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269B1 - 후라보노이드를 첨가한 일회용 흡수제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후라보노이드를 첨가한 일회용 흡수제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269B1
KR930002269B1 KR1019900017545A KR900017545A KR930002269B1 KR 930002269 B1 KR930002269 B1 KR 930002269B1 KR 1019900017545 A KR1019900017545 A KR 1019900017545A KR 900017545 A KR900017545 A KR 900017545A KR 930002269 B1 KR930002269 B1 KR 930002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vonoid
disposable absorbent
comparative example
skin
ammon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7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645A (ko
Inventor
곽천석
정대봉
서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럭키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럭키,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럭키
Priority to KR1019900017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269B1/ko
Publication of KR920007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후라보노이드를 첨가한 일회용 흡수제품 조성물
본 발명은 일회용 흡수제품 조성물에 관한것으로, 특히, 액체투과성 상부시트(Top Sheet),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Back Sheet), 솜털펄프(Fluff Pulp)등으로 구성되는 통상이 일회용 흡수제품에 후라보노이드를 첨가한 일회용 흡수제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흡수제품이라 함은 여러가지 생리적 작용에 의해 배설되는 체액을 흡수하는 제품 즉, 뇨 및 변의 분비물, 월경분비액 및 질분비물을 흡수하는 제품을 말하는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유아 또는 성인이 사용하는 일회용 기저귀(Diaper), 생리대(Sanitary napkin) 또는 팬티라이너(Pantyliner) 등을 말한다.
상기의 일회용 흡수제품의 성능은 일차적으로 생리적 작용에 의해 분비되는 체액의 흡수속도 및 흡수량에 중점을 두고 고흡수성 폴리머등의 개발로 발전을 거듭해 왔으며, 흡수력 다음으로 갖추어야 할 성능은 제품을 사용함에 있어 제품 사용 부위의 부작용이 없어야 하고 체액 배설시 수반되는 불쾌한 냄새를 효과적으로 방지해 주는 사용성의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갖춘 제품이 요구되는바, 이러한 흡수제품이 종래에는 액체투과성 상부시트, 솜털펄프,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등으로 구성되어 뇨 또는 체액을 흡수한 후 뇨중의 요소가 대변 혹은 피부에 존재하는 세균(우레아제:Urease)에 의해 분해되어 암모니아를 생성시켜 요소 분해산물로 생성된 암모니아에 의한 피부 자극이 제품사용시 기저귀 발진(Diper rash), 붉은반점 및 피부염증등을 유발케 되었고, 또한 뇨 및 체액분비물로 부터 발생되는 불쾌취를 적절하게 소취하지 못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선출원 공개특허 제 86-8743호 및 제 86-8744호에서는 무기산을 사용하거나 산(Acid) 작용성 잔기를 함유시켜 PH를 조절함으로써, 기저귀 발진을 방지하고 있으나, 이는 불쾌취 발생의 근본원인이 되는 피부 상재균의 활동을 억제 또는 정지시키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고, 선출원 특허 제 90-6454호에서는 원적외선 방사물질인 바이오 세라믹스(Bio ceramics)를 사용하여 암모니아발생 억제와 탈취효과에 의해 피부염증 및 피부발진을 방지하였으나 이는 피부 상재균에 대한 작용이 없어 체액 분비시 동반되는 순간적인 불쾌취에는 효과적일지 모르나 피부상재균에 의해 계속적으로 발생되는 암모니아 등의 불쾌취를 제거하거나 피부발진 및 피부염증 등을 예방하는 데는 효과적이지 못하였으며, 또다른 예로서 화학적 합성법에 의해 합성된 살균제로 처리하는 것이 있으나, 이는 체액성분 등의 요소를 분해해서 암모니아를 생성시키는 피부상재균을 사멸시키기 위해서는 상당량의 합성 살균제가 필요하게 되어 피부발진 방지를 위해 첨가한 합성 살균제의 자극성 때문에 또다른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되었고, 또한 살균제 자체가 소취제 역할을 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액체투과성 상부시트, 솜털펄프,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 등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일회용 흡수제품의 조성물에 식물에서 추출한 후 라보노이드(Flavonoid)를 첨가하여 체액성분에 포함된 요소를 암모니아로 분해하는 피부상재균의 활동을 정지 또는 억제시켜 암모니아생성량을 저하 시킴으로써 피부자극 및 피부염증을 예방하고 뇨 또는 체액분비물로부터 발생되는 불쾌취를방취 및 소취시켜주므로써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고 사용성이 뛰어난 보다 위생적인 일회용 흡수제품을 제공코저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된 천연의 식물 추출물인 후라보노이드는 다음 구조식(I)로 표시되는 후라본(Flavone)의 골격을 갖는 유도체들로서 그 조성은 표 1과 같다.
[표 1] 후라본 골격의 유도체
* R = 람노사이드(rhamnoside)
* RG : 람노 글루코사이드(rhamnoglucoside)
후라보노이드는 일반적으로 상기의 후라본 골격의 유도체를 혼합된 상태로 사용하며, 분리 정제하여 그중 한종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분말 상태인 후라보노이드를 사용하였으나, 일회용 흡수제품에 액체 또는 분말상태로 적용시킬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사용된 바이오세라믹스 성분(표 2)은 규소, 알루미늄, 나트륨, 칼륨, 칼슘, 철 및 지르코늄등의 산화물중 선택된 두종류 이상의 산화물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미분말 상태의 것이다.
[표 2]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된 화학적 합성 살균제는 구조식(II)와 구조식(III)이 3 : 1로 조성된 카톤 씨지(Katon CG)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는 통상의 일회용 흡수제품에 사용하는 공지의 것이며,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는 부직포(nonwoven)이다.
솜털펄프는 목재 펄프를 가공하여 솜털(Fluff)로 만든 것으로서 분비물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친수성흡수물질로 통상의 일회용 흡수 제품에 사용하는 공지의 것이다.
그리고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도 통상의 일회용 흡수제품에 사용하는 공지의 것이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는 비통기성 방수필름, 통기성 방수필름 및 생분해성 방수필름이 있고 이러한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에 부직포를 라미네이트(Laminate) 시킨 것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조성물로 통상의 일회용 흡수 제품에 사용되는 통상의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솜털펄프 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를 사용하고 이외에 보조 조성물로서는 공지인 다음과 같은 것.
(1) 티슈(Tissue)
(2) 접착 테이프(adhesive tape) 또는 고정용 단추
(3) 앞면 테이프(Frontal tape)
(4) 허벅지 또는 허리용 탄성체
(5) 응가밴드(Barrier Cuff, Leg standing Cuff)
(6) 접착성분(Hot melt Glue등)
(7) 팬티등 속옷에 고정용 시스템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한 통상의 일회용 흡수제품에 상기에서 언급한 후라보노이드(Flavonoid)를 첨가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후라보노이드를 종래의 일회용 흡수 제품에 첨가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있을 수 있으며 그러한 방법의 몇가지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제조시에 함유시키는 방법
(2) 솜털펄프 제조시에 함유시키는 방법
(3) 응가밴드(Barrier cuff) 제조시에 함유시키는 방법
(4)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제조시에 함유시키는 방법
(5) 티슈(Tissue) 제조시에 함유시키는 방법
(6) 일회용 흡수제품 제조시에 함유시키는 방법
상기의 (1)-(5)의 방법은 각각의 조성물 제조시 후라보노이드를 첨가하는 것을 말하며 좀더 상세하게는 후라보노이드가 이미 함유된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솜털펄프, 응가밴드, 고흡수성 수지 또는 티슈를 사용한 일회용 흡수제품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며, 이상과 같은 통상의 일회용 흡수제품 조성물에 식물의 추출물인 후라보노이드를 첨가하면 폴리페놀 계통인 후라보노이드가 요소를 암모니아로 분해시키는 우레아제(Urease)의 활동을 정지 또는 억제시켜 암모니아 생성의 근본적인 요인을 제거하여 피부자극 및 염증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며, 체액 분비시 발생되는 암모니아 냄새를 포함한 불쾌취를 후라보노이드의 부가, 중화 및 중합작용에 의한 화학적 작용으로 방취 및 소취시켜 주므로서 사용성이 뛰어나고 위생적인 효과 또한 갖게되는 것이고, 후라보노이드는 폴리페놀의 3차원적 구조의 내부 공간에 악취 분자들이 침투되어 포접작용에 의한 탈취효과가 수반됨과 아울러 후라보노이드는 항염증 효과도 있어 종합적으로 후라보노이드가 첨가된 일회용 흡수제품은 요소의 분해를 근원적으로 방지해서 피부발진 및 피부염증의 발생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 및 비교예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7 및 비교예 1-3]
실시예 1-7 및 비교예 1-3은 체액 분비시 수반되는 암모니아의 소취 및 탈취 효과에 대한 것으로서,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솜털펄프,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로 조성하여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 조성물을 비교예 1이라 하였으며,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 조성물에 천연 식물추출물인 후라보노이드를 일회용 기저귀의 총무게에 대한 중량비로 각각 0.01%, 0.05%, 0.1%, 0.5%, 1%, 5%, 10%씩 솜털펄프에 함유토록 하여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 조성물을 실시예 1-7이라 하였다.
비교예 2-3은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 조성물에 바이오 세라믹스와 합성 살균제(Katon CG)를 각각 0.05%씩 솜털펄프에 함유토록 하여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 3]은 상기의 실시예 1-7 및 비교예 1-3로 부터 제조한 일회용 기저귀에 5g씩의 유아용 변을 표면에 바른 다음 각각을 밀폐된 다른 용기에 넣고 38℃의 항온실에 방치 5분 경과후 가스 검지관법에 의한 초기농도를 측정하고, 1시간 후에 다시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여 암모니아의 탈취 및 소취율을 산정했다.
[표 3]
상기의 비교예 1-3 및 실시예 1-7에서 볼수 있듯이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비교예1-3은 바이오 세라믹이 첨가된 경우 20% 정도의 소취 효과가 있었으며 비교예 1과 3은 체액분비시 수반되는 암모니아의 소취 및 탈취효과가 전혀 없었다.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 조성물인 비교예 1에 후라보노이드를 첨가한 실시예 1-7은 생리적 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체액 배설시 수반되는 암모니아의 소취 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7에 의해 제조된 일회용 기저귀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함유된 후라보노이드 성분이 악취물질들과 부가반응, 중화작용 및 중합반응에 의한 소취효과라 추정된다. 또한 후라보노이드의 3차원적 구조 내부에 악취 분자들이 침투되어 포접작용에 의한 탈취 효과도 겸비되어 복합적으로 상기와 같은 우수한 소취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8-11 및 비교예 4-13]
생리적 작용의 결과로 분비되는 체액 분비후 체액에 함유되어 있는 요소가 피부 상재균에 의해 분해되어 암모니아등의 불쾌취가 발생되고 이러한 불쾌취와 일회용 기저귀 착용시 물리적인 자극이 어울려져 피부 발진 및 피부 염증을 발생시키는데 이러한 작용에 대한 후라보노이드 함유 기저귀의 효과를 조사했다.
비교예 5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일회용 기저귀에 100g의 오줌을 흡수시키고 피부 상재균을 투입한 다음 38℃ 항온실에 1시간 동안 방치한 견본을 말하며, 비교예 4는 비교예 5와 동일한 조건에서 피부 상재균을 투입하지 않은 견본을 말한다. 실시예 8-11은 액체 투과성 배면시트, 솜털펄프,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로 구성된 종래의 일회용 조성물에 천연식물 추출물인 후라보노이드를 일회용 기저귀의 총무게에 대한 중량비로 각각 0.01%, 0.1, 1%, 5%씩 솜털펄프에 함유토록하여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 조성물을 각각 실시예 8-11이라 한다.
또한, 종래의 일회용 흡수제품 조성물에 바이오 세라믹스를 각각 0.01%, 0.1%, 1%, 5%씩 솜털펄프에 함유토록 하여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일회용 기저귀 조성물을 비교예 6-9라 하였으며, 종래의 일회용 조성물에 화학적으로 합성된 살균제를 각각 0.01%, 0.1%, 1%, 5%씩 함유토록 하여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기저귀 조성물을 비교예 10-13이라 하였다.(표 4)
상기 실시예 8-11 및 비교예 6-13에 의해 제조된 일회용 기저귀에 각각 100g씩의 유아 오줌을 흡수시키고, 오줌 1g당 106organisms의 피부 상재균(칸디다균)을 투입한 다음 38℃의 항온실에 방치했다. 그후 상기 실시예 8-11 및 비교예 4-13을 가스 검지관법으로 암모니아 생성량을 측정하여 표 5에 나타냈다.
또한 사용시 피부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8-11 및 비교예 5-13에 의해 제조된 일회용 기저귀를 3-12개월된 유아 100명을 대상으로 실제 2개월 사용케 하고 피부 각각 0.01%, 0.1%, 1%, 5%씩 솜털펄프에 함유토록 하여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일회용 기저귀 조성물을 비교예 6-9라 하였으며, 종래의 일회용 조성물에 화학적으로 합성된 살균제를 각각 0.01%, 0.l%, 1%, 5%씩 함유토록 하여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기저귀 조성물을 비교예 10-13이라 하였다.(표 4)
상기 실시예 8-11 및 비교예 6-13에 의해 제조된 일회용 기저귀에 각각 100g씩의 유아 오줌을 흡수시키고, 오줌 1㎖당 106organisms의 피부 상재균(칸디다균)을 투입한 다음 38℃의 항온실에 방치했다. 그후 상기 실시예 8-11 및 비교예 4-13을 가스 검지관법으로 암모니아 생성량을 측정하여 표 5에 나타냈다.
또한 사용시 피부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8-11 및 비교예 5-13에 의해 제조된 일회용 기저귀를 3-12개월된 유아 100명을 대상으로 실제 2개월 사용케 하고 피부 발진 발생율을 계산하여 표 5에 나타냈다.
[표 4]
[표 5]
상기 표 5에서 볼수 있듯이 비교예 4와 비교예 5를 비교해 보면 피부 상재균을 투입하지 않은 비교예 4의 경우 암모니아가 전혀 생성되지 않았으며 피부 상재균을 투입한 비교예 5의 경우와 비교해 보면 생성된 암모니아는 피부 상재균에 의한 요소의 분해에 의해 생성된다고 확산된다.
비교예 5와 비교예 10-13를 비교해 볼때 화학적 합성 살균제인 Kathon CG의 살균력에 의해 피부 상재균의 활동을 억제 함으로써 피부 상재균의 활동에 의한 암모니아 생성량을 감소시킨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합성 살균제의 피부 자극성 때문에 살균제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피부발진 발생율이 높은 것을 알수 있다.
비교예 5와 비교예 6-9을 비교해 보면 암모니아의 생성량이 11-25% 정도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이것은 바이오 세라믹스 자체가 항균력이 없으므로 다공질 물질인 바이오 세라믹스 자체의 탈취력에 의한 효과라고 보여진다.
비교예 5와 실시예 8-11을 비교해 보면 피부상재균의 활동을 억제함으로써 40-80%의 암모니아 생성량을 억제시켰다.
또한 식물의 추출물인 후라보노이드 첨가량이 많을수록 피부발진 발생율이 감소되므로 후라보노이드 자체의 피부 자극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전체적으로 상기의 비교예 4-13 및 실시예 8-11을 볼 때 오줌에 함유되어 있는 요소를 분해해서 암모니아를 생성시키는 주요원인은 피부상재균이라 확신되며, 다공질 물질인 바이오 세라믹스의 탈취 작용에 의한 암모니아 생성 억제율 보다 다 근본적으로 피부상재균의 항균 작용에 의한 암모니아 생성억제율이 훨씬 우수하며, 후라보노이드 자체의 항염증 작용도 있어 피부 안전성 측면에서도 우수한 일회용 흡수제품 조성물을 제공케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Top sheet) 솜털펄프(Flupp pulp),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Back Sheet),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등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일회용 흡수 제품의 구성물중 전부 또는 일부에 후라보노이드를 첨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라보노이드를 첨가한 일회용 흡수제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첨가되는 후라보노이드의 투입량은 중량비 0.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라보노이드를 첨가한 일회용 흡수제품 조성물.
KR1019900017545A 1990-10-31 1990-10-31 후라보노이드를 첨가한 일회용 흡수제품 조성물 KR930002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7545A KR930002269B1 (ko) 1990-10-31 1990-10-31 후라보노이드를 첨가한 일회용 흡수제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7545A KR930002269B1 (ko) 1990-10-31 1990-10-31 후라보노이드를 첨가한 일회용 흡수제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645A KR920007645A (ko) 1992-05-27
KR930002269B1 true KR930002269B1 (ko) 1993-03-27

Family

ID=1930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7545A KR930002269B1 (ko) 1990-10-31 1990-10-31 후라보노이드를 첨가한 일회용 흡수제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2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645A (ko) 199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268B1 (ko) 일회용 흡수제품 조성물
KR100722894B1 (ko) 로션처리된 신체측 라이너를 갖는 흡수용품
AU748171B2 (en) Absorbent article which maintains or improves skin health
KR100996044B1 (ko) 축합형 타닌을 포함하는 흡수용품
ZA200101104B (en) Absorbent article which maintains or improves skin health.
US10653811B2 (en) Articles with odor-controlling composition
KR20020010134A (ko) 친수성 로션처리된 신체측 라이너를 갖는 흡수용품
EP1465674B1 (e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yucca extract
US5797891A (en) Sanitary control device
EP3256088B1 (en) Articles with odor-controlling composition
KR930002269B1 (ko) 후라보노이드를 첨가한 일회용 흡수제품 조성물
KR101396580B1 (ko) 일회용 흡수용품
KR960015183B1 (ko) 캡슐화된 물질을 함유한 일회용 흡수 제품
KR970032901A (ko) 향균성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
KR960015184B1 (ko) 항균성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
KR0163506B1 (ko) 유컬립터스 오일을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
KR950012183B1 (ko) 산화아연을 첨가한 일회용 흡수제품
KR920010924B1 (ko) 일회용 흡수제품
KR930008910B1 (ko) 탈취성분을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
KR920010923B1 (ko) 일회용 흡수제품
KR950008171B1 (ko) 고통풍성 일회용 흡수제품
KR20140140821A (ko) 부직포의 머드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일회용 기저귀
KR960010015B1 (ko)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를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
KR940007401B1 (ko) 일회용 흡수제품
EP3326659B1 (en)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n odor control mix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