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934B1 - 타이어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934B1
KR920009934B1 KR1019890005251A KR890005251A KR920009934B1 KR 920009934 B1 KR920009934 B1 KR 920009934B1 KR 1019890005251 A KR1019890005251 A KR 1019890005251A KR 890005251 A KR890005251 A KR 890005251A KR 920009934 B1 KR920009934 B1 KR 920009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cass
tire
support
flexible support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853A (ko
Inventor
제이. 글로버 크리스토퍼
제럴드 굿펠로우 안쏘니
Original Assignee
앱슬리 메탈즈 리미티드
더블유. 에이. 파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앱슬리 메탈즈 리미티드, 더블유. 에이. 파커 filed Critical 앱슬리 메탈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90015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6Accessories or details, e.g. membranes, transfe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72Side-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타이어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빌딩 장치로 그 작동 위치내의 작동 헤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의 사시도를 그 작동 위치내의 작동 헤드를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제1도 장치의 그 작동 위치내의 작동 헤드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타이어 카커스 이동 메커니즘을 도시하는 제1도의 Ⅳ-Ⅳ선상의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작동 헤드를 더 상세히 도시한 확대도.
제6도는 가요성 지지 디스크 및 그 이동가능한 캐리어를 통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환상 부분품 12 : 가요성 환상 지지체
13,71 : 측벽 캐리어 17,89,91,92 : 공기 통로
34 : 작동 헤드 37,38,39 : 링크
51 : 주튜브 70 : 플랜지
81 : 적용수단
본 발명은 타이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래디알 카커스 공기 타이어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절두체형 또는 타이어 카커스 형태를 이룬 경화되지 않은 환상 타이어 부분품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다른 방식으로 완전한 그리인 타이어로 측벽의 조립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래디알 타이어의 제조에 있어서, 타이어 카커스는 평형 드럼 및 측벽 부분품, 정점상에서 조립되었고 채퍼 비드 보강체등과 같은 다른 부분품은 평형 상태에서 추가되었다. 카커스는 그 후 브레이크 벨트, 접지면 및 측벽 조립전에 절두체형 배치로 형태를 이룬다. 특히 측벽의 부가로 완성된 타이어에서 측벽홈을 일으킬 수 있는 약간의 스트립 왜곡으로 인하여 절두체형 카커스 둘레를 감는 평형 스트립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측벽 조립체의 다른 제안된 방법은 카커스로 예비 성형된 측벽에 맞도록 형태를 이룬 카커스와 접촉하는 분리 환상 측벽틀내의 최종 형상인 경화되지 않은 환상 측벽을 생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측벽틀은 그 후 타이어 숙성틀의 부분에서 형성된다. 그와 같은 방법은 영국 특허 제2134439A호에서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종래 타이어 빌딩 방법에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환상 부품은 동축 및 상기 카커스에 인접하도록 절두체형 타이어 카커스에 인접하는 부분품 자리에서 제1배치 및 가요성 지지체를 통하여 하중을 적용하기 위하여 형태를 이룬 카커스에 조립되는 타이어 카커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적합하게 가요성 지지체는 가요성 지지체에 적용되는 이송 하중을 통하여 견고한 캐리어상에 설치되고 형태를 이룬 카커스로 부분품의 이동후에 견고한 캐리어의 카커스에 대하여 부분품을 유지하는 이송 위치에서 클램프 유지되고, 반면 카커스는 카커스 및 상기 부분품 강화를 위해 5바아까지 팽창한다.
편리하게 환상 부분품은 제1위치에서 가요성 지지체 위에 위치하고 부분품 그 자리에서의 가요성 지지체는 타이어 카커스로 조립체를 위해 제2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절두체형 타이어 카커스가 위치가능한 주프레임과, 환상 그리인 타이어 부분품이 위치 가능한 환상 가요성 지지체와 가요성 지지체가 위치가능하고 작동 헤드가 상기 부분품에 동축으로 정렬하고 인접한 카커스에 위치하여 프레임에 대해 이동가능한 작동 헤드와, 가요성 지지체상의 장소에서 부분품을 가압하여 조립체용 형태를 이룬 카커스에 대한 작동 헤드상의 적용 수단을 포함하는 공기 타이어 제조용 장치를 제공한다.
편리하게 장치는 상기 절두체형 타이어 카커스의 각 측상의 한쪽에 배열된 한쌍의 상기 작동가능한 헤드와, 작동가능한 위치에 동축이며 상기 두 헤드에 상호 정렬하고 부분품을 카커스로 이동 및 그후 강화 공정동안에 그것을 함께 고착하여 그위에 각각 수단을 가지는 두 개의 작동가능한 헤드를 포함한다.
적합하게 작동헤드는 작동 헤드가 환상 부분품을 수용할 때 몸체가 수직 조건으로 되도록 프레임에 피보트한 몸체상에 설치되며, 몸체는 환상요소가 그 조립체용 타이어와 동축으로 정렬될 때 수평 조건으로 회전된다.
가요성 지지체는 방사상 외주부가 캐리어에 대해 변환가능하도록 가요성 지지체의 방사상 내부 가장자리를 지지하고 작동 헤드로 부터 분리가능한 견고한 캐리어상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상 측벽 부분품이 동축이며 카커스에 인접하도록 절두체형 타이어 카커스에 근접하는 역전가능한 가요성 환상 지지체위에 배치되고, 측벽이 가요성 지지체로 부터 공기 유입을 최소화하여 방사상 외향 이동 접촉으로 카커스까지 측벽 부분품을 이동하여 내부 직경으로부터 외부 직경까지 점진적 왜곡에 의해 환상 지지체의 역전에 의해 카커스에 조립되는 타이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축 및 상기 카커스에 인접한 역전가능한 지지체에 위치하며 환상 측벽 부분품이 위치가능한 가요성 역전가능한 지지체와, 공기 유입을 최소화하여 내부 직경으로 부터 외부 직경까지 상기 카커스에 측벽의 점진적 조립을 위한 수단을 가지며 조립을 위한 절두체형 타이어 카커스에 대하여 측벽의 자리에서 가압하여 지지체를 역전하는 적용기를 포함하는 절두체형 타이어 카커스로 환상 측벽 부분품에 적용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상 측벽 부분품이 상기 카커스에 인접하고 동축이 되도록 절두체형 타이어 카커스에 근접하는 환상 가요성 지지체 위에 배치되고, 측벽 부분품이 카커스에 대하여 부분품을 가압하여 부분품 위치에서 가요성 지지체를 통하여 하중을 적용하기 위한 형태를 가진 카커스에 조립되고, 측벽 부분품의 카커스로 이동후에 가요성 지지체가 견고한 지지수단에 의해 카커스에 대하여 유지되고, 상기 견고한 지지수단이 상기 카커스가 팽창될 때 타이어 외면을 지지하여 카커스 둘레에 억제 수단의 일부를 형성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상 측벽 부분품이 위치가능한 가요성 환상 지지체와 측벽 부분품의 조립체용 형태를 이룬 카커스에 대한 측벽 부분품위에서 가요성 지지체를 가압하는 적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적용수단이 견고하며 카커스가 팽창될 때 타이어의 외면을 지지하여 억제 수단의 일부를 형성하는 절두체형 타이어 카커스로 환상 측벽 요소를 적용하기 위한 장치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상 측벽 부분품이 카커스에 동축이고 인접하도록 절두체형 타이어 카커스에 근접하는 환상 가요성 지지체 위에 배치되며, 측벽은 그후 측벽 부분품에서 가요성 지지체의 왜곡에 의해 절두체형 카커스에 조립되며, 가요성 지지체가 카커스에 대한 측벽 부분품을 가압하여 가요성 지지체를 통하여 작용하는 견고한 적용 수단에 의하여 왜곡되고 가요성 지지체가 카커스 형태에 조화되는 배치를 취하게 되는 윤곽진 표면을 가지는 타이어 제조의 방법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상 측벽 요소가 위치가능한 가요성 환상 지지체와, 가요성 지지체를 통하여 작용하고 상기 형태를 이룬 타이어 카커스에 대하여 측벽 부분품 장소에서 가압하는 견고한 적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적용 수단이 가요성 지지체를 절두체형 카커스의 외부 형태로 조화하여 배치를 취할 수 있는 그 위에 윤곽진 면을 갖는 절두체형 타이어 카커스로 환상 측벽 부분품을 적용하기 위한 장치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기술될 것이다.
제6도에 관하여 언급하면, 타이어용 환상 구성 부분품, 적합하게는 경화되지 않은 측벽(11)은 본 발명의 부분 형태가 아닌 다른 위치에서 생산되며, 동축 이동 가능한 캐리어(13)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동축 가요성 지지체(12)상에 그 완성된 형태 부분품으로서 본 발명의 장치에 공급된다.이완된 배치내의 가요성 지지체(12)는 측벽(11)에 절두체형 외면(14)을 가지며 절두체형내에 위치된다.
캐리어 방사상 내면은 그 위에 원추체형 시트(15)을 가지며 환상 래치홈(16)의 기능은 후에 기술되어 질 것이다. 그것은 또한 가요성 지지체(12)를 원추체형 표면(14)으로 부터 캐리어의 방사상 외부 실린더형 표면(18)까지 거쳐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17)이다. 측벽 본래의 장소쪽의 한쌍의 캐리어(13)는 그후 이동되고 기술되어질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빌딩 장치의 한 부분을 이룬다. 장치는 다른 완전한 그러나 다른 환상 부분품을 절두체형 타이어 카커스로 조립을 이용될 수도 있는 그리인 타이어에서 측벽 부분품에 조립된다. 장치는 중앙 프레임(22)안에서 세분되고 한쌍의 프레임(23)에 의하여 각 측쌍의 측면에 접한 프레임(21)을 포함한다. 측 프레임(23)과 중앙 프레임(21)은 타이어 카커스에서 환상 부분품의 정확한 위치에 정렬된다. 중앙 프레임(22)은 프레임(21)에 대하여 외부 위치(25A)로 부터 프레임(21)내의 정확한 조립체 위치(25B)(점선 윤곽내로 도시)까지 횡이동을 위해 그 위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되어 타이어 카커스 이동링 위에 설치된 횡프레임(24)(제4도)을 갖는다.
이동링(25)은 절두체형 그리인 타이어 카커스를 지지하는 방사상 팽창 및 수축가능한 링이며 적합하게 측벽을 제외하고 다른 완전한 타이어로 작동기(27)에 의하여 팽창가능한 다수의 세그먼트(26)를 포함할 수 있다. 축 이동을 위해 중앙 프레임(22)상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된 것은 측벽(11)에 운반된 한쌍의 작동 헤드(34)에 대하여 그리인 타이어에 위치하는 한쌍의 중앙링(28)이다(축 이동은 타이어의 회전축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중앙링은 브래킷에 의하여 상하 주변부에서 결합봉(29)상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작동기(도시않됨)에 의하여 정확하게 이동될 수 있다. 두 중앙링(28)의 축내면은 작동 위치내의 이동링(25)가 인접하므로 세그먼트(26)의 방사상 내면과 일체로된 그 방사상 내면(30)은 그리인 타이어의 접지면의 필요한 만곡진면과 조화를 이룬다. 두 중앙링의 축외면은 원추체형이며 사용에 있어 기술되어진 방법으로 이동할 때 가요성 지지체의 외주변부를 수용할 것이다.
작동 헤드(34)는 단지 암수 고착장치의 개재체내의 다른 한쌍의 조화 헤드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구체적으로 단지 하나의 헤드(34)를 제외하고는 다른 것은 동일하게 기술되어질 것이다.
각 작동 헤드(34)는 몸체(35)를 따라서 중간길이 위치에 한쌍의 피보트핀(36)에 의해 각축 프레임(23)에 피보트된 신장 몸체(35)의 한 단부에 운반된다. 헤드(34)축 하중 위치간에 핀(36)에 대하여 선회하는 작동헤드는 수직이며 헤드(34)축 작동 위치에서는 수평이며, 중앙프레임에 위치한 그리인 타이어 카커스의 축에 동축이다. 헤드(34)로 부터 떨어진 몸체(35)의 다른 단부는 하중 및 작동 위치사이에서 헤드(34)를 이동하기 위해 피보트되는 메커니즘(37,38,39,40)에 연결된다. 피보트되는 기구는 몸체(35) 한단부에서 피보트되는 제1링크(37)와 다른 단부에서 피보트되는 제2링크(38)를 포함한다. 제2링크(38)는 다른 단부에서 프레임(23)에 피보트되며 다른단이 프레임에 피보트된 제3링(39)의 한 단부에 고정된 핀(42)과 활주 연결되는 슬롯(41)을 가진다. 제3링크(39)는 작동기(40), 적합하게는 유압 작동기에 중앙에서 벗어난 피보트 연결을 가진다. 제1도에서의 작동기(40)는 그 작동 위치내의 작동 헤드(34)와 그 연장된 조건내에 도시되었다. 작동기가 수축될 때 제3링크(39)는 핀(42)이 제2링크(38)내의 슬롯(31)아래에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프레임예 대하여 피보트됨으로써 제2링크가 프레임상에 시계방향으로 피보트를 일으킨다. 제2링크(38)의 이동은 그후 제1링크가 몸체(35)의 부착 단부 아래로 끌어당겨서 몸체(35)를 핀(36)에 대하여 피보트한다. 링크(37,38,39)가 함께 약해지기 때문에 헤드(34)는 수직 하중 위치로 이동한다. 이것은 제3도에 도시되었다.
두 개의 작동 헤드(34)는 제5도에 상세히 도시되었다. 각 헤드(34)는 작동기(52), 적합하게는 유압 작동기에 작동하도록 각 몸체(35)내의 겹으로 포개어 활주가능한 주지지체 튜브(51)의 한 단부상에 설치되며 그 작동 위치내의 작동 헤드 장소에서 몸체(35)내의 축으로 튜브를 이동할 수 있다. 각 작동헤드(34)는 주 지지체 튜브(51)상에 겹으로 포개어 설치된 다수의 관형부재와 가요성 지지체 튜브를 통하여 그리인 타이어에 대하여 부분품에 가압하기 위한 적용부재(81)를 포함한다. 비이드 시트링(54)은 주튜브(51)내의 활주가능한 비이드 링 튜브(55)의 한 단부에 설치된다. 우측 헤드(34B)의 비이드 시트(54B)는 두공기 통로(91,92)를 가짐으로써 공기압이 두 헤드(34)사이에 위치된 타이어 카커스안으로 도입될 수 있다. 두 비이드 시트링(54)의 축내부 단부면은 두헤드(34)가 상호 고착될 때 밀폐하여 상호 결합하는 그 위에 각각 환상 리세스(56) 또는 환상 스피곳(57)을 갖는다. 비이드 링 튜브(55)는 주튜브(51)의 방사상 내부 돌출 환상 플랜지(60)에 축외향으로 연장되며 동축 보스(59)위에 축외향 연장되는 것과 함께 축외부 단부벽(58)을 가짐으로써 튜브(55)는 동축 중앙 수톡(61A)위에서 채운다. 튜브(55)는 주튜브(51)내에서 축이동을 제한한다. 축외향 단부에서의 보스(59)는 작동기(63), 적합하게는 주튜브(51)와 캡(62)사이의 상기 주튜브(51)내에서 비드링 튜브(55)에 이동하여 작동하는 유압 작동기에 연결되어 그 위에 고착된 캡(62)을 갖는다.
제5도의 좌측 작동 헤드(34A)는 비드링 튜브(55)내에 동축 및 활주가능하도록 위치되며 중앙 스톡(61A)상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되며 클램핑 튜브가 두 헤드사이의 고착 메카니즘에 작동한다. 좌측 헤드(34A)의 중앙스톡(61A)은 우측 헤드(34B)의 중앙 스톡내의 환상홈(66)내에 결합할 수 있는 피보트된 다수의 래치레버(65)를 갖는다. 레버(65)는 래치되지 않는 조건으로 탄성적으로 편의되며, 작동기, 적합하게는 유압 작동기 작동에 의하여 고착되며 튜브(55) 단부벽과 클램핑 튜브(64)사이에서 클램핑 튜브 우측으로 활주하여 작동함으로써 방사상 내부로 래치레버(65)의 단부에서 홈(66)에 결합하여 피보트한다. 좌측 중앙 스톡(61A)은 두 헤드(34A,34B)간에 정렬하는 우측 스톡(61B)상의 동축 스피곳(69)에 결합하는 그안에 동축 보어(68)를 갖는다.
주튜브(51)는 내향 돌출 플랜지(60)로 축에 인접하여 위치된 그위에 방사상 외향 돌출 환상 플랜지(70)를 갖는다. 주튜브(51)의 방사상 외면상에는 외부 단부에서 외향 방사상 돌출 플랜지(71) 및 축내부 단부에서 방사상 외향 돌출 플랜지(73)를 갖는 동축 관형 측벽 캐리어(71)에 활주하여 설치된다. 축내부 단부 플랜지(73)는 작동 헤드(34)상의 분리가능한 측벽 캐리어(13)에 위치하여 측벽 캐리어(13)상의 표면(15)같은 것에 대항하여 수용한 방사상 외부 챔퍼면(74)을 갖는다. 적어도 두 작동기(75) 그리고 적합하게는 세 개의 유압 작동기는 주튜브(51)상의 플랜지(70)와 캐리어 슬리이브(71)상의 축외부 플랜지(72)사이에서 슬리이브(71)를 주튜브(51)상의 이리저리로 활주하여 작용한다. 캐리어 슬리이브(71)는 또한 인접한 플랜지(73)위에 공기 작동기(76)를 갖는다. 공기 작동기(76)는 작동 헤드(34) 내에서 캐리어(13)를 고착하여 캐리어(13)내의 홈(16)에서 래치되는 고착 메커니즘(77)을 작동시킨다. 캐리어(13)의 방사상 외향은 캐리어(13)의 방사상 원통형 외부면(18)상에 활주가능한 제2링(81)에 위치하며 측벽 부분품(82)이 타이어 카커스에 이동하여 점진적으로 의도된 형태인 축내부 단부면(82)을 갖는다. 제2링(81)은 적어도 두 작동기에 의하여 튜브(51)에 대하여 축 이동되며 재차 적합하게는 세 개의 유압 작동기가 플랜지(70)와 링(81)사이에서 작용한다. 작동기(83)사이의 주변 공간에 있어서 제2링을 향하여 축내부로 연장하는 일련의 주변으로 이격된 안내 부시(88) 플랜지(70)상에 위치된다. 이것은 제1도에 잘 나타나 있다. 각 안내 부시는 캐리어가 이동되었을 때 캐리어 슬리이브(71)에 대해 올바른 정렬로 제2링을 유지하여 제2링(81)에 고착된 각 지지편을 안내한다. 제2링(81)은 또한 캐리어내의 통로(17)와 연결될 수 있는 그 위에 공기 통로(89)를 가진다.
이 상기 지지핀(도시않음) 강화 공정 동안에 제2링(81)을 지지하여 플랜지(70)위 뒤에서 작용한다. 플랜지(70)의 방사상 외면은 회전가능한 고착판(97)과 함께 두축으로 이격된 부분(95,96)을 포함한다. 이 부분(95,96)과 판(97)은 제2링의 지지핀을 수용하는 그안에 정렬된 구멍을 갖는다. 작동헤드(34)가 완전히 결합될 때 각 지지핀은 플랜지(70)로부터 인출되며, 고착판은 판이 구멍을 차단하도록 회전한다. 그리하여 지지핀은 고착판(97)뒤에서 직접 작용하며 제2링 위치에서 고착된다.
타이어 빌딩 장치의 작업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한쌍의 측벽 캐리어(13)는 타이어 빌딩 장치에서 이동되었다. 가요성 지지체(12)상의 본래의 측벽(11)과 함께 두 캐리어(13)는 본 발명의 타이어 빌딩 장치위에 적재되었다. 제1도를 언급하면, 캐리어(13)는 점선 윤곽내에 도시한 위치(13A,13B)내에 위치하므로 각 캐리어는 헤드(34)축이 수직이동되도록 그 하중 위치내의 타이어 빌딩 장치의 작동 헤드(34)와 동축이다. 캐리어(13)는 그후 캐리어 슬리이브(71) 전방으로 밀어 작동기(75)의 작용에 의해 캐리어 슬리이브(71)상의 각 플랜지(73)상의 위치로 활주한다. 각 작동기(76)는 그후 고착 메커니즘(77)이 각 캐리어 슬리이브(71)상의 캐리어(13)에 고착하여 작용하고 슬리이브는 그 후 그 최소 위치뒤로 후퇴한다. 작동 헤드(34)에 배치된 캐리어(13)의 위치는 제1도에서 점선 윤곽 13C,13D로 도시하였지만 제3도에 더 명확하게 도시되었다.
작동 헤드(34)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위치위에서 취하여 작동기 작용에 의하여 핀 주위를 회전한다.
절두체형 타이어 카커스 적합하게는 단지 측벽 요소에 고착하는 그리인 타이어 형태로의 외부위치에서 이동링(25)안으로 배치된다. 이동링(25)은 중앙 프레임(22)내의 조립체 위치(25B)의 위치되도록 횡 프레임(24)을 따라서 이동하므로 타이어 카커스는 두작동 헤드(34)와 동축으로 위치된다.
중앙 프레임(22)상의 중앙링(28)은 함께 움직여 이동링(25)이 두 헤드(34)사이의 축으로 위치하는 작동기(도시않음)에 의하여 작동한다. 두 중앙링의 방사상 내면(30)은 상기 그리인 타이어의 접지면의 외면을 지지한다.
작용 헤드(34)는 몸체(35)에 대해 축내부로 주튜브(51)를 활주하여 유압 작동기(52)의 작용에 의하여 축내부로 연장하며 그후 비드링(54)이 상기 그리인 타이어 카커스의 비드내에 위치될때까지 주튜브(51)에 대해 축내부로 비드링 튜브(55)를 활주하는 공기 작동기(63)의 작용에 의해 축내부로 연장한다. 두 헤드(34)의 중앙 스톡(61) 지점에서는 상호 결합하며 래치 레버(65)와 홈(66)을 포함하는 고착 메커니즘은 작동기(67)의 작용에 의하여 클램핑 튜브(64) 축 내부로 이동하여 결합함으로 레버(65)는 홈(66)과 래치 배열로 클램프된다.
측벽 캐리어(13)는 캐리어 적용축 내부로 활주하는 작동기(75)의 작용에 의하여 그리인 타이어 카커스에 접촉하여 축내부로 연장됨으로 측벽 캐리어는 그리인 측벽(11)이 카커스의 방사상 내면에 접촉하도록 그위에 위치된다. 약 0.35바아(5psi)의 공기압은 우측 비드링(54B)내의 공기 통로(91,92)의 하나를 통하여 카커스안으로 도입된다.
제2링(81)은 작동기(83) 작용에 의하여 축내부로 이동한다. 윤곽진 단면(82)은 공기 취입이 최소로 되도록 측벽 부분품(11)을 방사상 외향 이동 접촉내의 지지체로 부터 타이어 카커스까지 점진적으로 이동을 위해 축내부로 가요성 측벽 지지체(12)를 점진적으로 회전하도록 설계되었다. 윤곽진 면(82)은 가용성 지지체(12)가 타이어의 외측벽과 조화되어 배치를 취할 수 있고 그리인 타이어의 쇼울더 커브를 포함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 가요성 외주부는 중앙링의 원추체형축 외면위에 거의 역전될 것이다. 이 단계에서 고착링(97)은 제2링(81)을 지지하여 안전 고착을 초래하는 위치안으로 회전한다. 윤곽진 면(82)은 팽창된 카커스에 대하여 각 가요성 지지체(12)를 지지하는 곳에 위치하며 이것은 측벽 캐리어(13), 중앙링(34) 이동링(25)과 함께 조립된 그리인 타이어를 완전히 둘러싸는 억제수단을 형성한다. 그리인 타이어는 억제수단에 의하여 완전히 둘러싸이며 5.5바아(80psi)까지의 고압으로 카커스를 강화하기 위해 둘러싼 헤드(34) 및 중앙링에 대하여 카커스안으로 도입된다.
공기압은 그 후 주기의 반전에 의해 후퇴한 작동 헤드(34)와 기계로 부터 제거된 그리인 타이어를 방출한다.
또한 캐리어(13)내의 공기 통로(17)는 제2링내의 공기 통로(89)에 연결되어 공기가 필요시 측벽으로 방출하여 캐리어 표면(14)안으로 불어넣을 수 있다.

Claims (30)

  1. 환상 부분품이 동축 및 카커스에 인접하도록 형태를 이룬 타이어 카커스에 근접한 부분품과 함께 가요성 지지체 위에 배치되고, 부분품은 그후 부분품과 함께 가요성 지지체를 통하는 하중 적용에 의해 형태를 이룬 카커스와 카커스에 대하여 상기 부분품을 가압하여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가요성 지지체는 절두체형 부분품 이송면을 가지는 제1배치를 가지고 상기 이송면으로 부터 형태를 이룬 타이어 카커스까지 부분품의 이송시에 점진적으로 왜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부분품의 형태를 이룬 카커스로 이동하는 동안에 부분품의 방사상 내면은 최초로 타이어로 이동되고 부분품의 방사상 외향 점진 이동에 의해 가요성 지지체로 부터 카커스까지 뒤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가요성 지지체는 견고한 캐리어상에 설치되며 적용수단을 가짐으로써 이동 하중이 가요성 지지체에 적용되며 견고한 캐리어 및 적용 수단이 형태를 이룬 카커스로 부분품의 이동후에 카커스에 대한 부분품을 유지하여 클램프되어 유지되고 카커스가 카커스 및 상기 부분품 강화를 위해 5바아까지의 압력으로 팽창하면서 카커스를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방사상 카커스 그리인 타이어로 경화되지 않는 측벽 부분품의 조립체는 카커스 플라이, 비드, 브레이크, 접지면을 포함하며 타이어가 이동 수단내의 조립체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여 이동되고 가요성 지지체로 부터 타이어까지 측벽 부분품의 조립체를 위한 상기 위치내에 유지되고, 조립된 타이어가 그후 같은 이동 수단으로 조립체 위치로 부터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환상 부분품은 제1위치에서 가요성 지지체위에 위치되고 그 장소에서 부분품을 갖는 가요성 지지체는 타이어 카커스에 대하여 조립체용 제2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환상 부분품은 지지체가 실질적 수평 형태로 유지되는 제1위치에서 가요성 지지체위에 위치하고 가요성 지지체가 타이어 카커스에 동축으로 정렬하여 실질적 수직 형태에서 새로운 방향인 제2위치까지 수평 형태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8. 형태를 이룬 타이어 카커스가 위치가능한 주 프레임과, 환상 그리인 타이어 부분품이 위치가능한 환상 가요성 지지체와, 가요성 지지체가 위치 가능하고 작동 헤드가 상기 부분품에 동축으로 정렬하고 인접한 카커스에 위치하여 프레임에 대해 이동가능한 작동 헤드와, 가요성 지지체상의 장소에서 부분품을 가압하여 조립용 형태를 이룬 카커스에 대한 작동 헤드상의 적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제조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작동 헤드는 몸체가 수직 조건이고 작동 헤드가 환상 부분품을 수용하도록 프레임에 피보트한 몸체상에 설치되고, 몸체는 환상 부분품이 조립체용 타이어 카커스에 동축으로 정렬할 때 수평 조건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의 제조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몸체는 프레임 사이에서 작동하는 작동기와 프레임과 상기 몸체사이에 연결된 일련의 접을 수 있는 링크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의 제조용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주 프레임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횡프레임을 구비하며 카커스가 인접한 조립체 위치 및 작동 헤드와 동축으로 상기 링위에 적재된 외부 위치로 부터 타이어 카커스 이동을 위해 이동링 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의 제조용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이동링 각측상의 하나에 위치되고, 주프레임상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되고, 카커스 또는 그리인 타이어의 크라운에 수용하기 위해 만곡진 방사상 내면과 카커스로 부분품의 조립동안 가요성 지지체를 수용하는 축 외면을 가지는 한쌍의 중앙링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의 제조용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작동 헤드는 작동기의 작용이 몸체내의 축으로 주지지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몸체내의 겹으로 포개어 활주가능한 주지지체의 한 단부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의 제조용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각 작동 헤드는 상대적인 축이동을 위해 주지지체상에 설치된 다수의 사이에 끼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에 끼인 부재는 주 지지체내에 설치된 비드링 튜브를 구비하며, 그리인 타이어 카커스의 비드와 결합하기 위해 축내부 단부상의 비드 시트를 가지는 그 사이에서 축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비드링 튜브는 주지지체에 대해 축이동을 위해 독립으로 작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의 제조용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가요성 지지체는 작동 헤드로 부터 분리가능한 견고한 캐리어상에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는 방사상 외면이 캐리어에 대해 변환가능하도록 가요성 지지체의 방사상 내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의 제조용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사이에 끼인 부재는 가요성 지지체를 위해 견고한 캐리어를 지지하는데 사용되며 주지지체의 외면상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되며, 주지지체와 비드링 튜브에 대해 축이동을 위하여 독립으로 작동가능한 부분품 캐리어 슬리이브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의 제조용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캐리어 슬리이브가 그 위에 고착 수단을 가짐으로써 견고한 캐리어가 캐리어 슬리브 위의 위치내에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의 제조용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작동 헤드상의 적용 수단은 제2링의 형태로 캐리어 슬리이브의 방사상 외향으로 배열하고 그것으로 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2링이 주지지체상의 축이동에 의해 안내되며, 분리가능한 캐리어의 외향으로 위치되며, 제2링의 이동이 형태를 이룬 카커스에 대해 부분품위에 가압하여 가요성 지지체의 방사상 외면을 변환할 수 있도록 비드링 튜브, 캐리어 슬리이브 및 캐리어가 그위에서 고착될 때 주지지체에 대해 축이동을 위해 독립적으로 작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의 제조용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제2링을 위한 안내 수단은 주지지체에 견고하게 고정된 안내 부시내에 지지된 다수의 안내핀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핀이 부분품의 형태를 이룬 카커스로 이동후에 그 작동 위치내의 제2링을 고착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의 제조용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제2링은 형태를 이룬 타이어 카커스에 대해 가요성 지지체에 가압하여 가요성 지지체의 외면에 대해 이동가능한 그 위에 윤곽면을 가지며, 윤곽면은 가요성 지지체가 상기 카커스의 외면의 형상을 조화하여 배치를 하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의 제조용 장치.
  21. 제8항에 있어서, 장치는 상기 타이어 카커스의 상기 축상의 하나에 배열된 한쌍의 상기 작동가능한 헤드와 두 작동가능한 헤드가 작동가능한 위치에서 동축이며 각각이 상기 두 헤드에 상호 정렬되고 카커스로 부분품의 이동과 그 후의 강화 공정동안에 함께 고착하는 그 위에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의 제조용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두 헤드의 하나는 어떤 에워싸는 몸체에 대하여 카커스의 강화를 위해 타이어 카커스 안으로 공기압의 도입을 위해 비드 시트링내의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타이어의 제조용 장치.
  23. 제4항에 있어서, 견고한 캐리어는 카커스의 형상과 조화되는 형태로 가요성 지지체를 왜곡하여 윤곽진 그위에 적용기 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24. 환상 측벽 부분품은 동축이며 카커스에 인접하도록 절두체형 타이어 카커스에 근접하는 역전가능한 가요성 환상 지지체 위에 배치되고, 측벽이 가요성 지지체로 부터 공기 유압을 최소화하여 방사상 외향 이동접촉으로 카커스까지 측벽 부분품을 이동하여 내부 직경으로 부터 외부 직경까지 점진적 왜고에 의해 환상 지지체의 역전에 의해 카커스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제조 방법.
  25. 환상 측벽 부분품이 위치 가능하고 역전 가능한 지지체와 동축 및 인접한 상기 카커스에 위치하기 위한 수단인 가요성 역전가능한 지지체와, 조립을 위한 절두체형 타이어 카커스에 대해 측벽 위의 장소에서 가압하여 지지체를 역전하고 공기 유입을 최소화하여 내부 직경으로 부터 외부 직경까지 상기 카커스로 측벽의 점진적 조립을 위한 수단을 가지는 적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두체형 타이어 카커스로 환상 측벽 부분품 적용을 위한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점진적 조립을 위한 수단은 가요성 지지체가 점진적으로 역전을 일으키는 적용 수단상의 윤곽진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 측벽 부분품 적용을 위한 장치.
  27. 환상 측벽 부분품은 상기 카커스에 인접하고 동축이 되도록 절두체형 타이어 카커스에 근접하는 환상 가요성 지지체 위에 배치되고, 측벽 부분품이 카커스에 대하여 부분품을 가압하여 부분품 위치에서 가요성 지지체를 통하여 하중을 적용하기 위해 카커스에 조립되고, 측벽 부분품의 카커스로 이동후에 가요성 지지체가 견고한 지지수단에 의해 카커스에 대하여 유지되고, 상기 견고한 지지수단이 상기 카커스가 팽창될 때 외면을 지지하여 카커스 둘레에 억제 수단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28. 측벽 요소가 위치가능한 가요성 환상 지지체와 측벽 부분품 위에 조립체용 카커스에 대하여 측벽 부분품 위에서 가요성 지지체를 가압하는 적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적용 수단이 견고하며 카커스가 팽창될 때 카커스의 외면을 지지하여 억제 수단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두체형 타이어 카커스로 환상 측벽 부분품 적용을 위한 장치.
  29. 환상 측벽 부분품은 카커스에 동축이고 인접하도록 절두체형 타이어 카커스에 근접하는 환상 가요성 지지체 위에 배치되며, 측벽은 그후 측벽 부분품에서 가요성 지지체의 왜곡에 의해 카커스에 조립되며, 가요성 지지체가 카커스의 외부 형태를 조화하는 배치를 취하여 가요성 지지체를 통하여 작용하는 견고한 적용 수단에 의해 왜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30. 환상 측벽 부분품이 위치가능한 가요성 환상 지지체와, 가요성 지지체를 통하여 작용하고 상기 카커스에 대하여 측벽 부분품 장소에서 가압하는 견고한 적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적용 수단이 가요성 지지체를 절두체형 카커스의 외부 형태로 조화하여 배치를 취할 수 있는 그위에 윤곽진 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두체형 타이어 카커스로 환상 측벽 부분품 적용을 위한 장치.
KR1019890005251A 1988-04-23 1989-04-21 타이어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KR920009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809647.4 1988-04-23
GB888809647A GB8809647D0 (en) 1988-04-23 1988-04-23 Method of manufacture of tyre & apparatus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853A KR890015853A (ko) 1989-11-27
KR920009934B1 true KR920009934B1 (ko) 1992-11-06

Family

ID=10635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251A KR920009934B1 (ko) 1988-04-23 1989-04-21 타이어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08527A (ko)
EP (1) EP0340146A3 (ko)
JP (1) JPH01314152A (ko)
KR (1) KR920009934B1 (ko)
AU (1) AU606513B2 (ko)
GB (1) GB8809647D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13767B1 (en) * 1993-03-04 1998-06-10 Bridgestone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green tyre
IT1283382B1 (it) * 1996-07-31 1998-04-17 Pirelli Metodo e dispositivo per confezionare un pneumatico con le estremita' dei fianchi sovrapposte alle estremita' della fascia
US20090050252A1 (en) * 2005-03-09 2009-02-26 Toyo Tire & Rubber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run-flat tire
US20100288423A1 (en) * 2006-06-29 2010-11-18 Pirelli Tyre S.P.A. Process for manufacturing tyres for vehicle wheels
WO2009131578A1 (en) * 2008-04-23 2009-10-29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multi-layered tire component
EP2365904B1 (en) * 2008-12-05 2014-02-12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tire component upon an axially tapered surface
JP5177258B2 (ja) * 2011-06-08 2013-04-0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99691A (fr) * 1961-06-15 1962-07-27 Dunlop Sa Procédé et appareillage de manutention d'éléments annulaires déformables
NL142110B (nl) * 1964-03-16 1974-05-15 Pirelli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vaardigen van luchtbanden.
US3408244A (en) * 1965-04-28 1968-10-29 Nat Standard Co Tire assembling apparatus and apparatus for forming side walls for tires
US3816202A (en) * 1969-02-19 1974-06-11 Goodyear Tire & Rubber Tire building method and machine
US3923572A (en) * 1973-03-07 1975-12-02 Goodrich Co B F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tires
US4465536A (en) * 1981-05-01 1984-08-14 Bridgestone Tire Company, Limite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eeding rubbery strip to tire-building drum
US4398492A (en) * 1981-11-23 1983-08-1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pparatus for applying an extruded strip to an inside tire surface
NL8200053A (nl) * 1982-01-08 1983-08-01 Vmi Epe Holland Inrichting voor het op een karkas aanbrengen van de gordel en het loopvlak van een gordelband.
GB2134439B (en) * 1983-01-15 1986-05-08 Apsley Metals Ltd Moulding tyres
GB8317687D0 (en) * 1983-06-29 1983-08-03 Bates W & A Ltd Machinery
DE3614778A1 (de) * 1986-05-02 1987-11-05 Merck Patent Gmbh Smektische fluessigkristalline phasen
GB8724849D0 (en) * 1987-10-23 1987-11-25 Apsley Metals Ltd Manufacture of ty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40146A3 (en) 1991-10-16
JPH01314152A (ja) 1989-12-19
KR890015853A (ko) 1989-11-27
US5108527A (en) 1992-04-28
GB8809647D0 (en) 1988-05-25
EP0340146A2 (en) 1989-11-02
AU3301489A (en) 1989-10-26
AU606513B2 (en) 1991-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6201B1 (ko) 타이어 구조 방법 및 기기
US4131500A (en) Tire building drum
JP4943702B2 (ja) 高クラウン単一ステージタイヤ組立てドラム
US4214939A (en) Tire building machine
US7101451B2 (en) Tire building drum with a turn-up device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green tires
US31272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tires
US2006021934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ires on a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US3560301A (en) Tire building machine
JPS631177B2 (ko)
US3374138A (en) Tire building machine
EP0090416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neumatic tires
KR920009934B1 (ko) 타이어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SK6342002A3 (en) Device for turning up the sidewalls of a tire
GB1414019A (en) Pnejmatic tyre building apparatus and method
US3728194A (en) Rotating expandable ply ring mechanism
CA1177737A (en) Tire building machine employing bead setter and bladder pusher mechanism
US4199393A (en) Apparatus for forming the bead and sidewall portions of a pneumatic tire and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3240199B2 (ja) タイヤの製造方法
US1785659A (en) Tire-building machine
US5310328A (en) Green tire forming apparatus
US4145238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urning-up the sidewalls and body plies of fabric for torus-shaped vehicle tire
US5433814A (en) Green tire building apparatus
US4247356A (en) Expandable tire building drum with improved bladder
US3493454A (en) Pneumatic tire building apparatus
EP2845721B1 (en) Tire building drum and method of building a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