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117B1 - 자동차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117B1
KR920010117B1 KR1019900006199A KR900006199A KR920010117B1 KR 920010117 B1 KR920010117 B1 KR 920010117B1 KR 1019900006199 A KR1019900006199 A KR 1019900006199A KR 900006199 A KR900006199 A KR 900006199A KR 920010117 B1 KR920010117 B1 KR 920010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cup
spring
plat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6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825A (ko
Inventor
서영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06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10117B1/ko
Publication of KR910019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컵홀더
제1도는 종래 컵홀더의 구성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결합단면도로서, (a)는 컵홀더가 인출된 상태도, (b)는 컵홀더가 삽입된 상태도.
제4도는 제2도의 결합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요구확대도로서, (a)는 걸림돌기가 걸림편에 걸려지는 순서도, (b)는 걸림돌기가 걸림편에서 해제되는 순서도.
제6도는 비상멈춤편의 작동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a)는 측면도, (b)는 평면도.
제7도는 걸림편과 비상멈춤편의 작동상태도로서, (a)는 일반적인 정상 상태시의 작동상태도, (b)는 컵홀더가 충격을 받았을 때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컵홀더 1´ : 관통홈
2 : 컵홀더케이스 3 : 슬라이드패널
4 : 래크 5 : 레일
6 : 걸림돌기 7 : 장공
8 : 컵지지홀 9 : 링크
10 : 컵지지판 11,11´ : 스프링
12 : 힌지핀 13 : 안내홈
14 : 하부판 15 : 안내면
16 : 상부판 17 : 피니언
18 : 경사면 19 : 곡면부
19´ : 안내홈 20 : 걸림편
20´ : 비상멈춤편 21,21´ : 스프링
22 : 케이스 22´ : 판스프링
23,23´ : 힌지핀홀 24 : 스크류체결구멍
25,25´ : 피니언장착홀 26,26´ : 스크류
27 : 손잡이 28 : 컵
G : 갭(GAP) 29 : 요(凹)홈
29´ : 절결홈 30 : 스프링
31 : 멈춤편
본 발명은 자동창 실내에 설치되어 컵이나 음료용기 등을 일시 보관시키는 컵홀더(CUP HOLD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납이 확실하고 조작이 용이한 푸쉬 버튼식(PUSH BOTTON TYPE)의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자동차(특히 승용차)에 적용되는 컵홀더는 링형태의 것이거나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홀더케이스(2)내에 컵홀더(1)가 수납되어진 서랍식의 것으로, 컵지지판(10)과 힌지핀(12)으로 탄지되는 컵홀더(1)가 상기 컵홀더케이스(2)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컵지지판(10)이 절첩되어 보관되다가(제1도의 점선) 사용자가 컵홀더케이스(2)로부터 컵홀더(1)를 인출하게 될 경우에는, 컵지지판(10)이 자중에 의하여 펼쳐지도록 되어 있다(제1도의 실선).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컵(또는 음료용기, 이하 같음)이 놓여지는 컵지지판(10)은 그 후단이 컵홀더(1) 후단과 힌지핀(12)으로 결합되어져서 상기 컵홀더(1)가 컵홀더케이스(2)에 서랍식으로 끼워지거나 빼지는 구성을 이루고, 상기 컵지지판(10)의 후단이 힌지핀(12)에 지지되어지므로 말미암아 컵홀더케이스(2)로부터 컵지지판(10)이 빼내어진 경우, 즉 컵(28)등을 올려놓기 위한 경우에는, 컵지지판(10)이 힌지핀(12)을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회전되면서 그 배면이 컵홀더케이스(2) 입구에 걸어져서 더 이상의 회전을 방지하는 열림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컵(28)이 놓여지면 컵(28) 바닥부는 상기 컵지지판(10)상에 놓여져 받쳐지고, 컵(28)의 허리부분은 컵홀더(1)의 관통홈(1´)에 의해 지지되어져 컵(28)의 보관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컵(28)을 빼낸 후에는 상기 컵홀더(1)를 컵홀더케이스(2)에 밀어 넣어 보관하게 되는데, 이때 자중으로 내려와 있던 컵지지판(10)은 힌지핀(12)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제1도의 점선위치로 수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컵홀더의 경우에 있어서는 컵지지판의 하부, 즉 컵이 놓여지는 부분이 개방된 상태라 음료가 넘치게 되면 시이트나 사용자의 옷을 버리게 되고, 전장부품에 물이 스며들 경우에는 부식과 더불어 전기배선상의 합선 등을 유발시킬 우려가 있게 된다.
더구나, 운행중인 차량의 진동에 따라서 자중으로만 내려와 있거나 수납되어진 컵지지판은 소음이 많이 발생하여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방해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종래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롤타잎의 판스프링(PLATE SPRING)과 걸림편 등을 이용하여 컵을 받쳐 놓기 위한 컵홀더가 원터치(ONE TOUCH)에 의하여 인출될 수 있도록 할 뿐만아니라, 컵홀더와 컵홀더케이스가 래크와 피니언으로 조립결합되어 컵홀더가 컵홀더케이스내로 삽입(수납)된 상태나, 혹은 인출된 상태 등 어떠한 경우에도 차량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외부의 갑작스런 충격이 전해질 경우에는 오동작방지를 위한 장치가 마련되어져서 자동차고급화 및 차량안전운행에 기여할 수 있는 컵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컵홀더(1)의 컵홀더케이스(2)로부터 이루어지는 서랍식의 자동차용 컵홀더로써, 상기 컵홀더케이스(2)는 하부판(14)과 상부판(1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컵홀더(1)는 슬라이드패널(3)과 컵지지판(10)으로 이루어지되, 상부판(16)은 안내면(15) 양 측벽에 피니언장착홀(25´)이 형성된
Figure kpo00001
자형 단면의 하부가 개방되어진 덮개로써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14)은 상부판(16)에 끼워져서 컵홀더케이스(2)의 하부판(14)을 구성하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짐과 동시에, 양측벽에 피니언장착홀(25)이 형성되고, 내부전방에는 케이스(22)에 내장된 판스프링(22´)이 설치되며, 내부후방의 요(凹)홈(29)내에는 스크류(26´)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스프링(21)에 탄지된 걸림편(20)이 설치되는 한편, 요홈(29)에 이웃하여 비상멈춤편(20´)이 절결홈(29´)내에 형성되며, 이 절결홈(29´)위로 스프링(30)으로 탄지되는 멈춤편(31)이 유착된다.
또한, 상기 컵홀더(1)를 구성하는 컵지지판(10)은 한개 이상의(본 발명에서의 2개) 컵지지홀(8)과 양 측벽에 장공(7)을 갖춘채 그 후단이 힌지핀(12)에 의해 힌지핀홀(23)에 장착되며, 슬라이드패널(3)의 양변에는 상기 피니언(17)과 짝을 이루는 래크(4)가 형성되어진 레일(5)이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하부판(14)상에 설치된 판스프링(22´)의 선단이 슬라이드패널(3) 후방에 스크류(26)로 체결되어져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컵홀더(1)에서는 컵지지판(10) 후단이 힌지핀(12)을 중심으로 앞부분이 개폐되면서 항상 열려지는 힘을 받도록 스프링(11)으로 탄지되고, 다만 컵지지판(10)의 양변에 형성된 장공(7)에 링크(9)의 일단이 끼워져 있고 타단이 힌지핀홀(23´)에 계지되어져 컵지지판(10)의 열리는 범위가 제한되며, 특히, 상단부가 장공(7)에 계지된 링크(9)가 이 장공(7)내에서 미끄럼이동하면서 상기 컵지지판(10)이 슬라이드패널(3)로부터 힌지핀(12)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또한, 컵홀더케이스(2)를 구성하는 하부판(14)은 상기 컵홀더(1)의 레일(5)부분이 끼워져 전후로 이동되는 안내홈(13)을 양변에 갖추고서 피니언(17)이 설치되는 피니언장착홀(25)이 전방에 형성되어서 이 피니언장착홀(25)에 피니언(17)을 끼운후 스크류(26,26´)로 체결시키게 된다.
또한, 이들 안내홈(13)사이, 즉 하부판(14) 내부의 중앙전방위치에는 판스프링(혹은 와이어가 감겨지는 스프링, 22´)이 내장되는 케이스(22)가 고정장착되어져 이 판스프링(22´)의 선단이 상기 슬라이드패널(3) 후방의 스크류체결구멍(24)에 스크류(26)로 체결되어서 이 판스프링(22´)의 탄지력으로 상기 컵홀더(1)는 언제나 열려지는 힘을 받게 되어 제3a도와 같은 인출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하부판(14)의 후단부 요(凹)홈(29)내에는 스프링(21)으로 탄지되는 걸림편(20)이 회동가능하도록 스크류(26´)로 체결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출된 컵홀더(1)를 밀어 넣어 수납시킬 때에는 컵홀더(1)에 형성시킨 걸림돌기(6)가 상기 걸림편(20)의 안내홈(19´)내에 걸어져 록크(LOCK)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판(16), 하부판(14)과 함께 조립된 컵홀더(1)는 컵홀더케이스(2)의 하부판(14)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22)내의 판스프링(22´) 끝단이 슬라이드패널(3)의 후단에 스크류(26)로 고정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패널(3)의 양쪽 끝단을 컵홀더케이스(2) 하부판(14)의 안내홈(13)에 삽입하여 컵홀더(1)의 래크(4)와 컵홀더케이스(2)의 피니언(17)이 상호 맞물려 있으므로(여기서 컵홀더케이스(2)는 차내부의 크래쉬 패드나 차창벽면등에 고정 설치되며, 주위부품은 생략한다), 상기 컵홀더(1)를 컵홀더케이스(2)내로 수납시키기 위해 컵홀더(1)의 손잡이(27)를 컵홀더케이스(2)내로 밀어 넣으면 컵홀더(1)의 걸림돌기(6)가 컵홀더케이스(2)의 걸림편(20)이 길어지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도면 제3a,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홀더(1)는 판스프링(22´)이 모두 감겨질 때까지 컵홀더케이스(2)로부터 항상 인출되어지는 힘을 받고 있고, 인출상태에서 컵지지판(10)은 힌지핀(12)의 스프링(11)과 링크(9)의 스프링(11´)힘에 의하여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서, 컵지지홀(8)내에 컵(28)을 놓아 둘 수 있도록 되어 있다(제3a도). 이때 장공(7)의 선단위치에 링크(9) 일단이 위치하는 최대로 펼쳐진 상태를 갖게 되므로 더 이상 컵홀더(1)는 열리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컵(28)을 제거하고 손잡이(27)를 밀어 상기 컵홀더(1)를 안내홈(13)을 따라 컵홀더케이스(2)내로 수납시키고자 하면, 레일(5)에 형성된 래크(4)가 컵홀더케이스(2) 양쪽측면에 설치된 피니언(17)과 맞물려 컵홀더(1)를 수평이동시키게 되며, 이때 피니언(17)은 내부에 스프링이나 점성유체가 내장된 것이므로 손으로 눌러 닫거나(수납) 판스프링(22´)에 의해 탄성력으로 미끄럼이동(인출)하는 경우의 가해진 힘이 일정하지 않아도 상기 컵홀더(1)를 일정한 속도로, 수납 또는 인출시키도록 해준다.
계속하여 컵홀더케이스(2)내로 상기 컵홀더(1)가 삽입되는 동작이 진행되면, 벌어진 컵지지판(10)이 컵홀더케이스(2)의 입구(정확히는 안내홈(13) 상부)에 접촉되면서 상기 컵지지판(10) 측면에 장공(7)내에서 링크(9)의 일단이 유동되어, 힌지핀홀(23´)을 중심으로 스프링(11´)힘에 의한 탄성을 가지면서 접혀지고, 컵홀더케이스(2)의 하부판(14)에 설치고정된 판스프링(22´)은 되감기려는 탄력을 축적하면서 컵홀더(1)의 걸림돌기(6)가 컵홀더케이스(2)의 걸림편(20)의 안내홈(19´)내에 걸려질 때까지 삽입된다.
이러한 걸림편(20)의 록크방식을 제5a도에서 설명한다. 걸림편(20)은 스프링(21)에 의해서 스크류(26´)를 중심으로 한 시계방향으로의 회동력을 항상 받고 있다. 따라서, 컵홀더(1)의 수납에 따라 걸림돌기(6)가 수평으로 전진하면서 걸림편(20)의 곡면부(19)에 닿게 되고, 더 전진하면 상기 걸림편(20)은 스프링(21)힘을 이기고서 스크류(26´)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걸림돌기(6)가 곡면부(19)를 지나 안내홈(19´)내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편(20)은 스프링(21)힘에 의해 원위치되고, 걸림돌기(6)는 걸림구조를 이루는 안내홈(19´)내에서 록크되어 컵홀더(1)가 인출되지 않도록 해 준다.
이와 같이 컵홀더(1)를 수납시킨 상태에서 상기 컵홀더(1)의 손잡이(27) 끝단부와 컵홀더케이스(2)의 선단부사이에는 일정간격의 갭(G)이 유지되므로, 이러한 갭(G)만큼 손잡이(27)를 눌러 컵홀더(1)의 걸림돌기(6)가 컵홀더케이스(2)의 걸림편(20)으로부터 해제되도록 한다.
이를 첨부도면 제3b도 및 제5b도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컵홀더(1)가 컵홀더케이스(2)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컵홀더(1)가 컵홀더케이스(2) 선단에 고정 설치된 판스프링(22´)에 의한 힘으로 인출되는데(이때 판스프링(22´)은 금속에 줄자와 같이 구조상 되감기려는 탄성을 축적하고 있다), 먼저, 걸림돌기(6)가 걸림편(20)의 안내홈(19´)으로부터 해제되어져야 하므로 손잡이(27)를 안으로 더욱 눌러 걸림돌기(6)를 갭(G)만큼 전진시킨다. 이에 따라 제5b도에서와 같이 걸림돌기(6)는 안내홈(19´)내의 경사면(18)을 따라 미끄럼이동하고 스프링(21)으로 탄지된 걸림편(20)은 스크류(26´)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서 눌렀던 손잡이(27)를 놓게 되면 판스프링(22´)의 복원력으로 상기 걸림돌기(6)가 후퇴되고, 걸림편(20)의 안내홈(19´)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므로 상기 슬라이드패널(3)이 인출되게 된다.
이를 정리하면, 컵홀더(1)의 손잡이(27)끝단과 컵홀더케이스(2)의 선단사이에는 일정한 갭(G)이 유지되게 되며 사용자가 컵홀더(1)를 사용하기 위하여 컵홀더케이스(2)로부터 인출해 내고자 할때에는 컵홀더(1)의 손잡이(27)를 상기의 갭(G)만큼 밀어 넣어 걸림편(20)의 안내홈(19´)에 걸려져 있는 걸림돌기(6)가 해제되면서 컵지지판(10)이 설치된 슬라이드패널(3)이 인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걸림편(20)의 측부에 설치된 멈춤편(31)은 상기 컵홀더(1)가 수납되어진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을 경우 걸림돌기(6)가 걸림편(20)의 안내홈(19´)으로부터 자연 이탈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걸림편(20)과 상기 멈춤편(31)이 스프링(30)의 힘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게 되므로 걸림편(20)의 회동이 자유롭게 되나(제7a도 참조), 상기 컵홀더(1)에 순간적인 충격이 가해질때에는 상기 충격에 의하여 멈춤편(31)이 밀려나가 걸림편(20)의 회동을 방해하여 안내홈(19´)내에 위치된 걸림돌기(6)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컵홀더(1)가 컵홀더케이스(2)내에서 판스프링(22´)의 힘에 의하여 밖으로 인출되게 되면 힌지핀(12)에 스프링(11)으로 탄력지지되어 있는 컵지지판(10)이, 스프링(11)에 탄지된 링크(9)와 함께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컵홀더(1)가 컵홀더케이스(2)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어 컵지지판(10)이 펼쳐지게 되면 상기 컵지지판(10)의 컵지지홀(8)에 컵(28)을 끼워 놓으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컵홀더에 판스프링과 래크와 피니언 및 걸림돌기와 걸림편 등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원터치 방식)으로 컵홀더의 인출 및 컵지지판의 전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으며, 특히 스프링을 적개 적소에 배치하여 운전중의 소음발생 등을 방지시켰으며 이에 따라 자동차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물론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여 차량안전운행을 돕는 효과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컵홀더케이스(2)에 컵홀더(1)가 수납되며, 상기 컵홀더케이스(2)는 하부판(14)과 상부판(16)으로 이루어지고, 컵홀더(1)는 슬라이드패널(3)과 컵지지판(10)으로 이루어진 서랍식의 자동차용 컵홀더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6)은 안내면(15) 양 측벽에 피니언장착홀(25´)이 형성된
    Figure kpo00002
    자형 단면의 하부가 개방되어진 덮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판(14)은 상부판(16)에 끼워져서 컵홀더케이스(2)의 하부판(14)를 구성하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양 측벽에 피니언 장착홀(25)이 형성되고, 그 내부전방에는 케이스(22)에 내장된 판스프링(22´)이 설치되며, 내부후방의 요(凹)홈(29)내에는 스크류(26´)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스프링(21)에 탄지된 걸림편(20)이 설치되고, 상기 요홈(29)과 이웃하여 형성된 절결홈(29´)에는 탄성편(20´) 및 스프링(30)으로 탄지되는 멈춤편(31)이 설치되며, 상기 컵홀더(1)를 구성하는 컵지지판(10)은 한개 이상의 컵지지홀(8)과 양 측벽에 장공(7)을 갖춘채 그 후단이 힌지핀(12)에 의해 힌지핀홀(23)에 장착되며, 슬라이드패널(3)상에는 상기 피니언(17)과 짝을 이루는 래크(4)가 형성되어진 레일(5)이 길이방향으로 좌우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하부판(14)상에 설치된 판스프링(22´)의 선단이 스크류(26)에 의해 슬라이드패널(3)상에 체결되어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걸림편(20)은 평행 사변형의 외형을 이루면서 안내홈(19´)과 곡면부(19)을 갖춘채 스크류(26´)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시계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21)으로 탄지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컵지지판(10)의 장공(7)에는 힌지핀홀(23´)에 선단이 연결되는 링크(9)의 후단이 미끄럼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져서 힌지핀(12)을 중심으로 개폐되는 컵지지판(10)의 열림범위가 한정되어질 수 있도록 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판스프링(22´)은 컵홀더(1)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지력을 갖도록 설치되며, 컵홀더(1)가 컵홀더케이스(2)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걸림돌기(6)가 걸림편(20)의 안내홈(19´)에 걸어져 인출이 억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5. 제4항에 있어서, 컵홀더(1)의 인출은 손잡이(27)를 갭(G)만큼 눌러주어서 걸림돌기(6)가 안내홈(19´)에서 해제되는 원터치식으로 행해짐과 더불어 피니언(17)내에는 스프링이나 점성유체가 충진되어져 래크(4)의 급속한 인출을 막아 컵홀더(1)의 부드러운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KR1019900006199A 1990-05-01 1990-05-01 자동차용 컵홀더 KR920010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6199A KR920010117B1 (ko) 1990-05-01 1990-05-01 자동차용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6199A KR920010117B1 (ko) 1990-05-01 1990-05-01 자동차용 컵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825A KR910019825A (ko) 1991-12-19
KR920010117B1 true KR920010117B1 (ko) 1992-11-16

Family

ID=19298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6199A KR920010117B1 (ko) 1990-05-01 1990-05-01 자동차용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101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825A (ko) 199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6029B2 (en) Accessory holder
JP3314903B2 (ja) 車両用小物収納装置
US6116674A (en) Removable console for use with a vehicle
US5620228A (en) Drawer device
US6213533B1 (en) Device having a pop-out part for installation in a motor vehicle
JP2653400B2 (ja) 自動車に取り付けられる引出し可能なスライディングユニット
US20060208506A1 (en) Latching mechanism
US8109424B2 (en) Tray apparatus
KR101055007B1 (ko) 덮개체의 개폐기구 및 차량용 소품상자
EP2354397A1 (en) Mobile object lock mechanism
KR19980057732A (ko) 컵 홀더장치
KR920010117B1 (ko) 자동차용 컵홀더
US20060261598A1 (en) Safety locking device for a container in a vehicle
JP3524800B2 (ja) 車両用物入れ装置
JPH01101243A (ja) 箱体の開閉作動装置
KR100930797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 열림 방지장치
JP4371347B2 (ja) 安全機能付ロック装置及び乗物用収納装置
JP2671039B2 (ja) カップホルダー装置
JP2003040023A (ja) 自動引き出しユニット
US4318649A (en) Locking mechanism for B deck of auto-rack railway car
KR100381482B1 (ko) 자동차의 콘솔 록킹 장치
KR101481683B1 (ko) 수납장치
KR100563730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고정구조
US20080143120A1 (en) Device for locking door of a tray in a vehicle
JPH068769A (ja) 乗物用カップホル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