 가능하게 배설됨과 동시에, 천판(26)의 전면부에 형성된 상부안내홈(30) 및 바닥판(25)의 전면부에 형성된 하부안내홈(29)을 따라서 힌지수단의 접속부재(42)[제8도(a)(b) 참조]가 좌측으로 슬라이딩 하면서 열리도록 배설되어 있다.
즉, 도어(21)는 좌측손잡이(21g)가 고착된 좌측프레임(21a)과, 우측손잡이 (21f)가 고착된 우측프레임(21b)과, 하부프레임(21d) 및 상부프레임(21c)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어(21)에는 그 내측부와 캐비넷 본체(1')의 전면부와의 사이에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의 가스켓(21p)이 부착되어 있으며, 제4도에서 상기 도어(21)를 화살표 B방향으로 밀경우에 후술하는 로드(31)가 삽입되어서 도어(21)를 지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딩하여 개폐되도록 상부프레임(21c)의 상부면에는 후술하는 롤러수단의 로드(31)를 안내하는 L자 형상의 안내절결부(21h)(제6도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안내절결부(21h)의 우측에는 힌지수단의 돌기부(28a)가 삽입되어 도어(21)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구멍(21i)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하부프레임(21d)에도 힌지수단의 돌기부(28a)가 삽입되는 구멍(21J)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프레임(21a)(21b)과 상하부프레임(21d)(21d)에 의해서 구획되는 공간부에는 평판유리 또는 투명플라스틱 판재로 이루어진 투명판(21K)이 삽입고정되어 있다.
또, 천판(26)의 좌측상부면에는 도어(21)의 슬라이딩 개폐시에 도어(21)를 지지함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롤러수단이 2개의 고정볼트(40a)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이 롤러수단은 제7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천판(26)의 좌측상부면에 고정되는 하우징(40)과, 슬라이드해서 도어(21)를 열 경우, 이 하우징(40)내에 접동하면서 출몰자재케 삽입된 슬라이더부재(41)와, 상기 슬라이더부재(41)의 우측단부와 하우징(40)의 내측면(40c)과의 사이에 배설되어서 슬라이더부재(41)를 하우징(40)의 내측면(40c)으로 끌어들이도록 작용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제1의 스프링부재(42)와, 상기 슬라이더부재(41)가 상기 제1의 스프링부재(42)에 의해서 하우징(40)의 내측면(40a)을 향해 일정한 깊이 이상으로 끌어들이는것을 방지하는 제1의 록크부재와, 상기 슬라이더부재(41)의 좌측면에 배설되어서 도어(21)의 슬라이드 개폐시에 도어(21)를 지지함과 동시에 도어(21)의 상부프레임(21c)에 형성된 안내절결부(21h)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도어(21)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행거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제1의 록크부재는 슬라이더부재(41)의 좌측부근처에 그 상하부를 관통해서 형성된 구멍부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이 제1의 록크부재는 베이스부(45)와, 하우징(40)의 내측상부면에 형성된 홈부와 계합하여 슬라이더부재(41)의 좌측이동을 방지하는 클럭부재(46)와, 상기 클릭부재(46)를 상기 하우징(40)의 내측상부면으로 부세하도록 상기 베이스부(45)의 선단부에 형성된 구멍(45a)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타단부가 상기 클릭부재(46)의 하단부에 형성된 구멍(46a)에 고착된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제2의 스프링부재(47)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행거부재는 슬라이더부재(41)의 좌측면에 상하부를 관통해서 형성된 구멍부에 일부가 삽입되어서 도어(21)를 슬라이딩 개폐할 경우에 도어(21)의 상부프레임(21c)에 형성된 상부안내홈(30)과 계합하여 도어(21)를 지지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써, 이 행거부내는 일측이 슬라이더부재(41)의 좌측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며, 그 선단부에 구멍(34d)이 형성된 하측돌기부(34c) 및 중간외주부의 전체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돌기부(34a)를 가진 고정부재(34)와, 일측면에 내외측 하우징(37b)(37a) 및 이 내외측 하우징(37b)(37a)사이에 배설된 스틸볼(37c)로 이루어진 베어링(37)이 회전가능하게 배설되고, 타측부에 구멍(31h)이 형성된 돌기부(31a)를 가지며, 그 외주면이 슬라이더부재(41)에 형성된 구멍내에서 상하접동 가능하도록 배설된 로드(31)와, 상기 로드(31)가 일정한 길이 이상 하부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로드(31)의 상단부 근처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구멍내에 배설된 제2의 록크부재와, 상기 고정부재(34)의 하측돌기부(34c) 및 로드(31)의 상측돌기부(31a)에 각각 형성된 구멍(34d)(34b)에 각 단부가 고착되어서 상기 로드(31)를 상측방향으로 끌어올리도록 힘을 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제3의 스프링부재(3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의 록크부내는 코일스프링(39)과, 이 코일스프링(39)의 양단부에 배설된 클릭(38a)(38b)으로 구성되며, 이 클릭(38a)(38b)은 도어(21)가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딩해서 개폐될때, 상기 로드(31)가 일정한 길이 이상 하부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라이더부재(41)에 형성된 홈부에 각각 계합된다.
다음에, 제8도를 참조하여 힌지수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어(21)의 회전개폐시에 회전중심이 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개폐시에 천판(26)과 바닥판(25)의 전면에 각각 형성된 상부 및 하부안내홈(30)(29)을 따라서 이동하는 힌지수단은 ㄱ자 형상의 힌지부재(28)와, 상기 힌지부재(28)의 상부판(28b)으로부터 하부를 향해서 수직으로 뻗으며 도어(21)의 상부 및 하부프레임(21c)(21d)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회전개폐시에 도어(21)의 회전중심이 되는 돌기부(28a)와, 일단부가 상기 힌지부재(28)의 측면판(28c)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해서 고정용 너트(41)에 의해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부에 내외측 하우징(43a)(43b) 및 이들 하우징(43a)(43b)사이에 배설된 스틸볼(43c)로 이루어진 베어링(43)이 회전가능하게 배설된 접속부재(42)와, 도어(21)의 슬라이딩 개폐시에 상기 접속부재(42)를 지지하고 또한 안내함과 동시에 베어링(43)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로 구성되어 잇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베어링(43)의 좌측면을 안내하는 단변부(51b)(52b)를 가짐과 동시에 접속부재(42)를 지지하도록 서로 이격되어서 배설된 상하부 브래킷(51)(52)과, 이 상하부 브래킷(51)(52)를 수용하며 베어링(43)의 우측면과 당접하여 회전운동을 안내하는 브래킷커버(56)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 브래킷(51)(52)의 단변부(51b)(52b)와 상기 브래킷커버(56)의 내측면과의 사이에는 상기 베어링(43)을 안내하는 공간부(A)가 형성되며 상하부 브래킷(51)(52)의 경사부와 브래킷커버(56)의 경사부(56b)에 의해서 경사공간부를 형성하여 베어링(43)이 이 경사공간부를 통과할때 도어(21)의 내측면둘레에 부착된 가스켓(21p)이 캐비넷본체(1')의 전면으로부터 이간된다.
그리고, 제8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상하부 브래킷(51)(52)은 우측부가 폭이 넓게 되어 있고, 좌측부가 폭이 좁게 되어 있으며, 또한 브래킷커버(56)도 상기 상하부 브래킷(51)(52)과 마찬가지로 폭이 넓은부(56d)와 폭이 좁은부(56c)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폭이 넓은부(56d)와 폭이 좁은부(56c) 사이에는 경사부(56b)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하부 브래킷(51)(52)의 장변부(51a)(52a)에 브래킷버버(56)의 상하부 플랜지부(56b)(56a)가 스폿용접등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고, 상하부 브래킷(51)(52)의 단변부(51b)(52b)와 브래킷커버(56)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부는 접속부재(47)의 일단부에 배설된 베어링(43)의 회전운동에 의해 도어(21)가 슬라이딩되어서 개폐되도록 일정한 폭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힌지수단이 천판(26)의 전면판 내측에 배설된 것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바닥판(25)의 전면판 내측에도 배설되어있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쇼케이스에 있어서 도어(21)의 슬라이딩식(즉 미닫이식) 개폐동작을 제4도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어(21)의 슬라이드식 즉 미닫이식 개폐동작을 설명한다. 좌측 또는 우측손잡이(21g)(21f)를 화살표 B방향으로 밀면, 도어(21)는 제8도(a) 및 제8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수단의 접속부재(42) 우측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설된 베어링(43)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접속부재(42)는 천판(26)의 전면부에 형성된 상부안내홈(30) 및 바닥판(25)의 전면부에 형성된 하부안내홈(29)을 따라서 슬라이딩 하며, 가이드부재의 상하부 브래킷(51)(52)의 경사부(51b) 및 브래킷커버(56)의 경사부(56b)를 통과할때 도어(21)의 내측에 부착된 가스켓(21p)이 좌우측벽판(23)(24)의 전면부, 천판(26)의 전면부 및 바닥판(25)의 전면부로부터 떨어짐과 동시에 천판(26)의 좌측상부에 배설된 롤러수단의 슬라이더부재(41)가 하우징(40)으로부터 빠져나옴과 동시에 슬라이더부재(41)의 좌측부근처에 배설된 로드(31)가 일정한 길이만큼 도어(21)의 하중에 의해서 빠져나오며 로드(31)의 하측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설된 베어링(37)이 도어(21)의 상부프레임(21c)에 형성된 L자 형상의 안내절결부(21h)내를 따라서 회전되면서 화살표 B방향으로 도어(21)가 열리게 된다. 이때, 제2록크부재의 클릭부(38a)(38b)는 슬라이드부재(41)에 형성된 홈내에 삽입되어서 그 이상 하부로 내리가지 않는다.
한편, 도어(21)를 닫을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도어(21)를 밀면 닫히게 되며, 닫히는 동작은 앞에서 설명한 반대의 동작에 의해서 행해지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어(21)의 하중이 로드(31)에 인가되지 않으므로, 코일스프링(35)의 부세력에 의해서 클릭부재(38a)(38b)가 슬라이더부재(41)에 형성된 홈부로부터 빠짐과 동시에 로드(31)가 상부로 이동하며, 또 슬라이더부재(41)를 제1의 스프링부재(42)에 의해서 하우징(40)의 내측면(40c)으로 끌어들이며, 하우징(40)의 상부내측면에 형성된 홈부에 클릭부재(46)가 삽입됨으로써 더 이상 좌측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이때에는 로드(31)의 하단부에 배설된 베어링(37)이 도어(21)의 상부프레임(21c)에 형성된 L자 형상의 안내절결부(21h)의 좌측면 절결부내에 위치하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식에 의해서 도어(21)를 열 경우에 전혀 방해가 되지 않는다.
다음에, 제5도를 참조하면서 도어(21)를 회전식으로 개폐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 도어(21)를 좌측프레임(21a)의 중간부에 고착된 좌측손잡이(21g)를 화살표 c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힌지수단의 돌기부(28a)를 중심으로 도어(21)가 회동되어서 열린다. 이때, 도어(21)의 상부프레임(21c)에 형성된 L자 형상의 좌측절결부로부터 로드(31)가 아무런 간섭을 받지 않고 빠지며, 이때 힌지수단의 접속부재(42)는 상하부브래킷(51)(52)의 광폭부(51d)(52d)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내에 고정상태로 있고, 또 접속부재(42)의 우측단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설된 베어링(43)도 상기 상하부 브래킷(51)(52)의 단변부(51b)(52b)와 브래킷커버(56)의 폭이 넓은부(56d)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부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회전식 도어(21)의 회동중심으로 작용하여 도어(21)가 힌지수단의 돌기부(28a)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5도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열리는 것이다. 또 도어(21)를 닫을 경우에는 화살표 c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좌측손잡이(21g)를 밀어줌으로써 닫히는 것은 물론이며, 회전식으로 도어(21)를 열때의 반대동작에 의해서 닫히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쇼케이스에 의하면 사용자가 쇼케이스내의 우측면에 진열된 상품을 꺼내고 싶을 경우에는 좌측 또는 우측손잡이를 화살표 B방향으로 미는 것에 의해 도어가 좌측으로 밀려서 쇼케이스의 우측이 열리므로, 도어를 약간만 열어서 상품을 꺼낼 수 있어 쇼케이스의 냉력손실을 저감시킬수 있음과 동시에, 또 사용자가 쇼케이스의 좌측에 진열된 상품을 꺼내고 싶을 경우에는 도어의 좌측손잡이를 화살표 c방향으로 잡아당겨서 도어를 회전식으로 여는 것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쇼케이스와 같이 상품을 꺼낼 수 있는 행동반경이 전혀 제약을 받지 않음과 동시에 냉력손실도 매우 저감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쇼케이스의 좌우 어느위치에서나 상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좌우측벽판과, 바닥판과 천판 및 도어로 이루어진 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천판의 좌측상부면에 고정되어서 상기 도어를 지지함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롤러수단과, 도어의 슬라이드개폐시에 상기 롤러수단을 안내하도록 도어의 상부프레임에 형성된 L자 형상의 안내절결부와, 상기 천판 및 바닥판의 전면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 및 하부안내홈과, 상기 도어의 회전개폐시에 회전중심이 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개폐시에 상부 및 하부안내홈을 따라서 이동하는 접속부재를 가진 힌지수단을 갖추어서 도어의 슬라이드 및 회전개폐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수단은 천판의 좌측상부면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접동하면서 출몰자재케 삽입된 슬라이더부재와,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좌측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배설되어서 상기 슬라이더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 끌어들이도록 작용하는 제1의 스프링부재와, 상기 슬라이더부재가 상기 제1의 스프링부재에 의해서 하우징의 내측면을 향해서 일정한 깊이 이상으로 끌어들이는 것을 방지하는 제1의 록크부재와,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좌측면에 배설되어서 도어의 슬라이드 개폐시에 도어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안내절결부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도어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행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은 ㄱ자 형상의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부재의 상부판으로부터 하부를 향해서 수직으로 뻗어서 고정되며 도어의 상부 및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도어의 회전중심이 되는 돌기부와, 일단부가 상기 힌지부재의 측면판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해서 고정용 니트에 의해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부에 베어링이 회전가능하게 배설된 접속부재와,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시에 상기 접속부재를 지지하고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베어링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접속부재의 일측부에 배설된 상기 베어링의 좌측면을 안내하는 단변부를 각각 가짐과 동시에 접속부재를 지지하도록 서로 이격되어서 배설된 상하부 브래킷과, 상기 상하부 브래킷을 수용하며 상기 베어링의 우측면과 당접하여 회전운동을 안내하는 브래킷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브래킷의 단변부와 브래킷커버의 내측면과의 사이에는 도어의 슬라이드 개폐시에 상기 베어링을 안내하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하부 브래킷의 경사부와 브래킷커버의 경사부에 의해서 경사공간부를 형성해서 베어링이 이 경사공간부를 통과할때 도어의 이면에 부착된 가스켓이 케비넷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이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록크부재는 베이스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상부면에 형성된 홈부와 계합하여 슬라이더부재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클릭부재와, 상기 클릭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내측상부면으로 부세하는 제2의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지며 슬라이더부재에 관통형성된 구멍내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재는 일측이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좌측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며 그 선단부에 형성된 하측돌기부 및 중간외주부의 전체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돌기부를 가진 고정부재와, 일측면에 배설된 베어링이 회전가능하게 배설되고 타측부에 구멍이 형성된 돌기부를 가짐과 동시에 그 외주면이 상기 슬라이더부재에 형성된 돌기부를 가짐과 동시에 그 외주면이 상기 슬라이더부재에 형성된 구멍내에서상하 접동가능하도록 배설된 로드와, 상기 로드가 일정한 길이 이상 하부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로드의 상단부 근처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구멍내에 배설된 제2의 록크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하측돌기부 및 로드의 상측돌기부에 각각 형성된 구멍에 각 단부가 고착되어서 상기 로드를 상측방향으로 끌어올리도록 작용하는 제3의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는 그 일측부에 베어링이 배설되어 있고, 타측부근처의 관통구멍내에는 일정한 길이 이상 하부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제2의 록크부재가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록크부재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단부에 배설된 클릭으로 구성되며 이 클릭은 도어가 슬라이딩해서 개폐될때 로드가 일정한 길이 이상 하부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슬라이딩 부재에 형성된 홈부에 각각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KR1019900022419A 1990-12-29 1990-12-29 쇼케이스 KR930002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419A KR930002357B1 (ko) 1990-12-29 1990-12-29 쇼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419A KR930002357B1 (ko) 1990-12-29 1990-12-29 쇼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419A KR920011419A (ko) 1992-07-24
KR930002357B1 true KR930002357B1 (ko) 1993-03-29

Family

ID=19308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2419A KR930002357B1 (ko) 1990-12-29 1990-12-29 쇼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3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2382A1 (ko) * 2012-09-13 2014-03-20 주식회사 강탄산업 미닫이 도어를 갖는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5562A (ja) * 2000-06-22 2002-01-09 Sanyo Electric Co Ltd 貯蔵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2382A1 (ko) * 2012-09-13 2014-03-20 주식회사 강탄산업 미닫이 도어를 갖는 냉장고
US9389011B2 (en) 2012-09-13 2016-07-12 Kangtansanup Co., Ltd. Refrigerator having a sliding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419A (ko) 199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56995A (en) Slide-in cabinet door
EP0565900A1 (en) Hinge for refrigeration appliances, in particular built-in refrigerators and the like
EP0797942B1 (en) Modular basket-holding framework for left and right-handed corner cabinets
KR930002357B1 (ko) 쇼케이스
US3378954A (en) Reversibly mounted cabinet door
US5335987A (en) Cabinet with flipper door
US5860717A (en) Drawer stop device
US2814542A (en) Clothes hamper
KR20070065751A (ko) 쇼케이스 도어
JP3983773B2 (ja) 扉装置および扉装置を備えた冷蔵庫
CN211656431U (zh) 排气罩兼用微波炉
CN218960442U (zh) 一种便于存取的珠宝展示柜
JPS6347259Y2 (ko)
KR20190102547A (ko)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
CN220256325U (zh) 电烤箱的双开门结构
KR20020069982A (ko) 다 방향 도어
JPH04131485A (ja) 扉装置
RU2025999C1 (ru) Шкаф с откидной дверкой
JPH0434737Y2 (ko)
JP2009138491A (ja) パネル体の開閉具および引違い戸
KR0134386Y1 (ko) 식기건조기의 슬라이드식 도어 개폐장치
KR200281109Y1 (ko) 부분개폐가 가능한 여닫이 도어를 구비한 장롱
JPH0332268Y2 (ko)
JP2001049971A (ja) 物置用ドア
KR960000886Y1 (ko) 가구 및 장식장의 자동 미닫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