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239B1 - 음질(音質)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음질(音質)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239B1
KR920010239B1 KR1019890011991A KR890011991A KR920010239B1 KR 920010239 B1 KR920010239 B1 KR 920010239B1 KR 1019890011991 A KR1019890011991 A KR 1019890011991A KR 890011991 A KR890011991 A KR 890011991A KR 920010239 B1 KR920010239 B1 KR 920010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gain
operation input
bands
sound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174A (ko
Inventor
마사끼 나와야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00007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01Digital control of analog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02Manually-operated control
    • H03G5/025Equalizers; Volume or gain control in limited frequency bands

Landscapes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질(音質)조정장치
제1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음질 조정장치의 전자식 가변 저항기의 회로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디지털 처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3도는 버스, 트레블의 주파수 특성도.
제4도는 제1실시예에 의한 각주파수 특성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처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6도는 이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음질 조정장치의 전자식 가변 저항기의 회로 구성도.
제7도는 제6도의 디지털 처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8도는 종래의 그래픽 이쿼라이저(graphic equalizer)의 회로도.
제9도는 종래의 버스 트래불형 음질 조정 회로의 회로도.
제10도는 제8도의 회로 주파수 특성도.
제11도는 제9도의 회로 주파수 특성도.
제12도는 종래의 전자식 그래픽 이쿼라이저의 전자식 가변 저항기의 회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작 입력부 2a, 2b : 디지털 처리부
3 : 전자식 가변저항기 본체 4 : 인터페이스
5 : 전자식 가변저항기 5a : 저항배열
5b : 전자식 스위치 6 : 버스 up/down 입력부
7 : 트래블 up/down 8 : 모드(mode)스위치
이 발명은 오디오 대역내에 있어서, 주파수 특성보정기능 및 음질조정기능을 지닌 것으로써, 음향기기에 내장시켜 사용하든가 또는 독립적인 장치로서 사용되는 음질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향기기에 있어서, 음향조정기능은 크게 나누어 두가지 목적이 있다.
제1의 목적은, 원음(原音)에 충실한 음을 재생시키기 위하여 기록, 전송, 변성모체의 오디오 대역내에 있어서의 주파수 전달 특성을 보정시키는데 있다.
예컨대, 스피커의 주파수 특성, 음장(音場)공간에 있어서의 전달 특성들의 보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그 용도로 한정시키면, 스피커의 주파수 특성에 있어서의 복잡한 음파의 보정을 함에 있어, 보다 세분화된 밴드마다 이득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플레트(flat)한 주파수 특성을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한 것이다.
제1의 목적에 적합한 기능을 가진 장치로서는 소위 그래픽 이쿼라이저를 들 수 있다.
이 그래픽 이쿼라이저는 오디오 대역을 통상 3개 이상의 밴드로 분할하여 각 밴드에 대한 이득을 독립적으로 조절하여 소망의 보정을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음질조정의 제2의 목적은 저음을 보다 풍부하게 하는 또는 자극적인 음질을 듣기좋도록 주파수 특성을 변화시키는 음질의 작위적 조작인 것이다.
이음질조작에 관하여는, 대개 복잡한 주파수 특성을 조작하지 않고 오디오 대역(帶域)을 대체로 고음부와 저음부로 나누고 저음부(저영역)조정[버스]와 고음부(고영역) 조정(트레블)을 행하는 소위 버스·트레블형 음질 조정회로에 의하여 실현된다.
제8도는 종래의 그래픽 이쿼라이저의 회로이다.
제8도에 있어서, op1은 연산증폭기(operatinal amplifier), R1은 입력단자(T1)과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이하, (+)입력단자라 부른다), 간에 접속된 저항, VR1~VR5는 연산증폭기(op1)의 (+)입력단자와 동일하게 그반전입력단자(이하, (-)입력단자라 부른다), 간에 고정측저항부가 병렬 접속된 가변저항기이다.
RC1~RC5는 코일, 콘덴서, 저항을 직력접속시킨 각 직렬공전회로인데 각 가변저항기 VR1~VR5의 각 접동부와 접지간에 접속되어 있다.
직렬공진회로 RC1~RC5는 100Hz, 316Hz, 1HKz, 3.16KHz, 10KHz에 대한 각 공진주파수를 각각 가지고 있다.
R2는 연산증폭기 OP1의 (-)입력단자와 그 출력단자 T2간에 접속된 피드백용 저항이다.
입력단자 T1에 오디오 신호를 입력시켜 가변저항기 VR1~VR5를 각각 조정하면 중심주파수가 100Hz, 316Hz, 1KHz, 3.16KHz, 10HKz의 5개의 밴드 게인에 각각 변화되며 이 게인에 따라 주파수 특성의 오디오 신호가 연산증폭기 OP1의 출력단자 T2에 출력된다. 이 경우, 가변저항기의 저항치를 연산증폭기 OP의 (-) 입력단자측의 값이 (+) 입력단자측에 비교하여 작아지도록 조정하면 그 밴드의 게인이 증폭되고 그 반대이면 감쇠한다.
제10도는 그래픽 이쿼라이저의 주파수 특성의 게인을 최대(12dB), 최소(-12dB)로 변화시켰을때의 특성이다.
제9도는 종래의 버스, 트레블형 음질조정회로를 나타낸다.
이 음질조정회로는 입력단자 T3, 출력단자 T4, 연산폭기 OP2, 두 개의 저항 R3, R4, 3개의 콘덴서 C1~C3, 버스용가변저항기 VR6, 트레블용가변저항기 VR7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버스용가변저항기 VR6를 조정함으로써 입력단자 T3에서 입력된 오디오 신호의 저영역 게인을 조정할 수 있으며 트레블용 가변저항기 VR7를 조정함으로써 그 오디오 신호의 고 영역 게인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들의 밴드 게인에 따라 음질의 오디오 신호를 연산증폭기 OP2의 출력단자 T4에 출력시킬 수 있다.
제11도는 이버스·트레블형 음질조정회로의 주파수 특성의 변화 특성예를 표시한 것이고 1KHz를 경계로 하여 고영역, 저영역의 게인을 최대 12dB에서 최소 -12dB까지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외에도 제8도에 표시한 그래픽 이쿼라이저의 가변저항기 VR1~VR5대신 전자식 가변저항기를 사용한 그래픽 이쿼라이저가 있다.
제12도는 전자식 가변저항기를 표시한 회로 구성도이다.
제12도에 있어서 1은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는 조작입력부로서, 5개의 밴드 즉 중심 주파수가 100Hz, 316Hz, 1KHz, 3.16KHz, 10HKz의 밴드마다의 레벨증가(up)와 레벨감소(DOWN)의 키일력을 할 수 있다.
2는 공지의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는 디지털 처리부, 3은 5개의 밴드마다 설치된 전자식 가변저항기 본체로써, 마이크로컴퓨터(2)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저항치는 변화시킨다.
이 전자식 가변저항기 본체(3)는 인터페이스회로(4)와, 저항배열과 이저항배열의 저항의 각 접속부에서 인출되고 인터페이스회로(4)의 출력에 의하여 개폐조작되는 전자식 스위치로 구성된 전자식 가변저항기(5)로 구성되어 있다.
조작입력부(1)에 있어서, up/DOWN 키는 유효한 상태에서 1회 입력되었을 때 그 대응하는 밴드의 게인을 +2dB 혹은 -2dB 변화시키는 것이다.
지금, 디지털처리부(2)는 항상 조작입력부(1)에 있어서, 입력의유무를 주사(走査, scan)에 의하여 체크하고 있다.
여기에서 특정밴드의 up키(또는 DOWN키)가 1회 눌러진 것을 검출하면 그 이전의 밴드에 관하여 기억되어 있는 최신의 게인설정 데이터에 +2dB분(-2dB분)을 가산하여 인터페이스(4)와의 결정에 따라 새로운 게인 설정데이터를 인터페이스(4)에 보내어 전자식 가변저항기(5)의 희망 변화량에 따라 특정한 전자식 스위치를 ON으로 변화시킨다.
물론 이때에는 ON하기전에 ON으로 되어 있던 전자식 스위치를 OFF시킨다.
또 디지털처리부(2)는 게인을 +2dB, -2dB를 넘어서 변화시키는 키입력을 무효로 하도록 동작한다.
그런데, 그래픽 이쿼라이저는 앞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대역 분할이 많을수록 보정한 결과로서의 주파수 특성을 보다 평탄하게 할수있다.
반대로, 음질조작과 같이 넓은 밴드에 걸쳐서 게인을 증가 혹은 감소시키려면 대역분할이 많을수록 많은 밴드에 관하여 조작입력을 행할 필요가 있다.
한편, 버스·트레블형 음질조정회로와 같이 오디오 대역을 크게 2분할 시킨 것에서 음질조작을 할 때는 그 조작입력부가 적기 때문에 매우 빠른 입력조작을 할 수있다.
또한 넓은 밴드에 걸쳐서 게인을 변화시킴으로 인하여 음성, 음악 등의 강한 스펙트럼이 높은 화률로서 밴드내에 존재하게 되고 음을 청취하면서 조작입력으로 입력량을 충분히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점에서 그래픽 이쿼라이저에 비하여 오판단에 의한 입력조작량의 잘못은 거의 없다.
그러나, 반대로 스피커의 주파수 특성에 있어서의 디프(dip)나 피크(peak)의 보정 목적에 관하여는 대개 만족할 수 있는 보정 결과를 얻을 수 없다.
종래의 음질 조정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밴드의 세분화는 조작성의 저하를 생기게 하며 반대로, 대역분할의 감소는 주파수 특성의 보정능력을 저하를 가져오게 한다.
특히 차량용 음향기기에 있어서는, 음장의 특수성 때문에 고도의 보정 능력이 필요하다고 하면서 한편에서는 안정성 때문에 조작은 지극히 용이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음질 조정장치로서는, 그래픽 이쿼라이저와 같은 많은 밴드의 음질보정 기능을 가질 것과 버스·트레블형 음질조정회로와 같은 음질조작상 필요최저한의 음질조정 기능을 병행하여 가져야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음질 조정장치는 조작입력부에 언제나 필요하지 않는 스위치나 레버를 부가시키기 위하여 조작입력부가 복잡화되거나 두종류의 음질조정 회로를 갖추기 위하여 회로 규모의 증대를 초래케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보정조작 하려는 의도에서 그래픽 이쿼라이저형 입력조작을 사용하려면 좋은 음질로 설정된 버스·트레블형 음질조작에 의한 밴드 특성을 평탄한 상태로 복귀시킬 필요가 있으며 조작상 번거로운 등의 과제가 있었다.
이 발명의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회로를 공통으로 사용하여 회로 규모를 증대시키지 않도록 하며 그래픽 이쿼라이저의 기능과 같은 정밀한 주파수 특정보정과 버스 트래블형 음질조정회로의 기능과 같은 조작성이 우수한 음질조정을 양립시킬 수 있는 음질 조정장치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의 음질 조정장치는 오디오 대역을 M와 M(<N)개의 밴드로 각각분할하고 제1의 조작입력수단에 의하여 N개의 각 밴드에 대하여 제1의 조작입력시키고 제2의 조작입력 수단에 의하여 M개의 각 밴드에 대하여 제2의 조작입력시키며, 이 제2의 조작입력을 환산수단에 의하여 N개의 밴드에 게인증감량으로서 웨이팅시켜 제1의 조작입력량과 환산된 게인증감량에 따라 이득 설정수단에 의하여 M개의 각 밴드에 게인을 설정하며 설정된 게인이 되도록 전자식 가변저항기 본체의 가변저항치를 변화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 발명의 음질 조정장치는 제2의 조작 입력을 N개의 각 밴드에 게인중감량으로서 분배되도록 환산하므로 N개의 각 밴드를 게인 조정하기 위하여 제1의 조작입력과 일괄해서 게인 설정데이터를 구할 수 있으며 그 게인 설정데이터에 의하여 전자식 가변저항기 본체의 가변저항치를 일괄해서 변화시킨다.
이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음질 조정장치의 요부인 전자식 가변저항기의 구성도이다.
제12도의 종래예와 동일부분에는 부호 1, 3~5를 붙였다. U11~U15및 D11~D15는 조작입력부(1)의 up키와 DOWN키이며 이것들은 각각 쌍으로 되어 각 키의 일단부가 접지되고 각 타단부가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는 디지털처리부(2a)의 입력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디지털처리부(2a)는 제2도의 흐름에 따라 동작하는 것으로써 출력포트가 5개의 밴드(중심주파수가 100Hz, 316Hz, 1KHz, 3.16KHz, 10HKz)의 5개 전자식 가변저항기 본체(3)내의 인터페이스(4)에 접속되어 있다.
각 전자식 가변기본체(3)는 인터페이스(4)와 전자식 가변저항부(5)로 구성되어 있다.
각 전자식 가변저항부(5)는 저항 1개당 2dB분을 변화시키는 저항치를 가진 고정저항을 12개분 직렬접속시킨 저항배열(5a)과 저항배열(5a)의 접속부(단자와의 접속부를 포함한다)에서 인출되고 인터페이스(4)의 출력에 의하여 개폐제어되는 13개의 전자식 스위치로 구성되는 전자식 스위치부(5b)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6은 저영역의 게인의 증폭을 지시하기 위한 DOWN키(D6)로 구성되는 버스·up/DOWN 입력부, 7은 고영역의 게인의 증폭을 지시하기 위한 up키(U7)와 그 감쇠를 지시하기 위한 DOWN키(D7)로 구성되는 트레블·up/DOWN 입력부이다.
이들의 up키(U6), (U7) 및 DOWN키(D6), (D7)의 각 일단은 접지되고 타단은 디지털처리부(2a)의 입력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전자식 가변저항기는 제8도의 회로의 가변저항기 VR1~VR5대신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각 저항배열(5a)의 양단부는 연산증폭기(op)의 (+) 및 (-) 입력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각 전자식 스위치(5b)의 공통단은 공진회로 RC1~RC5의 각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제1도 및 제2도에 의하여 동작을 설명한다.
아래의 각 스텝에 있어서, 5개의 각 밴드마다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101)에서는 조작입력부(1), 버스·up/DOWN 입력부(6) 및 트레블·up/DOWN 입력부(7)를 주사시켜 조사 입력을 검출한다.
스텝(102)에서는 조작입력부(1)를 주사시켜 검출된 새로운 조작입력량과 이에 대응하는 N번째 밴드의 레지스터 RIN의 내영[RIN]을 가산하여 N번째 밴드의 그래픽 이쿼라이저 조작량을 레지스터 RIN에 기억시킨다. 단, N는 중심주파수 100Hz, 316Hz, 1KHz, 3.16KHz, 10HKz의 낮은쪽의 밴드로부터 순차적으로 1, 2, …5로 화음(chord)시킨 것이다.
스텝(103)에서는 버스·up/DOWN 입력부(6)를 주사시켜 검출된 새로운 조작입력량과 레지스터 R21에 기억되어 있는 버스조작입력량[R21]을 가산하여 새로운 버스조작입력량으로서 그 레지스터 R21에 기억시킨다. 또 트레블·up/DOWN 입력부(7)를 주사시켜 검출된 새로운 조작입력부와 레지스터 R22의 내용[R22]을 가산하여 새로운 트레블 입력량으로서 레지스터 R22에 기억시킨다.
도면중, R2M(단 M=1, 2)는 레지스터[R2M]는 그레지스터의 내용을 나타낸다.
스텝(104)에서는 상기와 같이 갱신된 고영역과 저영역의 2밴드분의 데이터[R2M]는 5개 밴드의 각 변화량으로 환산하는 웨이팅(weighting) 연산되어 레지스터 R3N에 기억된다.
즉 버스의 XdB 변화량은 100Hz와 316Hz의 각 중심주파수의 밴드의 XdB 변화로서 그리고 트레블의 ydB 변화량은 3.16KHz와 10KHz의 각 중심주파수의 밴드의 ydB 변화로서 환산된다. 이 환산에 의하여 얻어지는 버스/트레블형 토운(tone)의 변화특성예는 제3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된다.
다음에, 스텝(105)에서는 N번째 밴드의 그래픽 이쿼라이저 조작입력량[R1N]과 N번째의 밴드에 대응된 조작량의 웨이팅(weighting) 환산치[R3N]를 가산하여 N번째 밴드의 게인설정 데이터로서 레지스터 Ron에 기억시킨다(단 N=1~5).
스텝(106)에서는 레지스터 Ron의 내용[Ron]인 N번째 밴드의 게인설정 데이터를 그 밴드용 전자식 가변저항기 본체에 송출한다. 그후 스텝(101)으로 되돌아와서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또한 각 전자식 가변저항기 본체(3)는 그 밴드의 게인설정 데이터를 인터페이스에 입력시켜 인터페이스(4)의 출력에 의하여 그 게인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게인이 되도록 전자식 스위치부(5b)의 1개식 전자식 스위치만을 ON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up키(U11)~(U15), U6, U7중 어느 하나의 1회의 조작량은 +2dB에 상당한 것이고 DOWN키(D11)~(D15), D6, D7중 어느 하나의 1회의 조작량은 -2dB에 상당한 것이다.
up 또는 DOWN과 같은 키를 계속하여 여러회 조작하면 그 조작회수만큼 그 밴드의 게인이 제어되지만, 게인설정 데이터는 게인가변폭의 ±2dB를 초과하여서는 안되기 때문에 게인설정 데이터의 제한이 필요하게 되지만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음질조정한 결과를 제4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4a도는 음악의 소스(source)에서 스피커 음향출력까지 음질조정을 하지 않는 경우의 주파수 특성을 표시하였다.
제4b도는 이 주파수 특성의 혼란을 편탄하게 되도록 결정된 그래픽 이쿼라이저 조작의 입력 특성을 나타낸다.
제4c도는 제4a도를 제4c도로 보정시킨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다(단, 파선은 제4a도의 곡선).
제4d도는 양질의 음질을 막론하고 버스/트레블 조작에서의 조작입력 특성을 나타낸다.
제4e도는 제4d도에 의하여 제4c도의 주파수 특성을 변화시킨 음향출력에서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다(단, 파선은 제4c도의 곡선).
다음에,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제2실시예는 제1도와 같이 하드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디지털처리부가 제5도에 표시한 흐름을 실행하는 점이 제1의 실시예와 다른 것이다.
다음의 각 스텝에 있어서, 5개의 각 밴드마다 동일한 처리가 행해지는 것을 전제로 한다.
우선, 스텝(201)에서는 주파수에 의하여 조작입력을 검출한다. 스텝(202)에서는 N번째 밴드의 레지스터 RIN의 내용[RIN]과 N번째 밴드의 새로운 조작입력을 가산하여 레지스터 RIN에 새로운 그래픽 이쿼라이저 조작입력량으로서 기억시킨다(단, N=1~5).
스텝(203)에서는 N번째 밴드의 새로운 그래픽 이쿼라이저 조작입력량[R1N]이 -6dB~+6dB의 범위내인지의 여부에 의하여 범위내이면 그대로 두고 +6dB를 넘으면 +6dB로 제한하며 -6dBAL만이면 -6dB로 제한하여 새로운 그래픽 이쿼라이저 조작입력량으로서 레지스터 RIN에 설정한다.
스텝(204)에서는 버스·트레블의 새로운 조작입력량에 레지스터 R2M의 내용 [R2M](단, M=1, 2)을 각각 가산하여 버스 조작입력량, 트레블 조작입력량을 갱신시킨다.
스텝(205)에서는 레지스터 R2M의 내용[R2M]에서 각 밴드의 변화량에 웨이팅 환산치를 산출하여 각 밴드의 레지스터 R3N에 기억시킨다.
스텝(206)에서는 이 레지스터 R3N의 내용[R3N]이 -6dB~+6dB의 범위내인지의 여부에 의하여, 범위내이면 그대로 두고, +6dB를 넘었으면 +6dB로, 그리고 -6dB미만이면 -6dB로 레지스터 R3N(N=1~5)에 웨이팅 환산치를 재설정한다.
스텝(207)에서는 N번째의 밴드의 그래픽 이쿼라이저 조작입력량[RIN]과 동밴드의 웨이팅 환산치[R3N]를 가산하여 N번째 밴드의 게인설정 데이터로서 레지스터 RON에 기억시킨다.
스텝(208)에서는 레지스터 RON의 내용인 게인설정 데이터(RON)를 송출시켜 각 밴드의 게인을 설정한다.
스텝(208)의 처리후는 스텝(201)으로 되돌아가서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그래픽 이쿼라이저 조작입력량과 버스트레블 조작입력량의 한쪽이 ±12dB의 가변조작폭과 완전히 같거나 또는 거의 같게 되면 다른쪽의 조작입력량의 여유가 없어지기 때문에 스텝(203), (206)에 의하여 조작입력량으로 제한을 가하게 된다.
제6도는 이 발명의 제3실시예의 요부의 전자식 가변저항기를 나타낸 것인데, 제1실시예와 다른점은 마이크로컴퓨터(2a) 대신에 제7도의 흐름에 따라 동작하는 마이크로컴퓨터(2b)를 사용하며 버스·up/DOWN 입력부(6)와 트레블·up/DOWN 입력부(7) 대신에 마이크로컴퓨터(2b)의 입력포트에 접속되고 그래픽 이쿼라이저 조작입력 모드나 버스·트래블 조작입력모드를 지시하는 모드스위치(8)를 설치하여 중심주파수 100Hz의 밴드용 up키(U11)과 DOWN키(D11)를 버스용 up키와 DOWN키로 겸용케 하여 중심주파수 316Hz의 밴드의 up키(U12)를 트레블용 up키와 DOWN키로 겸용케한 점이다.
기타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제1도와 동일부호 1, 3~5를 붙혔다.
다음에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스텝(301)에서는 조작입력부(1)의 입력을 주사시켜 조작입력을 검출한다.
스텝(302)에서는 모드스위치(8)가 ON인지, OFF인지를 판별하여 ON에 의한 그래픽 이쿼라이저 조작입력모드(모드(1))인지, 또는 OFF에 의한 버스·트레블 조작입력모드인지를 판별한다.
모드(1)이면, 스텝(303)에서 레지스터 RIN의 내용[RIN]에 N번째 밴드의 새로운 조작입력량을 가산하여 N번째 밴드의 새로운 그래픽 이쿼라이저 조작입력량으로서 레지스터 RIN에 기억시킨다.
스텝(304)에서는 레지스터 RIN의 새로운 내용[RIN]을 게인설정 데이터로서 레지스터 RON으로 옮긴다.
스텝(305)에서는 N번째의 밴드의 레지스터 RON의 게인설정 데이터[RON]를 그 밴드의 전자식 가변저항기 본체(3)으로 솔출하며 인터페이스(4)를 통하여 전자식 스위치부(5b)의 1개만을 ON으로하여 게인설정 데이터[RON]에 대응하는 게인으로 설정한다.
스텝(305)의 처리후는 스텝(1)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스텝(302)에서 모드(2)라 판별하였을때는 스텝(306)으로 진행하며, 버스·트레블의 새로운 조작입력량에 레지스터 R2M의 내용[R2M](단, M=1, 2)을 각각 가산하여 레지스터 R2M에 기억시킨다.
스텝(308)에서는 N번째 밴드의 레지스터 R1M의 내용인 그래픽 이쿼라이저 조작입력량[RIN]과 동밴드의 레지스터 R3N의 내용인 웨이팅환산치[R3N]를 가산하여 N번째 밴드의 게인설정 데이터[RON]으로서 레지스터 RON에 기억시킨다.
스텝(309)에서는 레지스터 RON의 내용[RON]인 게인설정 데이터[RON]를 N번째 밴드의 전자식 가변저항기 본체(3)에 송출시켜 그 게인설정데이터[RON]에 대응하는 게인으로 설정한다.
스텝(309)의 처리후에 스텝(301)으로 되돌아가서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서는 5밴드의 그래픽 이쿼라이저 조작입력량과 버스·트레블형 톤콘트롤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버스·트레블 이외 3개 이상의 밴드로 분할(단, 그래픽 이쿼라이저의 분할수보다 작다)하여도 되며 또 그 내용의 1개 밴드를 5개 밴드의 그래픽 이쿼라이저의 특정한 1개 밴드의 주파수 변화특성과 전혀 동일하게 하여도 된다.
또한 조작자가 먼저 조작입력시킨 주파수 특성을 반영구적으로 디지털 처리부에 기억시켜 두고 특정한 지시에 의하여 그 특성을 재차 호출하여 각 밴드의 게인설정 하는 것을 상기 실시예에 부가시킬 수도 있다.
또 미리 불휘발성 메모리나 배선재의 결선에 의하여 기억시킨 복수의 주파수 특성 1개를 특정한 지시에 의하여 호출하고 각 밴드의 게인설정을 행하는 기능을 상기 실시예에 부가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오디오 대역을 N과 M(<N)개의 밴드로 분할하고 M개용 제2의 조작입력을 N개의 각 밴드에 증감량으로서 환산시켜 분배되도록 하며 이들의 게인증감량과 N개용 제1의 입력등에서 N개의 각 밴드의 게인을 결정하도록 구성시켰으므로 게인을 조정하는 밴드의 폭여하에 불구하고 그 조작성이 용이하게 되며 더구나 일괄하여 게인을 결정하여 전자식 가변저항기 본체의 가변저항치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회로규모의 증대를 초래함이 없이 염가로 되며 더더구나 종래 그래픽 이쿼라이저나 버스 트레블형 음질조정회로가 있는 밴드의 분할수에 의하여 생기는 이율배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오디오 주파수 대역(帶域)을 N개 밴드로 분할시켜 상기 각 밴드에 대한 이득조정을 조작입력하기 위한 제1의 조작입력수단과, 이 제1의 조작입력량을 디지털량으로 변환시켜 기억시키는 기억수단과, 상기 각 밴드의 이득설정 데이터에 따라 각 가변저항기를 변화시키는 전자식 가변저항기 본체를 갖추고 상기 각 밴드의 이득설정 데이터에 따라 주파수 특성에 오디오 신호를 음질조정하는 음질조정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주파수 대역을 상기 N보다 작은 복수의 M개 밴드로 분할시킨 이들의 각 밴드에 대한 이득의 증감을 조작입력하기 위한 제2의 조작입력량을 상기 N개의 각 밴드에 웨이팅된 이득중감량으로 환산하는 환산수단과, 이 웨이팅된 이득증감량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1의 조작입력량에 따라 상기 N개의 각 밴드의 이득을 설정하는 이득설정 수단을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질조정장치.
KR1019890011991A 1988-10-21 1989-08-23 음질(音質)조정장치 KR920010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266499 1988-10-21
JP63266499A JPH0712133B2 (ja) 1988-10-21 1988-10-21 音質調整装置
JP266499 1990-10-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174A KR900007174A (ko) 1990-05-09
KR920010239B1 true KR920010239B1 (ko) 1992-11-21

Family

ID=1743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991A KR920010239B1 (ko) 1988-10-21 1989-08-23 음질(音質)조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94770A (ko)
JP (1) JPH0712133B2 (ko)
KR (1) KR920010239B1 (ko)
DE (1) DE3935051A1 (ko)
NL (1) NL19275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15019A1 (de) * 1990-05-10 1991-11-14 Philips Patentverwaltung Schaltungsanordnung mit elektronisch steuerbarem uebertragungsverhalten
JPH0565115U (ja) * 1991-08-30 1993-08-27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オーディオ増幅器
JPH0585116U (ja) * 1992-04-22 1993-11-16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グラフィックイコライザー回路
DE19505697A1 (de) * 1995-02-20 1996-08-22 Siemens Ag Verstärkereinrichtung zum Verstärken elektrischer Signale in einem vorgegebenen Frequenzbereich mit steuerbarer Verstärkung
FR2749453B1 (fr) * 1996-05-31 1998-09-04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Filtre audio analogique pour frequences aigues
US7162046B2 (en) * 1998-05-04 2007-01-09 Schwartz Stephen R Microphone-tailored equalizing system
US6661900B1 (en) * 1998-09-30 2003-12-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igital graphic equalizer control system and method
EP1285523A2 (en) * 2000-12-13 2003-02-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acoustic apparatus having ringing signal generation means capable of producing a subjective bass perception
CN101998206A (zh) * 2009-08-20 2011-03-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音频补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163256B (ko) * 1972-02-15 1973-07-28
NL7806727A (nl) * 1978-06-22 1979-12-28 Philips Nv Egalisatienetwerk.
US4285065A (en) * 1980-01-21 1981-08-18 Motorola, Inc. Radio with audio graphic equalizer
US4852176A (en) * 1986-05-12 1989-07-25 Truhe Jr Joseph V Continuous differential signal equalizer
US4789952A (en) * 1986-12-29 1988-12-06 Tektroni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compensation and digital equalization
US4785475A (en) * 1987-01-29 1988-11-15 Eugene Rimkeit Apparatus and method for equalizing a soundfie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94770A (en) 1991-02-19
JPH0712133B2 (ja) 1995-02-08
JPH02113613A (ja) 1990-04-25
DE3935051C2 (ko) 1992-01-23
DE3935051A1 (de) 1990-04-26
NL192758B (nl) 1997-09-01
NL8902618A (nl) 1990-05-16
NL192758C (nl) 1998-01-06
KR900007174A (ko) 1990-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47062A (en) Digital gain control apparatus
US6442281B2 (en) Loudness volume control system
JPH01231510A (ja) 出力レベル制御装置
KR920010239B1 (ko) 음질(音質)조정장치
US4002994A (en) Tone control circuit
CA2006288C (en) Gain controller
KR20030075174A (ko)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서
US4890331A (en) Specialized amplifier systems for musical instruments
US5023915A (en) Specialized amplifier systems for musical instruments
US2298987A (en) Audio 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circuit
US3036158A (en) Binaural volume tuner
US2900609A (en) Tone compensated loudness control
EP0215951A1 (en) Graphic balancer
US6326842B1 (en) Variable gain amplifying apparatus which can change a gain during an operation
US4959867A (en) Audiometer attenu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020057809A1 (en) Reduced complexity audio mixing apparatus
US4206417A (en) Sound system control
US2005022644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 mixing of audio signals
US4710962A (en) Signal control apparatus
JPH06232662A (ja) 音量制御装置
US4392114A (en) Audio device having a tone control cancelling circuit
JP3210793U (ja) 音量調整装置
KR0178677B1 (ko) 하이 엔드 오디오 기기의 밸런스 입력레벨 자동 조절회로
US3221092A (en) Automatic reverberation control
KR870001942Y1 (ko) 음향기기의 음역 제어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