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354B1 -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 Google Patents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354B1
KR930000354B1 KR1019900009558A KR900009558A KR930000354B1 KR 930000354 B1 KR930000354 B1 KR 930000354B1 KR 1019900009558 A KR1019900009558 A KR 1019900009558A KR 900009558 A KR900009558 A KR 900009558A KR 930000354 B1 KR930000354 B1 KR 930000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lux
cathode ray
ray tube
coil
tub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9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362A (ko
Inventor
마사히로 요꼬따
끼요시 오야마
히데오 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25649A external-priority patent/JP256710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05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03Arrangements for eliminating unwanted electromagnetic effects, e.g. demagnetisation arrangements, shielding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4Traps for removing or diverting unwanted particles, e.g. negative ions, fringing electrons; Arrangements for velocity or mass sel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15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leaving the enclo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에 장착된 편향요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주코일에서 발생하는 자속의 분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종래의 누설자속을 감소시키기 위한 보조코일을 구비한 편향요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계되는 칼라 음극선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에 나타낸 칼라 음극선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제6도는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 보상폐쇄코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자속분포를 나타낸 도면.
제7a도에서 제7c도는,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 보상폐쇄코일에 의한 누설자속이 감소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제8a도 및 제8b도는 본 발명의 칼라음극선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
제9도는 제8a도 및 제8b도에 나타낸 보상 폐쇄코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자속분포를 나타낸 도면.
제10a도, 제10b도, 제11a도, 제11b도, 제12a도, 제12b도, 제13a도, 제13b도 및 제14a도, 제14b도는 각각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장치의 다른 여러가지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
제15도는 제13도에 나타낸 보상폐쇄코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자속 분포를 나타낸 도면.
제16a도 및 제16b도, 제17a도 및 제17b도, 제18a도 및 제18b도는 각각 또다른 실시예의 칼라 음극선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6 : 몰드부재 2 : 수평편향주코일
3 : 코어 7,10 : 누설자속
9 : 플랜지부 11 : 보조코일
20 : 패널 21 : 퍼넬
22 : 외곽용기 23 : 넥
24 : 콘(cone)부분 25 : 편향요크
27A : 앞면플랜지부 28 : 보상폐쇄코일
29 : 방폭밴드 30 : 래그판
36 : 플랜지와이어 37 : 보상자속
본 발명은 편향요크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불필요한 복사에 관해서는, 예를들면 전파장해적인 관점에서 이전보다도 VDE(Verband Deutcher Elektrotechniker)등에 규격을 설정하여 이를 근거로 규제하고 있으며, 음극선관의 분야에서도 일반적으로 VDE를 토대로 그 규제가 실시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 북유럽을 중심으로 주로 인체에 관한 영향을 감안하여 누설 자장을 규제하는 움직임이 있다.
그 MPR(SSI) 규격에 따라서 문제가 되는 자장은 1KHz-400KHz의 자장이며, 음극선관장치에 대해서는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코일에서 발생하는 자속중, 전자총에서 방출되는 전자비임의 편향에 기여하지 않은 누설자속을 상당한 레벨까지 감소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고 있다.
즉, 이 누설자속을 억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주설자속을 소정의 레벨까지 감쇄시켜야함과 동시에, 전자비임을 편향시키는 유효자속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즉 전자비임의 컨버젼스 특성과 랜딩특성등의 편향특성을 변화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1도는 칼라음극선관등의 음극선관에 장착되는 일반적인 편향요크를 나타내고 있다.
이 편향요크에는 몰드부재(1)의 내측에 전자비임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한쌍의 새들형 수평평향주코일(2)이 수평축(X축)을 경계로 해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주코일(2)에서 발생되는 자속의 대부분인 수평편향 주자속, 즉 유효자속은 몰드부재(1)를 둘러싼 코어(3)에 의해 편향요크의 내측공간에 국한되게 되지만, 일부는 누설자속, 즉 무효자속으로써 외부로 누설된다.
제2도에는 그 수평편향주코일(2)로부터 발생되는 수평편향 주자속과 누설자속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보통 수평편향주자속(6)과 대략 동일한 방향을 갖는 누설자속(7)은 관축에 대해 약 30°-40°의 각도를 갖는 기준누설자속(8a)(8b)내부에서 발생되며, 그 기준누설자속(8a)(8b)외부에서는 스크린측의 수평편향코일(2)의 플랜지부(9)에서 주자속 (6)과는 역방향으로 누설자속(10)이 발생하고 있다.
음극선관 주변부의 누설자속을 억제하는 기술로써 종래 편향요크전체를 금속관으로 덮는 방법이 있지만 단순히 편향요크를 금속성의 케이스로 덮는 것만으로는 누설자속의 차폐가 불충분하여 누설자속을 원하는 레벨까지 감소시킬 수 없다.
또 그 방법에서는 편향요크전체를 덮기 때문에 구조설계상의 계약과 방열의 문제 및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이 금속판을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써 일본 특개소 62-64024호 공보에서는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수평편향주코일(2)과 거의 동일한 형태의 2개의 보조코일(11)이 새들형 수평편향주코일(2)에 코어(3)를 통해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공보에 게재된 음극선관장치에서는 화살표(12)로 나타낸 수평편향주코일 (2)의 주자속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화살표(13)로 나타낸 보상자속이 발생되도록, 수평편향주코일(2)에 흐르는 전류의 일부를 역위상으로 보조코일(11)로 흐르게 하여 보조코일(11)에서 발생되는 보상자속에 의해 수평편향주코일(2)의 누설자속을 감소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 보조코일(11)을 이용한 누설자속의 억제기술은 소정위치의 누설 자속을 소정의 레벨까지 감쇄시키기 위한 제어가 어려우며, 또한 본래 누설자속이 적은 위치에 그 보조코일(11)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편향요크의 뒷부분의 공간등에서의 누설자속은 과보정되어 역누설자속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편향요크 근방에 이와 같은 역누설 자속을 발생시키는 보조코일을 이용하는 것은 전술한 편향 특성에도 영향을 미치기 쉬운 문제가 있다.
즉, 상술한 것처럼 종래 음극선관 장치의 편향요크에서 발생되는 누설자속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새들형 수평편향주코일의 외측에 코어를 통해서 대향한 수평편향주코일과 대략 동일한 형태의 보조코일을 배치하고, 이 보조코일에 수평편향주코일로 흐르는 전류의 일부를 역위상으로 흐르게 하여 수평편향주코일의 누설 자속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종래 장치가 있다.
그러나 이 보조코일에 의한 제어방법은 소정위치에서의 누설자속을 소정레벨까지 감쇄기시키기 위한 제어가 어려우며 또한 편향요크의 뒷부분의 공간등에서의 보정은 너무 잘 이루어져 역효과를 내기쉬운 문제가 있다. 게다가 편향특성에도 영향을 주기쉬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의 새들형 수편편향주코일에서 발생되는 누설자속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동시에, 과보정과 전자비임의 컨버젼스와 랜딩등에 관계되는 편향특성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는 누설 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이, 수편편향주코일의 플랜지부에서 발생되는 누설자속이 통과하는 영역에, 일부가 수평편향주코일의 플랜지부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보상폐쇄코일을 배치하면, 수평편향주코일의 전면에 걸친 부분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의 시간적 변화에 의해 보상폐쇄코일에 유도기전력이 유기되어 유도전류가 흐른다.
그것에 의해 누설자속과 반대 방향의 자속이 발생하여 음극선관의 주변부의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칼라 음극선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장치의 칼라음극선관은 일체로 접합된 대략직사각형의 패널(20)과 깔때기모양의 퍼넬(21)로된 외곽용기(22)를 가지고 있으며 그 패널(20)의 페이스플레이트내면에 3색형광체층으로된 형광스크린이 설치되어 있고 이 형광스크린에 대향해서 그 내측에 새도우마스크가 장착되어 있다.
또 퍼넬(21)의 넥(23)내부에 3전자비임을 방출하는 전자총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총 어셈블리에서 방출된 3전자비임을 편향시키기 위하여 퍼넬(21)의 콘부분(24)과 넥(23)과의 경계부 외측에 편향요크(2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편향요크(25)는 몰드부재(26)의 내측에 수평축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3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자계를 발생시키는 한쌍의 새들형 수평편향주코일과, 코어에 감긴 몰드부재(26)의 외측에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어, 3전자비임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자계를 발생시키는 한쌍의 톨로이틀형 수직편향코일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칼라 음극선관장치에는 퍼넬(21)의 콘부분(24)의 상하 외측면상에 적어도 1회 감긴 루프형태의 보상폐쇄코일(단락된 도전선, 즉 제1 및 제2전류로)(28)이 배치되어 있다.
이 보상폐쇄코일(28)의 뒷부분은 새들형 수평편향코일의 앞면 플랜지부(27A), 즉 형광면측의 플랜지부(27A)위에 위치하며, 또한 그 보상폐쇄코일(28)의 앞부분은 칼라 음극선관에 대하여 최대직경의 루프가 형성될 수 있도록 패널(20)의 테두리에 방폭밴드(29)가 함께 부착된 각 한쌍의 래그판(30)을 둘러싸고 있다.
이와 같이, 칼라음극선관의 퍼넬(21)의 콘부분(24)의 상하외측면상에 보상 폐쇄코일(28)을 배치하면 이부분을 통과하는 누설자속에 의해 보상폐쇄코일(28)에 유도기전력이 유기되어 이 코일(28)에 유도전류가 흐른다.
즉, 제6도에 나타낸 것처럼 보상 폐쇄코일(28)은 수평편향주코일에서 발생된 주자속(6)과 같은 방향으로 향하는 누설자속(7)이 통과하는 범위를 나타낸 자속(8a) (8b)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곡선(8a)(8b)의 외측에서는 수편편향 주코일의 앞면 플랜지(27A)에서 발생된 누설자속(10)이 주자속(6)과는 역방향으로 통과한다.
그렇기 때문에 유도전류에 의해 보상폐쇄코일(28)에서 발생하는 자속(32)은 수평편향주코일전방의 주자속(6)의 누설자속(7)에 대하여 보상폐쇄 코일(28)로 아래 근처의 M영역에서는 주자속(6)의 누설을 조장하는 방향에 발생한다.
그러나 N영역, 즉 관축방향인 점(A)에서 멀어짐으로써 보상폐쇄코일(28)에서 발새하는 자속(32)은 칼라 음극선관주변부의 누설자속(7)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발생된다.
이점(A)은 칼라음극선관의 크기, 편향요크의 종류, 보상폐쇄코일(28)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의 크기등에 의해 다르지만 대략 관축을 따라서 패널앞면에서 넥과 박대방향을 향해서 10cm정도거리의 점으로 정했다.
이와 같은 누설자속의 보상작용은 칼라음극선관의 앞방향의 누설자속뿐만 아니라 칼라음극선관 주변부의 모든 방향의 누설자속(7)에 대하여도 작용한다.
즉 상기와 같이 보상폐쇄코일(28)을 배치한 칼라음극선관에 대하여 MRP규격에 의거해서 그 칼라음극선관을 감기 반경이 65cm인 구면상의 자계분포(누설자속밀도)는 제7a도 및 제7c도와 같이 나타난다.
이제 7a도, 제7b도 및 제7c도는 횡축을 관축의 둘레의 주위각도(deg)로 하고, 종축을 자속밀도(nT)로 해서 측정한 결과이며, 실선(33)은 보상 폐쇄코일을 배치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며 파선(34)은 보상 폐쇄 코일을 배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 제7a도, 제7b도, 제7c도는 각각 관축에 대하여 올려본 각 0°, 22.5°, 45.0°의 측정결과이다.
이 측정결과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보상폐쇄코일을 배치하면 보상폐쇄코일을 배치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볼때 누설자속을 50-60%경감할 수 있으며, MRP규격에 의거해서 반경 65cm의 구면상의 모든 위치에서 누설자속을 대략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칼라음극선관의 컨버젼스와 랜딩등에 관한 편향특성에 영향을 주는 일은 거의 없다.
이어서 다른 실시예를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가면서 설명한다.
제8a도 및 제8b도에 나타낸 음극선관장치에는 루프형태이며 전도성와이어 부재인 보상폐쇄코일(28)의 뒷부분이 편향요크(25)의 수평편향주코일의 앞면 플랜지부 (27A)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상폐쇄코일(28)을 배치하면 제9도에 나타낸 것처럼 수평편향주 코일의 앞면 플랜지부(27A)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10)은 그 앞면 플랜지부(27A)를 통과하는 플랜지 와이어(36)에 가까와질수록 강해지기 때문에 보상폐쇄코일(28)에 쇄교하는 누설자속(10)을 최대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보상폐쇄코일(28)에 유기되는 유도전류는 커지며, 발생하는 보상자속 (37)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8a도 및 제8b도에 나타낸 것처럼 보상폐쇄코일(28)의 앞부분을 패널(20)의 측면상부에 걸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은 칼라 음극선관 전후의 자계의 바란스를 가장 적절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그 자계강도는 수평편향주코일의 앞면 플랜지부 (27A)를 따라서 설치된 보상폐쇄코일(28)의 뒷부분의 길이, 즉 보상폐쇄코일(28)의 루프면적을 변화시켜 보상폐쇄코일에 쇄교하는 수평편향주코일의 앞면 플랜지부의 자속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되며, 이러한 예의 경우 MRP규격의 측정점에서 누설자속의 시간적 변화(dB/dt)를 15mT/s이하로 할 수 있다.
제10a도 및 제10b도에 나타낸 음극선관장치는 제8a도 및 제8b도에 나타낸 음극선관장치와 동일하게 편향요크(25)의 수평편향 주코일의 앞면 플랜지부(27A)를 따라서 보상폐쇄코일(28)의 뒷부분이 위치하도록 보상폐쇄코일(28)을 배치하고, 그 뒷부분에 2회 이상 감긴 작은 루프부(38)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수평편향주코일의 앞면 플랜지부(27A)상에 뒷부분이 배치되어 있는 보상폐쇄코일(28)을 설치하고 또한 그 앞면 플랜지부(27A)에 근접시켜서 작은 루프부(38)를 설치하면, 큰 루프부(39)에 유기되는 유도기전력을 증대시켜서 보상폐쇄코일(28)에 의한 보상자계를 더욱 더 강하게 할 수 있다.
제11a도 및 제11b도에 나타낸 음극선관 장치에서는 제10a도 및 제10b도에 나타낸 음극선관장치와 동일하게 편향요크(25)의 수평편향주코일의 앞면플랜지부 (27A)를 따라서 보상폐쇄코일(28)의 뒷부분이 배치되며, 또한 그 뒷부분에 편향요크 (25)를 따라서 수평편향주코일의 앞면 플랜지부(27A) 및 배면 플랜지부(27B)에 작은 루프부(3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앞면 플랜지부(27A)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뿐만 아니라 배면 플랜지부(27B)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도 작은 루프부(38)에 쇄교시킬 수 있으므로 보상폐쇄코일(28)에 유기되는 유도기전력을 한층 더 증대시켜서 보상폐쇄코일(28)에 의한 보상자계를 더욱더 강화시킬 수 있다.
제12a도 및 제12b도는 편향요크(25)의 수평편향주코일의 앞면 플랜지부 (27A)를 따라서 보상폐쇄코일(28)의 뒷부분이 위치하도록 배치시키고, 패널(20)의 윗면에 작은 루프부(39)를 설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퍼넬(21)의 콘부분(24)의 외측면위에 보상폐쇄코일(28)을 배치하면 칼라 음극선관의 전방에서의 보상자계가 후방과 비교해서 약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제12a도 및 제12b도에서와 같이 패널(20)의 윗면에 작은 루프부(38)를 설치하면 이 칼라 음극선관 전방의 보상자계를 강하게 할 수 있다.
제13a도 및 제13b도에 나타낸 음극선관 장치는 퍼넬(21)의 콘부분(24)의 외측면위를 따라서 보상폐쇄코일(28)이 패널(20)의 윗면과 편향요크(25)의 수평편향주코일의 앞면 플랜지부(27A)로 분리되어 배치되며 특히 칼라음극선관의 전방의 보상자계가 강해지게 된다.
제14a도 및 제14b도는 편향요크(25)의 수편편향 주코일의 앞면 플랜지부 (27A)를 따라서 보상폐쇄코일(28)의 뒷부분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이 보상폐쇄코일(28)의 뒷부분에 인접하게 편향요크(25)의 윗면에 보조코일(41A)를 배치하고, 이 보조코일(41A)의 수평편향주코일에도 공급되는 수평편향신호는 수평편향신호 발생기(50)에서 공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보상폐쇄코일(28)은 수평편향 전류가 흐르는 보조코일(41A)과는 다르며, 보상폐쇄코일(28)과 쇄교하는 자속에 의해 유기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자계를 발생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제10a도 내지 제13a도의 실시예와 같이 쇄교하는 자속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연구해도, 루프형태의 복잡화에 따라서 저항과 임피던스의 증가에서 얻은 보상자계의 강도에 한도가 있다.
또 칼라 음극선관 장치의 제조비용을 고려하여 보상폐쇄코일(28)은 가능한 한 간단한 형태가 좋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제14a도 및 제14b도에 나타낸 음극선관장치와 같이 보상폐쇄코일(28)의 뒷부분에 인접시켜서 보조코일(41A)을 배치하면 제15도에 나타낸 것처럼 이 보조코일(41A)에서 수평편향주코일의 주자속(6)과 같은 방향의 자속(42)이 발생한다.
이 자속(42)은 칼라음극선관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의 보상폐쇄코일(28)에서 발생하는 보상자속(37)과 같은 방향이 되며 누설자속(7)을 상쇄하는 작용을 보충하게 된다.
또 이 자속(42)은 수평편향주코일의 플랜지부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10)과 같은 방향에서 보상폐쇄코일(28)과 쇄교하기 때문에 보상폐쇄코일(28)에서 발생되는 보상자속을 강하게 한다.
제16a도 및 제16b도에 나타낸 음극선관장치는 편향요크(25)의 수평 편향주코일의 앞면 플랜지부(27A)를 따라서 보상폐쇄코일(28)의 뒷부분이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동시에, 이 보상폐쇄코일(28)에 인접시켜 패널(20)의 윗면에 제14a도 및 제14b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하게 보조코일(41B)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7a도 및 제17b도에 나타낸 것처럼 편향요크(25)위에 후면보조코일 (41A)을 설치하고 또 패널(20)위에 앞면 보조코일(41B)를 설치해서, 이러한 것에 수평편향신호발생기(50)에서 수평편향신호를 공급해서 누설자계를 상쇄하기 위한 보상자계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제17a도 및 제17b도에 나타낸 장치에서는 보상폐쇄코일(28)에서 발생되는 유도자속 및 보조코일(41A)(41B)에서 발생되는 보상자속에 의해 확실하게 누설자속이 억제된다.
두쌍의 보조코일(41A)(41B)의 작용에 대해서는 발명의 명칭 ″장치 외부에서 누설된 자속을 감소시키기 위한 음극선관장치(Cathode ray tube apparatus intended to reduce magnetic fluxes leaked outside the apparatus)″로써 발명자 마사히로 요꼬따, 히데오 모리, 기요시 오야마에 의해 일본출원 특평 1-146979를 기초로하여 우선권을 주장하여 1990. 6월에 출원된 미국 출원(도시바 정리번호 2P 464-2)을 참조로 한다.
또 제18a도 및 제18b도는 보상폐쇄코일(28)을 편향요크(25)의 수평 편향주코일의 배면 플랜지부(27B)까지 연장시키고, 그 연장부분에 내접하도록 편향요크(25)위에 보조코일(41)을 배치한 것이다.
이 경우 보조코일(41)에서 발생하는 자속은 보상폐쇄코일(28)에 대하여, 제15도에 나타낸 경우와 역방향이 되지만 보상폐쇄코일(28)의 내측에 접해있기 때문에 보상폐쇄코일(28)에서 얻은 보상자재를 강하게 하는 방향으로 쇄교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보조코일(41)을 배치하면 칼라음극선관의 전방에 있어서의 보상효과를 강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칼라 음극선관의 후방에서의 과보상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 서로 전기적으로는 접속되어 있지 않은 한쌍의 보상폐쇄코일은 관(tube)위쪽 및 아래쪽으로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8a도 및 제8b도는 파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한쌍의 코일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하나의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 칼라음극선관 장치의 실시에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칼라음극선관이외의 음극선관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음극선관의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비임을 편향하는 편향요크의 새들형 수평편향주코일의 주자속과는 역방향으로 수평편향주코일의 앞면 플랜지부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의 통과영역에 일부가 상기 수평편향주코일의 앞면에 걸친 부분 근처에 위치하도록 상기 누설자속을 보정함으로써 유도기전력이 유기되어 음극선관의 주면부의 누설자속을 경감하는 보상폐쇄코일을 배치하면 상기 수편편향주코일의 앞면 플랜지부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에 의해 보상폐쇄코일에 유기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상기 누설자속을 경감하는 역자속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음극선관의 편향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편향요크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을 음극선관을 중심으로 하는 모든 공간에서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Claims (18)

  1. 전자빔을 발생시키는 전자총어셈블리와; 전자빔이 랜딩되면 광선을 발생시키는 형광스크린과; 외곽용기축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전자총 어셈블리와 상기 형광스크린을 수용하기 위한 외곽용기(22)와; 상기 외곽용기(22)외측에 설치되어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유효자속을 외곽용기 내부에 발생시키는 동시에, 외곽용기 외부에 상기 유효자속과는 다른 방향을 갖는 누설자속을 발생시키는 편향요크(25)와; 상기 누설자속과 쇄교하여 유도된 유도전류가 흐르는 단락된 도전선이며, 그 일부가 수평편향코일의 앞면 플랜지부(27A)에 근접배치되어, 상기 유도전류에 의해 보상자속을 발생시킴으로써 외곽용기외부의 상기 누설자속을 억제하는 보상폐쇄코일(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폐쇄코일(28)은 외곽용기축에 대해서 대칭인 제1 및 제2전류로(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전류로(28)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전류로(28)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하나의 폐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크(25)는 누설자속과 같은 방향을 향해서 자속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크(25)가 상기 단락된 도전선으로부터 유도되는 유도자속과 거의 동일한 방향을 향해서 자속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7. 페이스플레이드와, 이페이스 플레이트에 접속된 스커트를 가진 패널(20)과, 이 패널의 스커트에 접속된 퍼넬(21)과, 이 퍼넬로부터 뻗어있는 넥(23)을 포함하고 있음과 동시에 관축을 가지고 있는 외곽용기(22)와; 상기 넥 내부에 배치되어 전자빔을 발생시키는 전자총 어셈블리와;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전자빔이 랜딩되면 광선을 발생시키는 형광스크린과; 퍼넬외부위에 설치되어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자속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외곽용기(22)외부로 누설자속을 발생시키는 편향요크(25)와; 상기 스커트를 따라서 뻗어나 있으며, 퍼넬을 따라서 편향요크 (25)를 향해서 뻗어나 있는 부분을 가진 루프형태이고, 누설자속에 쇄교해서 유도되는 유도전류가 흐르며, 이 유도전류에 의해 보상 자속을 발생시키는 보상폐쇄코일(28)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보상폐쇄코일(28)은 관축에 대해 거의 대칭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루프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전도성 와이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전도성 와이어부재는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전도성 와이어 부재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크(25)가 누설자속이 통과하는 플랜지부(27A) (27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전도성 와이어부재는 각각 플랜지부 위쪽으로 뻗어나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전도성 와이어부재는 주루프이외에 작은 루프부(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루프부(38)는 퍼넬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루프부(38)는 스커트부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루프부(38)는 넥에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17. 제7항에 있어서, 편향요크(25)는 누설자속과 거의 동일한 방향을 향해서 자속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18. 제7항에 있어서, 편향요크(25)는 보상폐쇄코일(28)에서 유도되는 유도자속과 같은 방향으로 자속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KR1019900009558A 1989-08-31 1990-06-25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KR930000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25649 1989-08-31
JP89-225649 1989-08-31
JP1225649A JP2567107B2 (ja) 1988-12-21 1989-08-31 陰極線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362A KR910005362A (ko) 1991-03-30
KR930000354B1 true KR930000354B1 (ko) 1993-01-16

Family

ID=16832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9558A KR930000354B1 (ko) 1989-08-31 1990-06-25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0415019A1 (ko)
KR (1) KR9300003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934C (zh) * 1991-07-18 1998-11-25 东芝株式会社 阴极射线管图像显示装置
GB2297423A (en) * 1995-01-24 1996-07-31 Ibm CRT display apparatus with reduced stray magnetic field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N167955B (ko) * 1986-03-27 1991-01-12 Nokia Data Systems
SE456056B (sv) * 1986-12-10 1988-08-29 Telub Holding Ab Anordning vid bildror for att reducera den magnetiska feltstyrkan i bildrorets omgivning
JP2707293B2 (ja) * 1988-10-31 1998-01-28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陰極線管表示装置の漏洩磁束低減方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362A (ko) 1991-03-30
EP0415019A1 (en) 1991-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616B1 (ko) 편향 요크 장치
KR920001582Y1 (ko) 편향요크
US5049847A (en) Deflection yoke with auxiliary coils for stray line radiation suppression
KR930000354B1 (ko) 누설자속을 경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US5350973A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having a reduced leak of magnetic fluxes
US5317239A (en) Deflection yoke for cathode ray tube
EP0565120B1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JP2567107B2 (ja) 陰極線管装置
KR900005541B1 (ko) 칼라수상관 장치
JPH05159713A (ja) カラー受像管
US4949008A (en) Color cathode ray tube assembly with magnetic shield
KR100474244B1 (ko)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의 일체형 누설 전자파 상쇄 및 미스컨버젼스 보정 장치
JPH04209449A (ja) 陰極線管装置
KR920001581Y1 (ko) 편향요크
US4839568A (en) Magnetic deflector for trichromatic tube with shield and method to set this deflector
KR100501223B1 (ko) 편향요크
JP2930631B2 (ja) 偏向ヨーク
JPH03208239A (ja) 陰極線管装置
JP3439540B2 (ja) 偏向ヨーク装置
KR100313123B1 (ko) 지자계 차폐용 인너실드 조립체
JPS6222361A (ja) カラ−陰極線管装置
KR100447647B1 (ko) 모니터용 쉴드커버
JP3334378B2 (ja) 偏向ヨーク
JPH0414736A (ja) 陰極線管装置
KR100270364B1 (ko) 음극선관의인너디스토션보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