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638Y1 - 토건용 조립식 콘크리트구조체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토건용 조립식 콘크리트구조체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638Y1
KR930001638Y1 KR2019900012479U KR900012479U KR930001638Y1 KR 930001638 Y1 KR930001638 Y1 KR 930001638Y1 KR 2019900012479 U KR2019900012479 U KR 2019900012479U KR 900012479 U KR900012479 U KR 900012479U KR 930001638 Y1 KR930001638 Y1 KR 9300016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ructure
fastener
connector
connection devices
structur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2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519U (ko
Inventor
한송본
한원철
Original Assignee
한송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송본 filed Critical 한송본
Priority to KR2019900012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638Y1/ko
Publication of KR9200045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5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6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6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043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4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recesses in both frontal surfaces co-operating with an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
    • E04B1/6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recesses in both frontal surfaces co-operating with an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 the connection made by form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토건용 조립식 콘크리트구조체 연결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확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4도는 (a)(b)(c)는 본 고안의 연결구 모양을 나타낸 실시예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구 2 : 콘크리트 구조체
3, 3' : 배근 4 : 연결공
5 : 볼트 6 : 요홈
7 : 나사공 8 : 체결구
9 : 경사부 10, 10' : 홈
본 고안은 각종 토건용 구조물을 조립식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여러형태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체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을 간편하게 하면서도 견고하게 할수 있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론 종래에도 상기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장치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연결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되는 연접부를 따라가면서 군데군데 볼트, 너트를 끼울 수 있게 복스형 연결구를 매설 이를 통해서 볼트, 너트로 체결토록된 것이므로 좁은 공간내에서 볼트, 너트를 체결하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을뿐만 아니라 복스형 연결구의 내공간만큼 콘크리트가 없어서 견고성에 취약한 결점이 있었다.
한편 양연결재에 연결홈을 형성하여 H형접속 금구로 접속케된 일본 공개실용신안 공보 소56-167107호의 연결구성이 있었으나 콘크리트 구조체에 적용할 경우에 연결홈의 형성이 어렵고 또 단순히 H형 접속금구만 끼워 고정하는 것이므로 요지부동 하면서도 견고하게 연결되지 않는 결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양연결구에 대칭형 연결공을 형성하고, 이 연결공에 체결구를 끼움설치토록된 구성에 있어, 연결공을 상광하협형으로 형성하고, 체결구에도 상광하협형 연결공에 맞게 형성하여서 체결구를 처음에 끼울때 용이하게 하고, 완전히 끼운후에는 요지 부동하면서도 견고하게 연결되게한 것인데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현 다음과 같다.
양 콘크리트구조물(2)(2')에 연결구(1)를 매설하고 양 연결구(1)에 ""형 연결공(4)을 대칭형으로 형성 양연결구(1)를 맞대었을때 ""형을 이루게 하여서 이에 맞는 ""형 체결구(8)을 끼움설치토록한 구성에 있어서, 양연결공(4)의 내상단에 볼트(5)의 두부가 들어갈 만큼 요홈(6)을 각각 형성하고 이 요홈(6)의 내면 중앙에 나사공(7)을 천설하고 상기 체결구(8)의 상부양측에도 볼트(5)의 두부가 들어갈만큼 홈(10)을 각각 형성하며 연결공(4)의 내주면과 체결구(8)의 외주면을 상광하협형으로 형성하여서 체결구(8)가 연결공(4)에 들어가면 들어 갈수록 꼭 끼어지게 하는 경사부(9)를 형성한 것이다.
미 설명부호 3, 3'는 연결구(1)가 콘크리트 구조물(2)(2')에 견고히 매설될 수 있게 연결된 배근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 연결공(4)과 체결구(8)의 형태가 ""형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이 형태는 평면에서 볼때에서 볼때에 제4도의 (a)(b)에 표현된 바와 같이 ""형, ""형 또는 ""형으로 구성하여도 다음 설명하는 작용효과와 동일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2)에 이미 설정된 위치로 다수의 연결구(1)를 매설한 것을 콘크리트 구조물(2)의 연결위치로 서로 맞대어 놓은 다음 대접되어 이루어진 ""형의 연결공(4)에 체결구(8)를 끼운 다음 볼트(5)로 조이면 경사부(9)에 의하여 들어가면서 더욱 요지부동한 상태로 치밀하게 체결되어 시공시 체결작업이 편리하고 체결후 견고성도 우수한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양콘크리트구조물(2)(2')에 매설된 양연결구(1)에 ""형 연결공(4)을 대칭형으로 형성하여 양연결구(1)를 맞대었을때 ""형을 이루게 하고 이에 ""형 체결구(8)을 끼움설치토록된 구성에 있어서, 양연결공(4)의 내상단에 볼트(5)의 요홈(6)을 형성하고 이 요홈(6)의 내면 중앙에 나사공(7)을 천설하며 상기 체결구(8)의 상부 양측에도 볼트 홈(10)을 형성하고, 연결공(4)의 내주면과 체결구(8)의 외주면을 상광하협형으로 경사부(9)를 형성하여서 된 토건용 조립식 콘크리트 구조체 연결장치.
KR2019900012479U 1990-08-20 1990-08-20 토건용 조립식 콘크리트구조체 연결 장치 KR9300016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2479U KR930001638Y1 (ko) 1990-08-20 1990-08-20 토건용 조립식 콘크리트구조체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2479U KR930001638Y1 (ko) 1990-08-20 1990-08-20 토건용 조립식 콘크리트구조체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519U KR920004519U (ko) 1992-03-25
KR930001638Y1 true KR930001638Y1 (ko) 1993-04-08

Family

ID=1930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2479U KR930001638Y1 (ko) 1990-08-20 1990-08-20 토건용 조립식 콘크리트구조체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6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519U (ko) 199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1638Y1 (ko) 토건용 조립식 콘크리트구조체 연결 장치
JPH07109160B2 (ja) 大口径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
JPH0521545Y2 (ko)
JPH0416591Y2 (ko)
JPH0248539Y2 (ko)
JP3028812U (ja) セグメント継手
JPH0220266Y2 (ko)
JPS6338265Y2 (ko)
JPH0320399Y2 (ko)
JPH0439906Y2 (ko)
JPH0144603Y2 (ko)
KR890000340Y1 (ko) 앵커용 동파이프 연결구
JPH0242782Y2 (ko)
JPH0754596A (ja) セグメントの接続構造
KR890004406Y1 (ko) 플라스틱 등주의 조립장치
JPH047267Y2 (ko)
KR880002291Y1 (ko) 비탈면 보호블록
JPH0534327Y2 (ko)
JPS5919683U (ja) コンクリ−トブロツク整列のための接続装置
JPH0571298U (ja) トンネル用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連結金具
JPS6113707U (ja) 連結具付きコンクリ−ト製品
JPH0220487Y2 (ko)
JPH0523677Y2 (ko)
JPH0338278Y2 (ko)
JPH085216Y2 (ja) Pc鋼棒連結用カプ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