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454B1 - 가변식 진공 청소기 및 그 손잡이 - Google Patents

가변식 진공 청소기 및 그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454B1
KR930001454B1 KR1019900701756A KR900701756A KR930001454B1 KR 930001454 B1 KR930001454 B1 KR 930001454B1 KR 1019900701756 A KR1019900701756 A KR 1019900701756A KR 900701756 A KR900701756 A KR 900701756A KR 930001454 B1 KR930001454 B1 KR 930001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vacuum cleaner
suspenders
rail
po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1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700020A (ko
Inventor
존 알. 래크너
스탠리 이. 그루쥐나
랠프 에이. 웨버
토마스 이. 베어드
Original Assignee
더 스코트 페처 컴퍼니
존 알. 래크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스코트 페처 컴퍼니, 존 알. 래크너 filed Critical 더 스코트 페처 컴퍼니
Publication of KR910700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700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4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5Handles for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732Handles
    • Y10T74/20834Hand wheels
    • Y10T74/20864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가변식 진공 청소기 및 그 손잡이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정상적인 작동 방식으로 카페트나 융단을 청소하도록, 직립식 손잡이가 부착된 본 발명에 의한 가변식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손잡이가 수직위치와 실선으로 나타낸 손잡이 및 집진 포대가 가상선으로 나타낸 하향된 수평위치에 있는 제1도에 예시된 청소기의 측면도이고,
제3도는 집진 포대와 직립식 손잡이를 연결하는 스프링의 힘을 받는 연결부 구조의 단면도이며,
제3a도는 연결부가 연장 및 수축되는 방식을 예시한 부분 단면 정면도이고,
제4도는 손잡이를 설치하기전의 각 부품을 예시한 것으로서 동력부에 손잡이를 착탈식으로 장착하는 구조의 파단 단면도이고,
제4a도는 조립된 연결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제4도의 선 4-4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제4b도는 조립전의 각 수용 부재 부품들과 손잡이 장착용 블레이드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제5도는 제1도와 유사하나 휴대 상태로 청소기를 작동하도록 설치된 휴대용 손잡이가 있는 청소기의 사시도이며,
제6도는 멜빵끈을 손잡이 부분내에서 저장시키거나 연장되게 하는 휴대용 손잡이 및 멜빵끈 조립체의 확대 측면도이고,
제6a도는 제6도의 휴대용 손잡이의 단면도(端面圖)이고,
제6b도는 제6도의 휴대용 손잡이의 평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 특히 직립식(upright)카페트 청소기로부터 휴대용 청소기(portable hand cleaner)로 전환시킬 수 있는 신규하고도 개량된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전형적으로 카페트나 융단을 청소하는 직립식 진공 청소기에는 모터 구동식 팬이 있는 동력부와, 구동 벨트에 의해 모터로 구동되는 동력식 브러시 로울(brush roll)이 있다. 또한 이러한 직립식 청소기에는 보통 동력부에 피벗 연결된 직립식 손잡이와 그 하단부에서 팬의 배출구에 부착되어 있고 그 상단부에서 직립식 손잡이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집진 포대 여과(dust bag filter)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다.
직립식 카페트 또는 융단 청소기로부터 휴대용 소형 진공 청소기로 전환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도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가변식 청소기에는 직립식 손잡이 설치용 착탈식 설치부와 소형 청소기 작동용 동력부에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별도의 소형 청소기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종종 있다.
또한 손잡이를 떼어낼때 직립식 손잡이로부터 집진 포대 조립체의 단부를 떼어내고, 집진 포대의 그 단부를 소형 청소기의 손잡이에 부착시켜 휴대용 소형 청소기로 작동시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가변식 진공 청소기는 "HERITAGE Ⅱ"라는 상표(The Scott Fetzer Company, Westlake, Ohio,)로 시판되고 있다. 또한 분리형의 직립식 손잡이가 있는 가변식 진공 청소기의 예도 공지되어 있다(미합중국 특허 제 3,621,511호 및 동 제3,897,607호 참조).
[발명의 개요]
본 발명에는 몇가지 중요한 특징이 있다. 그 한가지 특징은 진공 청소기 손잡이에는 신규하고도 개량된 착탈식 장착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장착 시스템에 의하여 쉽사리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면서 극히 견고하고도 안정된 연결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진공 청소기의 동력부에 휴대용 손잡이와 직립식 손잡이를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분리 및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각 손잡이에 비교적 폭이 넓고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blade)와 접합용 소켓(socket)을 갖는 동력부상의 수용 부재(receiver)가 포함된다. 이러한 소켓은 손잡이 블레이드와 꼭 부합할 수 있는 크기를 하고 있다. 수용 부재를 동력부에 피벗 장착함으로써 직립식 손잡이를 수직 위치로부터 수평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스프링의 힘을 받는 고정 볼트를 수용 부재에 장착하여 연장된 고정 위치와 수축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고정 볼트를 수용 부재 중앙에 설치한다. 블레이드 중앙에 고정 볼트 구멍을 형성하여, 블레이드가 수용 부재 및 소켓내의 고정 위치에 결합되도록 손잡이를 설치할때, 이 구멍을 통해 고정볼트가 연장되도록 한다.
블레이드의 캠 표면은 블레이드가 수용 부재에 들어갈때, 고정 볼트에 대한 스프링 힘을 극복하여 고정 볼트를 스프링 힘에 대하여 수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블레이드가 수용 부재 소켓내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되면 고정 볼트 구멍은 고정 볼트와 정렬되고, 고정 볼트는 자동적으로 스프링 힘에 의하여 고정 위치로 연장된다. 따라서 손잡이의 블레이드를 단순히 수용 부재 소켓속으로 삽입해주는 것 만으로 손잡이는 정확히 설치 및 고정된다.
블레이드는 소켓을 따라 측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연장되어 수용 부재 소켓에 있는 대응면과 일정한 간격을 가진 위치에서 결합되므로, 손잡이는 동력부에 대한 축방향의 모든 이동이 방지되도록 연결된다. 고정 볼트의 기능은 주로 블레이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고 손잡이 부분에 가해지는 축방향 부하에 의해서는 하중을 받지 않는다.
사용자가 동력부에 장착된 손잡이를 분리하고자 할때, 버튼을 눌러주어 고정볼트를 스프링 힘에 대하여 블레이드에 있는 고정 볼트 구멍에서 떨어진 방출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손잡이를 쉽게 들어올려 손잡이의 블레이드를 수용 부재로부터 이탈시켜준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에 의하여 쉽사리 연결하고 분리시킬 수 있는, 간편하고도 견고한 착탈식 손잡이 고정 구조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직립식 손잡이나 휴대용 소형 청소기 손잡이에 있는 동력부로부터 떨어진 곳에 집진 포대의 단부를 이탈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는 신규하고도 개량된 연결 구조가 제공된다. 이러한 연결 구조는 스프링의 힘을 받게 되어, 청소기를 작동시키고 있는 동안 직립식 손잡이가 전후로 피벗됨에 따라 집진 포대를 연장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연결부와 집진 포대 사이에 스프링을 장착하여 직립식 손잡이가 수직으로 접근하는 위치에 있을때 연결부를 집진 포대쪽으로 이동하게 한다. 그러나 청소기를 사용하고 있는 동안 손잡이를 아래쪽으로 기울여주면 스프링은 연결부를 집진 포대의 인접 단부쪽으로 연장시켜 준다. 따라서, 동력부에 있는 집진 포대의 유효 피벗에서 손잡이가 이동하게 되는 피벗축을 위치시킬 필요가 없다. 그 대신에 손잡이 피벗축이 여과 포대와 동력부 사이의 연결부의 유효 피벗축으로부터 상당히 떨어진 곳에 위치하게 될 경우라도 스프링의 힘을 받는 연결부는 집진 포대의 지지 위치를 적절히 유지한다. 따라서 손잡이 피벗축의 위치와 동력부상의 집진 포대의 연결 위치를 적절하게 별도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에 의하면 간단한 연결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동력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집진 포대의 단부를 손잡이에 연결할 수 있고, 청소기의 사용중 손잡이를 전후로 피벗시킬 때 집진포대를 적당한 곳까지 연장시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중요한 특징은 신규하고도 개량된 휴대용 소형 청소기 손잡이와 멜빵끈을 제공하는 것이다. 손잡이와 멜빵끈이 청소기를 소형 청소기로 사용하고자 전환시킬 때 장착된다. 멜빵끈은 손잡이에 장착되고 멜빵끈을 사용하지 않을때는 손잡이속에 멜빵끈이 감겨 저장되는 리일(reel)이 포함된다. 사용자가 어깨로 동력부를 지지하여 양손으로 자유 자재로 호스 연결 부착물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 리일을 풀어주어 멜빵끈을 연장시켜주면 된다. 필요한 만큼의 멜빵끈 길이를 만들고자 할때 리일 스톱(rell stop)은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리일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멜빵끈의 길이를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게끔 쉽사리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리일을 회전시켜 멜빵끈이 리일에 다시 감기도록 하는 피벗 크랭크가 리일에 제공되어 있다. 크랭크가 피벗되어 겹쳐진 위치로 있게 되면 자동적으로 리일을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에 따라 손잡이 속에 편리한 멜빵끈을 저장시켜 사용시 필요한 만큼의 길이로 쉽사리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가지 특징을 첨부된 도면을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의 상세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대표적인 가변식 진공 청소기이다. 제1도에 있어서 진공 청소기는 카페트나 융단을 청소할때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직립 상태를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상태의 청소기를 "직립식 청소기"라 부르고 있는데 "직립식 손잡이"라고 해서 손잡이가 반드시 수직일 필요는 없다. 진공 청소기에는 노즐(12)을 통해 먼지가 함유된 공기를 끌어들여 유출구(13)를 통해 배출하도록 작동하는 모터로 구동되는 팬이 있는 동력부(11)가 있다. 도면에는 없으나 노즐내에 동력식 브러시 로울이 지지되어 벨트 구동에 의하여 동력부의 모터로 구동시킨다. 또한 동력부에는 동력부(11)를 지지하는 바퀴(10)가 포함되어 마루 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청소하게될 표면을 따라 전후로 진공청소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피벗 이동이 가능한 직립식 손잡이(14)를 동력부(11)에 연결한다. 길게 연장된 집진 포대(17)를 동력부의 유출구(13)의 한쪽 단부(18)에 장착하고, 그 반대쪽 단부(19)에서 손잡이(14)에 설치된 측방향의 집진 포대 지지체(21)로 지지시킨다.
다음에 상세히 나오는 바와 같이, 집진 포대의 상단부(19)에 장착된 연결부(22)에 의해 지지체(21)에 대해서 상단부(19)를 착탈식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부를 집진 포대(17)에 장착하여 수축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그 이동을 제한시키고 수축된 위치쪽을 향해 스프링의 힘을 받게 한다.
손잡이(14)를 동력부(11)에 장착하되, 제2도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수직 위치와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하향된 위치 사이에서 피벗축(23)주위로 피벗 가능하게 장착한다. 진공 청소기를 카페트 청소기로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동안 청소기가 청소되는 표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함에 따라, 손잡이는 직립된 위치와 하향된 위치 사이의 어느 위치쪽으로 전후로 피벗한다.
집진포대(17)는 직물등과 같은 다공질의 가요성 물질로 되어 있어서 집진 포대의 한단부(18)를 통해 속으로 들어온 공기를 기공을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하게 된다. 정상적인 사용시에는 폐기할 수 없는 직물로 된 외부의 집진 포대를 다공질의 종이로 된 1회용 외부 포대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사용할 수 있겠으나 이 실시예에서는 1회용 내부 포대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1회용 포대의 속이 충만되어 새 포대로 교체하여야 할 경우에는 직물 포대에 있는 지퍼(zipper)구멍을 통하여 제거한다. 1회용 포대와 외부의 직물 포대(17)속에 설치할 경우에 관하여 상세한 것은 출원 계류중인 미국 특허출원 제208,735호(1988. 6. 17. 출원)에 기재되어 있다.
손잡이가 직립된 위치에 있게 되면 연결부(22)의 스프링 힘에 의하여 포대의 상단부(19)가 연결부를 따라 올라가서 포대를 연장된 위치에 유지하게 한다. 그러나 팬이 회전하면, 포대가 부풀어져서 팽팽하게 되므로 포대 상단부(19)가 유출구(13)쪽을 향해 다소 아래로 이동한다. 연결부로 인하여, 포대는 유출구를 통해 포대속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내부 압력을 받아 완전히 자유롭게 연장된다.
또한 피벗축(23)주위로 피벗 이동시켜 손잡이(14)를 하향된 가상의 위치를 향해 아래로 눌러주면, 연결부는 다시 연장된 위치쪽으로 이동한다. 장착 칼라(26)로 유출구(13)에 포대(17)의 상부 또는 전방 모서리를 부착시키는 지점(24)과 피벗축(23)은 일치하지 않는다. 팬이 작동하고 있을때와 작동하지 않을때 모두, 연결부(22)에 대한 스프링 힘에 의하여 포대를 지지체(21)에 대하여 스프링 힘으로 이동시켜 포대를 연장된 위치에 유지하도록 한다. 장착 칼라(26)와 집진 포대(17)의 부착에 관하여 상세한 것은 동시 출원중인 출원 제249,311호(1988. 9. 26. 출원)에 기재되어 있다.
제3도와 제3a도에는 집진 포대(17)의 상단부(19)에 대한 연결부(22)의 설치와 이 연결부의 상세한 구조가 나와 있다. 4개의 직물 루프(28)가 재봉(27)으로 집진포대(17)의 단부(19)에 영구 부착되고, 장착 바아(29)가 이를 통하여 연장된다. 이 장착 바아는 금속으로 제작되고, 중심부에 직립 위치한 스트랩 부(31)에 코일 스프링(32)의 하단부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32)의 상단부는 연결부(22)에 형성된 구멍(33)속을 통해 연장되고, 연결부는 장식용 커버 부재(34)에 형성된 구멍(35)속을 통해 연장된다. 이 커버부재(34)에는 스커트(36)가 있고, 이 스커트는 포대의 상단부를 따라 안쪽으로 연장되어 포대(17)를 연결부에 부착시킨 것을 은폐시키고 있어 미감이 좋다.
연결부 자체는 탄성이 있는 재료로 되어 있는데,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33)에 인접하여 측방향의 돌출부(37)가 있는데, 이 돌출부는 연결부(22)가 제3a도에서 가상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연장될 경우 구멍(35)에 인접한 커버 부재(34)의 벽과 접촉하여 커버 부재에 대하여 연결부가 이 연장된 위치까지만 연장되도록 제한하게 된다. 그러나 연결부의 이러한 연장 이동은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제약을 받게되어, 연결부는 제3a도의 실선으로 나타낸 수축된 위치까지 안쪽으로 이동하게 한다.
연결부(22)를 지지체(21)에 착탈식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지지체(21)에 연결부(22)의 상단부를 꼭 맞게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 슬롯(38)을 형성한다. 연결부(22)의 상단부에 인접하여 연결부에 래치부(39)를 형성하고, 이 래치부는 응력을 받지 아니한 위치에서는 연결부(22)의 평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래치부를 연결부(22)의 평면쪽으로 편향시키면, 슬롯(38)을 통해 연결부(22)를 삽입하고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하고 있으면 연결부(22)를 슬롯속으로 세로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것만으로 연결부가 지지체(21)에 연결되고 래치부는 자동적으로 연결된 위치에서 고정하게 된다. 삽입되는 동안 래치부는 안쪽으로 편향되어 구멍을 통과할 수 있다.
연결부를 지지체(21)로부터 분리하고자 할때는 래치부를 연결부의 평면안쪽으로 편향시켜 연결부가 슬롯(38)을 자유로이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이러한 지지구조는 극히 간단하고도 신뢰성이 있는 착탈식 연결부를 제공하여 포대의 단부(19)를 지지체에 연결하고 스프링(32)을 은폐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사용시에는 연결부가 연장되거나 수축하여 직립 상태 또는 카페트 청소 상태에서 청소기의 모든 사용 조건하에서 포대를 적절히 연장된 위치에 유지하도록 작동한다.
제4도, 제4a도 및 제4b도는 손잡이(14)의 착탈식 설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이러한 장착 구조를 하고 있기 때문에 직립 상태의 손잡이를 쉽게 장착하고 쉽게 장탈할 수 있으며, 전후 좌우로 이동하지도 않고 측방향으로 느슨해지는 일이 없이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동력부(11)(제1도, 제2도)에 피벗식 수용 부재(41)가 장착된다. 이 수용 부재를 피벗 부재(42, 43)로 동력부에 설치하여, 제2도에서와 같이 피벗축(23)주위로 피벗 이동하도록 한다. 수용 부재는 피벗 부재(42, 43)주위로 연장되고 일정 간격의 평행한 직립식 단부(46, 47)를 가진 스트랩(44)을 포함한다. U자형 판(48)을 단부(46, 47)사이에 이들 부분에다 연결시켜, 이들이 상호 작동하여 수용 부재 소켓(50)을 형성하도록 한다. 직립식 다리(51, 52)는 서로 유사하며 마주보고 있어서 수용 부재의 상단부와 인접한 측벽 표면 부분(53, 54)과 수용 부재의 하단부와 인접한 측벽 표면부분(56, 57)을 가지고 있다. 금속판으로 되어 있고 단부(46, 47)사이의 간격과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가진 장착 블레이드(55)는 손잡이를 설치하게 될 경우 수용 부재의 소켓(50)속으로 연장될 수 있을 정도의 형상과 크기를 가지고 있다. 이 블레이드(55)를 수용 부재의 소켓속에 삽입할 경우,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표면부분(53, 54, 56 및 57)과 각각 결합되는 일정 간격의 서로 마주보는 표면(61, 62, 63 및 64)이 블레이드(55)에 형성되어 있다. 다리(51, 52)의 단부(68, 69)와 각각 접촉하는 측면(66, 67)에 의하여 블레이드의 수용 부재 소켓속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측방향의 결합 표면은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있고 블레이드와 소켓의 깊이는 측방향 대응면 사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평면속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그 위에 장착된 손잡이와 블레이드는 측방향의 어떠한 뚜렷한 이동에 대해서도 견고히 지지된다. 예를들자면 제4a도에 있는 것처럼 화살표 방향(71)으로 손잡이에 힘을 주면 대응면(53, 61)과 대응면(57, 64)이 서로 작용하게 되어 손잡이를 화살표 방향(71)으로 이동시키기 어렵게 하는 강력한 저항력을 나타낸다. 화살표 방향(71)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나타나는 이동을 억제하는 유사한 작용도 나타난다. 블레이드와 U자형 판 부재는 블레이드를 쉽게 장착하고 수용 부재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충분한 틈새를 가진 크기이나 충분히 꼭 맞도록 하여야만 연결이 느슨하게 되지 않는다.
블레이드(55)는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있고 두개의 단부(46, 47)사이에 꼭맞게 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에 가해지는 전후 방향의 측방향 힘에 대하여 유사한 상황이 나타난다. 손잡이의 블레이드와 수용 부재는 강력히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이 느슨하게 되는 일은 없다. 또한 블레이드와 소켓의 단면이 직사각형이기 때문에 동력부에 대한 손잡이의 회전이 방지된다.
블레이드를 설치된 위치대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 볼트(72)를 제4도에 있는 연장 또는 고정 위치와 제4도에 있는 고정 위치의 왼쪽으로 방출된 위치 사이에서 화살표 방향(73)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두개의 단부(46, 47)사이에 고정한다. 고정 볼트에 장착된 헤드 부분 또는 버튼 부분(76)과 단부(47)사이에 위치한 스프링(74)이 고정 위치쪽을 향해 고정 볼트에 힘을 가한다.
정상적으로 진공 청소기를 사용할때 블레이드(55)가 설치위치에 고정되도록 블레이드를 설치할 경우, 고정 볼트에 꼭 맞는 크기의 구멍(77)이 블레이드(55)에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55)를 삽입하고 떼어내는 동안 고정 볼트의 스템 부분(79)에 꼭 맞는 크기의 슬롯(78)을 통해 구멍(77)의 아래쪽을 개방한다. 또한 블레이드에는 경사진 캠면(81)이 한쌍 형성되어 블레이드가 설치될때 고정된 위치로부터 고정 볼트(72)를 밀도록 한다. 블레이드를 그 설치 위치로부터 분리하고자 할때는 사용자는 버튼 부분(76)에 대하여 눌러주는 것만으로 고정 볼트를 방출시킬 수 있고, 이렇게 되면 블레이드를 수용 부재로부터 상방향으로 자유로이 이탈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55)단부의 폭은 소켓(50)입구의 폭보다 작기 때문에 손잡이를 쉽사리 설치할 수 있다.
제5도는 소형 청소기 또는 휴대용 청소기로 사용할 경우의 진공 청소기의 상태도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포대(17)의 상단부에 있는 연결부(22)를 지지체(21)로부터 분리하고 직립식 손잡이(14)를 분리한다. 직립식 손잡이(14) 대신에 휴대용 손잡이(86)를 설치한다. 이러한 손잡이는 손잡이(14)의 블레이드(55)와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직립식 손잡이의 블레이드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수용 부재(41)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블레이드(87)를 가진다.
휴대용 손잡이(86)는 제6도 내지 제6b도에서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고 블레이드(87)로부터 뒤쪽에 다리(88)가 있어서 동력부의 하우징에 구성된 대응면과 접합하는 다리(89)에 의해 블레이드와 상호 작용을 하고 휴대용 손잡이를 고정된 위치에서 안정성을 가지게 한다. 이 다리(88, 89)는 수용 부재를 가장 직립된 피벗위치로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하고 있어서, 휴대용 손잡이는 설치되었을 경우 전후로 피벗할 수 없다.
휴대용 손잡이에는 또한 파지부(91)가 있어서 진공 청소기를 잡고 휴대용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멜빵끈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어깨에서 청소기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진공 청소기에 연결된 호스를 양손으로 자유로이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휴대용 손잡이에는 한쪽단부(93)가 손잡이에 고정되고 다른쪽 단부가 손잡이에 피벗식으로 결합된 로울러 또는 리일(94)에 연결된 멜빵끈(92)이 설치된다. 이 멜빵끈(92)은 구멍(96)을 통하여 손잡이의 속으로 연장되며 리일(94)주위에 감겨져 있다.
멜빵끈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면 리일(94)의 끝에 피벗 장착된 크랭크(97)를 작동시켜 멜빵끈을 리일에 감아줌으로써 멜빵끈이 손잡이의 상면과 평평하게 감겨 있게 한다. 파지부(91)의 상면에는 사용하지 않을때 멜빵끈을 수용하는 통로(95)를 이루는 홈이 새겨져 있다.
크랭크(97)에는 손잡이에 형성된 노치(99)속에 꼭맞는 손잡이 부분(98)이 제공되어 있어 로울러(94)가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멜빵끈을 연장하거나 단축시키고자 할때는 크랭크를 노치로부터 돌려 빼내어 로울러가 회전하도록 하여 멜빵끈을 길게 하거나 짧게 한다. 사용자가 멜빵끈(92)을 길게하고자 할때는 손잡이를 방출 위치쪽으로 돌려 멜빵끈을 필요로 하는 길이만큼 당겨낸 다음 손잡이를 제6도의 고정 위치로 돌려주고 멜빵끈의 길이를 확정시킨다. 멜빵끈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면 크랭크(97)를 돌려 사용자가 멜빵끈을 로울러에 감아 주어 통로(95)속에 있는 손잡이의 상면을 따라 평평하게 있도록 하여, 휴대용 청소기 손잡이로 청소기를 지지 또는 이동시키는 통상적 사용을 전혀 방해하지 않게 한다.
이러한 구조로, 멜빵끈을 필요로 하는 길이만큼 조절하거나, 저장해둘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멜빵끈을 부착하거나 분리할 필요가 없고, 필요에 따라 항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휴대용 손잡이(86)를 설치할때는 연결부(22)를 손잡이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슬롯(101)속으로 눌러주어 포대가 비교적 컴팩트한 방식으로 있도록하여 진공 청소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슬롯은 직립식 손잡이의 지지체(21)에 있는 슬롯과 유사한 크기와 형상을 하고 있고, 연결부를 직립식 손잡이에 설치하고 분리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설치하고 분리한다.
휴대용 손잡이의 다리(89)에는 동력부의 하우징에 있는 직립식 러그(lug)와 꼭맞는 구멍(102)을 형성하여 진공 청소기에 설치했을 경우 휴대용 손잡이를 더욱 안정되게 하여 준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논의되고 또 특허청구된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부분적으로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Claims (29)

  1. 먼지가 함유된 공기를 끌어들여 유출구(3)를 통해 배출시키는 동력부(11), 한쪽 단부(18)가 유출구(13)에 연결된 연장된 집진 포대(17), 제1 및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동력부(11)에 피벗된 제1연장 손잡이(14), 연장된 위치와 수축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집진 포대(17)의 다른 단부(19)에 고정되고 상기 피벗으로부터 떨어진 고정 위치에서 손잡이(14)에 착탈식으로 연결된 연결부(22), 그리고 연결부(22)와 집진포대(17)의 다른쪽 단부(19)사이에 연결되며 이 연결부(22)를 수축된 위치로 탄성적으로 밀어, 상기 포대(17)가 손잡이(14)의 모든 위치에서 연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4)의 피벗 운동을 보상하는 탄성 수단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14)의 피벗 운동이 집진 포대의 다른쪽 단부(19)와 손잡이(14)의 고정된 위치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고 집진 포대(17)에 대한 연결부(22)의 신장 및 수축 운동을 일으키는 진공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집진 포대(17)속의 공기압의 존재 여부에 따라 집진 포대(17)의 길이가 변화되고, 또한 연결부(22)를 집진 포대에 대하여 신장 및 수축시키는 진공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2)와 상기 포대(17)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22)가 상기 수축 위치로 가도록 힘을 가하는 인장 스프링(32)이 상기 탄성 수단에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피벗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손잡이(14)에 슬롯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22)는 슬롯(38)속으로 삽입되어 손잡이(14)와 연결되며, 연결부(22)를 슬롯(38)속에 착탈식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측방향 가동 래치(39)가 연결부(22)에 형성되어 있는 진공 청소기.
  6. 먼지 함유 공기를 흡입 및 배출시키는 유출구(13)를 가진 동력부(11), 이 동력부에서 피벗되는 손잡이 수용 부재(41), 이 동력부(11)에 대해 상기 수용부재(41)가 피벗 운동하도록 수용 부재(41)에 착탈식으로 장착된 직립식 손잡이(14), 유출구(13)의 한 위치에 장착되고 또 다른 위치에서 손잡이(14)에 착탈식으로 장착된 집진 포대(17)를 포함하고, 손잡이(14)를 수용 부재(41)에 착탈식으로 꼭맞게 연결하도록 상기 손잡이(14)와 수용 부재(41)에 서로 협동하는 연장된 소켓(50)과, 소켓(50)까지 연장되는 대응 연장 장착부가 형성되어, 장착부가 소켓(50)내에 위치할 경우 상기 장착부와 소켓(50)이 상기 수용부재(41)에 대한 손잡이(14)의 측방향 운동을 방지하는 간격 대응면(53, 54, 56, 57; 61, 62, 63, 64)을 이루는 가변식 진공 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소정 방향의 상대적 운동에 의해 장착부가 소켓(50)에 삽입되거나, 소켓(5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소정 방향의 상대적 운동을 방지하는 착탈식 고정 수단이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고정 위치와 방출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소정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장착된 고정 볼트(72)가 상기 고정 수단에 포함되고, 소켓(50)과 장착부 사이의 상기 소정 방향의 상대적 운동이 방지되는 고정 위치를 향해 고정 볼트(72)가 스프링(74)의 힘을 받은 진공 청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블레이드(55)가 상기 소켓(50)속으로 이동하면 고정 볼트(72)를 해제 위치쪽으로 보내는 캠 수단(81)이 상기 블레이드(55)에 포함된 진공 청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캠 수단(81)이 장착부에 설치되고, 고정 볼트(72)가 소켓(50)에 장착된 진공 청소기.
  11. 제8항에 있어서, 소켓(50)으로부터 장착부를 분리하기 위해 고정 볼트(72)를 해제 위치로 움직일때 사용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버튼 부분(76)이 고정 볼트(72)에 구비된 진공청소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50)이 상기 수용 부재(41)에 형성되고, 장착부가 상기 손잡이(14)에 형성된 진공 청소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50)의 횡단면은 간격을 두고 대향된 내벽 부분을 가진 장방형이고, 장착부는 장방형 횡 단면을 갖고 상기 장착부가 소켓(50)내에 있을때 수용 부재(41)에 대한 장착부의 상대적 운동을 방지하며 관련된 내벽 부분과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서로 간격을 둔 반대편 외측면을 가진 진공 청소기.
  14. 제6항에 있어서, 진공 청소기가 가변식 진공 청소기이고, 직립식 손잡이(14)의 장착부와 거의 동일한 대응부를 갖는 휴대용 손잡이(86)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15. 제14항에 있어서, 휴대용 손잡이(86)가 설치되는 경우, 수용 부재(41)의 피벗운동을 방지하는 안전수단이 휴대용 손잡이(86)에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안전 수단이 동력부(11)와 결합된 수용 부재(41)로부터 간격이 있는 표면을 가진 진공 청소기.
  17. 제14항에 있어서, 멜빵끈(92)과 이 멜빵끈(92)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손잡이 속에 멜빵끈(92)을 저장하는 저장수단이 휴대용 손잡이(86)에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18. 제17항에 있어서, 멜빵끈(92)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멜빵끈(92)을 감아 주도록 휴대용 손잡이(86)속에 지지된 리일(94)이 저장 수단에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19. 제18항에 있어서, 멜빵끈(92)을 연장 및 수축시키는 크랭크(97)가 리일(94)에 연결된 진공 청소기.
  20. 제19항에 있어서, 멜빵끈(92)을 필요한 만큼 연장시킨 후, 크랭크(97)를 고정 위치로 움직여 리일(94)을 고정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
  21. 제14항에 있어서, 포대(17)가 수축된 위치와 신장된 위치사이의 상대적 운동을 위해 집진 포대(17)에 장착된 연결부(22)를 제공하고, 이 연결부(22)는 수축된 위치로 스프링(32)의 힘을 받으며, 연결부(22)는 직립식 손잡이(14)와 휴대용 손잡이(86)모두에 장탈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진공 청소기.
  22. 먼지 함유 공기를 흡입하는 동력부(11)와 먼지 함유 공기를 여과 배출하는 필터, 사용자가 진공 청소기를 들어옮길 수 있도록 한 동력부(11)의 손잡이(86), 상기 손잡이(86)에 피벗되어 상대적인 회전을 하는 리일(94), 한쪽 단부는 손잡이(86)에 설치되고 다른 단부는 리일(94)에 설치된 멜빵끈(92), 멜빵끈(92)이 한쪽 방향으로 리일(94)에 감기도록 하고 다른쪽 방향으로는 연장된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리일 조절 수단이 포함되는 휴대용 진공 청소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멜빵끈(92)을 리일(94)에 감을 수 있도록 리일(94)에 연결된 크랭크(97)가 조절 수단에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24. 제23항에 있어서, 리일(94)이 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고정하는 위치로 크랭크가 움직일 수 있는 진공 청소기.
  25. 제24항에 있어서, 멜빵끈(92)의 한쪽 단부가 리일(94)과 간격을 둔 위치에 있는 손잡이(86)에 연결되고, 멜빵끈(92)이 완전히 감겨져 있을때는 멜빵끈(92)이 손잡이(86)를 따라 연장되게한 진공 청소기.
  26. 제25항에 있어서, 멜빵끈(92)이 완전히 감겨지면 멜빵끈(92)이 연장될 수 있는 통로(95)가 생기도록 손잡이(86)에 홈이 형성된 진공 청소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손잡이(86)가 동력부(11)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진공 청소기.
  28. 모터 구동 팬을 가진 동력부(11), 진공 청소기가 직립식 카페트 청소기로 작동하도록 동력부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직립식 손잡이(14), 진공 청소기가 휴대용 청소기로 작동하도록 동력부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휴대용 청소기 손잡이(86), 손잡이 속에 지지된 리일(94), 한쪽 단부는 휴대용 손잡이(86)에 연결되고 다른쪽 단부는 리일(94)에 연결된 멜빵끈(92),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멜빵끈(92)이 휴대용 손잡이(86)속에 감기도록 하고, 반대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진공 청소기를 지지하기 위해 멜빵끈(92)을 연장할 수 있도록된 리일(94)이 포함되고, 상기 리일(94)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멜빵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멜빵끈(92)이 여러 위치에 고정되도록 작동하는 가변식 진공 청소기.
  29. 물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물체를 들어 올려 움직일 수 있도록 된 손잡이(86)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을 수 있는 파지부(91)가 형성된 손잡이 몸체와, 한쪽끝이 상기 손잡이(86)에 연결된 멜빵끈(92)이 포함되고, 상기 손잡이(86)에는, 상대적인 회전을 할 수 있게 지지된 리일(94)이 설치되어 있으며, 멜빵끈(92)의 다른쪽 끈이 리일(94)에 연결되고 리일(94)이 한쪽방향으로 회전하면 리일(94)에 멜빵끈(92)이 감기고,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멜빵끈(92)이 풀려 나오며, 상기 한쪽방향으로는 리일(94)을 회전시켜 주고 다른쪽 방향의 이동에 대해서는 상기 멜빵끈(92)의 조절된 위치에 리일(94)을 고정시키는 조절 수단이 포함되고, 멜빵끈(92)을 사용하지 않을때는 손잡이(86)속에다 멜빵끈(92)의 거의 전부를 저장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양의 멜빵끈(92)이 리일(94)에 감기게 된 손잡이(86).
KR1019900701756A 1988-12-09 1989-11-27 가변식 진공 청소기 및 그 손잡이 KR9300014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282,116 US4947512A (en) 1988-12-09 1988-12-09 Convertible vacuum cleaner
PCT/US1989/005328 WO1990006716A2 (en) 1988-12-09 1989-11-27 Convertible vacuum cleaner
US282116 1994-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700020A KR910700020A (ko) 1991-03-13
KR930001454B1 true KR930001454B1 (ko) 1993-02-27

Family

ID=23080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1756A KR930001454B1 (ko) 1988-12-09 1989-11-27 가변식 진공 청소기 및 그 손잡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947512A (ko)
EP (1) EP0399031B1 (ko)
JP (1) JPH0732740B2 (ko)
KR (1) KR930001454B1 (ko)
AT (1) ATE106695T1 (ko)
AU (1) AU616833B2 (ko)
DE (1) DE68916013T2 (ko)
WO (1) WO199000671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7832A (en) * 1989-11-29 1993-02-23 The Scott Fetzer Company Convertible self-proprelled vacuum cleaner
US5309600A (en) * 1993-02-12 1994-05-10 Bissell Inc. Vacuum cleaner with a detachable vacuum module
US5715566A (en) * 1993-02-12 1998-02-10 Bissell Inc. Cleaning machine with a detachable cleaning module
US5398567A (en) * 1993-04-01 1995-03-21 The Hoover Company Trigger lever arrangement
US5586358A (en) * 1994-08-15 1996-12-24 Bissell Hand carriable vacuum cleaner with accessory attachment
US6108862A (en) * 1998-05-08 2000-08-29 The Hoover Company Hand grip and upper handle assembly for a self-propelled upright vacuum cleaner
US6574831B2 (en) * 2001-06-21 2003-06-10 Black & Decker Inc. Upright vacuum cleaner having detachable upright handle
US7418763B2 (en) * 2003-02-26 2008-09-02 Black & Decker Inc. Hand vacuum with filter indicator
US20080178416A1 (en) * 2006-12-12 2008-07-31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shoulder strap reel
CA2674758C (en) * 2009-07-30 2017-02-21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2012010929A (ja) * 2010-06-30 2012-01-19 Toshiba Corp 電気掃除機用ホースおよび電気掃除機
US8943647B1 (en) 2013-08-09 2015-02-03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including a removable handle assembly
USD789632S1 (en) 2014-10-20 2017-06-13 The Kirby Company/Scott Fetzer Company Surface-treatment apparatus
USD780390S1 (en) 2014-10-20 2017-02-28 The Kirby Company/Scott Fetzer Company Handle for a surface-treatment apparatus
US9713411B2 (en) 2014-10-20 2017-07-25 The Kirby Company / Scott Fetzer Company Surface-treatment apparatus and head unit
USD762992S1 (en) 2014-10-20 2016-08-09 The Kirby Company / Scott Fetzer Company Textile with pattern
US11607637B2 (en) * 2018-08-31 2023-03-2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ower tool including an air filter and debris collecto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459A (en) * 1911-08-19 1916-05-23 James B Kirby Pneumatic cleaner.
US1184458A (en) * 1914-12-07 1916-05-23 James B Kirby Vacuum cleaning-machine.
US1235920A (en) * 1916-12-01 1917-08-07 William V Orr Dust-bag connection for suction-cleaners.
US1551856A (en) * 1923-06-22 1925-09-01 Bernard J Tamarin Take-up for vacuum cleaners
US1714225A (en) * 1925-02-25 1929-05-21 Carl L Hyde Conductor-retrieving device for vacuum cleaners
US1797455A (en) * 1925-06-10 1931-03-24 Edwin W Vose Vacuum cleaner
US1897087A (en) * 1927-12-14 1933-02-14 Tamarin Bernard Jacques Vacuum cleaner cord control device
US1900271A (en) * 1929-02-28 1933-03-07 Hoover Co Suction cleaner
US1936761A (en) * 1930-12-11 1933-11-28 Hoover Co Suction cleaner
US2003720A (en) * 1933-02-27 1935-06-04 Lena H Walton Closure for vacuum cleaner bags
US2044830A (en) * 1933-07-08 1936-06-23 Electrolux Corp Vacuum cleaner
USRE21519E (en) * 1937-02-27 1940-07-30 Vacuum cleaner muffler
NL260753A (ko) * 1960-02-03
DE1235536B (de) * 1960-09-08 1967-03-02 Vorwerk & Co Elektrowerke Kg Tragvorrichtung fuer einen Staubsauger, insbesondere einen Haushaltstaubsauger
US3193992A (en) * 1962-12-20 1965-07-13 Kingston Products Corp Upright vacuum cleaner
US3608333A (en) * 1968-06-20 1971-09-28 Bison Mfg Co Inc Vacuum cleaner and power unit
US3758914A (en) * 1971-10-06 1973-09-18 Whirlpool Co Vacuum cleaner with movable handle structure
US4662026A (en) * 1986-05-15 1987-05-05 The Singer Company Convertible vacuum cleaner handle
DE8807720U1 (ko) * 1988-06-14 1988-08-11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5600 Wuppertal,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16833B2 (en) 1991-11-07
AU4808990A (en) 1990-07-10
EP0399031B1 (en) 1994-06-08
DE68916013D1 (de) 1994-07-14
DE68916013T2 (de) 1994-09-29
WO1990006716A3 (en) 1990-08-23
KR910700020A (ko) 1991-03-13
JPH0732740B2 (ja) 1995-04-12
ATE106695T1 (de) 1994-06-15
JPH03501350A (ja) 1991-03-28
US4947512A (en) 1990-08-14
EP0399031A4 (en) 1991-05-15
EP0399031A1 (en) 1990-11-28
WO1990006716A2 (en) 1990-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1454B1 (ko) 가변식 진공 청소기 및 그 손잡이
KR100389289B1 (ko) 진공청소기
US7377010B2 (en) Dirt collecting system for a floor care appliance
KR101119615B1 (ko) 진공청소기
RU2312580C2 (ru) Пылесос с чистящей головкой
KR100912314B1 (ko) 진공청소기
US7418764B2 (en) Mode control arrangement for a floor care appliance
US20090000054A1 (en) Vacuum Cleaner Cleanout System
US4685171A (en) Guide for a driven endless belt
US6363571B1 (en) Convertible upright vacuum
US5007133A (en) Convertible vacuum cleaner
EP1733673B2 (en) Vacuum cleaner
CA2566406A1 (en) Tool for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US20060137128A1 (en) Suction cleaners
KR20050091836A (ko) 진공청소기
US5086536A (en) Convertible vacuum cleaner
US6209168B1 (en) Combination brushroll and nozzle inlet control mechanism
GB2384972A (en) Air exhaust structure for an upright-type vacuum cleaner
US5134751A (en) Hand-held vacuum cleaner
KR20080033048A (ko) 보조브러시유닛을 구비한 노즐조립체
KR10093319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CA1223754A (en) Guide for a driven endless belt
KR100228867B1 (ko) 전기 소제기
KR980008161A (ko) 복수의 걸레 착탈이 가능한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KR20050057914A (ko)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