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936B1 - 전자식 교환장치에서의 국선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식 교환장치에서의 국선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936B1
KR920010936B1 KR1019890019631A KR890019631A KR920010936B1 KR 920010936 B1 KR920010936 B1 KR 920010936B1 KR 1019890019631 A KR1019890019631 A KR 1019890019631A KR 890019631 A KR890019631 A KR 890019631A KR 920010936 B1 KR920010936 B1 KR 920010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trunk line
line
subscriber
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9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825A (ko
Inventor
조승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9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10936B1/ko
Publication of KR910013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식 교환장치에서의 국선관리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식 교환 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국선 관리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제3도는 언슈퍼바이즈드 트렁크 투 트렁크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중앙처리장치 102 : 내선 가입자 회로
103 : 국선 접속 회로 104 : 톤 검출 회로
105 : 복합주파수 수신기 106 : 복합주파수 발생기
107 : 스위칭 회로 108 : 메모리
109 : 시계칩
본 발명은 전자식 교환 장치에 있어서 국선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톤 검출회로와 타이머를 이용한 국선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식 교환 장치에서 국선(C.O)은 중요한 자원(resource)으로써 관리되어야 하며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전자식 사설 교환기 및 전자식 간이 교환 장치와 같은 종래의 전자식 교환 장치는 국설 교환지 가입자의 후크 온 상태를 감지할 수 없었으므로 국선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국선을 점유(seizure)하여 통화를 한 다음 전화기를 잘못 내려놓는 경우는 국선 쪽의 가입자가 통화를 종료해도 상기 전자식 교환 장치에서는 국선 쪽의 가입자가 전화를 끊었는지 알 수 없었으므로 국선을 해제할 수 없었고 국선 쪽으로 발신한 내선 가입자가 수화기를 잘못 내려놓았으므로 사용중인 국선은 계속 묶여 있는 상태가 되어 다른 가입자가 사용할 수 없었다.
또한 언슈퍼바이즈드 트렁크 투 트렁크(unsupervised trunk to trunk) 기능을 수행할 경우도 마찬가지로 국선 쪽의 상태를 알 수 없었다.
여기서 상기 언슈퍼바이즈드 트렁크 투 트렁크 기능이란 제3도에서 내선 가입자기 제1국선(C.01)과 통화중에 제2국선(C.02)으로 전환하고 후크-온(끊으면)하면 상기 제1국선(C.01)과 제2국선(C.02)이 서로 통화하게 되는 상태를 말하는데, 이 경우 종래의 전자식 교환 장치에서 국선을 관리하던 방법으로는 제2국설 가입자와 제1국설 가입자의 후크-온 상태를 알 수 없었으므로 상기 두 국설 가입자가 전하를 끊더라도 전자식 교환 장치 쪽의 제1국선(C.01)과 제2국선(C.02)을 휴지(idle) 상태로 할 수 없었다.
상기와 같이 두 국선 가입자 중 하나가 끊더라도 국선을 해제할 수 없었으므로 두 국선이 모두 묶여 있어 다른 가입자가 이 국선들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불합리한 점을 갖고 있었던 바 이에 대한 해결책을 강구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톤 검출기와 타이머를 이용하여 국선으로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시스템 블럭도로서, 가입자 전화기(STN)의 후크-온/오프(hook-on/off)를 검출하여 제어선(L1)을 통하여 출력하고 상기 가입자 전화기(STN)에서 다이알한 디지트 정보를 제어선(L3)을 통하여 출력하며 통화용 전류를 공급하는 가입자 접속회로(102)와, 상기 제어선(L3)으로부터 복합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탈 디지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선(L4)을 통해 출력하는 복합 주파수 수신기(105)와, 상기 제어선(L4)을 통하여 입력되는 다이알 디지트를 읽고 상기 내선 가입자 접속회로(102)로부터 출력되는 시그날링 정보에 의해 타임 슬롯을 배정하기 위하여 제어선(L6)를 통해 소정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다이알 디지트를 송출하는 등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01)와, 제어선(L10)을 통해 상기 중앙처리장치(101)로부터 소정 데이타를 억세스(aeecss)하는 메모리(108)와, 제어선(L5)을 통해 상기 중앙처리장치(101)로부터 디지탈 다이알 디지트를 입력받아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로 변환하고 제어선(L12)을 통해 다이알을 송출하는 복합 주파수 발생기(106)와, 실시간 클럭을 발생하는 시계칩(109)과, 상기 중앙처리장치(101)의 제어를 받아 국선 가입자의 통화로를 상황에 따라 상기 내선 가입자 접속회로(102)와 연결하거나 국선과 국선과의 통화회로를 접속하여 스위칭 동작을 실시하는 스위칭 회로(107)와, 국설 전화국의 전화선(L14-Lnn+1)을 접속하는 국선 접속회로(103)와, 상기 국선 접속회로(103)로 입력되는 톤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101)로 출력하는 톤 검출회로(104)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국선 관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언슈퍼바이즈드 트렁크 투 트렁크 기능 수행에 본 발명의 국선 관리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예를 들어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임의의 내선 가입자(STN)가 인컴잉(incoming)중인 국선을 점유하거나 유휴(idle)중인 국선을 발신하여 제1국선(C.01)과 통화 중에 상기 내선 가입자(STN)가 상기 제1국선(C.01)을 외부로 전환(outgoing transfer)하기 위하여 후크플래시(hook flash) 또는 전화버튼을 누른다고 가정한다.
이때 각 가입자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
내선 가입자 : 전환음(transfer tone)을 듣는다.
제1국선(C.01) 가입자 : 보류음(hold tone)을 듣는다.
상기와 같이 후크 플래시 또는 전환버튼을 누르고 유휴상태인 제2국선(C.02)을 점유하여 전환하고자 하는 국설 교환기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한다.
이상 동작이 발생하는 동안의 각 가입자의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국선 : 국설 교환기로부터 인가되는 호출음(ringback tone)을 스위치 회로를 통해 상기 내선 가입자로 공급한다.
내선 가입자 : 국설 교환기 쪽에서 인가되느 호출음을 듣고 있다.
국설 교환기 가입자 : 링이 울리고 있다.
상기 상태에서 링잉(ringing) 중인 국설 교환기 가입자가 후크-오프(수화기를 들면)하면 국설 교환기가 상기 제2국선(C.02) 쪽으로 인가하던 호출음이 절단되고(그러므로 내선 가입자가 듣고 있던 호출음도 끊어진다.) 내선 가입자와 국설 교환기 가입자의 통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내선 가입자가 후크 온(수화기를 내려놓는다)하면 제3도와 같이 제1국선(C.01)과 제2국선(C.02)의 통화로가 연결되어 서로 통화하는 언슈퍼바이즈드 트렁크 투 트렁크 상태가 된다.
이때 각 가입자의 상태를 살펴보면, 내선가입자 : 유휴 상태가 된다.
제1국선(C.01) : 보류음을 듣고 있던 중 국선(C.02)과 통화로가 연결되어 상기 제2국선(C.02)과 통화 상태가 된다.
제2국선(C.01) : 제1국선(C.01)과 통화 상태가 된다.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자식 교환 장치에서는 제1국선(C.01)과 제2국선(C.02)이 서로 통화할 수 있도록 통화로를 연결시켜주는 역활을 하고 언슈퍼바이즈드 트렁크 투 트렁크된 상기의 상태에서 제1 혹은 제2국선 가입자가 후크 온 한 것이 검출되면 상기 제1국선(C.01)과 제2국선(C.02)을 유휴 상태로 한다.
편의상 상기 언슈퍼바이즈드 트렁크 투 트렁크 기능을 전처리와 후처리로 나누어 볼때 상기 전처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선 가입자가 후크 플래시하는 동작으로부터 후크 온 하기까지의 과정에 해당하며, 상기 후처리는 상기 내선 가입자가 후크 온하여 유휴 상태로 되는 동작으로부터 두 국선 간에 통화로가 형성되기까지의 과정에 해당한다.
상기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 및 본 발명에 의한 기본적인 국선 관리 과정을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선 가입자(STN1)가 제1국선(C.01)을 점유하여 상기 제1국선(C.01)과 통화중이라고 가정한다. 중앙처리장치(101)는 상기 통화중인 상태를 감지하고 있다가 제2도의 (A1) 단계에서 상기 제1내선 가입자(STN1)가 언슈퍼바이즈드 트렁크 투 트렁크 기능의 전처리를 수행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는 상기 전처리의 마지막 동작인 내선 가입자(STN)의 후크 온을 감지함으로써 가능하다. 상기 (A1)단계에서 후크 온 감지는 후술하는 (A10)단계의 후크 온 감지와는 다르다. 왜냐하면 상기 (A1)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전환(outgoing transfer)을 위한 일련의 동작에 해당하는 후크 플래시→다이알링→후크 온의 단계들을 함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단계들은 공지의 언슈퍼바이즈드 트렁크 투 트렁크 기능을 이용하는 것인 바 세부적으로 표현하지 않았을 따름임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검사 결과 언슈퍼바이즈드 트렁크 투 트렁크 기능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했음이 확인되면 (A2)단계에서 상기 제1내선 가입자(STN1)를 유휴 상태로 한다.
상기 (A2)단계 수행후 (A3)단계에서 임의의 유휴 국선인 제2국선(C.02)을 점유하여 상기 제1국선(C.01)과 통화로를 연결시킨다.
상기 통화로 연결 후 (A4)단계에서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시계칩(109)으로부터 현재 시간을 읽어 메모리(108)에 저장한다.
상기 현재 시간 저장 후 (A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1국선(C.01)으로부터 톤 검출회로(104)에 의해 화중음이 검출되었는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화중음이 검출되지 않았으면 (A6)단계에서 상기 제2국선(C.02)으로부터 상기 톤 검출회로(104)에 의해 화중음이 검출되었는지 검사한다.
상기 제2국선(C.02)로부터도 화중음이 검출되지 않았으면 (A7)단계에서 상기 (A4)단계에서 지정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와 같이 타이머를 구동하여 경과된 시간을 체크하는 이유는 어떤 국설 교환기에서는 국선 가입자가 전화를 끊어도 화중음을 송출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상기 톤 검출회로(104)로 국선 가입자가 후크-온 했는지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국선 통화가 시작된 후 임의적으로 ‘1시간’또는 ‘30분’ 등 시스템 상황에 알맞게 시간을 정해 놓고 시계칩(109)을 읽어가다가 그 시간이 지났음이 판명되면 강제로 국선을 유휴 상태로 한다.
그러므로 상기 (A7)단계에서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었음이 확인되었을 경우에는 (A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1국선(C.01)을 유휴 상태로 한 다음 (A9)단계에서 상기 제2국선(C.02)을 유휴 상태로 하고 리턴한다.
한편 상기 (A5)단계 혹은 (A6)단계에서 상기 제1국선(C.01) 혹은 상기 제2국선(C.02)으로부터 화중음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두 국선간의 통화중 해당 국선 가입자가 전화를 끊은 것이므로 (A8) 혹은 (A9)단계로 진행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국선(C.01) 및 상기 제2국선(C.02)을 유휴 상태로 하고 리턴한다.
한편 상기 (A1)단계에서 상기 제1내선 가입자(STN1)가 언슈퍼바이즈드 트렁크 투 트렁크 기능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지 않았음이 판명되었을 시에는 (A10)단계에서 상기 내선 가입자(STN1)가 후크-온 했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제1내선 가입자(STN1)가 후크 온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A11)단계에서 상기 제1국선(C.01)으로부터 상기 톤 검출회로(104)에 의해 화중음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화중음이 검출되지 않았으면 상기 (A1)단계로 루핑하고 화중음이 검출되었으면 (A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1국선(C.01)을 유휴 상태로 하고 리턴한다.
다른 한편 상기 (A10)단계에서 상기 제1내선 가입자(STN1)가 후크-온 했을시에는 (A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1내선 가입자(STN1)를 유휴 상태로 하고 (A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1국선(C.01)을 유휴 상태로 하고 리턴한다.
이상 (A1),(A10∼A13)의 단계들은 상기 제1내선 가입자(STN1)와 제1국선(C.01)의 통화중에 어느 한쪽 혹은 양쪽에서 발생하는 후크 온 상태를 검출하여 유휴 상태로 만들어 주는 것으로, 언슈퍼바이즈드 트렁크 투 트렁크 기능을 수행하지 않으나 역시 톤 검출회로에 의한 국선의 후크 온 오프판단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내선과 국선 간의 통화시에는 굳이 국선 쪽을 체크해 보지 않아도 내선 쪽의 상태에 따라 통화의 종료 여부를 알 수 있지만 내선 쪽에서 수화기를 잘못 놓는 경우 등에 대비해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국선 쪽을 체크해볼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 효과적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톤 검출회로와 타이머를 사용하여 국선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들이 국선을 원할히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국선 접속회로로 입력되는 톤 신호를 검출하는 톤 검출회로를 구비한 전자식 교환 장치의 국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내선 가입자가 임의 제1국선을 점유하여 통화작업 수행 중 언슈퍼바이즈드 트렁크 투 트렁크 기능을 수행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제1과정과, 상기 내선 가입자가 언슈퍼바이즈드 트렁크 투 트렁크 기능을 수행하여 유휴 상태에 있던 임의의 제2국선과 상기 제1국선 간의 통화로가 연결되면 일정시간 동안 상기 제1 및 제2국선을 통해 화중음이 송출되는지 체크하여 화중음이 검출되면 상기 두 국선을 유휴 상태로 하고 상기 시간내에 화중음이 검출되지 않으면 강제로 상기 두 국선을 유휴 상태로 전환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국선 관리 방법.
  2. 국선 접속회로로 입력되는 톤 신호를 검출하는 톤 검출회로를 구비한 전자식 교환 장치의 국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내선 가입자가 임의의 국선과 통화 작업 중 후크 온 했는지 체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으 체크 결과 내선 가입자의 후크 온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국선으로부터 화중음이 송출되는지 체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체크 결과 화중음이 검출되면 상기 국선을 유휴 상태로 전환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국선 관리 방법.
KR1019890019631A 1989-12-27 1989-12-27 전자식 교환장치에서의 국선관리방법 KR920010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9631A KR920010936B1 (ko) 1989-12-27 1989-12-27 전자식 교환장치에서의 국선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9631A KR920010936B1 (ko) 1989-12-27 1989-12-27 전자식 교환장치에서의 국선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825A KR910013825A (ko) 1991-08-08
KR920010936B1 true KR920010936B1 (ko) 1992-12-24

Family

ID=1929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9631A KR920010936B1 (ko) 1989-12-27 1989-12-27 전자식 교환장치에서의 국선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109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825A (ko) 1991-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7450A (en) Cellular telephone with standard telephone set
AU621752B2 (en) Cellular telephone with standard telephone set
US542669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identifying information concerning a telephone calling party
KR100232865B1 (ko) 교환시스템의 자동 리다이알 방법
KR920010936B1 (ko) 전자식 교환장치에서의 국선관리방법
KR0138181B1 (ko) 국선 상호간 통화연결 감시장치 및 운용방법
JPS6128268A (ja) 端末自動選択装置
US4283603A (en) On-hook/off-hook status check circuit
JPH09331555A (ja) 伝送装置
JP3232640B2 (ja) 電話交換機
JPS6031349A (ja) キ−番号照合接続方式
KR100194456B1 (ko) 하나의 가입자선로를 이용한 단말장치의 선택 호출방법
JP2748466B2 (ja) オーダーワイヤ装置を備えた通信方式
US6850608B2 (en) Process for assigning a called number to customer premises equipment
KR19980082968A (ko) 자동 연속 호출 방법
JP3305891B2 (ja) ボタン電話装置
KR970011427B1 (ko) 다수의 국선 라인을 갖는 전화기의 선로 자동 선택 방법
US20020064266A1 (en) Multi-line arrangement
KR100216399B1 (ko) 교환장치의 전화기 미접속 내선 통지방법
JP3068953B2 (ja) 端末用網制御装置
KR100464362B1 (ko) 키폰시스템에서 호 픽업 방법
KR0162841B1 (ko) 사설교환 시스템에서 국선라인 사용통제방법
US20020067815A1 (en) Called party ID services
RU2127958C1 (ru)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ызова для указанной пары телефонов с кнопочным набором в системе коммутации телефонов с кнопочным набором
CA2113125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identifying information concerning a telephone calling par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