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446Y1 - 보행기의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보행기의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446Y1
KR930001446Y1 KR2019910004329U KR910004329U KR930001446Y1 KR 930001446 Y1 KR930001446 Y1 KR 930001446Y1 KR 2019910004329 U KR2019910004329 U KR 2019910004329U KR 910004329 U KR910004329 U KR 910004329U KR 930001446 Y1 KR930001446 Y1 KR 9300014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uide
height
spring
wal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4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584U (ko
Inventor
염희성
Original Assignee
김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수 filed Critical 김정수
Priority to KR2019910004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446Y1/ko
Publication of KR9200175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5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4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4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4Apparatus for helping babies to walk; Baby walkers or strollers
    • A47D13/043Baby walkers with a seat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행기의 높낮이 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절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요부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상태의 조립 단면도로서 (a)도는 보행기의 상판을 높힌 상태의 요부단면도이고, (b)도는 낮춘 상태의 요부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 제3a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W : 보행기 1 : 상판
2 : 하대 3, 3' : ""자형 지지간
4, 4' : 단부 5 : 장홈
5a : 스프링 5b : "ㄴ"자형 조정간
6, 6' : 상부횡간 7 : 고정구
8 : 고정판 8' : 접동구
8" : 괘지공 9 : 조절구
9' : 조절편 9" : 손잡이
10 : 수직축 10' : 공간부
11 : 안내공 11' : 스프링
12, 20 : 경사면 12', 20' : 안내편
13 : 걸림구 13' : 걸림편
14, 15 : 안내레일 16 : 안내공
17, 17' : 접동공 18, 18' : ""자형 걸림턱
19 :자형 안내레일 21 : 장공
본 고안은 보행기의 높낮이를 유아들의 신장에 맞도록 간단한 방법으로 조절하여 유아들이 보행기를 편리하고 안잔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이동시는 절첩시켜 그 부피를 최소화하므로써 운반과 보관을 간편히하는 보행기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자형의 지지간을 서로 "X"자형으로 교차시켜 이에 한쪽 지지간의 상부횡간은 상판 저면의 접동구로 괘지하고 그 단부는 하대의 내측 후면에 보울트로 고정하되 또 다른 한쪽 지지간의 상부횡간은 상판 저면의 고정구에 보울트로 고정함과 동시에 그 단부는 하대의 내측 전면에 천공한 장홈으로 괘지시켜 작동되도록 상기 접동구를 고정판과 결합된 사이로 조절구상에 접동재치하고 상기 조절구의 저면으로 돌출시킨 조절관의 손잡이를 ""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판이 단계적으로 점차 하향하여 보행기의 높이를 간편하게 낮출 수 있고 반대로 상판을 높히고저 할때는 그 방향대로 상판을 ""표 방향으로 올려주면 다시 손잡이가 ""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판의 높이를 적정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조절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안의 목적은 성장기에 있는 유아들의 신장에 맞도록 하나의 보행기로 그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하여 일정기간 동안 계속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경제성과 실용성을 함께 하는데 있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판이 하대에 완전히 당접하는 상태로 절첩되도록 하여 이동시 그 부피를 최소화하므로서 운반과 보관의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종래에 알려진 많은 종류의 보행기들은 대부분이 상판과 하대를 "X"자형의 지지간으로 지지시켜 구성한 것이어서 성장기에 있는 유아들의 신장에 맞추어 보행기의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이동시 그 부피를 줄이기 위한 장치도 마련되어 있지 아니하여 운반과 보관에도 많은 불편을 수반하는 결점이 있었다.
그러나 근간에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보행기가 출현된 바 있으나 이는 "X"자형 지지간의 상부횡간과 단부가 각각 상판의 양측 전후면에 형성한 걸림홈과 장공으로 괘지되는 돌기에 의해 조절토록 한 것이어서 보행기의 높이를 낮출 때는 하향충격으로 인한 직접적인 영향이 유아에게 미치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높이를 높이고저 할 때는 걸림홈에 삽입된 돌기가 잘 빠지지 아니하여 높낮이의 조절작업이 매우 불편한 점이 없지 않았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고 목적 달성에 기여하기 위한 보행기의 높낮이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조절함과 동시에 이동시는 간단하고 절첩하여 운반 및 보관에도 편리한 효과를 갖는 보행기를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와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판(1)과 하대(2)를 그 좌우측에 서로 "X"자형으로 교차시킨 ""자형 지지간(3) (3')의 한쪽 지지간(3)의 단부(4)는 하대(2)의 내측 전면에 형성한 장홈(5)으로 괘지하여 이에 스프링(5a)을 장착하여 구성한 "ㄴ"자형의 조정간(5b)에 지지되게 하고 또 다른 지지간(3')의 단부(4')는 보울트(5c)로 하대(2)의 내측 후면에 고정시키되 이들의 상부횡간(6) (6')은 상판(1)의 전후 저면에 형성한 고정구(7)의 보울트(7')와 고정판(8)과 결합된 사이로 조절구(9)상에 재치접동된 접동구(8')의 괘지공(8')으로 각각 고정 괘지하여 이 조절구(9)의 저면으로 돌출시킨 조절편(9')의 손잡이(9')을 ""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판(1)의 높이를 낮출 수 있고 반대로 높힐 때는 하대(2)을 발로 밟고 상판(1)를 그대로 ""표 방향으로 올려주면 원하는 상태의 적정높이를 보행기(W)의 높낮이를 자유로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a는 안장을 표시한다.
이의 구체적인 구성작동을 본 고안 제3도와 제4도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자형 지지간(3')의 상부횡간(6')이 괘지된 접동구(8')는 그 저면에 수직축(10)을 갖고 마련된 공간부(l0')에 의해 중심부를 안내공(11)과 양측에 경사면(12)을 이루고 있는 안내편(12')으로 형성한 걸림구(l3)를 상기 수직축(10)에 스프링(11')을 장착시켜 공간부(10')로 탄동되도록 접동구(8')가 고정판(8)과 결합된 조절구(9)와 사이에서 압압된 상태로 왕복작동 되도록 하였다.
상기 접동구(8')는 그 상면에 안내레일(14)이 고정판(8)의 안내레일(15)에 의해 안내된다.
또한 조절구(9)는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수직축(10)의 안내공(16)과 그 좌우에 천공된 접동공(17) (17')과 사이로 형성한 ""자형 걸림턱(18) (18')의 상부로 압압된 접동구(8')의 걸림구(13)가 재치된다.
따라서 걸림구(l3)의 걸림편(13')은 ""자형의 걸림턱(18) (18')에 걸려진 상태로 수직축(10)의 일단은 안내공(16)으로 안내되고 걸림구(13)의 양측 안내편(12')은 접동공(17) (17')으로 안내되는데 상기 조절구(9')의 저면은 본 고안 제5도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쪽으로 "ㄴ"자형의 안내레일(19)을 따라 왕복작동을 하는 조절편(9)의 경사면(20)을 갖고 있는 안내편(20')이 접동공(17) (17')으로 안내되고 그 중앙에 천공된 장공(21)에는 안내공(16)으로 안내된 수직축(10)을 괘지한 상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보행(W)를 유아의 신장에 따라 높히고저 할 때는 본 고안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대(2)를 발로 밟고 ""표 방향으로 상판(1)만을 적정높이로 올려주면 그 상태에서 상판(1)이 그대로 고정되는데 이때의 작용은 서로 "X"자형으로 교차하는 ""자형의 지지간(3) (3')이 상판(1)의 전후 저면과 하대(2)의 전후 내측면에 상기 지지간(3)의 상부횡간(6)과 그 단부(4)가 보울트(7')와 스프링(5a)으로 장착시켜 구성된 "ㄴ"자형의 조정간(5b)에 걸리면서 작동되도록 고정구(7)와 장홈(5)에 각각 고정괘지되고 또 다른 지지간(3')의 상부횡간(6')과 단부(4')는 접동구(8')의 괘지공(8")과 보울트(5c)로 괘지고정한 것이어서 유아들은 신장에 맞도록 조절되는 보행기(W)의 안장(a)에 편안히 앉아서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보행기(W)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는 먼저 본 고안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판(1)를 하대(2)로부터 ""표 방향으로 올려 그 높이를 높이고저 할 경우에는 하대(2)를 발로 밟고 상판(1)을 올리면 상판(1)의 저면으로 고정된 ""자형 지지간(3)의 단부(4)는 장홈(5)에서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 단부(4')가 하대(2)에 고정된 ""자형 지지간(3')의 상부횡간(6')은 접동구(8')에 괘지공(8")으로 괘지된 상태에서 그대로 ""표 방향으로 이동을 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하는 접동구(8')에는 수직축(10)에 스프링(11')으로 장착하여 공간부(10')로 탄동되게 한 걸림구(13)가 안내공(16)과 접동공(17) (17')을 갖는 ""자형의 걸림턱(18) (18')에 걸림편(13')이 걸려진 상태로 그 양측의 경사면의 걸림턱(18) (18')에 걸림편(13')이 걸려진 상태로 그 양측의 경사면(12)과 안내편(12')은 조절구(9)의 저면에서 ""자형 안내레일(l9)에 의해 손잡이(9")로 왕복작동되는 조절편(9')의 양측 안내편(20')에 형성한 경사면(20)과 당접한 상태로 조절구(9)와 고정판(8)이 결합된 사이에서 안내레일(14) (15)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판(1)을 ""표 방향으로 올리면 안내공(16)으로 안내되는 수직축(10)의 일단이 조절편(9')의 장공(21)으로 안내된 상태에서 스프링(11')의 탄발력으로 걸림구(13)의 걸림편(13')이 ""자형의 걸림턱(18) (18')을 그대로 넘어가면서 조절편(9')과 같이 ""자형의 지지간(3')이 ""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와 서로 "X"자형으로 교차된 ""자형의 지지간(3)도 같이 작동하여 본 고안 제2도의 실선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상판(1)을 높혀주게 되는 것이고 특히 높이조절은 ""자형의 걸림턱(18) (18')에 의해 상판(1)을 적정높이에서 정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어서 유아의 신장에 따라 보행기(W)의 높이를 간편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판(1)을 반대로 낮추고저 할 때는 ""자형의 걸림턱(18) (18')을 한계단씩 이동시켜 주는 데 그 작동은 ""표 방향으로 이동된 손잡이(9")를 다시 ""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스프링(11')의 탄발력으로 걸림구(13)의 걸림편(13')의 걸림편(13')이 ""자형의 걸림턱(18) (18')에 걸려있다가 각각 안내편(12') (20')을 갖고 경사면(l2)과 경사면(20)이 서로 당접된 구성에 의해 걸림구(13)가 상승하였다가 스프링(11')의 탄벌력으로 다시 ""자형의 걸림턱(18) (18')에 걸리고 또 손잡이(9")을 잡아당기면 같은 작동이 단계적으로 순차 반복되기 때문에 유아가 안장(a)에 앉은 상태에서 보행기(W)의 높이를 낮추더라도 유아에게는 이로 인한 하향작동시의 충격을 줌이 없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상판(1)을 조절하여 그 높이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이동시는 보행기(W)를 안전히 절첩하여 운반과 보관에 편리하도록 그 부피를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하대(2)의 장홈(5)상부로 스프링(5a)을 장착하여 구성한 "ㄴ"자형의 조정간(5b)을 상부로 잡아당기면 ""자형 지지간(3)의 단부(4)가 완전히 장홈(5)의 일측으로 이동하여 하대(2)에 상판(1)이 거의 밀착된 상태로 조절되기 때문에 그 부피가 매우 적어지고 또 평상시 사용상태에서 상판(1)이 하대(2)에 근접하도록 절첩시킬때는 스프링(5a)의 탄발력에 의해 탄동되는 "ㄴ"자형 조정간(5b)에 ""자형 지지간(3)의 단부(4)가 지지되므로 자칫 잘못하여 손잡이(9")를 일시에 ""표 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일단은 이에 걸려서 상판(1)이 급격히 하대(2)에 당접하여 충격을 유발하는 일이 없는 안전한 보행기의 다목적 효과를 고루 갖춘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자형의 지지간(3) (3')을 서로 "X"자형으로 교차시켜 상판(1)과 하대(2)를 지지하여 구성한 보행기(W)에 있어서 상기 지지간(3)의 상부횡간(6)은 고정구(7)에 보울트(7')로 고정하고 그 단부(4)는 하대(2)의 스프링(5a)을 장착하여 구성한 "ㄴ"자형의 조정간(5b)을 갖는 장홈(5)에 괘지하되 또 다른 지지간(3')의 상부횡간(6')은 접동구(8')의 괘지공(8")으로 괘지하며 그 단부(4')는 하대(2)에 보울트(5c)로 고정시켜서 고정판(8)과 결합된 조절구(9)와 사이로 접동재치되는 상기 접동구(8')에는 상부를 안내레일(14)(15)로 결합안내되도록 하는 한편 그 접동구(8')에는 상부를 안내레일(14) (15)로 결합안내되도록 하는 한편 그 저면의 공간부(10')로는 스프링(11')을 장착시킨 수직축(10)을 형성하고 이의 공간부(10')로는 스프링(11')을 장착시킨 수직축(10)을 형성하고 이의 양측에 경사면(12)을 이루는 안내편(12')과 걸림편(13')을 갖는 걸림구(13)가 안내공(1l)에 의해 안내탄동되도록 이의 중심부와 좌우에 안내공(16)과 접동공(17) (17')이 천공된 ""자형의 걸림턱(18) (l8')을 갖는 조절구(9)상에서 그 저면의 안내레일(19)을 따라 손잡이(9")와 상부횡간(6')으로 안내작동되는 조절편(9')의 안내편(20')과 경사면(20)이 상기 접동공(17) (17')에서 안내공(16)을 통해 조절편(9')의 장공(21)으로 괘지된 수직축(10)에 스프링(11')으로 장착하여 구성한 걸림구(13)의 결림편(13')이 ""자형의 걸림턱(18) (18')상으로 승강자재하는 작동에 따라 상판(1)의 높낮이를 조절되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19910004329U 1991-03-30 1991-03-30 보행기의 높낮이 조절장치 KR9300014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4329U KR930001446Y1 (ko) 1991-03-30 1991-03-30 보행기의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4329U KR930001446Y1 (ko) 1991-03-30 1991-03-30 보행기의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584U KR920017584U (ko) 1992-10-17
KR930001446Y1 true KR930001446Y1 (ko) 1993-03-29

Family

ID=19312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4329U KR930001446Y1 (ko) 1991-03-30 1991-03-30 보행기의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4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584U (ko) 199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4064A (en) Adjustable height mechanism for a collapsible support frame
JPH058675A (ja) ぶらんこ椅子装置をもつ幼児用の多機能車両シート装置
CA1108045A (en) Apparatus for assisting semi-invalid person to walk
US4805928A (en) Reclining mechanism of baby carriage
US6213554B1 (en) Lift chair
US6550082B2 (en) Adjustable co-sleeper nest
TWM508254U (zh) 改良型嬰兒床的支撐裝置
US4615523A (en) Child's walker with height adjustment apparatus
KR950007778B1 (ko) 안전시트 겸용 유모차
IL109616A (en) Toddler seat
US20230337837A1 (en) Bassinet
US2767774A (en) High chair with tray attachment
US4344649A (en) Folding baby carriers
KR930001446Y1 (ko) 보행기의 높낮이 조절장치
US2454118A (en) Combination table and chair
GB2407490A (en) Chair with a height adjustable garment hanger
US6224077B1 (en) Link lifting gear for a baby-walker
CN208974481U (zh) 一种按摩椅架
US20060138827A1 (en) Swing chair and child-care chair
JP3716013B2 (ja) 学習机用の椅子
CN215776811U (zh) 一种床架高度调节机构
US7887067B2 (en) Child safety device for child seat
US5572752A (en) Bed with axial glider movement
KR200336943Y1 (ko) 학생용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장치
EP1164896B1 (en) A chair with an elastic, counter-reacting, reclining seat b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