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015B1 -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를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 - Google Patents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를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015B1
KR960010015B1 KR1019930001856A KR930001856A KR960010015B1 KR 960010015 B1 KR960010015 B1 KR 960010015B1 KR 1019930001856 A KR1019930001856 A KR 1019930001856A KR 930001856 A KR930001856 A KR 930001856A KR 960010015 B1 KR960010015 B1 KR 960010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nc oxide
skin
diaper
bioceramic
disposable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철
정대붕
서성수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30001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015B1/ko

Links

Landscapes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를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
본 발명은 일회용 흡수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 설명하면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top sheet),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back sheet), 솜털 펄프(fluff pulp) 등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일회용 흡수제품에 바이오 세라믹스와 산화아연(zinc oxide)을 첨가하여, 체액 배설시 수반되는 악취의 탈취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안전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기저귀 발진(diaper resh) 및 기저귀 피부염(diaper dermatitis)에 대해서도 치료효과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몸에서 발생되는 냄새는 인체의 생리 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분비물의 배설시 수반되는 불쾌취가 주종을 이룬다.
예를들면, 인체의 체온 조절을 위해 방출되는 땀 분비물에 의한 땀냄새 및 겨드랑이, 음부 부위에서 발생되는 불쾌취, 소화작용의 찌꺼기로 배설되는 변 또는 뇨 배설시 발생되는 암모니아 불쾌취, 여성들의 생리시 또는 평상시 질 분비물에 의해 발생되는 종합적인 불쾌취 등이다. 상기의 악취들 중에서도 변 또는 뇨 배설시 발생되는 냄새와여성들의 생리시 혹은 질 분비물에 의해 발생되는 불쾌취는 인체내에서 근원적인 치료를 해서 제거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며 속효성이 있는 불쾌취들이라 배설물들을 흡수하는 일회용 제품 사용시 탈취 또는 소취효과를 부여해서 상기한 불쾌취들을 제거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회용 흡수제품이라 함은 여러가지 생리적 작용에 의해 배설되는 체액을 흡수하는 제품 즉, 뇨(urine) 및 변(feces)의 분비물, 월경 분비액 및 질분비액을 흡수하는 제품을 말하는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유아 또는 성인이 사용하는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생리대(sanitary napkin)또는 팬티라이너(pantyliner) 등을 말한다.
상기의 일회용 흡수제품의 성능을 일차적으로 생리 작용에 의해 분비되는 체액의 흡수량 및 속도가 중요하게 평가되지만 흡수성 및 흡수속도의 분야에서는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등의 개발로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흡수력 다음으로 갖추어야 할 성능을 제품을 사용함에 있어 체액 배설시 수반되는 불쾌한 냄새를 효과적으로 탈취, 소취시켜 주는 성능을 지녀야 하고 제품사용 부위의 피부에 부작용이 없어야 하며 체액 배설시 기저귀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피부 질환인 기저귀 발진 및 기저귀 피부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제품이어야 한다. 또한 기저귀를 착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기저귀 발진이나 기저귀 피부염에 대해서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함으로써 이미 발생한 피부병변의 치료효과가 우수한 제품이어야 한다.
이에 대해 종래의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 솜털 펄프 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로 구선된 일회용 흡수 제품은 제품이 뇨 또는 체액에 젖은 후뇨증의 요소가 대변 혹은 피부에 존재하는 미생물 및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암모니아를 생성시키고 요소 분해 산물로 생성된 암모니아에 의한 피부 자극과 사용시 제품 자체의 원재료에 의한 화학적, 물리적 피부 자극이 어우러져 기저귀 발진, 붉은 반점(redness) 및 피부 염증(dermatitis) 등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저귀 발진의 근본적인 원인은 체액배설시 발생되는 수분에 의해 피부의 각질층에 수화(hydration)와 기저귀와 피부의 계속적인 마찰, 미생물에 의한 2차적 감염 등에 의해 기인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86-8743호 제 86-8744호에서는 무기산을 사용하거나 산 작용성 잔기를 함유시켜 pH를 변화시킨다고 해서 피부 안전성에 효과적이라고 볼 수 없으며,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90-6454호에서는 원적외선 방사물질인 바이오세라믹스(bioceramics)를 사용하여 암모니아 발생 억제와 탈취 효과에 의한 피부 염증 및 피부 발진을 방지하였으나, 피부에 직접적으로 분비물을 흡수하거나 보호막을 형성하여 피부 발진 및 피부염증 등을 예방하는 데는 효과적이지 못하였으며, 또 다른 예로써 화학적 합성법에 의해 합성된 살균제로 처리하는 것이 있으나 이는 피부에 상재하면서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피부에 악영향을 끼치는 피부 상재균을 사멸시키기 위해서 상당향의 합성 살균제가 필요하게 되어 피부 발진 방지를 위해 첨가한 합성 살균제의 자극성 때문에 또 다름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 솜털 펄프,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로 구성되는 통상의 일회용 흡수제품에 탈취효과가 우수하고 뇨 배설시 발생하는 암모니아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바이오세라믹스와 피부 질환의 각종 제형으로 사용되고 있는 산화아연을 첨가하면, 바이오세라믹스가 생리적 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체액 분비시 발생되는 불쾌취를 효과적으로 탈취 및 방취할 수 있는 우수한 일회용 흡수제품이 되고, 또 산화아연이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시키고 피부에 보호벽(barrier)을 형성함으로써 물리적, 화학적 자극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국소의 수렴, 분비물의 감소, 가피의 경화, 상피의 형성 등에 영향을 줌으로써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고 기저귀 피부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뿐만 아니라 기저귀 착용 후에 발생할 수 있는 기저귀 발진이나 기저귀 피부염을 억제하거나 치유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오세라믹스와 산화아연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가 바이오세라믹스 또는 산화아연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상기의 효과가 월등한 상승 효과 작용이 있음을 밝혀내고, 피부 안전성이 우수성이 뛰어난 보다 위생적인 일회용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액체투과성 상부 시트, 솜털 펄프,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 및 고흡수성 수지 등으로 구성된 일회용 흡수제품의 전부 또는 일부 구성 요소에 산화아연 및 바이오세라믹스를 함유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액체투과성 상부시트, 응가밴드, 티슈 또는 솜털펄프 제조시에 또는 일회용 기저귀 제조시에 피부와 접촉하기 용이한 부위에 산화아연 및 바이오세라믹스를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회용 흡수제품에서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의 함량은 일회용 흡수제품 총중량에 대해 0.1~20중량% 첨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아연과바이오세라믹스의 혼합비는(1~9) : (9~1)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를 동시에 일회용 흡수제품 총중량에 대해 0.1중량%미만 사용하여 제조한 일회용 기저귀는 체액 분비시 발생되는 암모니아 등의 불쾌취를 적절히 탈취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를 일회용 흡수제품 조성물 총중량의 20중량% 이상 사용하여 제조된 일회용 흡수제품은 상대적으로 솜털 펄프 또는 고흡수성 수지의 양이 감소되므로 흡수력이 떨어질 염려가 있고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 파우더의 양이 너무 많아 분말이 날려서 유아의 호흡기에 부작용을 줄 염려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산화아연은 백색 내지는 황색을 띤 고운 무정형 가루이며 냄새와 맛이 없고 공기중에서 천천히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화학적으로 분자량은 81.38이고 아연과 산소의 비율은 80.34 : 19.66이며 묽은 산에 녹고 물 또는 에탄올에는 녹지 않는다. 주로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며 피부 연고제에 수렴제(astrigent), 국소적 보호제(topical protectant) 등의 목적으로 첨가된다. 본 발명에서는 분말 상태인 산화아연을 사용하였으나 일회용 흡수 제품에 액체인 산화아연 오일 또는 분말 상태로 적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바이오세라믹스 성분은 하기표 1에서 보는 바와같이 규소, 알루미늄, 나트룸, 칼슘, 마그네슘, 철 및 지르코늄 등에 의하여 생성된 산화물로 구성되며, 상기의 성분들중에서 선택된 두 종류 이상의 산화물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미분말 상태의 것이다.
[표 1]
본 발명에서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는 통상의 일회용 흡수 제품에 사용하는 공지의 것이며,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는 부직포(nonwoven)이다. 솜털 펄프는 목재 펄프를 가공하여 솜털로 만든 것으로서 분비물을 흡수하는 역활을 하는 친수성 흡수 물질로 통상의 일회용 흡수 제품에 사용하는 공지된 것이다. 그리고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도 통상의 일회용 흡수 제품에 사용되는 공지의 것이며, 일반것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비통기성 방수 필름, 통기성 방수 필름 및 생분해성 방수 필름이 있고 이러한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에 부직포를 라미네이트 시킨 것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조성물로 통상의 일회용 흡수 제품에 사용되는 통상의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 솜털 펄프 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를 사용하며, 이외에 보조 조성물로서,
① 티슈(tissue).
② 접착 테이프(adhesive tape) 또는 고정용 단추.
③ 앞면 테이프(frontal tape).
④ 허벅지 또는 허리용 타성체.
⑤ 응가 밴드(barrier cuff, standing cuff).
⑥ 접착성분(hot melt, glue 등).
⑦ 팬티 등 속옷에의 고정용 시스템.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한 통상의 일회용 흡수 제품에 산화아연과 바이오 세라믹스를 첨가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의 온합물을 종래의 일회용 흡수 제품에 첨가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그러한 방법의 대표적인 예로는,
①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에 함유시키는 방법.
② 솜털 펄프에 함유시키는 방법.
③ 응가밴드(barrier cuff)에 함유시키는 방법.
④ 고흡수성 수지 티슈(tissus)에 함유시키는 방법.
⑤ 일회용 흡수 제품 제조시에 함유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의 ①~⑤의 방법은 각각의 조성물 제조시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 혼합물을 첨가하는 것을 말하며, 솜 더 상세하게는 혼합물이 이미 함유된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 솜털 펄프, 응가 밴드, 고흡수성 수지 또는 티슈를 사용한 일회용 흡수제품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며, 이상과 같은 통상의 일회용 흡수제품 조성물에 피부제인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를 첨가하면 피부의 건조 및 보호벽을 형성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작용이 있고 극소의 수렴, 분비물의 감소, 가피의 경화, 상피의 형성 등의 작용으로 피부 발진 및 피부염의 에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으므로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고 기저귀 발진 및 기저귀 피부염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인 작용을 갖게 됨과 동시에 생리적 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체액 분비시 발생되는 불쾌취를 효과적으로 탈취 및 방취할 수 있고 체액 분비물 중의 요소의 분해 산물인 암모니아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짖무름 및 피부 발진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비교예 1 내지 4 및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4 및 실시예 1 내지 9는 체액분비시 함께 수반되는 암모니아의 방수 및 탈취 효과에 대한 것으로서,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 솜털 펄프,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로 조성하여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 조성물을 비교예 1이라 하였으며, 비교예 2 내지 4는 상기의 비교예 1에 현재 시판중인 베이비 파우더(baby powder), 산화아연, 바이오세라믹스(표1)를 각각 일회용 기저귀, 총중량에 대해 1%씩 중량함유토록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9는 비교예 1의 조성물에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를 기저귀 총중량에 대해 1중량% 함유하며,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의 중량비는 9 : 1, 8 : 2, 7 : 3, 6 : 4, 5 : 5, 4 : 6, 3 : 7, 2 : 8, 1 : 9로 하여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것이다(표2).
동일한 유아가 배설한 변을 동시에 각각 5g씩 채취하여 대기중에서 비교예 1 내지 4 및 실시예 1 내지 9로부터 제조한 일회용 기저귀 표면에 각각 바른 다음, 각각을 불활성 대기(예;질소, 아르곤 또는 공기)로 충진한 1리터 밀폐항온 챔버내에 방치한 후 가스 검지방법(예;GC)을 이용하여5분만에 초기농도를 측정하여 1시간후에 농도를 측정하여 암모니아의 탈취율을 계산하였다. 즉,
[표 2]
* 시판 베이비 파우더 1중량% 함유
상기의 비교예 1 내지 4 및 실시예 1 내지 9에서 볼 수 있듯이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 제품에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를 첨가해 주면 체액 배설시 수반되는 암모니아의 탈취 능력이 우수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보다도 암모니아 탈취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다공성 물질인 바이오 세라믹스와 산화아연의 상승 효과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비교예 5 내지 8 및 실시예 10 내지 15
비교예 5 내지 8 및 실시예 10 내지 15는 일회용 기저귀 착용시 나타날 수 있는 기저귀 발진 및 기저귀 피부염에 대해 피부 보호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 제품을 사용하여 기저귀 발진 및 피부염에 대한 효과를 시험한 것을 비교예 5라 하였으며,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 조성물에 기저귀 발진의 치료제 성분인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50 : 50 비율)를 일회용 기저귀 총중량에 대한 중량비로 각각 0.1%, 0.5%, 1%, 5%, 10%, 20%씩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에 함유토록 하여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 조성물을 실시예 10 내지 15라 하였다.
비교예 6 내지 8은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 조성물에 현재 시판중인 베이비 파우더, 바이오세라믹스 및 산화아연을 각각 일회용 기저귀 총무게에 대해 중량비로 1%씩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에 함유토록 하여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내지 8 및 실시예 10 내지 15는 3 내지 10개월된 유아 각각 100명을 대상으로 1개월간 직접 사용하게 하여 기저귀 발진 및 기저귀 피부염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유아는 시험에서 제외하였다.
(1) 현재 피부염이나 피부 감염증을 앓고 있는 유아.
(2) 질병으로 병원을 다니는 건강하지 못한 유아.
(3) 유전적 질병을 가지고 있는 유아.
(4) 그 밖의 질병으로 인해 검사자가 판단하기에 제외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유아.
표 3은 상기의 비교예 6 내지 8 및 실시예 10 내지 15로부터 제조한 일회용 기저귀를 24시간 동안 1개월 사용한 후 검사자에 의해 기저귀 착용 부위의 피부 증상을 5등급으로 구별하여 나타낸 표이다.
[표 3]
「피부 증상의 판정 등급」
상기의 비교예 5 내지 8 및 실시예 10 내지 15에서 볼 수 있듯이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 제품에 의해 제조된 비교예 5에서 피부 0등급의 비율은 33% 정도 였으며 비교예 5에 비해 베이비 파우더와 바이오세라믹스를 각각 1%씩 첨가한 비교예 6과 7은 피부 0등급의 비율이 각각 40%와 37%로서 미약한 정도의 피부 보호 작용을 가지는 반면 산화아연을 1% 첨가한 비교예 8은 피부 0등급의 비율이 65%정도로 강한 피부 보호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5 내지 8에 비해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 제품인 비교예 5에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를 첨가한 실시예 10 내지 15는 피부 0등급의 비율이 52 내지 75% 정도로서 일회용 기저귀 착용시 나타날 수 있는 기저귀 발진 및 기저귀 피부염을 예방하는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산화아연만을 사용한 실시예 8에 비해서도 피부 0등급의 비율이 높은데, 이것은 산화아연에 바이오세라믹스를 혼합했을 경우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10 내지 15에 의해 제조된 일회용 기저귀가 예방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에 포함된 산화아연이 피부에 대해 보호벽(barrier)를 형성하여 기저귀 발진 및 피부염의 직접적인 원인인접촉에 의힌 자극(irritation)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바이오 세라믹스가 피부를 알칼리화시키는 암모니아를 제거하여 피부가 제기능을 수행하도록 해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피부 및 점막표면에 작용하여 분비물의 감소 및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시켜 체액에 의한 수화 및 짖무름을 감소시켜 복합적으로 상기와 같은 우수한 피부 보호 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비교예 9 내지 12 및 실시예 16 내지 21
비교예 9 내지 12 및 실시예 16 내지 21은 일회용 기저귀 착용시 나타날 수 있는 기저귀 발진 및 기저귀 피부염에 대한 피부 치료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 솜털 펄프,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로 조성하여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 제조한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 조성물을 비교예 9라 하였으며,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 조성물에 기저귀 발진의 치료제 성분인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50 : 50 비율)를 일회용 기저귀 총무게에 대한 중량비로 각각 0.1%, 0.5%, 1%, 5%, 10%, 20%씩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에 함유토록 하여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 조성물을 실시예 16 내지 21이라 하였다.
비교예 10 내지 12는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 조성물에 베이비 파우더, 바이오세라믹스 및 산화아연을 각각 일회용 기저귀 총무게에 대해 중량비로 1%씩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에 함유토록 하여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비교예 9 내지 12 및 실시예 16 내지 21은 6 내지 12개월된 유아 중에서 기저귀 발진 및 피부염이 미약하게 발생한 유아(피부1등급)가 각 5명씩으로 하여 각 100명씩을 대상으로 1개월간 직접 사용한 후의 기저귀 발진 및 기저귀 피부염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표 4는 상기의 비교예 9 내지 12 및 실시예 16 내지 21로부터 제조한 일회용 기저귀를 24시간동안 1개월 사용한 후 검사자에 의해 기저귀 착용 부위의 피부 증상을 5등급으로 판별하여 나타낸 표이다.
[표 4]
「피부 증상의 판정 등급」
상기의 비교예 9 내지 12 및 실시예 16 내지 21에서 관찰할 수 있듯이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비교예 9에서 피부 0등급의 비율은 5%였으며 비교예 9에 비해 베이비 파우더와 바이오 세라믹스(50 : 50 비율)를 각각 1%씩 첨가한 비교예 10과 11은 피부 0등급의 비율이 각각 10%와 9%로서 피부 증상이 호전되는 경향이 미약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바이오세라믹스나 베이비 파우더의 치료 효과에 의한 것이라고는 생각되지 않으며 단지 피부를 건조하게 만듬으로써 체액 분비물에 의한 수화를 감소시켜 기저귀 발진 및 피부염을 예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비교예 9 내지 12에 비해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 조성물인 비교예 9에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를 첨가한 실시예 16내지 21은 피부 등급의 비율이 54 내지 70% 정도로서 일회용 기저귀 착용시 나타날 수 있는 기저귀 발진 및 기저귀 피부염을 치료하는데 대단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6 내지 21에 의해 제조된 일회용 기저귀가 기저귀 발진 및 기저귀 피부염의 치료염의 치료에 이렇게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에 포함된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가 [표 3]에 나타났듯이 피부 보호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국소의 수렴, 가피의 경화, 상피의 형성 등의 작용으로 기저귀 발진이나 기저귀 피부염 증상을 호전시킴과 동시에 바이오세라믹스가 체액 배설시 나타나는 암모니아를 포획하여 탈취시킴으로써 피부가 약산성을 유지되게 하여 피부가 제기능을 발휘하도록 하며 체액에 의한 피부 수화를 막는 것으로 사료된다.
비교예 13 내지 14 및 실시예 22 내지 25
비교예 13 내지 14 및 실시예 22 내지 25는 일회용 기저귀 착용시 나타날 수 있는 기저귀 발진 및 기저귀 피부염을 예방,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한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의 적용 부위를 나타낸 것으로서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 응가밴드, 티슈, 솜털 펄프에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50 : 50 비율)를 기저귀 총무게에 대한 중량비로 1% 함유토록 하여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한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 조성물을 실시예 22 내지 25라 하였다. 그리고 고흡수성 수지와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에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를 기저귀 총무게에 대한 중량비로 1% 함유토록 하여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한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 조성물을 비교예 13 내지 14라 하였다.
비교예 13 내지 14 및 실시예 22 내지 25는 6 내지 12개월된 유아중에서 기저귀 발진 및 기저귀 피부염이 중간정도(피부 2등급) 발생한 유아 각 100명을 대상으로 1개월간 직접 사용한 후의 기저귀 발진 및 기저귀 피부염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표 5]는 상기의 비교예 13 내지 14 및 실시예 22 내지 25로부터 제조한 일회용 기저귀를 24시간동안 1개월 사용한 후 검사자에 의해 기저귀 착용 부위의 피부 증상을 5등급으로 판별하여 나타낸 표이다.
[표 5]
「피부 증상의 판정 등급」
상기의 비교예 13 내지 14 및 실시예 22 내지 25에서 나타났듯이, 비교예 13 내지 14에서 일회용 기저귀 조성물 중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이 혼합물 1%를 각각 고흡수성 수지와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에 첨가한 경우, 피부 0등급의 비율은 각각 16%와 12%로써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에 의한 보호, 치료 및 상승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일정한 농도의 혼합물이 피부에 발라져서 고유의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데 고흡수성 수지와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에 함유하면 피부와의 접촉 가능성이 거의 없어 보호, 치료 및 상승작용을 거의 하지 못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실시예 22 내지 25에서 볼 수 있듯이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 1.0%을 각각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 응가밴드, 티슈, 솜털펄프에 함유 시켰을때는 피부 0등급의 비율이 41 내지 67%로 기저귀 발진 및 기저귀 피부염의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피부와 접촉하는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에 산화아연을 함유시킨 실시예 22의 경우, 피부의 보호 및 치료 작용이 가장 우수하였다. 이는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 혼합물이 직접 피부와 접촉하여 직접적으로 보호및 치료작용을 한 것으로 사료된다.

Claims (5)

  1.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 및 솜털펄프를 포함한 일회용 흡수제품의 전부 또는 일부 구성요소에 SiO2, Al2O3, Na2O, K2O, CaO 및 Fe2O3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산화물로 구성된 미분말상 바이오세라믹스 및 산화 아연을 함유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의 함량이 일회용 흡수제품의 총중량에 대해 0.1 내지 2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의 혼합비가(1~9) : (9~1)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4.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응가밴드, 티슈, 솜털펄프 또는 기저귀를 포함한 일회용 흡수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흡수제품의 피부접촉부 위에 SiO2, Al2O3, Na2O, K2O, CaO 및 Fe2O3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산화물로 구성된 미분말상 바이오세라믹스 및 산화아연을 0.1 내지 20중량% 첨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의 혼합비가 (1~9) : (9~1)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KR1019930001856A 1993-02-11 1993-02-11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를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 KR960010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1856A KR960010015B1 (ko) 1993-02-11 1993-02-11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를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1856A KR960010015B1 (ko) 1993-02-11 1993-02-11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를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015B1 true KR960010015B1 (ko) 1996-07-25

Family

ID=19350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1856A KR960010015B1 (ko) 1993-02-11 1993-02-11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를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01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268B1 (ko) 일회용 흡수제품 조성물
KR100313640B1 (ko) 실리카및제올라이트냄새억제시스템을갖는활성탄비함유흡수제품
JP4439728B2 (ja) 吸収製品のプロトン供与性活性成分
CA2161236A1 (en) Odour control material
KR20000016438A (ko) 제올라이트 및 실리카 냄새 억제 시스템을 갖는 여성용 위생 흡수제품
JP6479897B2 (ja) 酸素を供給する肌触りの良い吸収構造
US6995297B1 (en) Herb medicine composition to be contained in sanitary materials for infants
KR100344140B1 (ko) 흡수성겔화물질및실리카를포함하는냄새억제시스템을갖는흡수제품
AU778161B2 (en) Hop acids used to inhibit staphylococcus aureus
EP3256088B1 (en) Articles with odor-controlling composition
KR960010015B1 (ko) 산화아연과 바이오세라믹스를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
KR950012183B1 (ko) 산화아연을 첨가한 일회용 흡수제품
KR960015183B1 (ko) 캡슐화된 물질을 함유한 일회용 흡수 제품
KR0163506B1 (ko) 유컬립터스 오일을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
KR920010924B1 (ko) 일회용 흡수제품
KR960015184B1 (ko) 항균성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
KR930008910B1 (ko) 탈취성분을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
KR100508598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항균조성물, 및 일회용 흡수제품
KR920010923B1 (ko) 일회용 흡수제품
KR940007401B1 (ko) 일회용 흡수제품
JP2003527147A (ja) スキンケア組成物を有する吸収性物品
KR930002269B1 (ko) 후라보노이드를 첨가한 일회용 흡수제품 조성물
KR20080032923A (ko)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의 제조방법
KR950008171B1 (ko) 고통풍성 일회용 흡수제품
KR20030008048A (ko) 항균소취제를 함유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