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224B1 - 교류 아아크 용접기용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교류 아아크 용접기용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224B1
KR930001224B1 KR1019870012792A KR870012792A KR930001224B1 KR 930001224 B1 KR930001224 B1 KR 930001224B1 KR 1019870012792 A KR1019870012792 A KR 1019870012792A KR 870012792 A KR870012792 A KR 870012792A KR 930001224 B1 KR930001224 B1 KR 930001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ircuit
smoothing
switching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2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8854A (ko
Inventor
구니오 가리노
마사히로 아오야마
도시카즈 후지요시
하루오 모리구찌
히로야끼 이미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산샤덴끼 세이사꾸쇼
요모 마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00378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71267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1986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81778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산샤덴끼 세이사꾸쇼, 요모 마사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산샤덴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80008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8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Arrangements or circuits for arc welding with pulsed current or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6Arrangements or circuits for starting the arc, e.g. by generating ignition voltage, or for stabilising the arc
    • B23K9/073Stabilising the ar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4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4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4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 H02M5/45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 Generation Of Surge Voltage And Curr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교류 아아크 용접기용 전원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로도.
제2도는 다른 실시예의 일부 회로도.
제3도는 또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
제4도는 종래의 전원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5, 36,37 : 개폐회로의 스위칭소자(스위칭 트랜지스터)
21-24, 44, 45 : 보호다이오우드 28 : 전압검출기
본 발명은 스위칭 트랜지스터등을 사용하여 알루미늄등에 대하여 교류 아아크 용접을 실시하는 교류 아아크 용접기용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교류 아아크 용접기용 전원장치로서, 상용 전원을 일단 고주파 변환한후, 변압과 구형파로의 정형을 실시하는 교류 아아크 용접기용 전원장치가 실용화되어 있다.
상기한 교류 아아크 용접기용 전원장치의 회로도를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상교류전원(1)을 정류회로(2) 및 평활콘덴서(3)으로 정류평활한 후, 스위칭 트랜지스터(4), (5) 및 출력제어회로(6)로 고주파 스위칭을 실시하여 고주파(통상 2-20KHZ)로 변환한다.
또한, 고주파 출력을 트랜스(7)로 수십-수백볼트로 변압하고, 정류기(8), (9), 평활리액터(10), 평활콘덴서(11)로 다시 직류로 변환하고 있다.
그후에, 스위칭 트랜지스터(12)-(15) 및 저주파 제어회로(16)에 의하여 반전스위칭 동작을 실시하고, 정밀도가 좋은 구형파(통상 50-100HZ)의 용접전류를 얻도록 하고 있다.
제4도에 있어서, (17)은 TIG 용접등을 실시할때의 동작개시시 아아크 점화 (firing)를 쉽게 하기 위한 고주파 발진기이다.
또, (20)은 전류검지기이고, 그 검출치를 출력제어회로(6)에 보내서 출력의 정전류제어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스위칭 트랜지스터(12)-(15)에는 통상 그들 트랜지스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다이오우드(21)-(24)가 병렬로 접속된다.
상기한 교류 아아크 용접기용 전원장치에서는 변압, 정류가 고주파로 실시되기 때문에, 변압기와 리액터를 고주파용으로 구성할 수가 있고, 소형화, 저가격을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전류검지기(20)의 검출치에 의한 출력제어회로(6)의 전류제어를 빠른 응답속도로 정밀도가 좋게 실시할 수가 있다.
또, 저주파 제어회로(16)에 의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 동작시킴으로서 교류 아아크 용접을 할 수가 있는 한편, 스위칭 트랜지스터(12), (15) 또는 (13), (14)의 어느 한쪽이 ON 상태를 유지하면 직류아아크 용접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교류 아아크 용접기용 전원장치에서는 전원장치와 모재(19)와의 사이가 긴 경우에 전원장치에 부속하는 케이블을 길게 할 필요가 있다.
이 긴 케이블을 부속시킨 경우, 전원장치의 부근에 모재를 배치하면 케이블이 감기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이 경우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스스로 리액터(25)를 형성한다. 지금 스위칭 트랜지스터(14), (13)이 ON이 된 때를 생각하면 부하전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14), 리액터(25), 모재(19), 용접전극(18), 고주파 발진기(17), 스위칭 트랜지스터(13)의 경로로 흘러 리액터(25)에는 도면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전압이 발생하고 있지만, 이들 스위칭 트랜지스터(14), (13)이 OFF로 된 순간에는 리액터(25)에 도면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전압이 유기된다.
이 전압에 의하여 모재(19), 용접전극(18), 고주파 발진기(17), 보호다이오우드(21), 평활콘덴서(11), 보호다이오우드(24)의 경로로 순환전류(i)가 흘러 평활콘덴서 (11)가 충전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12), (15) 가 ON 상태로부터 OFF로 변환될때에도 동일한 방향으로 순환전류(i)가 흘르고, 이 순환전류에 의하여 콘덴서(11)가 충전된다.
이 때문에, 케이블에 생기는 리액터(25)에 크기에 따라서는 평활콘덴서(11)에 상당히 높은 전압이 충전되고, 이 전압에 의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12)-(15)를 파괴할 가능성이 있다.
예컨대 20m의 케이블을 직경 400㎜로 감았을때에 인덕턴스는 약 85μH가 된다.
이 케이블에 300A의 전류를 흘리면(콘덴서 1000μF일때) 리액터(25)에 발생하는 전압은 약 123V가 된다.
종래의 전원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리액터(25)에 높은 전압이 발생하는 일이 있기 때문에, 사용중에 평활콘덴서(11)의 충전전압이 서서히 상승해가며, 드디어는 그 전압에 의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12)-(15)를 파괴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평활콘덴서의 전압을 감시하고, 그 전압이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되면, 고주파 변환회로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하여 평활콘덴서에 대한 입력파워를 적게 하고, 평활콘덴서의 충전전압이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파괴할 정도의 크기까지 이르지 않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교류 아아크 용접기용 전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교류의 전원을 일단 직류로 하는 제1정류회로와, 직류로 된 전압을 고주파로 변환하는 고주파 변환회로와, 고주파의 전압을 변압하는 변압기와, 변압기의 출력을 정 및 부로 정류하는 제2정류회로와, 그 정류출력을 평활하는 평활리액터 및 평활콘덴서를 포함하는 평활회로와, 상기 평활회로의 평활출력을 전환하여 정극성 또는 부극성으로 용접전극 및 모재에 인가하는 개폐회로를 가지며, 상기 개폐회로는 교대로 ON-OFF하는 스위칭 소자와, 그 보호다이오우드를 구비하는 교류 아아크 용접기용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평활콘덴서의 충전전압을 검출하고, 그 충전전압이 일정 전압 이상인 것을 검출하였을때에, 상기 고주파 변환회로의 동작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검출회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관계하는 교류 아아크 용접기용 전원장치에서는 교류전원이 제1정류회로에서 일단 직류로 정류되어 고주파 변환회로에서 고주파로 변환된다.
또한, 고주파 전압이 변압기로 변압되어 제2정류회로에 의하여 정류, 평활되어서 개폐회로에 출력된다.
개폐회로에서는 스위칭 소자가 교대로 ON-OFF하여 저주파의 구형파 전류로 변환하여 용접전극과 모재에 출력한다. 교류 아아크 용접을 실시하고 있을때에, 모재와 전원장치간을 접속하는 케이블에 리액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위칭할때, 즉 정극성(또는 부극성)에서 부극성(또는 정극성)으로 바뀌는 타이밍으로 그 리액터에 전압이 유기된다.
이때에 유기되는 전압의 방향은 그 직전에 흐르고 있었던 전류의 방향이다.
따라서, 이 유기전압의 극성에 대하여 스위칭 소자에 접속되어 있는 보호다이오우드의 극성이 순방향으로 되어 유기전압에 의하여 용접전극, 모재 및 보호다이오우드를 통하여 순환전류가 흐른다. 이 순환전류는 평활회로의 평활콘덴서를 충전한다.
그러나, 전압검출회로는 이 평활콘덴서에 충전되는 전압을 감시하고 있으며, 그 충전전압이 일정한 전압 이상으로 되었을때에 고주파 변환회로의 동작정지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고주파 변환회로에서는 그 동작정지 신호를 받았을때에 고주파 변환동작을 정지하여 평활회로에 대한 파워의 공급을 정지한다.
이에 의하여 평활콘덴서의 충전전압이 저하하여 개폐회로의 스위칭 소자를 파괴할 정도의 전압까지 상승하는 것이 방지된다.
평활콘덴서의 충전전압이 저하하면 전압검출회로는 상기 동작정지 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고주파 변환회로는 다시 동작을 개시하여 평활회로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개시한다.
상기한 동작의 반복에 의하여 모재에 접속되는 케이블에 리액터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 일지라도 평활콘덴서의 충전전압이 위험수준까지 상승하는 것이 방지된다.
[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교류 아아크 용접기용 전원장치의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가 제4도에 나타내는 전원장치와 다른 부분은 평활콘덴서(11)의 충전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기(28)를 설치한 점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평활콘덴서(11)의 충전전압이 개폐회로에 일시에 방출되지 않도록 감류저항(26)을 평활콘덴서(11)의 직렬로 접속하고, 또한, 평활성을 나쁘게 하지 않도록 상기 감류저항(26)에 병렬로 다이오우드(27)를 접속하고 있다.
상기 전압검출기(28)는 평활콘덴서(11)의 충전전압을 검출하여 그 전압이 일정한 전압 이상일때에 출력제어회로(6)에 대하여 동작정지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제어회로(6)는 전류검지기(20)의 출력과 가변저항기(6a)에 의하여 설정되는 기준치와를 비교하고, 그 오차의 크기에 의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4), (5)의 ON-OFF 주기를 제어하는 공지의 회로이지만, 전압검출기(28)로부터 동작정지 신호를 받았을때에는 상기 오차의 크기에 관계없이 출력제어회로(6)의 동작을 정지한다.
즉, 스위칭 트랜지스터(4), (5)를 OFF 상태로 설정한다. 동작정지 신호를 받았을때에 출력제어회로의 동작을 정지하는 회로는 어떠한 공지의 회로라도 좋지만, 예컨대 스위칭 트랜지스터(4), (5)에 대하여 출력하는 스위칭 펄스의 발진기의 동작을 정지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4), (5)에의 출력신호를 ″L″로 강제적으로 설정하는 회로를 사용할 수가 있다.
다음은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이 ON되면 교류전압은 우선 제1정류회로(2)에서 정류되어 평활콘덴서에서 평활된 후에, 고주파 변환회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4), (5)에서 소정의 ON-OFF 주기로 스위칭 된다. 스위칭 전압은 트랜스(7)로 변압되어 다이오우드(8), (9)로 정류되어서 평활회로로 보내진다.
평활리액터(10) 및 평활콘덴서(11)로 평활된 출력은 4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12)-(15)를 가지는 개폐회로에 출력되고, 여기서 정극성 또는 부극성으로 교대로 스위칭 되어서 부하에 공급된다. 정극성의 경우에는 트랜지스터(13), (14)가 ON된다. 이 정극성에서는 평활출력이 트랜지스터(14), 케이블에 형성되어 있는 리액터(25), 모재 (19), 용접전극(18), 고주파 발진기(17), 트랜지스터(13)를 흐른다.
또한, 부극성일때에는 트랜지스터(12),(15)가 ON되고, 평활출력은 트랜지스터 (12), 고주파 발진기(17), 용접전극(18), 모재(19), 리액터(25), 트랜지스터(15)를 흐른다.
아아크 스타시에는 고주파 발진기(17)가 구동하여 아아크 상태로 이행하기 쉽게 된다. 아아크가 발생하면 고주파 발진기(17)이 OFF 되어 정극성 및 부극성에 교대로 부하전류가 흐른다.
부하전류는 전류감지기(20)에 의하여 검출된다.
그 검출치가 출력제어회로(6)에 출력된다.
출력제어회로(6)에서는 전류검지기(20)로부터의 검출치와 가변저항기(6a)에 의하여 설정된 기준치와를 비교하고, 그 오차의 크기에 입각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4), (5)에 출력하는 스위칭 펄스에 ON-OFF 주기를 제어한다.
즉, 상기 검출치와 기준치가 균등하게 되도록 스위칭 펄스의 ON-OFF 주기를 제어한다.
이 동작을 실시함으로서 부하전류(출력전류)의 정전류제어가 실시된다. 또, 저주파 제어회로(16)는 스위칭 트랜지스터(12)-(15)를 교대로 ON-OFF시키는 스위칭 펄스를 출력하지만, 그 스위칭 주파수는 가변저항기(16a)에 의하여 변경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회로는 멀티바이브 레이터등에 의하여 간단히 구성할 수가 있다.
출력제어회로(6)에서 발생하는 스위칭 펄스의 주파수는, 통상 2-20KHZ의 범위에서, 제어되고, 저주파 제어회로(16)에서 발생하는 스위칭 펄스의 주파수는, 통상 50-100HZ의 범위에서 제어된다. 아아크 동작중에 있어서는 스위칭시(정극성에서 부극성으로 전환하는 순간 또는 부극성에서 정극성으로 전환하는 순간)에 리액터(25)에 유기되는 전압에 대하여 ON에서 OFF로 전환하려 하고 있는 트랜지스터에 접속되어 있는 보호다이오우드 극성이 순방향으로 된다.
이 때문에, 유기 전압에 의하여 모재(19), 용접전류(18), 고주파 발진기(17)을 통하여 순환전류가 평활회로에 유입하고, 그 전류에 의하여 평활콘덴서(11)가 충전된다. 극성이 바뀔때마다 이 순환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평활콘댄서(11)의 충전전압은 서서히 높아간다. 그리고, 그 전압이 일정한 전압 E 이상으로 되면 전압검출기(28)이 출력제어회로(6)에 대하여 동작정지 신호를 출력한다.
이 순간에 출력제어회로(6)은 스위칭 펄스의 출력을 정지하여, 평활회로에 대하여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이에 의하여 평활콘덴더(11)의 충전 전압이 저하하기 시작하여 그 전압이 상기 일정한 전압 E 이하로 되면 다시 상기 동작정지 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되어서 출력제어회로(6)이 동작을 재개한다.
이 동작의 연속적으로 실시됨으로서, 평활콘덴서(11)의 충전전압은 일정한 전압 E 이상으로 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압 E의 크기를 스위칭 트랜지스터(12)-(15)를 파괴하는 전압이하(바람직하게는 그 전압보다도 충분히 작은 값)로 설정해 두면, 평활콘덴서(11)의 충전 전압에 의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12)-(15)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전압검출기(28)에서 출력제어회로(6)에 대하여 동작정지 신호가 출력되는 것은 모재(19)에 접속되는 케이블에 리액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리액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평활콘덴서의 충전 전압을 올리는 요인이 되는 동시에 부하전류를 둔화시킨다. 부하전류는 이상적으로는 구형파로 되지만, 리액터에 의하여 구형파가 아니게 되면 용접전류가 충분히 못해 용접 결합을 일으키는 일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 용접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부극성일때에 충분한 클리이닝 작용을 할 수 없게 되어 용접이 불가능해지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사태가 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제2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전압검출기(28)이 출력에 경보회로(29)를 접속하고, 출력제어회로의 동작정지 신호가 출력되었을때에는 스피커(30)에서 외부에 대하여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한 것이다.
경보음이 발성되면 주위에 있는 작업자는 케이블이 감겨진 상태로 되어 있어서 리액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그 경보음이 울린 단계에서 케이블이 감겨 있는 부분을 똑바로 수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트랜스(7)의 일차측에 스위칭 트랜지스터(4), (5)를 반브리지 접속하고 있다.
또, 트랜스(7)의 이차측 출력은 다이오우드(31)-(34)로 정 및 부로 정류되고, 정의 정류출력은 제 1 평활리액터(50)을 통과하고, 부의 정류출력은 제 2 평활리액터 (51)을 통과한다. 제1평활리액터(50)을 흐르는 정의 출력은 다이오우드(27)을 통하여 평활콘덴서(11)을 충전하고, 그 충전전압은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36)을 통하여 용접전극 (18)과 모재(19) 사이에 인가된다.
또, 제2평활리액터(51)를 흐르는 부의 전류는 평활콘덴서(11)을 충전하는 동시에, 그 충전전압은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37)을 통하여 용접전극(18) 및 모재(19) 사이에 인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회로의 스위칭 소자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두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36), (37)을 사용하고 각각의 트랜지스터에서 정의 출력부는 출력을 교대로 부하에 대하여 공급한다.
저주파 제어회로(16)은 가변저항기(16a)에 의하여 설정되는 주파수의 스위칭 펄스를 상기 트랜지스터(36), (37)에 공급하고, 이 펄스에 의하여 각 트랜지스터(36), (37)이 교대로 ON-OFF 된다. (44), (45)는 이들 스위칭 트랜지스터(36), (37)에 병렬로 접속되는 보호다이오우드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1평활리액터(50)과 제2평활리액터(51)의 철심을 동일하게 하여 각각의 권선을 결합시키고 있다. 결합의 방향은 역방향이다.
이 때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평활리액터(50)에서 L방향으로 발생한 유기전압 V1에 의하여 제2평활리액터(51)에는 M방향으로 V2의 전압이 유기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서 부하에 대하여 정극성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즉, 스위칭 트랜지스터(36)이 ON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부극성으로 전환되면, 그 전환타이밍에 있어서, 제1평활리액터(50)에 도시한 L방향으로 전압 V1이 발생하고, 그 전압에 유기되어서, 제2의 평활리액터(51)에 M방향으로 전압 V2가 발생한다.
이 전압 V2는 정극성으로부터 부극성으로 극성이 변화하였을때에 다이오우드 (33), (34)에 의하여 정류된 부의 전압에 가산되게 되기 때문에, 부극성으로 변환된 순간에 용접전극(18)과 모재(19) 사이에 큰 전압이 인가된다. 그 때문에, 이 극성이 바뀔때에 아아크가 불점화(misfiring)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안정된 아아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교류 아아크 용접기용 전원장치에, 평활콘덴서(11)의 충전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기(28)이 접속되어 있다.
이 전압검출기(28)은 제1도에 나타내는 전압검출기와 마찬가지로 평활콘덴서 (11)의 충전전압이 일정한 전압 E 이상으로 되면, 출력제어회로(6)에 대하여 동작정지 신호를 출력한다. 도면에 나타나는 순환전류(i)는 정극성에서 부극성으로 극성이 바뀔때에 리액터(25)에 발생한 전압에 의한 순환전류를 나타내고 있다.
즉, 이 순환전류(i)는 리액터(25)로부터 모재(19), 용접전극(18), 고주파 발진기(17), 전류검지기(20), 변압기(7)의 2차측 권선, 다이오우드(31), (32), 제1평활리액터(50), 다이오우드(27), 평활콘덴서(11), 보호다이오우드(45)의 직렬회로를 경로로 하여 흘러 평활콘덴서(11)을 충전한다.
부극성에서 정극성으로 극성이 바뀔때에는 리액터(25)에 발생하는 전압의 방향이 역으로 되지만, 이 경우에는 보호다이오우드(44), 다이오우드(27), 평활콘덴서(11), 제2평활리액터(51), 정류용 다이오우드(33), (34), 변압기(7)의 이차측 권선, 전류검지기(20), 고주파 발진기(17), 용접전극(18), 모재(19)의 직렬회로를 순환전류가 흐른다.
그리고, 이 순환전류에 의하여 평활콘덴서(11)이 충전된다.
상기 전압검출기(28)은 상기한 바와 같은 순환전류에 의하여 평활콘덴서(11)의 충전전압이 일정한 전압 E 이상으로 상승하였을때에 그 상태를 검출하여 출력제어회로 (6)에 대하여 동작정지 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그 이후에 평활콘덴서(11)의 충전전압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위칭 트랜지스터(36), (37)의 파괴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제2도에 나타내는 경보회로를 설치함으로서 작업자에게 경보하여 케이블이 감겨진 상태에 있는 것을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이 감긴 상태로서 그 부분에 리액터 성분이 형성된 경우일지라도, 평활콘덴서의 충전전압이 일정한 전압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개폐회로에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교류전원을 일단 직류로 하는 제1정류회로와, 직류로 된 전압을 고주파로 변환하는 고주파 변환회로와, 고주파의 전압을 변압하는 변압기와, 변압기의 출력을 정 및 부로 정류하는 제2정류회로와, 그 정류출력을 평활하는 평활리액터 및 평활콘덴서를 포함하는 평활회로와, 상기 평활회로의 평활출력을 전환하여 정극성 또는 부극성으로 용접전극 및 모재에 인가하는 개폐회로를 가지며, 상기 개폐회로는 교대로 ON-OFF하는 스위칭 소자(12-15) (36), (37)와 그 보호다이오우드(21-24) (44), (45)를 구비하는 교류 아아크용접기용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평활콘덴서(11)의 충전전압을 검출하고, 그 충전전압이 일정한 전압이상인 것을 검출했을때에 상기 고주파 변환회로의 동작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검출기(28)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아아크 용접기용 전원장치.
KR1019870012792A 1987-01-09 1987-11-13 교류 아아크 용접기용 전원장치 KR930001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003784A JPS63171267A (ja) 1987-01-09 1987-01-09 交流ア−ク溶接機用電源装置
JP62-3784 1987-01-09
JP?62-3784? 1987-01-09
JP?62-119862? 1987-05-15
JP62-119862 1987-05-15
JP62119862A JPS63281778A (ja) 1987-05-15 1987-05-15 交流ア−ク溶接機用電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854A KR880008854A (ko) 1988-09-13
KR930001224B1 true KR930001224B1 (ko) 1993-02-22

Family

ID=263374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2792A KR930001224B1 (ko) 1987-01-09 1987-11-13 교류 아아크 용접기용 전원장치
KR1019870012869A KR930001225B1 (ko) 1987-01-09 1987-11-16 교류아아크용접기용 전원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2869A KR930001225B1 (ko) 1987-01-09 1987-11-16 교류아아크용접기용 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300012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6788A2 (en) * 2009-01-29 2010-08-05 Brusa Elektronik Ag Converter for single-phase and three-phase operation, d.c. voltage supply and battery char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855A (ko) 1988-09-13
KR930001225B1 (ko) 1993-02-22
KR880008854A (ko) 198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35628B1 (en) Inverter device
JPH0452174B2 (ko)
US6091049A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use with arc utilizing device
JPH04234181A (ja) パルスモードによるレーザ作動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US5570254A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excessive currents in a welding converter
KR930001224B1 (ko) 교류 아아크 용접기용 전원장치
US5568226A (en) Power supply device having control transistors connected in parallel with output voltage terminals
US5189602A (en) High-voltage generator with selective half-bridge and full-bridge operation
US5942139A (en) Consumable electrode DC arc welder
US4320282A (en) Microprocessor based arc-air and welder noise abatement controller
US5650924A (en)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for a monitor
JPH0363465B2 (ko)
JP2019217544A (ja) 溶接電源装置
JPH0363466B2 (ko)
KR910006099B1 (ko) 아크 용접용 전원의 제어장치
JPH0363467B2 (ko)
JP2826566B2 (ja) インバータ式x線装置
US11478872B2 (en) Constant current control systems and methods
EP0591460A1 (en) Steerable pulse phase controller
GB2070350A (en) Converters
JPH0569134A (ja) 電撃防止回路
JP2639652B2 (ja) アーク加工装置
SU1181078A1 (ru) Стабилизирующий источник электропитани с токовой защитой
JPH065027Y2 (ja) インバータ式抵抗溶接機の電源装置
JPH0230376A (ja) アーク加工用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8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