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405B1 - 냉장고용 도어 록크 기구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도어 록크 기구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405B1
KR930000405B1 KR1019890007061A KR890007061A KR930000405B1 KR 930000405 B1 KR930000405 B1 KR 930000405B1 KR 1019890007061 A KR1019890007061 A KR 1019890007061A KR 890007061 A KR890007061 A KR 890007061A KR 930000405 B1 KR930000405 B1 KR 930000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signal
solenoid
output
switch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512A (ko
Inventor
마사히고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90017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장고용 도어 록크 기구의 제어장치
제1도는 주요부의 전기적 구성도이다.
제2도는 시스템 전체의 개략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7 : 전자 솔레노이드 9,10 : 트랜지스터(스위칭소자)
11 : 직류 출력단자(직류 전원) 12 : 저항
13 : 콘덴서 14 : 마이크로컴퓨터(제어장치)
19 : 타이머(동작 허가 신호 발생장치) 24 : 검출스위치(검출장치)
본 발명은 예를들면 호텔, 여관등의 숙박 시설의 객실에 설치되는 냉장고에 적당한 냉장고용 도어 록크기구의 제어장치, 즉 도어 록크용의 전자 솔레노이드 및 도어 록크 해제용의 전자 솔레노이드의 구동을,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지령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한 냉장고용 도어 록크 기구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호텔, 여관등의 숙박시설에서는 각 객실에 숙박객이 자유로 꺼내어 먹을 수 있도록 캔, 병입의 주류, 쥬스등의 음료품 및 포장한 안주등의 식품을 넣어서 냉장하는 냉장고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 경우 전술과 같은 냉장고에 있어서는 일반 가정용의 냉장고와 달라서, 도어를 열어서 내부의 음료품 및 식품을 꺼낼수 있는 시간 즉 판매 시간대가 미리 정해져 있고, 이 판매 시간대 이외는 냉장고에 설치된 도어 록크 기구에 의해 도어를 폐쇄 상태로 록크하는 제어를 행하게 되어 있다.
물론 냉장고내에 새로운 음료품 및 식품을 보충할 때에는 전술한 판매시간대 이외의 시간에도 도어 록크기구에 의해 록크 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전술한 것처럼 각 객실에 냉장고를 설치한 숙박시설에서 각 냉장고 마다 판매 내용(판매한 물건의 종류, 수량들의 데이터)을 프론트에 설치한 컴퓨터로 집중적으로 관리하도록 되어 있고, 이 경우에는 전술한 냉장고용 도어 록크 기구의 제어도 전술한 컴퓨터로 원격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하여 이와같은 냉장고용 도어 록크 기구에서는 종래부터 도어 록크용의 전자 솔레노이드 및 도어 록크 해제용의 전자 솔레노이드를 설치하여 컴퓨터로부터 록크 지령신호가 주어졌을 때 도어 록크용의 전자 솔레노이드에 단시간 통전해서 도어를 록크하고 컴퓨터로부터 록크 해제 지령신호가 주어졌을 때 도어 록크 해제용의 전자 솔레노이드에 단시간 통전해서 도어를 록크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 구성에서는 각 전자 솔레노이드를 구동하는 직류 전원용에 사용되는 전원 트랜스로서 코스트면을 고려해서 전원용량이 비교적 작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고, 또 전원 솔레노이드의 구동시에는 비교적 큰 순간 전류가 흐르는 성질이 있다.
때문에 도어의 록크 또는 록크 해제시에는 전자 솔레노이드에 통전되었을때 큰 부하 전류가 흘러서 전원 전압이 저하하고 그 결과 전자 솔레노이드가 필요한 구동력을 얻을 수 없게 되어 도어 록크 기구가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게 하고 결국 도어의 록크 해제가 정상으로 행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여기서 종래에는 이와같은 문제점에 대처하기 위해 평상시에 직류 전원으로부터 저항을 통해서 충전되는 콘덴서를 설치함과 동시에 콘덴서의 충전전하를 도어 록크 및 도어 록크 해제용의 각 전자 솔레노이드에 선택적으로 주는 스위칭 회로를 설치함으로서 전자 솔레노이드에 대한 통전에 전술한 콘덴서의 방전에 동반하는 전류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여, 전자 솔레노이드에 충분한 구동력을 주어 도어 록크 기구를 정상 동작시키는 것이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다음에 서술한 새로운 문제점이 야기된다.
즉 전술과 같이 도어 록크 기구의 원격 조작을 행하는 제어계는 제어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피이드 백 제어계로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 경우 냉장고측에서 전술한 컴퓨터측에는 그 도어 록크 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피이드 백되도록 되어 있고 컴퓨터는 록크 지령신호 및 록크 해제 지령신호의 각 출력시에 전술한 피이드 백 신호에 입각해서 지령내용의 실행이 완료했는가 어떤가를 판단하여 완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술한 각 신호를 주기적으로 반복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이 보통이다.
한편 새로운 음료품 및 식품의 보충 작업등에 수반하는 비교적 짧은 기간에서 록크 지령신호 및 록크 해제신호가 차례로 혹은 역순으로 출력되었을 때 일단 방전상태로 된 콘덴서의 단자전압이 재충전에 의해 전자솔레노이드의 정상적 구동에 필요한 최저 구동전압까지 상승하기 전의 단계에서 구동을 위해 콘덴서의 충전전하가 방전되는 일이 있다.
때문에 이와같은 경우에는 컴퓨터로부터 지령신호가 반복해서 출력되게 되고 콘덴서의 충전전하가 그 단자전압의 충분한 상승을 보기 전에 다음의 지령신호에 의해 방전되는 일이 있어서 이 결과 아무리 지나도 전자 솔레노이드의 구동이 종료하지 않게 된다는 심각한 사태에 빠질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해서 된 것으로 그 목적은 냉장고용 도어 록크 기구가 갖는 전자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콘덴서를 이용함으로서 전자 솔레노이드를 정상 동작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서 전자 솔레노이드가 구동 불능 상태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용 도어 록크 기구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도어 록크용의 전자 솔레노이드 및 도어 록크 해제용의 전자 솔레노이드의 구동을 외부에서 주어지는 지령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한 냉장고용 도어 록크 기구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각 전자 솔레노이드의 통전로에 각각 제1 및 제2의 스위칭 소자를 끼워서 이들 각 스위칭 소자의 오프상태에서 직류 전원으로부터 저항을 통해서 충전되도록 하면서 전술한 각 스위칭 소자의 온 상태에서 대응하는 전자 솔레노이드에 충전 전하를 주어 이것을 구동하는 콘덴서를 설치하고 이 콘덴서 단자전압이 전술한 전자 솔레노이드의 최저 구동전압 이상인 것이 판단되었을 때는 동작 허가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허가 신호 출력장치를 설치함과 동시에 도어 록크상태 및 도어 록크 해제상태를 검지해서 상태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검지장치를 설치하고 또 외부에서 전술한 제1 및 제2의 스위칭 소자의 어느 것에 대해 온 지령신호가 주어졌을때에 전술한 동작 허가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스위칭 소자를 온시키는 제어장치를 설치하고 또한 스위칭 소자를 온시킨 후 전술한 검지장치로부터 상태 검지신호에 입각해서 도어 록크 및 도어록크 해제가 정상적으로 동작했는가 어떤가를 판단하여 정상 동작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술한 동작 허가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는 스위칭 소자를 다시 온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제1 및 제2의 스위칭 소자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콘덴서에 대해 직류 전원으로부터 저항을 통해서 충전된다.
이러한 충전에 의해 콘덴서의 단자전압이 전자 솔레노이드의 최저 구동전압 이상으로 된때에는 동작 허가 출력장치로부터 동작 허가 신호가 출력된다.
이와같이 동작 허가 신호가 출력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예를들면 제1의 스위칭 소자에 대해 온 지령신호가 주어졌을 때에는 제어장치가 스위칭 소자를 온시킨다.
그러면 콘덴서의 충전전하가 제1의 스위칭 소자를 통해서 도어 록크용의 전자 솔레노이드에 주어지기 때문에 전자 솔레노이드가 정상으로 구동되어 도어가 록크된다.
또한 동일한 동작 허가 신호가 출력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제2의 스위칭 소자에 대해 온 지령신호가 주어졌을 때에는, 제2의 스위칭 소자가 제어장치에 의해 온되어 콘덴서의 충전전하가 도어 록크 해제용의 전자 솔레노이드에 주어지기 때문에 전자 솔레노이드가 정상으로 구동되어 도어 록크가 해제된다.
한편 전술한 동작 허가 신호가 출력되어 있지 않은 상태, 즉 콘덴서의 단자전압이 전자 솔레노이드의 최저 구동전압에 도달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에서 제1 혹은 제2의 스위칭 소자에 대해 온 지령신호가 주어졌을 때에는 제어장치가 각 스위칭 소자를 온시키지 않는다.
때문에 콘덴서의 충전 전하가 필요없이 방전되지 않고 온 지령신호가 반복해서 주어질 경우도 전자 솔레노이드가 구동 불능 상태로 빠질 위험성이 없어진다.
이와같이 전자 솔레노이드의 구성을 콘덴서의 단자전압이 전자 솔레노이드의 최조 구동전압이상인 것을 판단한 후 행하도록 했으므로 전자 솔레노이드를 정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검지장치에서의 상태 검지신호에 입각해서 도어 록크 및 도어 록크 해제가 정상으로 작동했는가 어떤가를 판단하여 어떤 이상으로 전자 솔레노이드가 정상 작동하지 않은 경우에는 동작 허가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스위칭 소자를 다시 온시키도록해서 콘덴서의 단자전압이 전자 솔레노이드의 최저 구동전압 이상인 것을 판단한 후에 전자 솔레노이드를 재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솔레노이드를 한층 확실하게 구동할 수 있도록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제2도에 있어서“1”은 호텔등의 프론트에 설치된 호스트 컴퓨터로 이것은 각 객실에 배치된 복수의 시스템 냉장고(2)(3)(4)…와 모뎀(1a)(2a)(3a)(4a)…을 각각 통해서 통신회선(5)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1)는 각 시스템 냉장고(2)…마다의 판매 내용(판매한 물품의 종류, 수등의 데이터)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도록 되어 있다.
또 호스트 컴퓨터(1)는 각 시스템 냉장고(2)…에 의한 음료등의 판매 시간대의 개시시각에 온 지령신호인 예를들면 록크 해제 지령신호를 출력하면서 그 판매 시간대의 종료시각에 온 지령신호인 예를들면 록크지령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또 냉장고(2)…내의 음료품, 식품의 보충을 행하는 경우등의 적절한 시기에도 전술한 각 지령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제1도에는 전술한 각 시스템 냉장고(2)…의 내부 회로 구성 가운데 본 발명의 요지에 관계되는 부분만 나타내고 있다.
제1도에서 “6”은 도어 록크용의 전자 솔레노이드, “7”은 도어 록크 해제용의 전자 솔레노이드이고, 전자 솔레노이드(6)가 통전 구동될때에는 도시하지 않은 도어 록크 기구가 냉장고용 도어를 록크한 상태로 변환하고 전자 솔레노이드(7)가 통전된때에는 도어 록크 기구가 냉장고용 도어를 록크한 상태로 변환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전자 솔레노이드(6)(7)는 각 일단이 전원라인(8)에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타단인 각각 제1 및 제2의 스위칭 소장인 예를들면 트랜지스터(9)(10)를 통해서 접지단자로 접속되어 있다.
전원라인(8)은 직류 전원인 직류 출력단자(11)에 대해 저항(12)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고, 전원라인(8) 및 접지단자 간에는 콘덴서(13)가 접속되어 있다.
이와같이 접속된 결과 콘덴서(13)는 트랜지스터(9)(10)가 오프된 상태에서 직류 출력단자(11)에서 저항(12)을 통해서 충전되면서 각 트랜지스터(9)(10)가 온된 상태에서 온된 트랜지스터에 대응하는 전자 솔레노이드(6) 및 (7)로 충전 전하를 준다.
그런데“14”는 제어장치의 기능등을 포함해서 구성된 마이크로컴퓨터로 이것은 CPU(중앙처리장치)(15), 롬(16), 램(17), 통신제어회로(18), 동작 허가 신호 발생장치인 예를들면 타이머(19)등으로 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14)의 도어 록크용 출력 포트(20) 및 도어 록크 해제용 출력 포트(21)는, 트랜지스터(9) 및 (10)의 각 베이스에 각각 저항(22) 및 (23)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컴퓨터(14)에 있어서의 타이머(19)의 기능에 대해 말하자면 타이머(19)는 콘덴서(13)의 단자전압(Vs)이 전자 솔레노이드(6)(7)의 최저 구동전압(Vs) 이상으로 될 때까지의 최장 충전 소요시간(T)측정이 행해졌을때 콘덴서(13)의 단자전압(Vc)이 전자 솔레노이드(6)(7)의 최저 구동전압(Vs)이상인 것을 판단해서 동작 허가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최저 구동전압(Vs)은 전원라인(8)의 전압을 기준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에서는 전자 솔레노이드(6)(7)각각 구동하는데 필요한 하한 전압과 트랜지스터(9)(10)에서의 전압강하를 각각 합계한 값으로 되어있다.
한편“24”는 검지장치인 검지스위치로 이것은 도시하지 않은 도어 록크 기구에 따라 움직이는 마이크로 스위치등으로 된다.
검지스위치(24)는 직류 출력단자(25)와 접지 단자와의 사이에 저항(26)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검지스위치(24)와 저항(26)의 접속점이 마이크로컴퓨터(14)의 상태 검지용 입력 포트(27)에 접속되어 있다.
검지스위치(24)로부터는 도어 록크 기구가 록크 상태에 있을 때 하이레벨 신호로 되고 록크 해제 상태에 있을때는 로우레벨 신호로 되는 상태 검지신호가 출력되도록 되어있다.
여기서 전술한 마이크로컴퓨터(14)에 있어서의 제어장치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마이크로컴퓨터(14)는 타이머(19)로부터의 동작 허가 신호, 검지스위치(24)로부터의 상태 검지신호 및 외부인 호스트 검퓨터(1)로부터의 록크 지령신호 및 록크 해제 지령신호를 받도록 되어 있고, 이들 각 입력 및 미리 전술한 롬(16)에 기억한 프로그램에 입각해서 트랜지스터(9)(10)의 온, 오프 상태를 제어하도록 되어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마이크로컴퓨터(14)는 록크 지령신호가 주어졌을때에 동작 허가 신호가 주어져 있는 것을 조건으로 트랜지스터(9)의 베이스에 일정시간폭의 온 신호를 주고, 록크 해제 지령신호가 주어졌을 때에 동작 허가 신호가 주어져 있는 것을 조건으로 트랜지스터(10)의 베이스의 일정시간폭의 온 신호를 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4)는 검지스위치(24)로부터의 상태 검지신호를 받아서 도어 록크 기구의 동작상태를 판별한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컴퓨터(14)는 상태 검지신호에 입각해서 전술한 록크 지령신호 및 록크 해제 지령신호의 출력시에는 그 출력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때에 각 지령이 완료했는가 어떤가 즉 도어 록크 및 도어록크 해제가 정상적으로 동작했는가 어떤가를 판별한다.
그래서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술한 동작 허가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트랜지스터(9)(10)의 베이스에 다시 일정 시간폭의 온 신호를 주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1)로부터 록크 지령신호 혹은 록크 해제 지령신호의 출력시에 각 지령이 완료하지 않은 경우는 각 시스템 냉장고(2)…에서 마이크로컴퓨터(14)에 의해 해당 전자 솔레노이드(6)(7)를 재가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재가동의 회수는 1회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한 회수 혹은 전술한 각 지령이 완료할때까지 반복하고 또 수차례 반복한후 이상 경보 신호를 호스트 컴퓨터(1)에 전송하도록 설정해도 좋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각 시스템 냉장고(2)…의 전원 투입후에는 콘덴서(13)에 대해 저항(12)을 통해서 충전되기 때문에 그 단자전압(Vc)이 상승한다.
그래서 최장 충전 소요시간(T)이 경과하면 단자전압(Vc)이 최저 구동전압(Vs)이상에 달하면서 마이크로컴퓨터(14)에 타이머(19)로부터 동작 허가 신호가 출력된다.
그래서 이후에는 동작 허가 신호가 출력된 상태에서, 호스트 컴퓨터(1)에서 록크 지령신호가 출력되면 이것을 받은 각 시스템 냉장고(2)…의 마이크로컴퓨터(14)가 트랜지스터(9)의 베이스에 일정 시간폭의 온 신호를 준다.
그러면 트랜지스터(9)가 온되기 때문에 콘덴서(13)의 충전 전하가 전자 솔레노이드(6)에 주어져 이것이 구동되도록 되고 도시하지 않은 도어 록크 기구가 록크된다.
또한 타이머(19)로부터 동작 허가 신호가 출력된 상태에서 호스트 컴퓨터(1)로부터 록크 해제 지령신호가 출력된때에는 마이크로컴퓨터(14)가 트랜지스터(10)의 베이스에 일정시간 폭의 온 신호를 주기 때문에 트랜지스터(10)의 온에 따라서 콘덴서(13)의 충전 전하가 전자 솔레노이드(7)에 주어지도록 되고 도시하지 않은 도어 록크 기구가 록크 해제된다.
여기서 전술과 같은 전자 솔레노이드(6)(7)의 각 구동시에는 콘덴서(13)의 단자전압(Vc)은 전자 솔레노이드(6)(7)의 최저 구동전압(Vs)이상이므로 이들의 구동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그런데 전술과 같은 전자 솔레노이드(6) 혹은 (7)가 구동된 후에는 콘덴서(13)의 단자전압(Vc)이 저하하나 이때에는 마이크로컴퓨터(14)에서 타이머(19)가 리셋트 동작되어 타이머(19)가 동작 허가 신호를 출력 정지한다.
그래서 이와같은 동작 허가 신호가 출력 정지된 기간에 호스트 컴퓨터(1)에서 예를들면 록크 지령신호가 출력된 때에는 마이크로컴퓨터(14)는 타이머(19)의 측정이 종료하는 결국 최장 충전 소용시간(T)이 경과한후 구동 허가 신호가 출력된때에 트랜지스터(9)의 베이스에 온 신호가 출력되어 전술과 같이 전자솔레노이드(6)가 구동된다.
물론 동작 허가 신호가 출력 정지된 사이에 호스트 컴퓨터(1)로부터 록크 해제 지령신호가 출력된때에도 전술과 같이 전자 솔레노이드(7)가 구동된다.
또 전술한 것처럼 호스트 컴퓨터(1)로부터 예를들면 로크 지령신호가 출력된때에 전자 솔레노이드(6)를 구동한 경우에 어떤 이상으로 전자 솔레노이드(6)가 정상 동작하지 않았던 때에 대해서는 마이크로컴퓨터(14)는 트랜지스터(9)를 온시킨후, 검지스위치(24)로부터의 상태 검지신호에 입각해서 도어 록크가 정상으로 작동했는가 어떤가를 판단하여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은 것을 판단한다.
그래서 이와같은 경우에는 타이머(19)로부터 동작 허가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트랜지스터(9)를 다시 온시켜서 전자 솔레노이드(6)를 구동한다.
이와같이 해서 콘덴서(13)의 단자전압(Vc)이 전자 솔레노이드(6)의 최저 구동전압(Vs)이상인 것을 판단한 후에 전자솔레노이드(6)를 재가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솔레노이드(6)를 한층 확실하게 구동할 수 있도록 된다.
이것은 전자 솔레노이드(7)를 재구동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전자 솔레노이드(6) 및 (7)의 각 구동이 콘덴서(13)의 충전 전하에 의해 행해진 결과 전자 솔레노이드(6) 및(7)에 충분한 구동력을 줄 수 있어서 이것들을 정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콘덴서(13)의 단자전압(VC)이 최저 구동전압(VS)에 도달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호스트 컴퓨터(1)에서 록크 지령신호 및 록크 해제 지령신호가 주어지는 각 경우에는 트랜지스터(9) 및 (10)가 온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콘덴서(13)의 충전전하가 쓸모없이 방전되는 일이 없어지고, 록크 지령신호 혹은 록크 해제 지령신호가 만약 연속적 혹은 주기적으로 출력되는 일이 있어도 전자 솔레노이드(6)(7)가 종래와 같이 동작 불능으로 빠질 위험이 없어진다.
특히 록크 지령신호 및 록크 해제 지령신호에 따라 트랜지스터(9)(10)를 온시킨 후 검지스위치(24)로부터의 상태 검지신호에 입각해서 도어 록크 및 도어 록크 해제가 정상으로 동작했는가 어떤가를 판단하여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은 경우에는 타이머(19)로부터 동작 허가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해당 트랜지스터(9)(10)를 다시 온시켜 전자 솔레노이드(6)(7)를 재구동하도록 되므로 전자 솔레노이드(6)(7)를 한층 확실하게 구동할 수 있도록 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동작 허가 신호 발생장치로서 마이크로컴퓨터(14)에 내장된 타이머(19)를 이용했으나 대신에 외장 타이머 회로를 이용해도 좋고 또CR 시정수 회로를 이용해도 좋다.
또 동작허가 신호 발생장치로서는 콘덴서(13)의 단자전압(Vc)이 최저 구동전압(Vs)이상으로 될 때까지의 최장 충전 소용시간(T)을 측정하는 타이머(19)를 이용하는 대신에 콘덴서의 단자전압(Vc)의 전압값을 검지해서 이것과 기준 전압으로서의 최저 구동전압(Vs)과를 비교함으로서 단자전압(Vc)이 최저 구동전압(Vs)이상으로 되는 것을 직접적으로 검지하는 전압 검지장치(예를들면 기준전압 발생회로 및 비교기로 구성한다)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특히 콘덴서의 단자전압(Vc)을 직접적으로 검출하므로 전자 솔레노이드를 더욱더 정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시스템 냉장고(2)…측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14)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1)에서의 록크 지령신호 및 록크 해제 지령신호에 따라서 트랜지스터(9)(10)를 온시킨후, 검지스위치(24)로부터의 상태 검지신호에 입각해서 도어 록크 및 도어 록크 해제가 정상으로 작동했는가 어떤가를 판단하여 정상으로 작동하지 않은 경우에는 타이머(19)에서 동작 허가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해당 트랜지스터(9)(10)를 다시 온시키는 제어를 행했으나, 이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검지스위치로부터의 상태 검지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한 통신회선을 통해서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여 호스트 컴퓨터측에 있어서 그의 상태 검지신호에 입각해서 도어 록크 및 도어 록크 해제가 정상으로 동작했는가 어떤가를 판단하여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은 경우에는 록크 지령신호 및 록크 해제 지령신호를 다시 각 시스템 냉장고로 전송해서 동작 허가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트랜지스터를 다시 온시키도록 제어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 설명에서 밝혀진 것처럼 냉장고용 록크 기구가 갖는 전자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콘덴서의 충전전하를 이용함으로서 전자 솔레노이드를 정상 동작시킬 수 있고 특히 이와같은 구성으로 하면서 전술한 콘덴서의 전압이 불충분한 상태에서는 전자 솔레노이드의 구동을 행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서 전자 솔레노이드가 구동 불능상태에 빠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도어를 록크 가능한 냉장고의 도어 록크용의 전자 솔레노이드(6) 및 도어 록크 해제용의 전자 솔레노이드(7)의 내의 하나의 구동을 외부에서 주어지는 지령신호에 의해 제어하는 냉장고용 도어 록크 기구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하나의 전자 솔레노이드의 통신로에 끼워진 스위칭 소자(9) 또는 (10)와, 스위칭소자의 비동작 상태에서 직류 전원으로부터 충전되고 또 스위칭 소자의 동작상태에서 전술한 솔레노이드에 충전전하를 주어 구동하는 콘덴서(13)와, 이 콘덴서의 단자전압이 전술한 전자 솔레노이드의 최저 구동전압이상인때에 동작 허가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허가 신호 출력장치(19)와, 도어 록크 상태 또는 도어 록크 해제 상태에 따라 상태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검지장치(24)와, 외부로부터 전술한 스위칭 소자에 동작 지령신호가 주어진때에, 전술한 동작 허가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경우에만 동작 지령신호에 입각해서 스위칭 소자를 동작시키는 제어장치와, 이 제어장치에 의해 스위칭 소자를 동작시킨 후 전술한 검지장치에서의 상태 검지신호에 입각해서 도어 록크 또는 도어 록크 해제가 정상으로 실행되었는가 어떤가를 판단하는 장치와, 도어 록크 또는 도어 록크 해제가 정상으로 실행되지 않았을 때 전술한 동작 허가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경우에만 스위칭 소자를 재동작시키는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록크 기구의 제어장치.
KR1019890007061A 1988-05-27 1989-05-26 냉장고용 도어 록크 기구의 제어장치 KR930000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30898A JPH01299976A (ja) 1988-05-27 1988-05-27 冷蔵庫用扉ロック機構の制御装置
JP88-130898 1988-05-27
JP??63-130898 1988-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512A KR890017512A (ko) 1989-12-16
KR930000405B1 true KR930000405B1 (ko) 1993-01-18

Family

ID=15045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061A KR930000405B1 (ko) 1988-05-27 1989-05-26 냉장고용 도어 록크 기구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1299976A (ko)
KR (1) KR9300004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0043B2 (ja) * 1991-04-22 1997-08-13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蔵庫装置
JPH0569268U (ja) * 1991-10-24 1993-09-21 株式会社新興製作所 電気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512A (ko) 1989-12-16
JPH01299976A (ja) 198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88240B1 (en) Inverter apparatus provided with electric discharge control circuit of DC smoothing capaci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S6144233B2 (ko)
EP1070919B1 (en) Control circuit for gas burners
US4531307A (en) Fabric dryer control with cycle interrupt
KR930000405B1 (ko) 냉장고용 도어 록크 기구의 제어장치
US5175413A (en) Fail-safe relay drive system for cooking apparatus
JPS593602A (ja) 電子制御装置
US4593180A (en) Electric control apparatus with undervoltage protection
US4467391A (en) Monitor for an electrically-controlled system
KR101138885B1 (ko) 세탁기의 도어 록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79339B2 (ja) 冷蔵庫用扉ロック機構の制御装置
KR0181318B1 (ko)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폭주 방지 회로
KR0138768B1 (ko) 소멸성 메모리 보존 시스템
JPH04291634A (ja) マイコンの故障検知回路
JP2542814B2 (ja) 蓄積回路を有する2信号型煙感知器
JPH0561641B2 (ko)
JPH0334006A (ja) 熱利用機器の温度制御方法、動作制御方法、及び異常検知装置
JP2001120423A (ja) 炊飯器
KR950009113Y1 (ko) 마이콤 오동작 방지회로
JPH0431674Y2 (ko)
US6191396B1 (en) Heater abnormality detecting circuit
JPH0638361A (ja) 制御電源装置
JPH0120326B2 (ko)
JPS6223040Y2 (ko)
JPS6011754Y2 (ja) 分相起動型電動機の起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