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704162A - 광섬유가 구비된 광전소자 - Google Patents

광섬유가 구비된 광전소자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704162A
KR920704162A KR1019920700251A KR920700251A KR920704162A KR 920704162 A KR920704162 A KR 920704162A KR 1019920700251 A KR1019920700251 A KR 1019920700251A KR 920700251 A KR920700251 A KR 920700251A KR 920704162 A KR920704162 A KR 920704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oelectronic device
arm
arms
optical fiber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0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해리 존슨 멜빈
데이나 리이 제랄드
마아스덴 윌리스 프랭크
Original Assignee
미리엄 디이 메코너헤이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리엄 디이 메코너헤이,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미리엄 디이 메코너헤이
Publication of KR920704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416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32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36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being groo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2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for coupling an active element with fibres without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fibres with plane ends, fibres with shaped ends, bund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48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 G02B6/3652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the additional structures being prepositioning mounting areas, allowing only movement in one dimension, e.g. grooves, trenches or vias in the microbench surface, i.e. self aligning supporting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84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urface profiling of the supporting carrier
    • G02B6/3692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urface profiling of the supporting carrier with surface micromachining involving etching, e.g. wet or dry etching ste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섬유가 구비된 광전소자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광섬유의 단부면상의 중심점을 소정의 기준축에 대해 위치선정하기 위한 위치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완전히 조립된 상태의 제1도 위치선정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3-3을 따라 절취한, 제1도 및 제2도의 조립된 위치선정장치의 단면도.
제4도는 원추대형의 V-형 홈을 도시하도록, 제2도의 선4-4를 따라 절취한, 제2의 위치선정장치의 단면도.
제4a도는 제4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위치선정장치에 형성된 완전 V-형 홈과 절두형 V-형 홈을 도시하는 단면도.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84)

  1. 광전소자에 있어서, 최소한 받침대를 가지는 베이스에 장착되는 제1아암과 제2아암을 가지고 있고, 상기 각각의 아암이 제1의 폐쇄위치로 부터 제2의 중심위치까지 이동 가능하게 되어있는 위치선정장치와, 상기 아암들이 폐쇄위치에 있을때 서로 협력하여 형성하게 되며, 관통기준축 및 입구단과 출구단을 가지는 채널과, 각 아암을 제1의 폐쇄위치쪽으로 가압하여 각 아암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기준축을 따라 가해지게 함과 동시에 아암들이 상기 제2의 중심위치에 있을때 상기 가압력들이 압력이 0으로 되게 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받침대에 장착되며, 상기 채널의 기준축과 일렬로 정렬되는 기준축을 가지는 광전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아암들의 각각은 광섬유축이 상기 기준축으로 부터 이격되게끔 채널의 입구단내로 인입되는 광섬유를 그의 소정지점에서 상기 기준축과 일렬로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아암중 최소한 하나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최초로 변위가능하게 할 수 있게 배열되어 있고, 상기 아암들은 채널을 통한 광섬유의 계속되는 축방향이동시 광섬유상의 소정지검을 기준축에 대해 유지시킬 수 있도록 중심위치쪽으로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광섬유의 축방향이동에 응답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2. 광전소자에 있어서, 최소한 받침대를 가지는 베이스에 장착되는 제1아암과 제2아암 그리고 제3아암을 가지고 있고, 상기 각각의 아암이 제1의 폐쇄위치로부터 제2의 중심위치까지 이동가능하게 되어있는 위치선정장치와, 상기 아암들이 폐쇄위치에 있을때 서로 협력하여 형성하게 되며, 관통기준축 및 입구단과 출구단을 가지는 채널과, 각 아암을 제1의 폐쇄위치쪽으로 가압하여 각 아암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기준축을 따라 가해지게 함과 동시에 아암들이 상기 제2의 중심 위치에 있을때 상기 가압력들의 합력이 0으로 되게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받침대에 장착되며, 상기 채널의 기준축과 일렬로 정렬되는 기준축을 가지는 광전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아암들의 각각은 광섬유축이 상기 기준축으로 부터 이격되게끔 채널의 입구단내로 인입되는 광섬유를 그의 직경에 무관하게 그의 소정 지점에서 상기 기준축과 일렬로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아암중 최소한 하나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최초로 변위가능하게 할 수 있게 배열되어 있고, 상기 아암들은 채널을 통한 광섬유의 계속되는 축방향이 동시 광섬유상의 상기 소정지점을 기준축에 대해 유지시킬 수 있도록 중심위치 쪽으로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광섬유의 축방향이동에 응답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3. 광전소자에 있어서, 최소한 받침대를 가지는 베이스에 장착되는 제1아암과 제2아암을 가지고 있고, 최소한 상기 제1아암은 홈을 형성하는 최소한 제1및 제2측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아암들은 서로 중첩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 제1의 폐쇄 위치로 부터 제2의 중심위치까지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위치선정장치와, 각 아암을 동일한 크기 및 반대방향의 가압력으로 제1의 폐쇄위치쪽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아암들이 폐쇄위치에 있을때 서로 협력하여 형성하게 되며, 관통기준축 및 입구단과 출구단을 가지는 채널과, 상기 받침대에 장착되며, 상기 채널의 기준축과 일렬로 정렬되는 기준축을 가지는 광전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아암들의 각각은 광섬유축이 상기 기준축으로 부터 이격되게끔 채널의 입구단내로 인입되는 광섬유를 그의 단부면상의 소정지점에서 상기 기준축과 일렬로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아암중 최소한 하나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최초로 변위가능하게 할 수 있게 배열되어 있고, 상기 아암들은 채널을 통한 광섬유의 계속되는 축방향이동시 광섬유와 상기 제1및 제2아암간의 접촉에 의해 광섬유의 단부면상의 상기 소정지점을 기준축에 대해 유지시킬 수 있도록 중심위치쪽으로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광섬유의 축방향이동에 응답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암의 제1및 제2측벽은 폭이 좁아지는 홈을 형성시키도록 작용하며, 상기 채널은 최소한 그의 축방향 소정길이 부분이 부분적으로 깔대기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아암은 평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아암은 폭이 좁아지는 홈을 형성시키도록 협력하는 최소한 제1및 제2측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아암의 홈은 제1아암의 홈과 함께 최소한 축방향소정길이부분이 부분적으로 깔대기형을 가지는 채널을 형성시키도록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7. 제3장에 있어서, 상기 제1아암은 전 길이에 걸쳐 균일한 폭을 가지는 홈을 형성시키도록 서로 협력하는 제1및 제2측벽을 최소한 가지고 있으며, 상기 채널은 최소한 그의 축방향소정길이부분에서 직사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아암은 진 길이에 걸쳐 균일한 폭을 가지는 홈을 형성시키도록 서로 협력하는 제1및 제2측벽을 최소한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아암의 균일한 폭의 홈은 제1아암의 균일한 폭의 홈과 함께 상기 채널을 힝성시키도록 작용하며, 상기 채널은 그의 축방향소정길이부분에서 직사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9.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아암은 수용부를 가지고 있으며, 이 수용부들은 함께 광섬유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통로를 형성시키도록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통로는 채널의 축으로 부터 소정길이 만큼 오프셋되어 있는 축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제1및 제2아암에 각각 형성된 두께감소부로 구성되어 있고, 이 두께감소부는 각 아암과 접촉하여 그 아암을 휘게 하는 것에 의해 아암에 폐쇄위치쪽으로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휨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연부활성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표면활성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고상의 레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고상의 빛감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사는 연부활성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표면활성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고상의 레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고상의 빛감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단일모드 굉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2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단일모드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2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단일모드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2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아암과 베이스는 각각 단결정물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2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아암과 베이스는 각각 단결정물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2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아암과 베이스는 각각 단결정물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26. 광전소자에 있어서, 최소한 받침대를 가지는 베이스에 장착되는 제1아암과 제2아암을 가지고 있고, 상기 각각의 아암이 폭이 좁아지는 홈을 형성시키도록 협력하는 제1및 제2측벽을 가지게 되어 있는 위치선정장치와, 최소한 상기 아암들의 소정길이부분에 걸쳐 깔대기헝으로 형성되어 있고 입구단 및 출구단 그리고 관통기준축을 가지는 채널을 형성시키도록 중첩되는 상기 아암에 형성된 폭이 좁아지는 홈들과, 상기 받침대에 장착되며, 상기 채널의 기준축과 일렬로 정렬되는 기준축을 가지는 광저낭치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아암들의 각각은 광섬유축이 상기 기준축으로 부터 이격되게끔 채널의 입구단내로 인입되는 광섬유를 제1및 제2아암이 접촉유지되는 그의 단부면상의 소정지점에서 상기 기준축과 일렬로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아암중 하나의 최소한 일측 아암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변위가능하게 할 수 있게 배열되어 있고, 상기 아암들의 각각은 또한 그 아암에 형성된 홈의 뒤쪽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수용부를 기지고 있으며, 상기 수용부들은 아암의 폐쇄위치에서 채널의 입구단쪽으로 원통형부재간 안내하기 위한 안내통로를 형성시키도록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27. 제26항에 있어서, 아암들은 서로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아암과 베이스는 각각 단결정물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연부활성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표면활성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고상의 레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고상의 빛감응 다이오드인 것은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33. 광전소자에 있어서, 받침대를 가지는 베이스에 장착되는 제1아암과 제2아암을 가지고 있고, 상기 각각의 아암이 폭이 좁아지는 홈을 형성시키도록 협력하는 제1및 제2측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아암들은 그의 홈들이 완전한 깔대기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입구단 및 출구단 그리고 관통 기준축을 가지고 채널을 형성시키도록 서로 중첩되는 관계로 고정되게 구성된 위치선정장치와, 상기 받침대에 장착되며, 상기 완전 깔대기형 채널의 기준축과 일렬로 정렬되는 기준축을 가지는 광전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아암들의 각각은 광섬유축이 상기 기준축으로 부터 이격되게끔 채널의 입구단내로 인입되는 광섬유를 제1및 제2아암의 제1및 제2측벽을 이 접촉 유지되는 그의 단부면상의 소정지점에서 상기 기준축과 일렬로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측벽중 하나의 최소한 일측벽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변위가능하게 할 수 있게 배열되어 있고, 상기 아암들의 각각은 또한 그 아암에 형성된 홈의 뒤쪽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수용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수용부들은 아암의 폐쇄위치에서 채널의 입구단쪽으로 원통형부재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통로를 형성시키도록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34. 제33항에 있어서, 각 아암은 일부가 제1및 제2측벽을 연결시키도록 작용하고 상기 홈을 형성시키도록 협력하는 둘레변을 가지고 있고, 각 아암에 형성된 폭이 좁아지는 홈은 절두형 V-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연부활성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표면활성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고상의 레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고상의 빛감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39.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아암과 베이스는 각각 단결정물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40. 광전소자에 있어서, 받침대를 가지는 베이스에 장착되는 제1아암과 제2아암을 가지고 있고, 각각의 아암은 폭이 좁아지는 홈을 형성하는 최소한 제1및 제2측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아암들은 서로 중첩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 제1의 폐쇄위치로 부터 제2의 중심위치까지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위치선정장치와, 각 아암을 동일한 크기 및 반대방향의 가압력으로 제1의 폐쇄위치쪽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아암들이 폐쇄위치에 있을때 서로 협력하여 형성하게 되며, 관통기준측 및 입구단과 출구단을 가지는 제1의 완전깔대기형 채널과, 상기 받침대에 장착되며, 상기 완전깔대기형 채널의 기준축의 일렬로 정렬되는 기준축을 가지는 광전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아암들의 각각은 광섬유측이 상기 기준축으로 부터 이격되게끔 채널의 입구단내로 인입되는 광섬유를 그의 단부면상의 소정지점에서 상기 기준축과 일렬로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측벽들중 최소한 하나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최초로 변위가능하게 할 수 있게 배열되어 있고, 상기 아암들은 채널을 통한 광섬유의 계속되는 축방향 이동시 광섬유와 상기 제1및 제2아암들의 제1및 제2측벽들과의 접촉에 의해 광섬유의 단부면상의 상기 소정지점을 기준축에 대해 유지시킬 수 있도록 중심위치쪽으로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광섬유의 축방향 이동에 응답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41. 제33항에 있어서, 각 아암은 일부가 제1및 제2측벽을 연결시키도록 작용하고 상기 홈을 형성시키도록 협력하는 주면을 가지고 있고, 각 아암에 형성된 폭이 좁아지는 홈은 절두형 V-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제1및 제2아암에 각각 형성된 두께감소부로 구성되어 있고, 이 두께 감소부는 각 아암과 접촉하여 그 아암을 휘게하는 것에 의해 아암에 폐쇄위치쪽으로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휨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43.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제1및 제2아암에 각각 형성된 두께감소부로 구성되어 있고, 이 두께 감소부는 각 아암과 접촉하여 그 아암을 휘게하는 것에 의해 아암에 폐쇄위치쪽으로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휨부를 형성시키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연부활성성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표면활성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고상의 레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47. 43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고상의 빛감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48.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연부활성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49.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표면활성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50.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고상의 레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5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고상의 빛감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단일모드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53.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단일모드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54.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단일모드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55.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단일모드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56.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단일모드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5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단일모드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58.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단일모드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59.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단일모드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60.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단일모드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61.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아암 그리고 베이스는 각각 결정성물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6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단이모드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63. 제40항에 있어서, 제1및 제2아암의 각각은 그 아암에 형성된 홈의 뒷쪽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아암에 위치되는 수용부를 가지고 있고, 폐쇄위치에서 상기 수용부들은 광섬유를 채널의 입구단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아암 그리고 베이스는 각각 결정성물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65. 광전소자에 있어서, 받침대를 가지는 베이스에 장착되고 최소한 제1및 제2측벽을 가지는 제1아암과 표면을 가지는 제2아암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들은 제1아암에 홈을 형성시키도록 서로 협력하며, 상기 아암들은 서로 중첩된 관계로 배열되며 제1의 폐쇄위치로 부터 제2의 중심위치까지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위치선정장치와, 각 아암을 동일한 크기 및 반대방향의 가압력으로 제1의 폐쇄위치쪽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아암들이 폐쇄위치에 있을때 서로 협력하여 형성하게 되며, 관통 기준축 및 입구단과 출구단을 가지는 채널과, 상기 받침대에 장착되며, 상기 채널의 기준축과 일렬로 정렬되는 기준축을 가지는 광전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아암들의 각각은 광섬유축이 상기 기준축으로 부터 이격되게끔 채널의 입구단내로 인입되는 광섬유를 그의 단부면상의 소정지점에서 상기 기준축과 일렬로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아암의 측벽들중 최소한 하나 또는 제2아암의 표면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최초로 변위가능하게 할 수 있게 배열되어 있고, 상기 아암들은 체널을 통한 광섬유의 계속되는 축방향이동시 제1아암의 제1및 제2측벽 및 제2아암의 표면과 접촉하는 것에 따라 광섬유의 단부면상의 상기 소정지점을 기준축에 대해 유지시킬 수 있도록 중심 위치쪽으로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광섬유의 축방향 이동에 응답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66. 제65항에 있어서, 제1아암의 홈은 상기 채널이 부분적인 깔대기형의 채널로 구성되게끔 폭이 좁아지는 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67.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암의 홈은 상기 채널이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게 전 길이에 걸쳐 균일한 폭은 가지는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벽들의 각각은 광섬유와 접촉하는 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68.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제1및 제2아암에 각각 형성된 두께감소부로 구성되어 있고, 이 두께감소부는 각 아암과 접촉하여 그 아암을 휘게 하는 것에 의해 아암에 폐쇄위치쪽으로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휨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69.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연부활성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70.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표면활성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71.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고상의 레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72.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고상의 빛감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73.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아암과 베이스는 각각 단결 정물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74. 광전소자에 있어서, 받침대를 가지는 베이스에 장착되는 제1아암과 제2아암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아암들은 각각의 아암에 홈을 형성시키도록 서로 협력하는 최소한 제1아암들은 각각의 아암에 홈을 형성시키도록 서로 협력하는 최소한 제1및 제2측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아암들은 서로 중첩된 관계로 배열되며 제1의 폐쇄위치로 부터 제2의 중심위치까지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위치선정장치와, 각 아암을 동일한 크기 및 반대방향의 가압력으로 제1의 폐쇄위치쪽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아암들이 폐쇄위치에 있을때 서로 협력하여 형성하게 되며, 관통기준축 및 입구단과 출구단을 가지는 채널과, 상기 받침대에 장착되며, 상기 채널의 기준축과 일렬로 정렬되는 기준축을 가지는 광전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아암들의 각각은 광섬유축이 상기 기준축으로 부터 이격되게끔 채널의 입구단내로 인입되는 광섬유를 그의 단부면상의 소정지점에서 상기 기준축과 일렬로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아암들중 하나의 최소한 입측벽의 표면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최초로 변위가능하게 할 수 있게 배열되어 있고, 상기 아암들은 채널을 통한 광섬유의 계속되는 축방향이동시 각 아암의 제1 및 제2측벽과 접촉하는 것에 따라 광섬유의 단부면상의 상기 소정 지점을 기준축에 대해 유지시킬 수 있도록 중심위쪽으로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동하는 것이 의해 상기 광섬유의 축방향이동에 응답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75. 제74항에 있어서, 제1아암 및 제2아암의 홈은 상기 채널이 완전깔대기형의 채널로 구성되게끔 폭이 좁아지는 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76.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암 및 제2아암의 홈은 상기 채널이 직사각형단면을 가질 수 있게 전 길이에 걸쳐 균일한 폭을 가지는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벽들의 각각은 광섬유와 접촉하는 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제1및 제2아암에 각각 형성된 두께감소부로 구성되어 있고, 이 두께 감소부는 각 아암과 접촉하여 그 아암을 휘게하는 것에 의해 아암에 폐쇄위치쪽으로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휨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78.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암수단은 제1및 제2아암에 각각 형성된 두께감소부로 구성되어 있고, 이 두께 감소부는 각 아암과 접촉하여 그 아암을 휘게하는 것에 의해 아암에 폐쇄위치쪽으로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휨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79.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연부활성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80.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표면활성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81.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고상의 레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82.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는 고상의 빛감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83.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아암과 베이스는 각각 단결정물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84. 광전소자에 있어서, 최소한 받침대를 가지는 베이스에 장착되는 제1아암과 제2아암을 가지고 있고, 상기 각각의 아암은 시트를 가지고 있는 위치선정장치와, 상기 아암들사이에 위치되며 각 아암의 시트에 중심이 맞은 상태로 수용되는 렌즈와, 상기 받침대에 장착되고 렌즈와 일렬로 배열되는 광전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소자.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20700251A 1989-08-02 1990-07-17 광섬유가 구비된 광전소자 KR9207041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854889A 1989-08-02 1989-08-02
PCT/US1990/003903 WO1991002271A1 (en) 1989-08-02 1990-07-17 Opto-electronic component having a positioned optical fiber associated therewith
US388548 2003-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4162A true KR920704162A (ko) 1992-12-19

Family

ID=23534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0251A KR920704162A (ko) 1989-08-02 1990-07-17 광섬유가 구비된 광전소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485426A4 (ko)
JP (1) JPH04507304A (ko)
KR (1) KR920704162A (ko)
AU (1) AU649621B2 (ko)
CA (1) CA2022475A1 (ko)
IE (1) IE902781A1 (ko)
WO (1) WO19910022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17449C1 (ko) * 1991-05-28 1992-09-17 Kernforschungszentrum Karlsruhe Gmbh, 7500 Karlsruhe, De
CA2116668A1 (en) * 1991-08-30 1993-03-18 Melvin Harry Johnson Apparatus for positioning the center of an optical fiber along a predetermined reference axis
KR940702273A (ko) * 1991-08-30 1994-07-28 미리암 디. 메코너헤이 선정된 기준축을 따라 광섬유의 중심을 위치 설정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광섬유 접속기
JPH06510143A (ja) * 1991-08-30 1994-11-10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ゥ・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関係づけられ位置決めされた光ファイバーを有する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コンポーネント
CN117150820B (zh) * 2023-10-30 2024-03-08 玛斯特轻量化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定位点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2561A (en) * 1975-07-02 1978-07-25 Corning Glass Works Optical waveguide connector
US4475790A (en) * 1982-01-25 1984-10-09 Spire Corporation Fiber optic coupler
FR2546311B1 (fr) * 1983-05-17 1986-03-28 France Etat Procede et dispositif de connexion entre une fibre optique et un composant d'optique integree comportant un guide d'onde
DE3443693A1 (de) * 1984-11-30 1986-06-05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Optische steckverbindung mit zentrieranord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solcher zentrieranordnungen
US4735477A (en) * 1984-12-11 1988-04-05 Amp Incorporated Fiber optic splice terminal and method of using same
US4666238A (en) * 1985-01-07 1987-05-19 Itt Corporation Optical fiber alignment and retention device
US4714316A (en) * 1985-08-20 1987-12-22 Aster Associates Optical fiber unit having protective assembly
US4752109A (en) * 1986-09-02 1988-06-21 Amp Incorporated Optoelectronics package for a semiconductor laser
US4799757A (en) * 1987-04-21 1989-01-24 Preformed Line Products Company Encapsulated fiber optic closure
US4784456A (en) * 1987-05-06 1988-11-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iber optic connector
US4796975A (en) * 1987-05-14 1989-01-10 Amphenol Corporation Method of aligning and attaching optical fibers to substrate optical waveguides and substrate optical waveguide having fibers attached thereto
DE3716792A1 (de) * 1987-05-19 1988-12-08 Siemens Ag Verbinder fuer zwei lichtleitfaser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4818055A (en) * 1988-04-18 1989-04-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ptical fiber splic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85426A4 (en) 1992-09-16
CA2022475A1 (en) 1991-02-03
EP0485426A1 (en) 1992-05-20
AU649621B2 (en) 1994-06-02
AU6144990A (en) 1991-03-11
IE902781A1 (en) 1991-02-27
WO1991002271A1 (en) 1991-02-21
JPH04507304A (ja) 1992-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8747B2 (en) Tool for angled cleaving of optical fibers or the like
EP0745875B1 (en) Optical fiber splice
US5395101A (en) Clamp for use in optical fiber coupler manufacturing apparatus
AU569261B2 (en) Integral reagent dispenser
FR2559383A1 (fr) Dispositif de mise en forme pour tampon hygienique
KR940009704A (ko) 반도체레이저모듈
EP0602105A1 (en) Multiple optical fiber splice
CA2172749A1 (en) Device for optical connection of an optical element, for example an optical fibre, with a lens
KR920704162A (ko) 광섬유가 구비된 광전소자
EP0387583B1 (en) Optical fiber cutting apparatus and method
BR9005750A (pt) Elemento de uniao para uso na emenda de duas extremidades superpostas de fibras oticas
KR910015870A (ko) 광섬유 스위치
KR900016773A (ko) 광섬유 스플라이스 접속기
EP0724172A3 (en) A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parallel degree of end faces of optical substrates
JPH04230823A (ja) 光ファイバーの整列方法および装置
EP0082897B1 (en) Tool for cutting optical fibres
KR920704166A (ko) 선정된 기준축을 따라 광섬유의 중심을 위치설정하기 위한 장치
US4768855A (en) Optical fiber holder
CA2321398C (en) Optical multiplexing/demultiplexing device with variable branching ratio and optical coupler with variable coupling ratio
KR940702274A (ko) 위치설정된 광섬유를 갖고 있는 광전자 소자
CA2079592A1 (en) Optical fiber mechanical splice and method for its use
KR940702273A (ko) 선정된 기준축을 따라 광섬유의 중심을 위치 설정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광섬유 접속기
JPS55130503A (en) Light attenuator
JPS6037526Y2 (ja) 光ファイバ位置の調整機構
JPH04257819A (ja) 光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