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645A - 전전자 교환 시스팀의 작업 동기 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 시스팀의 작업 동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645A
KR930001645A KR1019910010215A KR910010215A KR930001645A KR 930001645 A KR930001645 A KR 930001645A KR 1019910010215 A KR1019910010215 A KR 1019910010215A KR 910010215 A KR910010215 A KR 910010215A KR 930001645 A KR930001645 A KR 930001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aphore
delayed
delay
task
j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148B1 (ko
Inventor
조주현
김봉수
김화성
Original Assignee
경상현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현,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filed Critical 경상현
Priority to KR1019910010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148B1/ko
Publication of KR930001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1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ulti Process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전자 교환시스팀의 작업 동기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a도는 본 발명이 구현되는 전전자 교환시스팀의 구성도.
제1b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작업동기 방법의 전체 흐름도.
제3a도, 제3b도, 제3c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세마포 초기화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세마포 생성단계의 흐름도.
제5a도, 제5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세마포 할당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세마포 단일 지연단계의 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세마포 다중 지연단계의 흐름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세마포 재활동 단계의 흐름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세마포 제거 단계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위 프로세서 및 메모리 관리회로팩
2 : 대규모 기억장치 정합회로팩 3 : 메모리 에러 제어 회로팩
4 : 프로세서 통신 제어 회로팩 5 : 이중화 제어채널 회로팩
6 : 입출력 정합회로팩 7 : ROM
8 : 중앙처리장치 9 : 메모리
10 : 다기능 주변장치

Claims (8)

  1. 중앙처리장치(8), 상기 중앙처리장치(8)에 연결된 메모리(9),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어 부터(Booter) 기능을 하는 ROM(7),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8)와 메모리(9)와 ROM(7)에 연결된 다기능 주변장치(MFP)(10)를 포함하여 구성된 시스팀에 적용되어 대용량 통신시스팀의 다수의 작업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작업동기 방법에 있어서; 세마포의 사용을 위해 세마포의 초기화 구성을 수행하는 제1단계, 활동상태에 있는 많은 작업들간에 동기조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세마포를 생성하는 제2단계, 상기 작업들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세마포를 할당하는 제3단계, 상기 작업들간의 동기를 위해 특정 세마포에 의한 단일 지연을 요구한 경우 세마포 단일지연을 수행하는 제4단계, 상기 작업들간의 동기를 위해 다중 세마포에 의한 다중지연을 요구한 경우 세마포 다중지연을 수행하는 제5단계, 상기 지연요구에 따른 작업수행후 지연되어 있는세마포에 재활동을 요구한 경우 세마포 재할동을 수행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세마포 사용후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세마포를 제거하는 제7단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동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마포의 초기화 구성단계는 다수의 세마포 헤드를 구성하고 상기 세마포 헤드에 노드를 할당하고 상기 세마포 헤드의 플래그 항에 미사용을 나타내는 단계, 다수의 세마포 프리를 구성하고 상기 세마포 프리에 노드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세마포 프리의 포인터인 세마포 전방지시자 및 세마포 후방 지시자를 구성하는 단계, 새로운 세마포 생성시 상기 세마포 전방 지시자가 가리키는 지표항의 값을 통해 세마포 헤드를 할당하고 상기 해당 세마포 헤드의 플래그 항에 사용중 표시를 하는 단계, 상기 세마포 전방지시자가 가리키던 곳의 포인터 항의 값을 끝을 나타내는 값으로 넣고 상기 세마포 전방지시자를 하나 증가시키어 다음번 요구시 같은 작업을 하여 세마포 헤드를 할당하는 단계, 및 세마포 리스트를 구성하여 생성되는 모든 세마포를 포인터 항에 연결하는 단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동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마포 생성단계는 새로운 세마포 생성을 요구하면 새로운 세마포와의 연결을 위한 영역을 위해 메모리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할당된 메모리의 영역을 지우는 단계 새로운 세마포의 고유번호를 할당하고, 세마포 형태를 선언하고 세마포 지연큐 항에 노드를 연결하는 단계, 및 세마포 리스트의 처음 연결부분에 새로운 세마포를 연결하는 단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동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마포 할당 단계는 세마포 리스트의 포인터항에 생성된 세마포를 연결하고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단계, 세마포 전방지시자가 가리키는 세마포 프리의 지표항의 값으로 사용하지 않는 세마포 헤드를 구하고 상기 세마포 전방지시자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 다음 세마포 프리를 지시하게 하는 단계, 할당된 세마포 헤드의 노드의 포인터로 작업관리 블록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작업관리 블록의 세마포 포인터 상기 생성된 세마포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세마포의 세마포 지연큐를 큐노드에 연결하고 상기 큐노드의 다음 지시항을 세마포 헤드가 가리키는 노드에 연결하는 단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동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마포 단일 지연 단계는 세마포 단일지연을 요구하면 해당 세마포 존재여부를 검색하여 해당 세마포가 존재하면 세마포의 주소를 구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세마포 생성 블록으로 새로운 세마포의 생성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지연되려고 하는 작업이 시스팀의 특정자원을 사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시스팀의 특정 자원 사용 여부 검색 결과에 따라 특정 자원을 사용중인 작업인 경우 상기 작업을 특정 자원 사용중에 지연을 원하는 상태로 변환하여 지연시키고 특정 자원의 사용을 위해 지연되는 작업이 있으면 이들중 하나를 선택하여 작업수행을 요구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팀의 특정 자원사용 여부 검색 결과에 따라 특정 자원의 사용이 아닌 작업인 경우 상기 작업을 지연상태로 변환하고 세마포에 작업의 우선 순위별로 지연상태를 구성하는 단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동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마포 다중 지연 단계는 세마포 다중지연을 요구하면 해당 세마포 존재여부를 검색하여, 해당 세마포가 존재하면 세마포의 주소를 구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세마포 생성 블럭으로 새로운 세마포의 생성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자연을 요구한 작업을 지연상태로 변환하고 상기 세마포에 우선 순위 별로 지연상태를 구성하는 단계, 새로운 노드를 할당받아 해당 세마포를 연결하고, 상기 노드를 작업관리블럭의 다중지연을 지원하는 부분에 연결하는 단계, 및 처리할 지연 세마포의 존재 여부를 검색하여 존재하면 상기 세마포 존재 여부에 대한 처리단계, 및 작업관리블럭 연결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동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마포 재활동 단계는 재활동을 원하는 세마포가 입력되면 해당 세마포의 존재여부를 검색하여, 해당 세마포가 존재하면 세마포의 주소를 구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세마포 생성 블럭으로 새로운 세마포의 생성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해당 세마포의 특정 자원의 사용 요구에 따라 지연된 긴급작업의 존재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지연된 긴급작업 존재여부 검색 결과에 따라 지연된 긴급작업이 존재하면 상기 지연 작업중 하나를 선택하고, 특정자원 사용사능 상태인지 검색하여 가능하면 스케줄러에 현재 수행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불가능하면 지연큐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연된 긴급작업 존재여부 검색결과에 따라 지연된 긴급작업이 존재하지 않고 현재 세마포 지연작업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지연작업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거한후 수행시키는 단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동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마포 제거 단계는 제거하려는 세마포 포인터가 입력되면 상기 해당 세마포를 세마포 리스트에서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분리된 세마포에 지연되어 있는 작업의 존재여부를 검색하여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사건큐에서 하나의 작업을 선택하여 준비 헤드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세마포에 지연되어 있는 작업의 존재여부 검색 결과에 따라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세마포와 세마포 노드의 메모리 공간을 회수하는 단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동기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10010215A 1991-06-19 1991-06-19 전전자 교환시스팀의 작업 동기 방법 KR940002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0215A KR940002148B1 (ko) 1991-06-19 1991-06-19 전전자 교환시스팀의 작업 동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0215A KR940002148B1 (ko) 1991-06-19 1991-06-19 전전자 교환시스팀의 작업 동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645A true KR930001645A (ko) 1993-01-16
KR940002148B1 KR940002148B1 (ko) 1994-03-18

Family

ID=19316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215A KR940002148B1 (ko) 1991-06-19 1991-06-19 전전자 교환시스팀의 작업 동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14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148B1 (ko) 199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9911B2 (ja) グローバル割込み待ち行列の仮想化
US6948172B1 (en) Preemptive multi-tasking with cooperative groups of tasks
JP5088234B2 (ja) メッセージ紐付け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745794B2 (ja) 文書処理装置
CN110795029B (zh) 一种云硬盘管理方法、装置、服务器及介质
GB2293675A (en) Process allocation in a data processing system
CN111542812B (zh) 基于虚拟节点资源的增强型高速缓存存储器分配
CN115525438A (zh) 在分布式系统中资源及任务的分配方法、装置及系统
US7689801B2 (en) Method for distributing hypervisor memory requirements across logical partitions
US20080263309A1 (en) Creating a Physical Trace from a Virtual Trace
JP2008257572A (ja) 論理区画に動的に資源割り当てを行うストレージシステム及びストレージシステムの論理分割方法
US8631132B2 (en) Ensuring affinity at all affinity domains by folding at each affinity level possible for a partition spanning multiple nodes
JPH07281911A (ja) 並列処理における資源割振り同期化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3193253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isplaying names of virtual machine
US6338125B1 (en) Dynamic slot allocation and tracking of multiple memory requests
JPH10293695A (ja) 論理計算機システムの動的再構成方式
KR930001645A (ko) 전전자 교환 시스팀의 작업 동기 방법
JP2010039729A (ja) I/o管理システム、サーバシステム及びそのi/oスイッチの管理方法
JP6506773B2 (ja)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57719B2 (ja) 計算機
WO2012107988A1 (ja) メモリ管理プログラム、メモリ管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H01195562A (ja) 入出力装置割当て制御方式
EP2450795A1 (en) Computer device, parallel computer system, and synchronization program
EP3751417B1 (en) Parallel processing apparatus, job management program, and job management method
JP2007207072A (ja) 処理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