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762B1 - 항종양 면역증강 효과가 있는 단백질다당체 - Google Patents

항종양 면역증강 효과가 있는 단백질다당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762B1
KR920010762B1 KR1019900019386A KR900019386A KR920010762B1 KR 920010762 B1 KR920010762 B1 KR 920010762B1 KR 1019900019386 A KR1019900019386 A KR 1019900019386A KR 900019386 A KR900019386 A KR 900019386A KR 920010762 B1 KR920010762 B1 KR 920010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polysaccharide
fraction
centrifuged
protein
tr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9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410A (ko
Inventor
김병각
Original Assignee
오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화석 filed Critical 오화석
Priority to KR1019900019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10762B1/ko
Publication of KR920009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항종양 면역증강 효과가 있는 단백질다당체
제1도는 DEAE 셀루로즈 이온교환수지 칼럼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한 분획 A의 용출형태를 나타낸 그래프.
제2도는 세파로즈 CL-4B 젤여과에 의한 분획 B의 용출형태를 나타낸 그라프.
제3도는 세파로즈 CL-4B 젤여과에 의한 표준덱스트란의 용출형태를 나타낸 그라프.
제4도는 표준텍스트란을 이용한 세파로즈 CL-4B에 의한 분획 E의 분자량 결정 그라프.
제5a도는 분획 A의 메틸화된 단당류의 가스-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제5b도는 분획 B의 메틸화된 단당류의 가스-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제5c도는 분획 C의 메틸화된 단당류의 가스-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제5d도는 분획 D의 메틸화된 단당류의 가스-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제5e도는 분획 E의 메틸화된 단당류의 가스-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제6a도는 분획 A의 산가수분해된 아미노산의 크로마토그람.
제6b도는 분획 B의 산가수분해된 아미노산의 크로마토그람.
제6c도는 분획 C의 산가수분해된 아미노산의 크로마토그람.
제6d도는 분획 D의 산가수분해된 아미노산의 크로마토그람.
제6e도는 분획 E의 산가수분해된 아미노산의 크로마토그람.
제7a도는 분획 A의 적외선 분광 스펙트림.
제7b도는 분획 B의 적외선 분광 스펙트림.
제7c도는 분획 C의 적외선 분광 스펙트림.
제7d도는 분획 D의 적외선 분광 스펙트림.
제7e도는 분획 E의 적외선 분광 스펙트림.
본 발명은 식용버섯인 표고버섯으로부터 추출한 강력한 항종양 면역작용이 있는 단백다당체(이하, “에도단”이라 한다.) 및 그 추출공정에 관한 것이다.
버섯류인 담자균류에서 발견된 렌티난, 쉬조필란, 효모의 세포벽 지모산과 효모의 글루칸, 세균제제인 BCG 및 코리네 박테리움 팔붐, 방선균류의 하나인 노카르디아 루브라의 세포벽 성분등이 항암작용을 가진다고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중에서도 세균제제인 BCG나 프로인트 전 보조액(Freund’s complete adjuvant)과 같은 면역 보조제가 생체내에서 종종 복잡한 부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종양면역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사용할때에는 지장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 [Schuarenberg. L., Simmier, M. C. and Pico, J. L. :Cancer Immunol. Immunotherapy 1, 69(1976)]. 반면에 담자균류에서 분리한 다당체 성분은 숙주에 대하여 독작용을 수반하지 않으면서 종양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Sugiura, M. and Ito, H. :Tokyo Yakka Daigaku Kenkyu Mempo 27, 722(1977)].
본 발명자는 표고버섯의 항종양 면역증강 효과에 관하여 오랜동안 연구를 행하여 왔으며, 표고버섯의 균사체를 영양소가 들어있는 배양액에서 배양한 후 그 성분을 열시추출하여 분리하고 약효실험을 행한 결과, 이 항종양 성분은 고분자물질이며, 종양에 대하여 직접 억제작용이 있는 것이 아니라, 생체내에 원래부터 존재하는 방어 세포인 T세포, B세포 및 마이크로파지의 수를 증가시키고 아룰러 그 공격력을 활성화시킴으로 종양을 억제하는 사실을 밝혀내고 이 성분을 “에도단”이라 명명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용버섯인 표고버섯의 균사체를 배양하고 열시추출하여 항종양 면역효과가 있는 단백다당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표고버섯의 균사배양]
표고버섯(Lentinus edodes)의 균사를 액내배양하였다.
[배양균사의 배양]
1. 배지의 조성
(1) 종균용 배지
박토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아가(Bacto potato dextrose agar) 39g에 증류수를 가하여 1ℓ로 한다음 121℃, 1.1kg/㎠에서 15분간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2) 액내배양용 배지
글루코스 50g, 펩톤 9g, 이스트 추출물 9g, K2HOP40.87g, MgSO47Hz 0 0.5g, CaCl20.3g, FeSO47H20.10mg, MnCl24H20.7mg, ZnSO47Hz 0.4mg, CuSO45Hz 9.1mg에 증류수를 가하여 1ℓ로 하고 0.1M HCl pH를 5.5로 맞춘후 121℃, 1.1kg/㎠에서 15분간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2. 배양방법
(1) 종균배양
저상균주의 균사체를 무균적으로 분리하고 새로운 종균용 평판배지에 이식하여 27±1℃에서 10일반 배양하였다.
(2) 1차 액내배양
평판배지의 균사를 무균적으로 분리하여 액내배양을 배지 소량을 가하여 10초간 균질화한 후 100ml이 액내배양용 배지를 가한 500ml 삼각플라스크에 이식하고, 27±1℃에서 180rpm와 속도로 orbital incubator에서 10일간 배양하였다.
(3) 2차 액내배양
균사체를 포함한 배양액 전체를 10초간 무균적으로 균질화한 후 무균피렛으로 20ml씩 취하여 액내배양용 배지 500ml를 가한 2ℓ 삼각 플라스크에 이식하고, 27±1℃에서 180rpm의 속도로 오비탈 인큐베이터에서 15일간 배양하였다.
[실시예 2]
배양균사체로 부터의 단댁다당체의 추출 및 분리:
65ℓ의 액체배지에서 배양된 균사체를 열수추출, 농축, 75% 에탄올 침전, 투석 및 동결 건조하여 7.83g의 갈색분말을 얻었다. (도식 1). 이 분말을 분획 A라 명하였다.
도식 1. 표고버섯 배양균사체의 항암분획의 추출 및 분리
[실시예 3]
도식 II. DEAE 셀룰로즈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획 A로부터 중성 및 산성분획의 분리
분획 B는 다시 세파로즈 CL-4B 젤에서 0.01 소디움 포스페이트 완충액에 의해 용출하여 분획 E를 얻었다. (도식 III). 그 용출형태는 제2도에 나타내었다. 또한 분자량을 결정하기 위해 젤 여과방법을 이용했는데, T-2000(분자량 2백만), T-480(분자량 48만) 및 T-480(분자량 6만)을 이용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였으며 용출형태는 제3도와 같다. 이 결과 분획 E의 분자량은 1.05×105이었다. (제4도).
[실시예 4]
[항암실험]
생후 5주의 수컷 ICR마우스의 윈쪽 서혜부에 1ml당 106개의 육종 180세포를 근육주사한 후 72시간 후에 음성대조군으로 0.9% 생리식염수와 20mg/kg의 양으로 각 분획과 양성대조군인 크레스틴을 10일동안 복강주사후 2주후에 실시하여 서혜부의 고형종양의 무게를 측정(도식 IV)하여 억제정도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표 1). 분획 B와 E가 강한 억제작용을 보였는데 88-90%였다. 종양 억제율(%)는 다음식으로 계산하였다.
도식 IV. 생체상에서 항암실험 과정
도식 IV. 생체상에서 항암실험 과정
[표 1]
[실시예 5]
[화학적 분석]
각 분획의 총 다당류 함량은 안쓰론법으로 총 단백질 함량은 브레드포드 및 로리-폴린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표 2). 단백질양의 경우에, 표 3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브레드포드분석법이 더 효과적이었다. 분획 E는 87%의 다당류와 1.39%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었다.
헥소자민을 검출하고 양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엘손-몰간법이 이용되었으며 표 4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각 분획은 0.1-80%의 헥소자민을 함유하였다.
각 분획의 구성다당류는 가스-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검색하였던바 글루코즈(0-58%), 갈락토즈(0-45%), 멘조즈(19-48%), 자일로즈(0-55%) 및 푸코즈(0.5-10%)로 구성되어 있었다. (표 5, 제5도). 그리고 단백다당체의 단백질 부분은 표 6과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획 A,B,C,D 및 E는 각각 17종, 12종, 16종, 16종 및 13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표 2]
[표 3-가]
[표 3-나]
[표 4]
[표 5]
[표 6]
[실시예 6]
[기기분석]
각 분획의 구성원소는 탄소, 산소, 수소 및 질소가 각각 6:10.3:7.6:0.4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었고(표 7), 각 분획의 적외분광 스펙트럼 분석결과는 제7도에 나타내었다.
[표 7]
[실시예 7]
[면역 반응]
단백다당체에 의한 증강된 면역의 정도는 복강내에서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과산화산수 음이온(superoxide anion)의 측정(도식 V)과 비장내의 B세포, T세포 및 면역세포에 의한 용혈반수의 측정으로 평가하였다(도식 VI). 그 결과는 각각 표 8과 표 9에 나타내었는데 대조군에 비해 과산화수소 음이온은 1.42-1.75배, 용혈반수는 3.4배정도 증가되었다.
도식 V. 활성화된 세포에서 과산화산소 음이온의 분석과정
[표 8]
[표 9]
이상의 실시예들로 부터 표고버섯 배양 균사체의 열수추출물은 단백다당체이며, 이들의 항암작용을 복강투여후 대식세포에 의해 부분 소화되어서 면역증강 자극물질로 대식세포 및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암세포에 억제적 작용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Claims (8)

  1. 표고버섯의 균사체를 배양하고 여과하여 얻어진 균사체를 열시추출하고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을 농축하고 에탄올로 침전시켜서 얻어진 침전물을 투석하여 얻어진 수용성 물질을 동결 건조시켜서 얻어진 항암성 단백다당체.
  2. 표고버섯의 균사체를 배양하고 여과하여 얻어진 균사체를 열시추출하고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을 농축하고 에탄올로 침전시켜서 얻어진 침전물을 투석하여 얻어진 수용성 물질을 동결 건조시켜서 항암성 단백다당체를 제조하는 방법.
  3. 제1항에서 얻어진 단백다당체를 트리스-HCl 완충액에 용해하여 원심분리하고 DEAE 셀룰로즈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라피하고, 트리스-CHl 완충액으로 용출시키고, 미흡착 분획을 원심분리하고, 투석한 후 동결 건조시켜서 얻어진 항암 단백다당체.
  4. 제1항에서 얻어진 단백다당체를 트리스-HCl 완충액에 용해하여 원심분리하고 DEAE 셀룰로즈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라피하고, 트리스-HCl 완충액으로 용출시키고, 미흡착 분획을 원심분리하고 투석한 후 동결 건조시켜서 항암성 단백다당체를 제조하는 방법.
  5. 제1항에서 얻어진 단백다당체를 트리스-HCl 완충액에 용해하여 원심분리하고 DEAE 셀룰로즈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라피한, 0.5N NaOH로 용출시키켜서 흡착된 강산성의 단백다당체 분획을 원심분리하고 투석 및 동결 건조시켜서 얻어진 항암성 단백다당체.
  6. 제1항에서 얻어진 단백다당체를 트리스-HCl 완충액에 용해하여 원심분리하고 DEAE 셀룰로즈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라피하고 0.5N NaOH로 용출시키서 흡착된 강산성의 단백다당체 분획을 원심분리하고 투석 및 동결 건조시켜서 항암성 단백다당체를 제조하는 방법.
  7. 제3항에서 얻어진 단백다당체를 소디움포스페이트 완충액에 용해하고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등액을 세파로즈 CL-4B로 여과하고 소디움포스페이트 완충액으로 용출시키고 원심분리한 후 투석하고 동결 건조시켜서 얻어진 항암성 단백다당체.
  8. 제3항에서 얻어진 단백다당체를 소디움포스페이트 완충액에 용해하고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등액을 세파로즈 CL-4B로 여과하고 소디움포스페이트 완충액으로 용출시키고 원심분리한 후 투석하고 동결 건조시켜서 항암성 단백다당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900019386A 1990-11-28 1990-11-28 항종양 면역증강 효과가 있는 단백질다당체 KR920010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9386A KR920010762B1 (ko) 1990-11-28 1990-11-28 항종양 면역증강 효과가 있는 단백질다당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9386A KR920010762B1 (ko) 1990-11-28 1990-11-28 항종양 면역증강 효과가 있는 단백질다당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410A KR920009410A (ko) 1992-06-25
KR920010762B1 true KR920010762B1 (ko) 1992-12-17

Family

ID=1930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9386A KR920010762B1 (ko) 1990-11-28 1990-11-28 항종양 면역증강 효과가 있는 단백질다당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107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3783A1 (en) * 2004-10-22 2006-04-27 Kt & G Corpor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red ginseng acid polysaccharide and lentinus edodes, of preventing and treating cancer
US7285279B2 (en) 1999-07-09 2007-10-23 Sun Farm Corporation Method of treating malignancies and viral infections and improving immune function with a dietary suppl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4112A1 (fr) * 1997-05-30 1998-12-03 Sapporo Breweries Limited Procede et dispositif de preparation de compost
KR20030027220A (ko) * 2001-09-18 2003-04-07 (주)알알비 유기성 폐기물 퇴비화 설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5279B2 (en) 1999-07-09 2007-10-23 Sun Farm Corporation Method of treating malignancies and viral infections and improving immune function with a dietary supplement
KR100814297B1 (ko) * 1999-07-09 2008-03-18 썬 팜 코포레이션 악성 종양 및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고 면역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식이 보충제
WO2006043783A1 (en) * 2004-10-22 2006-04-27 Kt & G Corpor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red ginseng acid polysaccharide and lentinus edodes, of preventing and treating can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410A (ko) 1992-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0044B1 (ko) 신규 다당체물질 및 그 제조 방법
Fujii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ew antitumor polysaccharide, KS-2, extracted from culture mycelia of Lentinus edodes
IKEKAwA et al. Antitumor activity of Hypsizigus marmoreus. I. Antitumor activity of extracts and polysaccharides
Kim et al. Anti-cancer effect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endo-polysaccharide from cultivated mycelia of Inonotus obliquus
Jeong et al. Ganoderma applanatum: a promising mushroom for antitumor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Jin et al. Antitumor activities of heteropolysaccharides of Poria cocos mycelia from different strains and culture media
Kawagishi et al. Formolysis of a potent antitumor (1→ 6)-β-d-glucan-protein complex from Agaricus blazei fruiting bodies and antitumor activity of the resulting products
Nakamura et al. Fractionation and anti-tumor activity of the mycelia of liquid-cultured Phellinus linteus
Lee et al.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polysaccharides from mycelia of Phellinus linteus grown under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OHNO et al. Antitumor activity of a β-1, 3-glucan obtained from liquid cultured mycelium of Grifola frondosa
Moretão et al. Induction of secretory and tumoricidal activities in peritoneal macrophages activated by an acidic heteropolysaccharide (ARAGAL) from the gum of Anadenanthera colubrina (Angico branco)
Lee et al. Study on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macrophage treated with purified polysaccharides from liquid culture and fruiting body of Lentinus edodes
Wang et al. Lectin activity in fruiting bodies of the edible mushroom Tricholoma mongolicum
Bisko et al. Effects of cultivation parameters on in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tion in submerged culture of the edible medicinal mushroom Lentinula edodes.
Kojima et al. Structural analysis of glycogen-like polysaccharides having macrophage-activating activity in extracts of Lentinula edodes mycelia
KR920010762B1 (ko) 항종양 면역증강 효과가 있는 단백질다당체
EP1096022B1 (en) I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 substance from Phellinus spp. strain and use thereof
Zhang et al.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of Fomes fomentarius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antioxidation of derivatized polysaccharides
Zhuang et al. Chemical modification and antitumor activity of polysaccharides from the mycelium of liquid-cultured Grifola frondosa
JP4468654B2 (ja) 培養産物とその中に含まれる新規β−1,3−1,6グルカン、及びAureobasidium属菌株を用いたβ−1,3−1,6グルカン生産方法。
US5332667A (en) Method for producing biologically active polysaccharide RON substance
OHNO et al. Antitumor activity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polysaccharide fractions extracted with cold alkali from a fungus, Peziza vesiculosa
Shim et al. Antitumor and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of Elfvingia applanata hot water extract on sarcoma 180 tumor-bearing ICR mice
US6943007B2 (en) I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 substance from Phellinus spp. strain and use thereof
Kim et al. Antitumor Components of the Cultured Mycelia of Calvatia crani form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