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010Y1 - 의자용 진동판 - Google Patents

의자용 진동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010Y1
KR930000010Y1 KR2019900016814U KR900016814U KR930000010Y1 KR 930000010 Y1 KR930000010 Y1 KR 930000010Y1 KR 2019900016814 U KR2019900016814 U KR 2019900016814U KR 900016814 U KR900016814 U KR 900016814U KR 930000010 Y1 KR930000010 Y1 KR 930000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chair
vibration
fixed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68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대식
Original Assignee
문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대식 filed Critical 문대식
Priority to KR20199000168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0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010Y1/ko

Links

Landscapes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의자용 진동판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단면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동판 3 : 수장실
4 : 진동모터 7 : 진동자
11 : 외부스프링 12 : 축 볼트
13 : 내부스프링 16 : 고정판
본 고안은 주로 운전자용 의자의 등판이나 안락의자의 등판에 부착하여 운전자나 휴식자의 등을 안마하므로서 피로를 풀어주는 의자용 진동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이러한 목적으로 고안된 여러가지 진동장치가 고안되어 있었으나 진동이 일정부분에만 작용하여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못하고 또한 진동이 전후왕복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몸체 충격이 가해지게 되고 진동이 단순히 진동모터에 의해서만 진동되기 때문에 진동효과도 충분하지 못한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제반단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진동모터의 진동자를 서로 편심되게 대향으로 형성하고 고정판과 진동판 사이에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진동이 단순한 왕복운동이 아닌 좌우요동운동과 함께 복합적인 진동이 되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면에 만곡면(2)이 형성된 진동판(1)의 배면중앙부에 수장실(3)을 형성하여 진동모터(4)를 수장한후 체결밴드(5)로 고정설치하되 진동모터(4)의 축 봉(6)에는 진동자(7)를 편심되게 끼워 고정하되 좌우진동자(7)는 무게의 중심이 서로 대향되게 하였다.
진동판(1)의 상하좌우에는 스프링수장실(8)과 요입홈(9)이 형성된 관통공(10)을 뚫어 설치하고 각 스프링수장실(8)에는 외부스프링(11)을 끼운후 축볼트(12)를 끼워 축볼트(12)가 관통공(10)을 관통하여 배면으로 돌출케하였다.
관통공(10)을 관통한 각 축볼트(12)에는 내부스프링(13)을 끼운다음 돌출부(11)에 요입홈(15)이 형성된 고정판(16)의 관통공(17)에 축볼트(12)를 끼워 너트(18)로 체결고정하여 고정판(16)과 진동판(1)사이 및 진동판(1)의 스프링수장실(8)에 내측스프링(11)및 외측스프링(13)이 탄력설치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9)는 등받이용 큐손, (20)은 의자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운전자용 의자나 안락의자의 등판부위에 일정크기로 큐숀(19)을 절삭하여 제거한 후 진동판(1)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전원스위치를 "ON"시키면 진동모터(4)가 회전하여 진동판(1)이 작동하게 된다.
즉 진동판(1)에 고정된 진동모터(4)의 축봉(6)에 편심되게 진동자(7)가 서로 대향되게 끼워져 있기때문에 진동모터(4)가 회전하면 원심력이 발행하게 되고 이때 일어나는 원심력을 진동판(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요동과 전후떨림운동이 동시에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외측스프링(11)과 내측스프링(13)에 의해 전후진동을 억제시키게 되고 진동판(1)은 거의 좌우 회전요동운동만 하게 되므로 허리부위를 좌우로 회전마찰하면서 떨리므로 사용자의 몸이 떨리게 되는 폐단이 없다.
또한 사용시 가변저항스위치(도시안됨)를 부착하여 진동모터(4)의 회전수를 조정하면 진동판(1)의 진동 폭이나 량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등받이에 부착된 진동판(1)이 전후왕복운동하는 것이 아니고 거의 회전운동에 가깝도록 요동되게 하므로서 사용자의 몸을 진동시키게 되는 폐단없이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다.

Claims (1)

  1. 수장실(3)에 통상의 진동모터(4)가 체결밴드(5)로 고정설치된 진동판(1)을 축볼트(12)로 고정판(16)에 고정 설치하되 진동모터(4)의 축봉(6)에는 진동자(7)를 상호대향되게 굴대설치하고 고정판(16)과 진동판(1)사이 및 진동판(1)의 상하 좌우에 형성된 각 스프링 수장실(8)에는 내외부(11), (13)을 탄력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진동판.
KR2019900016814U 1990-10-31 1990-10-31 의자용 진동판 KR930000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6814U KR930000010Y1 (ko) 1990-10-31 1990-10-31 의자용 진동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6814U KR930000010Y1 (ko) 1990-10-31 1990-10-31 의자용 진동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010Y1 true KR930000010Y1 (ko) 1993-01-09

Family

ID=19304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6814U KR930000010Y1 (ko) 1990-10-31 1990-10-31 의자용 진동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0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3097A (en) Infant bouncer
JPH0441025B2 (ko)
US5099826A (en) Vibrating device
JPH0151277B2 (ko)
US3364922A (en) Electric massager with spring mount
KR930000010Y1 (ko) 의자용 진동판
JP4364302B2 (ja) 電気かみそり
US2707949A (en) Vibratory massage machine
SE9803357D0 (sv) Electrovibrator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baby cots inducing sleep
JP5001517B2 (ja) 電気かみそり
KR930000009Y1 (ko) 안마기
KR900004950Y1 (ko) 진동 안마대
JP3410328B2 (ja) マッサ−ジ装置
JP2514186Y2 (ja) 電気かみそり
JP2577423Y2 (ja) マッサ−ジ装置
JPH037726U (ko)
JPH048935Y2 (ko)
JPS5926953Y2 (ja) 往復動電気かみそり
KR200197538Y1 (ko) 소음 및 진동감쇠 구조를 가진 안마기
SU1572811A1 (ru) Вибрационна электробритва
JPS6033964Y2 (ja) マツサ−ジ機
JPS6033963Y2 (ja) マツサ−ジ機におけるバイブレ−シヨン装置の取付け部の構造
JPS5935181Y2 (ja) 剃刃装置の往復動刃駆動機構
JP2957752B2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4394743B2 (ja) 電気かみそ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