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570B1 -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570B1
KR920009570B1 KR1019870001377A KR870001377A KR920009570B1 KR 920009570 B1 KR920009570 B1 KR 920009570B1 KR 1019870001377 A KR1019870001377 A KR 1019870001377A KR 870001377 A KR870001377 A KR 870001377A KR 920009570 B1 KR920009570 B1 KR 920009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partition wall
steam
wash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7734A (ko
Inventor
마사히데 우찌노
Original Assignee
자판 휠도 가부시기 가이샤
마사히데 우찌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03522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93686A/ja
Priority claimed from JP418908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01685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6684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19889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6684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19890A/ja
Application filed by 자판 휠도 가부시기 가이샤, 마사히데 우찌노 filed Critical 자판 휠도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7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7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증기세정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냉각건조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증기세정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냉각건조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B-B선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증기세정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냉각건조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증기세정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냉각건조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구획벽이 다른 상하 방법을 표시한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증기세정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냉각건조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엑세정조 2 : 세정액
3 : 피세정물 4 : 세정대
5 : 세정조 몸체 6 : 승강실린더
7 : 상하 가동체 8 : 속뚜껑
9 : 히터 10 : 밀어 올리기틀
11 : 히터 12 : 증기발생부
13 : 상부공간 14 : 증기도입구
15 : 연통구 16 : 차단용 세정액
17 : 요홈 18 : 공급배출관
20 : 전자변 21 : 구획변
22 : 세정부 23 : 연통부
24 : 냉각부 25 : 승강구
32 : 차단부 35 : 플랜지부
37 : 스프링 38 : 턱
41 : 토오크 42 : 펌프
본 발명은 기계부품, 의료용구 그외 여러 가지 대상물을 세정하는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증기세정, 냉각건조를 하나의 세정공간에서 할 수 있도록 소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종래 증기세정과 냉각건조를 하나의 세정장치로 할 수 있게한 것으로는 여러 종류의 것이 있지만 대별하면 그중의 하나는 증기세정조, 냉각건조조를 횡방향으로 늘어 놓은 것이 있으나, 이 장치는 마루점유 면적이 너무 큰 것이 결점이 있다.
또 이 결점을 제거할 목적으로 증기세정부와 냉각건조부를 상하방향으로 두 개의 공간을 별개로 포개 놓은 것이 실개소 57-39684호로 알려져 있다. 이 상하방향으로 증기세정부와 냉각건조부를 놓은 방법은 장치가 점유하는 면적을 적게 하는 점은 우수하지만 높이가 상하로 높아져서 설치 장소나 조작성면에서 좋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저 하는 것으로 증기세정부와 냉각건조부를 하나의 세정공간에서 하기 때문에 장치가 점유하는 면적과 상하방향의 높이를 적게 하려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피세정물의 증기세정과 냉각건조를 하는 세정조 몸체내에 구획벽으로 구획하여, 이 구획벽과 세정조 몸체 내주면간에 세정증기 응축용 냉각부를 만들고 이 냉각부와 증기발생부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구획벽 하단에 형성하여 이 연통부를 임의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서 세정부와 증기발생부를 연통시킨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우선 증기세정을 하려면 연통부를 차단한 다음 세정증기를 발생시키고 세정부 하방에서 세정증기를 도입하면 이 세정증기는 구획벽내의 세정부에 충만하고 피세정물과 접촉하여 증기세정을 할 수 있다. 이 증기세정 완료후에 연통부를 개방하면 구획벽 하단에 연통부가 형성되고 구획벽내의 공기보다 비중이 무거운 세정증기는 연통부를 거쳐 냉각건조부로 들어가 응축액화되므로 구획벽내의 세정증기는 소실하면서 냉각부의 냉기를 구획벽내의 세정부는 냉각되고 피세정물의 냉각건조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 제2도,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은 액세정조이고, 트리크를 에칠렌등 적당량의 세정액(2)을 충전하며 이 세정액(2)을 필요에 따라 가열하여, 세정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9)를 삽입하는 동시에 피세정물(3)을 올려 놓은 세정대(4)를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삽입하였다. 이 세정대(4)는 세정조 몸체(5) 외부에 위치하는 승강실린더(6)와 연동하여 세정조 몸체(5)내를 상하이동하는 상하가동체(7) 하단에 교정되는 동시에 후에 설명할 속뚜껑(8)을 밀어 올리기 위한 밀어 올리기틀(10)이 상면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 액세정조(1)옆에는 히터(11)를 삽입한 증기발생부(12)가 있고 이 증기발생부(12)의 상부공간(13)과 액세정조(1) 상부의 증기도입구(14)를 연통구(15)를 통하여 접속하고, 이 증기도입구(14) 외주에 차단용 세정액(16)을 충전할 수 있는 요홈(17)을 형성하여 이 요홈(17)에 세정액(16)을 충전 또는 배출할 공급배출과(18)을 접속하고 이 공급배출관(18)은 전자변(20)으로 펌프, 수분 분리기등의 공급 배출장치와 접속하고 있다. 또 증기도입구(14)의 상보외주에 환상으로 된 환상구획벽(21)을 세워서 씌우고 이 환상구획벽(21)내를 증기세정부와 냉각건조부를 겸하는 세정부(22)로 하는 동시에 환상구획벽(21) 하단을 요홈(17)의 밑면과 연통부(23)를 통하여 세워서 환상홈(17)내로 삽입하고 이 환상요홈(17)에 차단용 세정액(16)을 공급배출관(18)으로 공급하면 환상구획벽(21) 하단은 이 세정액(16) 때문에 차단되게 된다. 또 이 환상구획벽(21)과 세정조 몸체(5) 사이에는 냉각수를 유통시킬 코일형 파이프를 형성한 증기용축용 냉각부(24)를 만들었다. 또 이 냉각부(24)와 환상구획벽(21)으로 형성된 세정부(22)상부에 설치한 피세정물(3)의 승강구(25)는 세정조 몸체(5) 상면에 올려놓은 속뚜껑(8)으로 씌워지고 이 속뚜껑(8)은 세정대(4)가 상승함에 따라 전기 밀어 올리기틀(10)로 밀어올려져 개방된다. 또 이 뚜껑(8) 상면은 덮개(27)로 씌워지고 개폐문(28)를 설치한 출입구(30)에는 재치대(31)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으로서, 승강실린더(6)로 상하이동이 가능한 세정대(4)위에 피세정물(31)을 올려 놓고 액세정조(1)속에 삽입하면 세정액(2)으로 액세정이 된다.
이 액세정후 세정대(4)를 승강실린더(6)로 상승시키고 피세정물(3)을 환상구획벽(21)내에 위치시켜 증기세정한다. 이렇게 증기세정을 하려면 액세정조(1) 상부의 증기도입구(14) 외주에 설치한 환상요홈(17)에 공급배출관(18)으로 차단용 세정액(16)을 충전함으로써 환상구획벽(21) 하단은 환상요홈(17)에 충전된 차단용 세정액(16)속으로 삽입되어 증기 응축용 냉각부(24)와 환상구획벽(21) 내면의 연통부(23)를 거친 연통이 차단되니까 액세정조(1)에 붙여서 설치한 증기발생부(12)로부터 연통구(15)를 거친 세정을 증기가 증기도입구(14)로부터 환상구획벽(21)내의 세정부(22)에 충만하고, 피세정물(3)과 접촉하여 증기세정을 하게 된다. 이 증기세정완료후는 공급배출관(18)에 의해 환상요홈(17)내의 차단용 세정액(16)이 배출되므로서 구획벽(21) 하단과 환상요홈(17) 저면 사이에 연통부(23)가 형성되고 구획벽(21)내의 공기보다 비중이 무거운 세정증기는 연통부(23)를 거쳐 냉각부(24)로 인도되어 응축액화되므로 구획벽(21)내의 세정부(22)의 세정증기는 소실되는 동시에 냉각부(24)의 냉기로 인해 구획벽(21)내의 세정부(22)는 냉각되고 피세정물(3)이 냉각건조하게 된다. 이 냉각건조 완료후는 승강실린더(6)을 작동하여 세정대(4)를 더 상승시키면 세정증기의 외부유출을 막고 있던 속뚜껑(8)을 밀어 올리기틀(10)로 밀어 올려 열고 개폐문(28)을 개방하여 출입구(30)로 피세정물(3)을 재치대(31)위로 꺼내면 된다.
또 다음 피세정물(3)을 출입구(30)로 삽입하여 세정대(4) 위에 놓고 승강실린더(6)를 하강시키면 피세정물(3)은 액세정조(1)내에 삽입되는 동시에 속뚜껑(8)은 세정조 몸체(5)의 승강구(525)를 밀봉하여 세정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환상구획벽(21)을 차단용 세정액(16)내로 삽입하고 이 차단용 세정액(16)이 공급 배출관(18)을 출입하면서 연통부(23)를 개폐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에서는 제4도, 제5도, 제6도에 표시한 것같이 증기도입구(14)외주에 차단부(32)를 형성한다. 이 차단부(32)는 차단용 세정액(16)을 충전할 수 있는 환상요홈(17)을 형성하고 이 환상요홈(17)에 넘친 물 배수관(33)을 접속하며, 이 배수관(33)에 수분분리기를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세정증기의 증기도입구(14)의 상부외주를 상하이동 가능한 환상구획벽(21)을 만들어 피복하고 이 환상구획벽(21)내를 증기세정부와 냉각건조부를 겸한 세정부(22)라 하고 환상구획벽(21) 하단은 환상요홈(17)의 차단용 세정액(16)면과 증기가 유통할 수 있는 간격의 연통부(23)를 두고 있거나, 환상구획벽(21)을 하강하여 환상구획벽(21)을 하단을 이 차단용 세정액(16)에 삽입하여 연통부(23)을 차단한다.
또 이 환상구획벽(21)과 증기발생부(12) 사이에는 냉각수를 유통시킬 코일상 파이프를 형성한 증기응축용 냉각부(24)를 설치하였다. 또 이 냉각부(24)와 환상구획벽(21)으로 형성된다.
세정부(22) 상부에 설치한 피세정물(3)의 승강구(25)를 증기발생부(12) 상면에 올려 놓은 속뚜껑(8)으로 씌우고 이 속뚜껑(8)은 환상구획벽(21) 상방으로 돌출된 상부틀(34)위에 위치하고 그 중량으로 환상구획벽(21)을 하방으로 압압하고 있다.
또 환상구획벽(21)은 속뚜껑(8)이 밀어 내리는 힘보다 약한 복원력이지만 환상구획벽(21) 자신을 밀어 올리기에 충분한 복원력을 갖는 밀어 올리기 스프링(26)을 환상구획벽(21)과 증기발생부(12) 사이에 설치한다.
상술한 대로 구성한 것으로 증기세정하려면 환상구획벽(21) 하단을 세정증기의 증기도입구(14) 외주에 설치한 환상요홈(17)에 삽입하면 환상구획벽(21) 하단은 환상요홈(17)내에서 차단용 세정액(16)속으로 삽입되고 증기응축용 냉각부(24)와 환상구획벽(21) 내면과의 연통부(23)를 거친 연통이 차단되기 때문에 액세정조(1)에 인접한 증기발생부(12)로부터 연통구(15)를 거쳐 세정용 증기가 증기도입구(14)에서 환상구획벽(21)내의 세정부(22)에 충만하고 피세정물(3)과 접촉하여 증기세정할 수 있다. 이 증기세정 완료후는 환상구획벽(21)내의 세정부(22)에 삽입된 세정대(4)를 상승시키면 세정대(4) 상면에 돌출한 밀어 올리기틀(10)이 속뚜껑(8) 내면에 접속하면 밀어 올려져서 개방된다.
이 개방으로 인하여 하방향으로 가해지던 힘이 해제된 환상구획벽(21)은 밀어 올리기 스프링(26)이 복원하는 힘으로 상방으로 밀어 올라가고 환상구획벽(21) 하단과 환상요홈(17)의 세정액면 사이에 증기가 유통할 수 있는 연통부(23)가 형성되고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으로 세정증기는 소실되고 피세정물(3)이 냉각건조하게 된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환상구획벽(21) 하단을 환상요홈(17)의 차단용 세정액(16)속에 삽입하면 연통부(23)가 차단되도록 차단부(32)를 형성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7도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차단부(32)는 평탄면을 환상으로 현성하고 하단을 플랜지부(35)로한 환상구획벽(21)을 압압하면 증기도입구(14)와 냉각부(24) 사이의 연통부(23)가 차단되고 환상구획벽(21)을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작용으로 상승시켜서 연통부(23)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액세정조(1)를 세정부(22) 하방에 형성하였지만 꼭 그렇게 할 필요는 없으며 액세정조(1)를 형성않고 세정부(22)만을 형성하여도 좋고 액세정조(1)의 접속은 세정목적에 따라 임의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세정증기를 증기발생부(12)에서 연통구(15)를 거쳐 증기도입구(14)를 도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증기발생부(12)를 설치하지 않고 액세정조(1)의 히터(9)로 세정액(2)을 가열하고 증기를 발생시켜도 좋다. 이런 경우에는 피세정물(3)이 세정액(2)에서의 침지세정은 하지 않고 증기세정만을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증기발생부(12)와는 별도로 설치한 환상요홈(17), 차단부(32)에 관련한 연통부(23)를 설치하면서 이들에 의해 연통부(23)를 개폐하는데 다른 제4실시예에서는 제9도,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세정조 몸체(5)의 상반부는 세정부(22)가 형성되기 때문에 피세정물(3)을 올려놓을 세정대(4)를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삽입하였다.
이 세정대(4)는 세정조 몸체(5)의 외부에 있는 승강실린더(6)와 연동하여 세정조 몸체(5)내를 상하이동할 상하가동체(7) 하단에 고정되면서 속뚜껑(8) 밀어 올리기틀(10)을 상면에 돌출시키고 있다. 또 세정조 몸체(5)의 거의 상반부에는 환상구획벽(21)을 자리잡게 하여 피복하고 이 환상구획벽(21)내를 증기세정부와 냉각건조부를 겸하는 세정부(22)로 하면서 환상구획벽(21)의 하단내주부에 수평방향으로 환상턱(38)을 돌설하고, 이 환상턱(38)하면에 스프링(37) 상단을 계합시켰다. 그리고 이 턱(38) 및 스프링(37)과 승강실린더(6)에 연동하는 세정대(4)가 환상구획벽(21)의 상하이동 수단을 구성한다. 또 이 환상구획벽(21)과 증기발생부(12) 사이에는 냉각수를 유통시킬 코일상 파이프로 형성한 증기응축용 냉각부(24)를 설치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것으로 증기세정할때는 승강실린더(6)를 구동하여 세정대(4)를 환상구획벽(21)이 계합턱(38)에 계합항태로 하강하면 환상구획벽(21) 하단은 증기발생부(12)의 세정액(2)속으로 삽입되고 증기응축용 냉각부(24)와 환상구획벽(21) 내면과의 연통이 차단되기 때문에 증기발생부(12)에서 발생한 세정용 증기가 환상구획벽(21)내의 세정부(22)에 충만하여 피세정물(3)과 접촉하면 증기세정할 수 있다. 이 증기세정 완료후는 다시 승강실린더(6)를 구동하여 세정대(4)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환상구획벽(21)은 스프링(37)의 압압력으로 상승하고 환상구획벽(21) 하단과 세정액(2)의 액면 사이에 증기가 유통할 수 있는 연통부(23)가 형성되고 환상구획벽(21)내의 공기보다 비중이 무거운 세정증기는 연통부(23)를 거쳐 냉각부(24)로 인도되어 응축액화되므로 환상구획벽(21)내의 세정부(22)가 냉각되고 피세정물(3)이 냉각건조하게 된다. 이 냉각건조 완료후는 앞서의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피세정물(3)을 재치대(31)위에 꺼내고 다음 피세정물(3)을 출입구(30)로 삽입하여 세정대(4)위에 올려 놓고 승강실린더(6)를 하강시키면 피세정물(3)은 세정부(22)내로 삽입되는 동시에 세정대(4)는 계합턱(38)이 계합되고 환상구획벽(21) 하단을 세정액(2)에 삽입하여 연통부(23)를 차단하여 증기세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 다른 제5의 실시예에서는 환상구획벽(21)의 상하이동 수단이 상하가동체(7)의 상단부에 설치한 회전자재의 활차(40)와 환상구획벽(21) 상단부에 일측단부가 고정된 로프(41)로서 구성되고 이 로프(40) 선단부는 활차(40)를 경유하여 세정조 몸체(5) 밖으로 유도되고 있다.
그리고 로프(41) 선단부는 실린더장치나 그외의 소망하는 장치를 연결되며 그 장치에 의해 끌어 올려져 환상구획벽(21)은 세정조 몸체(5)내에 매달려 있게 된다.
이 제11도의 장치에서 로프(41)를 늦추면 환상구획벽(21)은 자중(自重) 때문에 하강하고 이 환상구획벽(21) 하단부는 세정액(2)속에 삽입되어 연통부(23)가 차단되면 증기응축용 냉각부(24)와 환상구획벽(21) 내면과의 연통이 차단되기 때문에 제9도의 경우와 같이 피세정물(3)의 증기 세정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로프(41)를 당겨서 환상구획벽(21)을 끌어올리면 이 환상구획벽(21) 하단과 세정액(2)의 액면사이에 증기가 유통할 수 있는 연통부(23)가 형성되므로 제10도의 경우와 같이 피세정물(3)의 냉각건조가 이루어진다.
또 제11도의 실시예에서는 환상구획벽(21)을 매달아 놓은 것을 로프(41)로 하였으나 이것을 끝,체인 및 와이어등 다른 부재로 하여도 된다.
또 상기 제9도-제11도에 표시한 실시예에서는 환상구획벽(21)을 상하이동하게 하였으나 또 다른 제6실시에에서는 세정액(2)를 상하이동시킴으로서 연통부(23)를 개폐한다.
즉 세정조 몸체(5) 곁에는 펌프(42)와 세정액(2)를 수용하고 있는 예비조(43)를 구비했으며 이 예비조(43)와 펌프(42)는 관로(44)로 접속되고 또 펌프(42)와 세정조 몸체(5) 상부와는 공급배출관(18)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세정조 몸체(5)의 상반부는 환상구획벽(21)으로 만들어 피복하고 이 환상구획벽(21)내를 증기세정부와 냉각건조부를 겸한 세정부(22)로 하는 동시에 환상구획벽(21) 하단을 증기발생부(12)내로 통하는 공급배출관(18)보다 상방에 위치시킨다. 또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에 있어 승강실린더(69)로 상하이동 가능한 세정대(4)위에 피세정물(3)을 올려 놓고 세정부(22)내에 삽입하여 증기세정을 한다. 이 증기세정을 하는데는 펌프(42)를 구동하여 예비조(43)의 세정액(2)을 공급배출관(18)으로 세정조 몸체(5)내에 충전시키면 환상구획벽(21) 하단은 증기발생부(12)의 세정액(2)속에 삽입되어 증기응축용 냉각부(24)와 환상구획벽(21) 내면과의 연통이 차단되므로 증기발생부(12)에서 발생한 세정용 증기가 환상구획벽(21)내의 세정부(22)에 충만되어 피세정물(3)과 접촉하여 증기세정하게 된다.
이 증기세정 완료후는 펌프(42)를 작동하여 공급배출관(18) 및 관로(44)를 따라 이 공급배출관(18)보다 상방위치보의 세정액(2)을 예비조(43)로 되돌려 보내면 환상구획벽(21) 하단과 증기발생부(12)의 세정액(2)의 액면 사이에 증기가 유통할 수 있는 간격의 연통부(23)가 형성되며, 환상구획벽(21)내의 공기보다 비중이 무거운 세정증기는 연통부(23)를 거쳐 냉각부(24)로 인도되어 응축액화되면 환상구획벽(21)내의 세정물(22)의 세정증기는 소실하면서 냉각부(24)의 냉기로 환상구획벽(21)내의 세정부(22)는 냉각되고 피세정물(3)의 냉각건조가 이루어진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환상구획벽(21)을 환상으로 형성하였으나 환상구획벽(21)을 평판상으로 형성하여 세정조 몸체(5)내를 구획하고 그 구획한 한쪽을 상자형의 냉각부(24)로 구획한 다른쪽을 증기세정부(22)로 해도 된다. 이럴 경우엔 평판상 구획벽(21)등은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므로 종래 증기 세정부와 냉각건조부를 별개의 공간에서 형성하던 것이 증기세정부와 냉각건조부가 동일공간을 겸용할 수 있게 되고 세정장치의 놀이를 종래보다 훨씬 낮출 수 있고 설치 장소도 임의로 결정할 수 있으며 조작성도 양호해진다.

Claims (17)

  1. 피세정물의 증기세정과 냉각건조를 행하는 세정부를 세정조 몸체내에 환상 또는 평판상이 구획벽으로 구획되게 형성하고 이 구획벽과 세정조 몸체 내주면간에 세정증기 응축용 냉각부를 만들며, 이 냉각부와 증기발생부를 연통하는 구획벽 하단에 형성하고 이 연통부를 임의로 개폐할 수 있게 하면서 세정부와 증기발생부를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연통부는 세정조 몸체 내주에 만든 요홈에 차단용 세정액을 충전 또는 배출할 공급배출관을 접속하고 삽입된 위치에 구획벽 하단과 이 요홈의 하저면간에는 증기가 유통할 수 있는 간격을 두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연통부는 세정조 몸체에 만든 차단부에 구획벽 하단을 접촉하고, 세정용 증기의 도입구와 냉각부가 연통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구획벽이 상승할 때 하단과 차단부 사이에 증기가 유통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연통부는 세정부 하방에 세정용 증기를 발생할 증기발생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피세정물을 세정할때는 구획벽은 하강하여 그 하단부를 증기발생부내의 세정액속에 삽입하고, 피세정물이 냉각건조할때는 구획벽을 상승시켜서 이 구획벽하단과 세정액의 액면사이에 증기가 유통할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하고 구획벽의 상하가동 수단을 설치하여서 된 세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연통부는 세정부 하방에 세정용 증기를 발생하는 증기발생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피세정물을 세정할때는 증기발생부에 세정액을 공급하여 그 세정액의 액면을 구획벽하단보다 상승시키고 피세정물을 냉각건조시킬때는 증기발생부로부터 세정액을 배출하여 구획벽 하단과 세정액 액면사이에 증기가 유통할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할 세정액의 공급, 배출용 펌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세정부 하방에는 세정액으로 피세정물을 침지 세정할 액세정조를 설치한 세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구획벽이 위치하는 세정조 몸체 상단에는 승강구를 설치하는데, 이 승강구는 하방에서 밀어 올리면 열리는 속뚜껑으로 피복되어 있는 세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증기세정용 증기는 액세정조 옆에 설치한 증기발생부에서 도입구를 거쳐 증기도입구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세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세정용 증기는 액세정조에 충전한 세정액을 히터로 가열하여 발생시켜서 증기도입구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세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냉각부는 구획벽과 세정조 몸체 사이에 냉각파이프를 감아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세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냉각부는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구획벽과 세정조 몸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세정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차단부에는 요홈을 만들고 이 요홈에 차단용 세정액을 수납하여 구획벽 하단을 이 세정액속에 삽입하면 도입구와 냉각부 사이의 연통부를 차단하고 구획벽 하단을 세정액속에서 상승시키면 연통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세정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차단부는 평판면을 환상으로 형성하여 구획벽 하단의 플랜지부를 압압하면 도입구와 냉각부 사이의 연통부가 차단되고 구획벽을 상승하면서 연통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세정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구획벽의 상하이동 수단을 구획벽 둘레에서 거의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턱과 이 턱에 일단부가 접합되어 구획벽을 증기발생부의 세정액 액면보다 상방으로 들어 올리도록 힘을 가하고 구획벽 하단과 액면 사이에 연통부를 형성할 스프링과 승강실린더로 상하이동이 자재롭게 설치되며 하방으로 이동시에는 턱에 접합하여 구획벽을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향하여 하강시키고, 구획벽 하단부를 세정액속에 삽입하는 세정대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세정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구획벽의 상하가동 수단은 구획벽을 매달고 있으면서 피세정물을 세정할때는 구획벽을 끌어내려서 그 하단부를 증기발생부의 세정액속에 삽입하고 피세정물을 냉각건조시킬때는 세정액의 액면에서 상방으로 끌어 올릴 로프나 체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세정장치.
  16. 제7항에 있어서, 속뚜껑을 밀어 올리는 것은 피세정물을 올려 놓을 세정대에 밀어 올리기틀을 돌출하게 고정시키고 증기발생부 외부에 위치하는 승강실린더를 세정대에 접속시켜서 속뚜껑을 밀어 올리도록 한 세정장치.
  17. 제7항에 있어서, 구획벽은 승강구를 피복하는 속뚜껑의 중량 때문에 항상 하방향으로 압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
KR1019870001377A 1986-02-21 1987-02-19 세정장치 KR920009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223 1986-02-21
JP61035223A JPS62193686A (ja) 1986-02-21 1986-02-21 洗浄装置
JP61-35223 1986-02-21
JP41890 1986-02-28
JP61-41890 1986-02-28
JP4189086A JPS62201685A (ja) 1986-02-28 1986-02-28 洗浄装置
JP266848 1986-11-10
JP61-266848 1986-11-10
JP61266848A JPS63119889A (ja) 1986-11-10 1986-11-10 洗浄装置
JP61-266849 1986-11-10
JP266849 1986-11-10
JP61266849A JPS63119890A (ja) 1986-11-10 1986-11-10 洗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734A KR870007734A (ko) 1987-09-21
KR920009570B1 true KR920009570B1 (ko) 1992-10-19

Family

ID=2746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377A KR920009570B1 (ko) 1986-02-21 1987-02-19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95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734A (ko) 198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50246B2 (en) Laundry device
US5499642A (en) Washing apparatus
JP2005013753A (ja) 食器洗浄装置
KR920009570B1 (ko) 세정장치
US1775554A (en) Washing machine
JPH0255114B2 (ko)
EP0235744A1 (en) Apparatus for vapour cleaning
JPH0255113B2 (ko)
EP0884414A1 (en) Detergent dispensing device
JPS63197590A (ja) 洗浄装置
JPH0355192B2 (ko)
US2786483A (en) Water saving apparatus for clothes washing machines or the like
US3173433A (en) Apparatus for washing receptacles automatically
KR0184183B1 (ko) 드럼 세탁기의 응축장치
JPH0334312Y2 (ko)
JPS6124230Y2 (ko)
JPH0412326Y2 (ko)
KR100924799B1 (ko)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JPS63119889A (ja) 洗浄装置
JPH0358790B2 (ko)
US1872443A (en) Locking device for the covers of impregnating tanks, etc.
JPH0752079Y2 (ja) 液体自動注入ノズルの洗滌装置
KR100247235B1 (ko) 세정장치
KR820001427Y1 (ko) 식기 세척기
JPH031998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