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836B1 -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 - Google Patents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836B1
KR920008836B1 KR1019830002967A KR830002967A KR920008836B1 KR 920008836 B1 KR920008836 B1 KR 920008836B1 KR 1019830002967 A KR1019830002967 A KR 1019830002967A KR 830002967 A KR830002967 A KR 830002967A KR 920008836 B1 KR920008836 B1 KR 920008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signal
circuit breaker
detection
electromagnetic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555A (ko
Inventor
가기 슈조 다니
마아사아유끼 사까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메이덴샤
이마이 마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메이덴샤, 이마이 마사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메이덴샤
Publication of KR840005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8Means for obtaining or monitoring the vacuum

Landscapes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
제1도는 고정 및 가동접점이 개방접점이 개방상태 일때의 진공 차단기의 종단면도.
제2a도는 2개의 고정 가동접점이 개방상태 일때의 제1도의 진공차단기의 등가회로도.
제2b도는 2개의 고정 가동접점이 폐쇄상태 일때의 제1도의 진공차단기의 등가회로도.
제3a도는 진공차단기의 진공압이 정상일때의 주파수 50Hz때에 있어서의 진공차단기의 고정 및 가동 접점간에 발생하는 전압파형을 표시한 도면.
제3b도는 본 발명의 진공차단기의 진공압이 정상일때의 주파수 50Hz 때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진공모니터에 취부된 검출단자에 의해 수신된 전압파형을 표시한 도면.
제4a도는 진공차단기의 진공압이 이상이 있을때의 주파수 50Hz 때에 있어서의 진공차단기의 고정 및 가동접점간에 발생하는 전파압형을 표시한 도면.
제4b도는 본 발명의 진공차단기의 진공압이 이상이 있을때의 주파수 50Hz 때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진공모니터에 취부된 검출단자에 의해 수신된 전압파형을 표시한 도면.
제5a도는 본 발명의 축소형 변전설비내에 배설된 진공차단기와 제1실시예의 콘덴서 결합형 검출단자를 표시한 도면.
제5b도는 본 발명의 제5a도의 제1실시예의 콘덴서 결합형 검출단자의 확대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의 블록도면.
제7도는 제6도의 본 발명의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에 조립되어진 신호레벨 판별부의 보다 상세한 블록 도면.
제8도는 제6도의 본 발명의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에 조립되어진 잔단부의 보다 상세한 블록 도면.
제9a도는 그의 진공용기가 고체 절연물(그 외표면에는 접지된 금속층이 있다)에 의해 덮인 진공차단기와 제2실시예의 콘덴서 결합형 검출단자의 요부를 표시한 도면.
제9b도는 제9a도의 제2실시예의 콘덴서 결합형 검출단자의 확대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변류기형의 검출단자를 표시한 개략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계기용 변압기형의 검출단자를 표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진공차단기내의 진공압 열화를 검출하는 진공모니터에 관하여, 특히 진공차단기 내의 진공압이 이상적으로 상승하였을 때에는 경보를 발하거나 경고를 표시하는 진공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강전회로에 사용되는 진공차단기는 그의 진공용기내의 진공압이 10-4Torr 이하로 유지되었을 때 정상적인 회로 차단성능을 가진다.
그러나 그의 진공압은 예를 들어, 차단기의 재료에서 방출되는 가스 또는 공기의 느린 누설(기계응력에 의한 크랙 또는 불완전한 용접 또는 납땜 접합부에서 공기가 새는것) 때문에 그 진공압이 상승하고 회로차단 성능이 열화하는 일이 종종 있었다.
진공용기내에서 진공압이 이상적으로 상승하면 작은 접점간격에서는 더 이상 고전압에 버틸수가 없게 되어 아크 및 플래시오버(flashover)를 발생하고 그 결과 백색 고온의 아크가 접점 표면을 태우게 되며 더욱이 진공용기나 다른 부품을 녹아버리게 하기도 한다.
따라서 강전의 회로에서는 진공차단기의 접점이 개방 또는 폐쇄 상태일지라도 진공차단기 내의 진공압을 체크하거나 또한 모니터 하는 것은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근년 각종의 진공차단기용 진공압 측정장치가 실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진공압 측정 장치는 이하의 결점을 실용상 가지고 있다.
(1) 패스첸(Paschen)의 법칙에 따라서 방전현상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방전현상은 진공압 연향을 받기 때문에) 한쌍의 방전 전극을 진공용기내에 설치하고 다른 고압 전원에서 고전압을 그 방전전극에 인가하는 진공압 측정장치가 있다.
이와 같은 장치에 있어서는 진공차단기의 구조가 복밥하여 그 제조 코스트도 고압의 다른 전원이 필요하므로 비교적 높다.
(2) 패스켄의 법칙에 따라서 방전현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진공 차단기를 강전 회로에서 분리하고 고정 및 가동접점을 방전이 발생하기 쉬운 적당한 간격으로 재조정하고 별도의 전원에서 고압을 인가하는 진공압 측정 장치가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 강전회로 또는 전원을 진공차단기에서 분리하지 않으면 안되고, 즉 고전압을 차단기에 인가한 그대로(핫라인 상태) 진공압을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또 그렇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3) 또한 최근에는 축소형 변전 설비가 개발되어 있어 이 설비중에도 진공차단기가 수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설비에 있어서는 상기 (2)의 방법을 사용하는 한 기름이나 가스등의 절연매체를 설비에서 배출하고서 진공차단기의 진공압을 점검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설비에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더욱이 인간의 미스에 의하여 오조립 또는 오조정에 의한 사고발생의 가능성도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른 방전전극이나 고압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진공차단기를 개입시켜 고전압을 강전회로에 인가한 그대로의 상태와 또한 염가이며 간단한 체크 순서로 진공차단기의 진공압 열화를 체크하는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가 제안되어 있다.
이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는 진공차단기내의 진공압이 상승하였을 때 패스첸의 법칙에 의해 프리블랙 다운(prebreakdown) 전압에 의해 일어나는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펄스성 전자파를 수신하기 위하여 진공차단기의 도체재료 근방에 배치한 안테나와 진공차단기의 진공압 열화를 알리기 위하여 안테나에 접속되어 안테나가 수신한 펄스성의 전자파 신호를 전기적으로 처리하는 검출부를 가진다. 상기 진공모니터에 대하여서는 본 출원인의 특허 출원 자료(1982년 10월 29일 출원의 미국 특허출원번호 제437,678호와 1982년 10월 29일 출원의 EPC 특허출원 제823057617호 또는 1982년 10월 28일 출원의 한국특허출원 제82-4846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진공모니터는 진공차단기 또는 차단기에 접속된 도체에서 공기중에 방사되는 펄스성 전자파 신호에 기인하여 진공차단기내의 진공도 열화를 검출하는 것이어서 진공차단기가 절연고체로 완전히 보호되고 또한 그 절연 고체 또한 접지된 금속층으로 보호되어 있을때는 펄스성의 전자파 신호는 외부로 방출되지 아니한다.
이같이 진공차단기가 기름 또는 가스등의 절연매체로 충반된 금속케이스에 수납되어 금속케이스가 완전히 접지되고 또한 진공차단기에 접속되는 다른 도체로 모두 완전하게 접지되어 있을 때에는 펄스성의 전자파 신호는 외부로 방출되지 아니한다.
재론하면 완전히 실드(Shield)되고 또한 접지된 케이스 내에 수납된 진공차단기내의 진공압 열화를 체크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더욱이 안테나를 사용하여 펄스성 전자신호를 검출할 때에는 진공차단기가 케이스내에 수납되어 있지 않을 때에도, 즉 나체(裸체)일때에 안테나로 검출된 그 펄스성 전자파의 전압레벨은 비교적 낮으므로 다음단에는 높은 개인의 증폭기가 필요하게 되어 진공모니터의 코스트가 높아지는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문제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주목적은 진공차단기내의 진공압이 증가하였을때에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펄스성의 전자파 신호에 기초하여 높은 검출감도로 진공차단기내의 진공압 열화를 검출할 수 있는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로서 비교적 낮은 개인의 증폭회로가 사용가능하여 코스트가 염가인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진공 차단용 진공모니터는 고전압이 인가된 도체에 비직류적으로(non-galvanically), 즉 유도적으로 또는 용량적으로 결합된 특수검출 단자를 가진다.
이 검출단자는 점검할 진공차단기의 임의의 요소(필히 실드 또는 접지되어 있지 않은 것)의 적소에 취부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검출단자로서 콘덴서 결합형(C형), 변류기형(CT형) 또는 계기용 변압기용(PT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차단기나 이에 접속되는 관련 도체가 모두 완전하게 실드되고 또한 접지되어 있더라도 진공차단기내에 진공압이 증가하였을 때에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펄스성 전자파 신호에 기인되어 진공차단기내의 진공압 열화를 검출하는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는 고전압이 인가된 도체에 비직류적으로 즉, 유도적으로 또는 용량적으로 결합된 특수 검출 단자를 가진다.
이 검출단자는 진공차단기의 접지된 케이스 벽부의 적속에 취부된다. 이 검출단자로서는 동일한 콘덴서 결합형(C형), 변류기형(CT형) 또는 계기용 변압기형(PT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 모니터는 특히 진공압 불량을 표시하는 펄스성의 전자신호의 신호레벨의 크기를 판별하고 그 신호레벨이 일정의 기준치를 초과하였을 때에는 그 전자파 신호를 분압기를 개입시켜 다음단에 인가하는 수단을 가진다. 따라서 외부의 전기적 잡음 신호의 영향을 받지 아니하고 불량진공압을 표시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모니터는 정확히는 2KHz 내지 400KHz, 실제적으로는 2KHz 내지 20KHz의 주파수의 진단 신호를 출력하고 진공모니터 자신의 기능을 진단하는 수단을 가진다. 따라서 불량진공압을 표시하는 전자파 신호를 보다 높은 신뢰성으로 검출할 수 있다.
종래의 진공압 측정 장치나 방법보다 우수한 본 발명의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의 특징이나 이점은 첨부한 도면을 인용한 본 발명의 다음의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중에 있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 또는 부분에는 동일의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1은 대표적인 진공차단기로, 그의 진공용기는 원판(4)를 사이에 두고 2개의 금속원통(3)에 의해 서로 기밀하게 접합되는 유리 또는 세라믹스의 2개의 원통상 절연 하우징(2)와 절연 하우징(2)의 양측(상하측)에 기밀하게 고착된 금속 원통(6)을 구비하고, 이 원통(6)을 통하여 원통절연하우징(2)이 금속단판(7)에 각각 기밀하게 접합된다.
각각의 단판(7)의 중심에는 2개의 도체 접점봉(8)과 (9)가 배설된다. 고정도전접점봉(8)은 그의 상단부에서 상부 금속단판(7)에 기밀하게 접합된다. 고정접점(10)은 고정도전성 접점봉(8)의 하단부에 납땜되며 외부접속도체(11)은 고정도전성접점봉 (8)의 상단부에 접합된다. 가동 도전성 접점봉(9)은 금속 밸로우즈(12)를 개입시켜 하부단판(7)에 이동 가능하게 접합되어 용기내의 진공을 열하(劣下)시키지 않고 그 축방향으로 자유로히 이동된다.
가동접점(13)은 가동 도전성 접점봉(9)의 상단부에 납땜되어 슬라이드 접점(14)이 가동접점봉(9)의 하부단부에 습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더욱이 도시되지 않았으나 가동봉(9)에는 구동장치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15는 슬라이드 접점(14)을 취부하는 다른 외부 접속도체이다. 따라서 가동접점봉(9)이 상하로 움직여도 접점봉(9)는 슬라이드 접점(14)를 개입시켜 외부접속도체(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16은 원통상의 주 실드로 고정 가동접점(10)과 (13)이 개폐할 때에 발생하는 금속증기가 원통상 절연 하우징(2)의 내표면에 증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17은 한쌍의 상하 보조 실드이다.
제1도에서 고전압이 외부 도체(11)에 접속될 때, 강전회로는 다른 외부도체에 접속된다.
진공차단기(1)은 가동접점(13)을 상하로 구동함에 의해 작동되어 그것에 접속된 강전회로를 개폐한다.
2개의 접점이 폐쇄상태일 때 전류는 상부 외부 접속도체(11)에서 하부 접속도체(15) 또는 그의 역으로 고정 접점봉(8), 고정접점(10), 가동접점(13), 가동접점봉(9)의 경로로 흐르게 된다.
강전회로는 모니터 속의 솔레노이드(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적당한 작동장치로 가동접점(13)을 고정접점(10)에서 떨어지도록 구동하여 차단된다.
제2a도는 2개의 접점이 개방상태일때의 제1도의 진공 차단기의 등가 회로이다. 제2b도는 2개의 접점이 폐쇄상태일때의 등가회로이다.
도면에서 30은 진공차단기에 인가되는 강전회로의 전원, 31은 강전회로의 부하, 32는 고정접점봉(8)을 포함한 고정접점(10)과 주실드(16)간의 절연저항, 33은 고정접점봉(8)을 포함한 고정접점(10)과 주실드(16)간의 표유(漂游)용량, 34는 가동전극봉(9)을 포함한 가동접점(13)과 주실드(16)간의 절연저항, 35는 가동전극봉(9)를 포함한 가동접점(13)과 주실드(16)간의 표유용량, 36a와 36b는 2개의 원통상 절연하우징 2내의 절연저항, 37은 주실드(16)과 대지간의 표유 용량이다. 다시, 제2a도에 있어서 2개의 접점이 열렸을때에 38은 고정 및 가동접점(10)과 (13)간의 절연저항, 39는 양 접점간의 표유 용량이다.
제2a, 제2b도에 의해 잘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절연 저항만이 가변저항의 형식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한다. 진공중의 유전율은 공기중의 유전율과의 거의 동일하므로 진공차단기내의 진공압의 열화, 즉 상승 하여도 표유용량(33)(35)(37)(39)는 변화하지 않으나 절연저항(32)(34)(38)은 진공압이 열화하면 패스첸의 법칙에 의한 프리블랙다운에 따라서 변화한다.
일반으로 패스첸의 법칙에 의하면 진공중의 블랙다운 전압은 진공압(Torr)과 접점간격(mm)의 적(product)이 증가함에 따라 있는 편곡점(偏曲點)까지 감소하고 그후는 증가한다. 제2도는 A점의 전위는 V1, B점의 전위는 V2, C점의 전위(부동전위)를 V3로 하면, A와 B, A와 C, B와 C 간의 전위차(V1-V2), (V1-V3), (V2-V3)는 가변저항(38)(32)(34) 즉, 제1도의 용기내의 진공압에 의해 변화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진공차단기내의 진공압이 10-4Torr 이하에서 정상일때에는 각각의 전위차는 일정하나 공기의 누설이나 재료에서의 가스방출에 의해 서서히 용기내의 압력이 상승하며 이온이 진공용기내에 발생하여 그의 결과, 절연저항(32)(34)(38)은 감소한다.
따라서 두 접점이 열려있을때에는 주로 고정 및 가동접점 간에, 또한 두 접점이 닫혀있을때에는 2접점을 포함한 가동접점봉(8)과 (9)와 주실드(16)간에 방전하여 암전류(dark current)가 흐른다. 더욱이 이러한 전류의 원인은 해명되어 있지 않다.
절연저항(38)(32)(34)은 장기간(예를 들어 2∼3년)에 걸쳐 서서히 감소하여 불사의(不思議)한 암전류가 절연저항(38)(32)(34)을 통하여 흐른다. 일종의 전자파가 이에 의하여 방사된다고 생각한다.
상기 전위차(A와 B, A와 C, 또는 B와 C)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파는 진공차단기에 접속되어 있는 도체중을 전반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차단기의 도체는 유도적 또는 용량적으로 결합된 검출단자를 구비함으로써 차단기내에 진공압의 상승때에, 암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파를 검출함에 따라서 차단기내의 진공도 열화를 간접적으로 체크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에 있어서 양접점이 닫혀있을 때에는 전위 V1과 V2가 같으며 부동전위 V3는 표유용량(37)에 의해 변화되는 것이 자명하며 37은 외부 조건에 의해 통상 결정된다.
상기 방전은 불균등 전계에 의해 발생하고 국부적 절연 파괴를 가지는 소위 부분방전(코로나 방전)과는 전연 다른 것이다.
다음에 제3도와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 모니터의 검출단자에 의해 수신되는 전자파 신호의 파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a)는 진공압 정상(10-4Torr 이하)일때의 접점간의 전압파형이다. 제3(b)도는 그때의 검출단자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파형이다.
이들의 도면에 의해 정상인 진공압하에서는 양접점간의 전압 파형은 상용주파수(50, 60Hz)의 사인파이며, 검출단자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2KHz이하 또는 400KHz이상(실제적으로 20KHz이상)의 고조파(高調波) 신호가 중첩된 거의 사인파에 가까운 것이라는 것이 확실하다.
이러한 2KHz 이하 주파수의 중첩신호는 차단기 근방 또는 차단기가 접속되는 강전회로 내 또는 그 근방의 회전기, 트랜스, 측정기 등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400KHz이하(실제적으로는 20KHz 이상) 주파수의 중첩신호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다.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밴드 패스필터가 모니터에는 구비되어 있으므로 2KHz이하 또는 400KHz이상(또는 20KHz이상)의 주파수의 이와 같은 신호는 제거된다. 또한 버퍼 증폭기의 입력측에 콘덴서를 접속하여 50 또는 60Hz의 사용주파수 성분도 간단하게 제거된다. 즉, 진공압이 정상일 때 진공모니터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한편, 제4a도는 진공압이 이상(10-3Torr)일때의 양 접점간의 전압신호 파형이다.
제4b도는 진공압이 이상일때 검출단자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파형이다.
이상적인 진공압력하에서 양 접점간 접점파형은 거의 구형파로 그 위상은 다소 지연되어 있으며, 검출단에 의해 수신된 전자파의 전압파형은 2KHz 이상의 비교적 높은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 리플이 싸인파, 또는 교번 전압신호에 중첩된 특이한 파형을 갖고 있다.
이것은 일단 방전이 차단기내에서 발생하면 접점간 전압은 어떤 전압 레벨로 클리프(clip)되며 제3a도에 표시한 피-크치까지 상승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접점간 전압이 급속으로 상승함에 있어 리플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신호가 이상 진공압 하에서 방전이 개시되었을때, 검출단자에 의해 수신되는 이유는 지금까지 완전하게는 해석하지 못하고 있으나 진공압이 상승하였을때는 언제든지 상기의 신호가 검출단자에 의해 수신되어 그 전파신호의 주파수 성분이 차단기 이외의 기기 또는 장치에서 발생하는 것보다는 높으며 2∼400KHz의 사이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주파수는 진공차단기 이외의 기기에서 발생된 것보다 높으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것보다 낮다.
또한 실험에 의하면, 2KHz 내지 20KHz의 주파수 성분의 신호레벨은 20KHz 이상의 것과 비교하여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인파에 중첩된 전자파 리플신호를 검출함에 의해 진공압 열화에 의한 차단기 내의 방전의 발생을 체크할 수 있다.
더욱이 예를 들면 부분방전이 다른 장치에서 발생하여도, 그의 파형은 암방전에 기초한 전자파 신호의 파형과 전혀 다르며, 또한 그의 주파수 성분도 일반적으로 전자파의 것보다 낮으므로, 진공모니터의 검출특성에 악영향은 없다.
다음에 진공차단기와 본 발명의 진공모니터의 실험 결과를 표시한다. 차단기내의 진공압을 5×10-3∼300Torr의 범위로 변화시키어 비교적 나쁜 조건하에서 안테나가 수신하는 전자파 신호의 주파수 성분은 부하와 대지간의 정전(靜電)용량이 0.0042㎌일 때 10∼14KHz, 0.05㎌일 때 2∼8KHz, 0.2㎌ 이상일 때 2∼20KHz이다.
한편 그 용량이 0.0042㎌이하일때 실험에 의하면 검출 감도가 불안정하게 됨으로 약 0.2㎌의 정전용량을 진공차단기의 부하측에 접속함에 의해 감도좋게 진공압 열화에 의한 전자파를 안정하게 검출하게 된다.
더욱이 진공압을 약 10-1Torr, 전압 6.9/
Figure kpo00001
=4kV를 차단기에 인가하고 부하측과 대지간에 0.2㎌의 콘덴서를 접속하고, 양접점을 개방상태로 하여 실험한 결과 증폭기의 출력 검출신호는 증폭기의 게인이 10,000일 경우 약 0.6V였다.
거의 동일 실험조건으로 양 접점을 닫았을때에 증폭기의 출력 검출신호는 약 0.3V였다.
양 접점을 열었을때와 비교하여 양접점을 닫았을때에 검출신호 전압이 낮은 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한 것이라도 생각된다.
양 접점을 닫았을때는 방전은 고정 및 가공접점(10)과 (13)을 포함하여 고정 및 가동접점봉(8)과 (9)와 주실드(16) 사이에서 만이 발생하고, 그 절연저항(32)와 (34)의 (병렬접속)이 접점간의 절연저항(38)보다 크고 따라서 접점이 닫혀있을때의 방전에너지가 접점이 열렸을때의 방전 에너지 보다 작다고 생각된다.
또한 진공압을 본 발명의 검출단자를 통하여 검출하였을때에는 비교적 모니터의 게인이 낮을지라도 진공압 열하를 표시하는 매우 높은 고압레벨의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제5a도는 축소형 변전 설비의 일예로서 3상 모선 또는 도체는 단일의 직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71은 진공차단기가 수납되는 제1탱크, 72는 덕트(101)를 통하여 제1탱크와 접속되는 제2탱크로, 전원케이블(73b)에 접속되는 도체(73a)와 부하케이블 (73d)에 접속되는 도체(73c)가 수납된다.
74는 덕트(101)를 개입하여 제2탱크와 접속되는 제3탱크로 단로기(75)가 수납된다.
탱크(71)(72)(74)와 덕트(101)은 모두 금속제로 접지되어 있다. 모든 탱크와 덕트는 절연매체로 충만되며 덕트(101)은 절연 스페이서(102)를 개입시켜 탱크에 기밀하게 실드된다.
제2탱크(72)에는 제5b도에 의해 명확하게 표시된 바와 같이 콘덴서 결합형의 검출단자(21)가 전원도체(73a)에 접속된다. 검출단자(21)은 일방의 전극(76a)가 전원도체(73a)에 접속되고 타방의 전극(76b)가 검출도체(77)에 접속된 콘덴서(76)으로 된다. 이 검출도체(77)은 제2탱크(72)의 벽(72a)에 고정된 초자(78)를 개입하여 제2탱크(72)의 외부로 도출된다.
진공모니터(200)에서 뻗어나는 검출 케이블(22)를 검출도체(77)의 일단부에 접속시켜 불량진공을 표시하는 전자신호를 검출한다.
이때의 1쌍의 암·수 플러그를 이용하여 초자(78)와 검출테이블(22)을 접속하여도 무방하다.
더욱 상세히 말하면 수 플러그를 검출케이블(22)의 일단에 취부하고 암플러그를 초자(78)내에 매설한다.
또한 외부잡음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는 단일 절연 케이블 대신 검출케이블(22)로서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여 그 외측의 실드선을 접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모니터(200)의 블록도이다.
진공모니터(200)은 대략 검출단자부, 신호레벨 판별부, 진단부(50) 및 검출부 (20)로 구성된다. 검출단자부는 콘덴서 결합형과 같은 검출단자(21)과 검출케이블 (22)을 가진다.
신호레벨 판별부(40)은 증폭기(41a)와, 제1비교기(41b)를 포함한 비교부(41)와, 트랜지스터(42a), 릴레이(42b), 릴레이접점(42c)를 포함한 스위치부 (42)와, 분압기(43)을 가진다(제7도 참조). 진단부(50)은 CR시정수회로(50a), 발진회로(50b) 및 증폭기(50c)를 가진다(제8도 참조).
검출부(20)은 버퍼증폭기(23), 밴드패스 필터(24), 증폭기(25), 제1비교기 (26), 적분기 또는 카운터(27) 및 제2비교기(28)을 가진다.
검출 단자부는 진공차단기내의 진공압이 이상일때 진공차단기의 도체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검출단자(21)을 개입시켜 펄스성의 전자파 신호를 검출한다.
검출단자(21)은 제5a 또는 5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콘덴서 결합형의 것으로 검출케이블(22)는 검출단자(21)에 직접 접촉되는 단일 또는 동축케이블이다.
신호레벨판별부(40)은 전자파 신호의 전압레벨의 크기를 판별하고 그 전압레벨의 크기가 비교적 적을때는 그 신호를 다음단에 직접, 그 전압 레벨의 크기가 비교적 클때에는 그 전압레벨을 분압기(43)을 개입시켜 감소시켜서 그 신호를 다음단에 간접적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제7도는 증폭기(41a)는 고입력 임피던스의 연산증폭기로 그 입력단자는 검출 케이블(22)을 개입하여 검출단자(21)에, 그 출력단자는 비교기(41a)에 접속된다.
비교기(41b)는 검출단자(21)가 검출한 전자파의 전압 레벨의 크기를 판별하고 그 신호의 전압레벨의 크기가 일정한 기준 전압레벨을 초과하였을때만 스위칭 트랜지스터(42a)의 베어스에 전압 레벨 감소신호(Sr)를 출력한다.
비교기(41b)는 신호(Sr)에 응답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42a)는 온되어 트랜지스터(42a)의 콜렉터 단자에 접속될 릴레이(42b)를 작동시킨다. 릴레이(42b)가 작동되면 릴레이 접점(42c)가 절환된다.
릴레이 접점(42c)는 분압기(43)을 개입시켜 다음단에 접속되는 제1접점 (42c-1)과 다음단에 직접 접속되는 제2접점(42c-2)를 가진다. 통상은 제1접점(42c-1)은 개방상태이고, 제2접점(42c-2)는 닫힌 상태이다.
따라서 전자파 신호레벨의 크기가 적을때에는 낮은 레벨의 전자파 신호(S+)는 전압레벨을 감소함이 없이 직접 다음단에 인가된다.
그러나 전자파 신호 전압레벨의 크기가 일정의 기준전압 레벨을 넘으면, 비교기(41b)가 전압레벨 감소신호(Sr)를 출력함으로 트랜지스터(42a)가 온되어 릴레이(42b)가 작동되며 그 결과 릴레이 접점(42c)가 절환되어, 제1접점(42c-1)이 닫히게 된다.
따라서 높은 레벨의 전자파 신호(S)는 분압기(43)을 통하여 다음단에 인가되어 그 전압레벨이 감소된다.
따라서, 검출신호(S)의 전압레벨의 크기가 이상적으로 크고 /또한 외부전기 잡음신호가 혼입되어 있어도 외부전기 잡음신호의 영향을 받지 아니하고 불량 진공압을 표시하는 검출된 펄스성의 전자파 신호를 비교적 일정의 신호전압 레벨로 신뢰성 좋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검출부(20)은 전자파 신호의 전압레벨의 크기가 허용 기준전압 레벨을 일정의 기준회수 이상 넘었을때는 알람음을 발생되게 하거나 또는 알람 표시기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6도에서 고입력 임피던스를 가진 버퍼증폭기(23)은 신호레벨판별부(40)을 개입시켜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고 신호(S+)를 출력한다. 신호(S)에는 펄스성 전자파 신호가 리플로서, 예를 들어 50 또는 60 사이클의 상용 주파수에 중첩되어 있다. 밴드 패스 필터(24)는 신호(S)에서 정확하게는 2∼400kHz(실제로는 2∼20kHz)의 주파수 성분만 통과시켜(상용 주파수 성분도 물론 제거 된다) 신호(S-)를 출력한다. 즉 이 밴드패스필터(24)는 신호(S+)에서 2kHz 이하 또는 정확히는 400kHz 이상(실제로는 20kHz이상)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한다.
이들은 회전기, 트랜스포머 측정기 등기 2kHz 이하의 코로나 방전이 400kHz이상의 고조파를 포함한 신호를 종종 발생하기 때문이다. 증폭기(25)는 신호(S-)를 증폭하여 신호(S×)를 출력한다.
제1비교기(26)는 이증폭된 신호(S×)를 소정의 기준전압 레벨과 비교하고 신호(S×)가 기준 레벨을 초과함으로써 신호(S÷)를 출력한다. 적분기(카운터)(27)은 신호(S÷)의 수를 연속하여 적분 또는 계수하여 신호(S=)를 출력한다.
제2비교기(28)은 이 적분 또는 계수신호(S=)를 다른 소정의 기준 전압레벨과 비교하고 신호(S=)가 기준 레벨을 초과하였을때에 신호(S≒)를 출력한다. 이 신호(S≒)은 진공압 불량 즉, 차단기 내의 진공압이 이상적으로 상승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경고를 발생하거나 또는 표시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진단부(50)은 진공차단기내의 진공압 불량을 점검하는 전후에 있어서 진공모니터의 기능을 진단하는데 필요하다.
환언하면 진단부(50)은 검출부(2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아닌지를 점검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이 진단부(50)은 약 2kHz(필터(24)의 하한치)에서 정확히는 400kHz 또는 실제적으로는 20kHz[필터(24)의 상한치]까지의 제1진단신호와, 2kHz 이하의 제2단신호와, 400kHz 이상[실제로는 20kHz 이상]의 제3진단신호중 어느 하나를 출력한다.
검출부(20)를 진단하기 위하여는 먼저 수동진단 스위치(51)를 온(ON)으로하고 다음에 2∼400kHz(실제로는 2∼20kHz)의 제1진단신호를 신호레벨 판별부(40)에 입력한다.
이때에 알람음 또는 알람 표시가 발생하면 검출부(20)은 정상으로 판정된다. 한편 알람음 또는 알람표시가 발생하지 아니하면 검출부(20)는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된다.
이것과 반대로 제2진단신호(2kHz 이하)와 제3진단신호(400kHz 또는 20kHz 이상)를 신호레벨 판정부(40)에 입력하였을 때 알람음 또는 알람표시가 발생하면 검출부(20)는 이상이라고 판정한다.
제2 또는 제3진단신호를 검출부(20)에 인가하였을때 알람음 또는 알람표시가 발생하지 않으면 검출부(20)은 정상이라고 판정된다. 상기의 진단신호를 검출부(20)에 인가하는데 따라서 증폭기(23)과 (25), 필터(24), 제1 또는 제2비교기(26)과 (28), 적분기 또는 카운터(27), 알람 또는 표시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을 한번에 종합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진단부(50)은 CR 시정수 회로(50a), CR발진회로 (50b), 증폭기(50c)로 구성된다.
따라서 CR 시정수 회로의 저항을 조정하는데 따라서 제1진단신호(2∼400 또는 20kHz)에 대응하는 제1CR시정수, 제2진단신호(2kHz이하)에 대응하는 제2CR시정수 또는 제3진단신호(400 또는 20kHz 이상)에 대응하는 제3CR 시정수를 선택적으로 얻을 수가 있다.
이들의 조절치에 따라서, CR 발진기(50b)는 제1, 제2 및 제3진단신호중 어느 하나를 발생시킨다. 이들의 진단신호는 증폭기(50c)로 증폭된 후, 검출단자(21)을 통하여 검출되는 전자파 신호를 대신하여 신호레벨 판정부(40)에 인가되어 검출부(20)에 정상 작동을 점검한다.
제5a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진공모니터의 제1실시예에서는 콘덴서 결합형의 검출단자가 탱크의 벽에 부가적으로 독립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진공차단기에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요소를 검출단자로 하여 이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세히 말하자면 진공차단기에는 통상적으로 인가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는 각종의 측정기(예를 들어 검전기 또는 콘덴서, 변류기, 계기용 변압기등)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기존의 측정기의 출력단자를 사용하여 보다 간단하게 펄스성 전자파 신호를 검출할 수도 있다.
환언하면 검출단자를 필히 진공차단기에 추가하여 설치할 필요는 없다.
제9a도는 본 발명의 진공모니터에 사용되는 콘덴서 결합형 검출단자의 제2실시예를 표시한다.
제9a도에서, 진공차단기(1)은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절연재로 재제된 케이스(61)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져 있다. 이 케이스(61)의 외표면에 형성된 금속층은 완전히 접지되어 있다. 62는 절연조작봉, 63은 조작도체로서 그의 일단은 조작레버(64)를 개입하여 가동접점봉(9)에 접속된다.
또한 65는 조작 용수철로서 그의 일단은 절연조작봉(62)내에 매설된다.
따라서 조작 용수철(65)가 조작장치(도시하지 않음)의 도움으로 작동 또는 비작동으로 될 때 가동접점봉(9)은 조작레버(64)를 통하여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접점(10)에 대하여 가동접점(13)을 개폐한다.
제9b도에 의해 명확하게 도시되는 이 제2실시예에서는 콘덴서 결합형의 검출단자는 절연조작봉(62)의 중심부에 배설된 조작도체(63)의 일단부와 조작봉(62)의 외표면에 형성된 금속성의 반원링(62A)로 된다.
따라서 조작도체(63)의 일단이 콘덴서의 일 전극으로서 반원형 링(62A)가 콘덴서의 다른 전극으로 된다.
이 반형링(62A)는 콘덴서 케이블(62B)와 검출케이블(22)를 개입시켜 신호레벨 판별부(40)의 스위치부(42)에 접속된다.
또한 제9a도에서 66은 부하측의 외부접속도체(11)에 접속된 콘덴서로서 진공모니터의 전자파에 대하여 검출감도를 증가하기 위한 것이다.
제10도는 변류기형의 검출단자로서 제5a도의 축소형 변전 설비에 설치되어져 있는 것이다.
변류기는 1차측 권선[전원도체(73a)]을 2차측 권선과 절연하고 또한 도체 (73a)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주로 변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일종의 변압기이다.
또한 78-1와 78-2는 축소형 변전설비의 제2탱크(72)의 벽(72)에 고정된 초자이다. 안전을 위하여 이들 2개의 2차권선단자(79-1)와 (79-2)중 어느 하나는 접지된다.
진공모니터(200)의 검출케이블(22)은 2차 권선단자(79-1)에 접촉되어 진공압 열화를 표시하는 펄스성 전자파를 검출한다.
제11도는 계기용 변압기형의 검출단자로, 제5도의 축소형 변전설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계기용 변압기는 일차권선(80)과 2차권선(81)을 절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일종의 변압기로서 그 일단(80-1)은 어느 한쌍의 전원도체에 접속되고 타단(80-2)은 다른 상의 전원도체에 접속된다.
계기용 변압기는 일차권선(80) 양단에 발생하는 전위차를 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한편 78-3와 78-4는 제2탱크(72)의 벽(72a)에 각각 고정된 2개의 초자이다. 81-1과 81-2의 각각 제2권선 단자이다.
유사하게 진공모니터(200)의 검출케이블(22)을 2차권선단자(81-1),(81-2)에 접속시켜 진공압열화를 표시하는 펄스상전자파를 검출한다.
상기 변류기형과 계기용 변압기형의 검출단자는 제5b도에 표시한 검출단자와 비교한 유도결합형의 것이다.
종래는 절연유나 절연가스가 들어있는 탱크내의 차단기의 진공압 열화를 조사하기 위하여서는 다음과 같은 복잡한 공정이 필요하였다.
즉, 첫째로 절연유 또는 절연가스를 탱크에서 없애고, 둘째로 고정 및 가동접점 사이의 접점 간격을 패스첸의 법칙에 따라서 절연내력 시험에 적합한 적당한 접점 간격이 되도록 조정하고, 세번째로 내전압 테스트의 방법으로 고전압을 접점간에 인가하고, 네번째로 점검을 필한 차단기의 접점을 최초의 간격으로 환원시키고 차단기를 탱크에 넣어서 절연유 또는 절연가스를 충만시켰다.
따라서 진공압을 체크하는데는 다대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또한 진공압의 체크 전후에 필히 접점 간격에 차가 존재하였다. 즉, 접점을 당초의 간격상태로 환원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그러나 이와 같은 복잡한 테스트 순서나 또는 다른 부품등이나 요소 또는 보다 고압전원을 설치할 필요없이, 종래의 진공차단기내에 기 수납된 검전기, 변류기, 계기용 변압기 등의 각종의 측정기기를 효율있게 이용하여 진공압의 열화를 간단하고 정확하고도 염가로 점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공모니터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거의 전부가 통상의 진공차단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전압을 차단기에 인가한 그대로 즉, 핫라인(hot-line) 상태로 진공압을 체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용의 전압전원이나 전지가 모니터 용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소형, 경량, 포터블형의 모니터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패스첸의 법칙에 의해 진공압(P)와 접점간격(d)와의 적(積)이 패스첸의 최저 블랙다운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는 블랙다운 전압은 그 적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고, 그 적이 최저 블랙다운 전압을 초과하면, 블랙다운 전압은 그 적의 증가에 따라 증가되며 비록 진공압이 일정할지라도 접점간격(d)이 최소 블랙다운 전압까지 증가할 때에는 그의 블랙다운 전입은 접점 간격의 증가와 같이 감소한다.
환언하면 접점간격이 증가한 만큼 모니터의 검출감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접점이 닫혀져 있어도 블랙다운 전압은 실드와 접점봉간에서 용이하게 발생한다. 이것은 암방전이 패스첸의 법칙에 따라 저전압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10≫×∼100Torr와 같이 넓은 범위로 진공압을 체크할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공모니터는 접점이 열렸을때는 양접점간에, 접점이 닫혀있을 때에는 접점을 포함한 접점봉과 주실드간에 패스챈 법칙에 따른 프리블랙 다운 전압에 따라서 존재하는 방전에 의해 발생된 전자파에 기초하여 진공차단기내의 진공압의 차단기도체에 유도적 또는 용량적으로 결합된 검출단자를 사용하여 검출될 수 있으며, 정확하게는 2~400kHz, 실제적으로 2~20kHz의 고조파를 포함한 신호를 증폭하여 기준치와 비교하여 경고를 발생하게 됨으로 완전히 실드되고 또한 접지된 탱크 또는 케이스내에 수납되어 있는 진공차단기용으로 편리하며, 연가이고 또한 소형의 진공모니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모니터는 신호레벨 판별부가 조립되어져 있어서 진공불량을 표시하는 전자파 신호의 전압레벨의 크기를 판별하고 그의 전자파 신호의 전압레벨이 일정의 기준전압 레벨을 초월할때에는 그의 신호를 분압기를 개입시켜 검출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므로 외부전기 잡음신호의 영향을 받지 아니하고, 진공불량을 표시하는 검출이 되었을때 전자파 신호를 비교적 일정의 전압레벨로 신뢰성이 양호하게 처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모니터에는, 진단부가 조립되어져 있어 진공차단의 불량 진공압을 점검하는 전후에 있어 진공모니터의 기능을 진단하기 위하여, 정확하게는 2~400kHz 실질적으로는 2~20kHz, 또는 2kHz이상의 진단신호를 출력함으로 진공불량을 표시하는 전자파 신호를 보다 높은 신뢰성으로 검출할 수 있다.
더욱이 낮은 게인의 증폭기가 모니터에 상용되고 있을 때에도 2~20kHz 또는 2kHz 이하 또는 20kHz 이상의 진단신호를 모너터에 입력하여 본 발명의 진공모니터를 충분하게 진단할 수 있다.

Claims (13)

  1. 진공차단기에 접속된 고압도체를 구비한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에 있어서, (a) 진공차단기내의 진공압 상승하였을 때에 일어나는 방전에 의해 발생하고 교번 전압에 중첩되는 펄스성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고압도체의 근방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도체와 비직류적으로(non-galvanically) 결합되는 검출단자 수단과, (b) 상기 검출단자 수단에 접속되어 그 검출단자 수단에 의해 검출된 펄스성의 전자파신호를 전기적으로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펄스성의 전자파신호의 전압레벨이 일정의 기준치를 초과하였을 때에 진공차단기내의 진공압의 이상을 지지하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자 수단이 콘덴서 결합형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자 수단이 변류기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자 수단이 계기용 변압기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결합형 검출단자 수단이 진공차단기의 접지된 금속용기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
  6. 제5항에 있어서, 콘덴서 결합형 검출단자 수단이 (a) 고전압 도체에 접속되는 제1전극과, (b) 상기 제1전극과의 사이에 정전용량을 발생하게하는 제1전극 부근에 배설된 제2전극과, (c) 상기 제2전극에 접속되어 진공차단기가 수납되는 접지된 금속용기에 초자를 통하여 도출되는 검출도체로 구성되며, 상기 진공코니터의 검출수단에 접속된 검출케이블을 상기 검출도체에 접속시켜 진공불량을 지시하는 펄스성의 전자파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 결합형 검출단자 수단이 (a) 진공차단기의 조작레버에 접속되며, 그의 이단이 접지된 금속용기에 취부된 절연 조각 봉내에 매설되어 제1전극으로서 사용되는 조작도체와, (b) 상기 절연조작봉의 외표면 둘레 및 그 조작도체의 근방에 형성되어서 제2전극으로서 사용되는 반원형링과, (b) 상기 제2전극에 접속되어 진공차단기가 수납되는 접지된 금속용기에서 도출되는 콘덴서 케이블로 구성되며, 상기 진공모니터의 검출수단에 접속된 검출 케이블을 상기 콘덴서 케이블에 접촉시켜 진공 불량을 지시하는 펄스성의 전자파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이 (a) 상기 검출 단자 수단에 접속되어 2kHz이상의 주파수 성분을 가진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밴드패스 필터수단과, (b) 상기 밴드 패스 필터수단에 접속되어 필터된 전자파 신호의 전압레벨을 일정의 기준전압 레벨과 비교하여 필터된 전자파 신호의 전압레벨이 기준레벨을 초과하였을 때 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기 수단과, (c) 상기 제1비교기 수단에 접속되어, 기준레벨을 초과한 전자파 신호의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수단과, (d) 상기 카운터 수단에 접속되어 카운터 수단에 의해 카운트 된 수를 소정 기준수와 비교하여 카운트된 수가 기준치를 초과할 때 진공차단기내의 진공압이 소정레벨 이상인 것을 지시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기 수단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모니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자 수단에 접속되어 펄스성의 전자파 신호의 전압레벨을 판별하고 그의 신호 전압레벨이 소정의 기준전압 레벨을 초과할 때에만 상기 신호레벨을 감소시키는 신호레벨판별 수단을 더 포함하여, 외부잡음신호의 영향을 받지 않고 진공압 불량을 표시하는 펄스성의 전자파 신호를 대략 일정의 신호 레벨로 신뢰성이 좋게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레벨 판별수단이 (a) 상기 검출단자 수단에 접속되어 검출단자수단에 의해 검출된 펄스성의 전자파신호의 전압레벨을 일정의 기준전압레벨과 비교하여 검출된 펄스성 전자파 신호의 전압레벨이 상기 일정의 기준전압 레벨을 초과할 때 전압레벨 감소 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기 수단과, (b) 전압레벨을 감소시키는 분압기수단, (c) 상기 제3비교기와 검출단자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3비교기 수단에서의 저압 레벨 감소신호에 응답하여 그 검출단자 수단에 의해 검출된 펄스성 전자파신호를 그 분압기 수단을 통하여 검출수단에 인가하고, 전압레벨 감소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검출단자 수단에 의해 검출된 펄스성 전자파 신호를 직접 검출수단에 인가하는 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에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진공압 불량을 표시한 펄스성 전자파 신호의 주파수 성분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진단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검출 수단이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는가를 점검하는 진단수단을 또한 포함하여 진공차단기의 진공불량을 점검하는 전후에 있어서 진공모니터의 기능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신호의 주파수가 2kHz 이하이고, 2kHz이하의 주파수의 진단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검출수단이 경고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때에 그 검출수단이 정상이라고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신호가 2kHz 이하이고, 2kHz 이상의 주파수의 진단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검출수단이 경고신호를 출력할 때에 그 검출수단이 정상이라고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
KR1019830002967A 1982-07-05 1983-06-30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 KR920008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116505A JPS598225A (ja) 1982-07-05 1982-07-05 真空しや断器の真空度監視装置
JP116505 1982-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555A KR840005555A (ko) 1984-11-14
KR920008836B1 true KR920008836B1 (ko) 1992-10-09

Family

ID=14688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967A KR920008836B1 (ko) 1982-07-05 1983-06-30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8225A (ko)
KR (1) KR9200088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131B1 (ko) * 2006-01-31 2011-02-14 토마스 앤드 베츠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진공형 전기 스위칭 장치
KR101723198B1 (ko) * 2017-01-20 2017-04-05 세아전설(주) 파센의 법칙을 이용한 절연파괴 시험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6308B2 (ja) * 1984-09-27 1995-04-19 株式会社東芝 真空開閉器
JP2002184275A (ja) 2000-12-12 2002-06-28 Meidensha Corp 真空遮断器の真空度監視方法とその装置
KR20200129834A (ko) 2019-05-10 2020-11-18 한국전기연구원 진공 인터럽터의 수명예측을 위한 진공도 감시센서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6478A (en) * 1975-10-13 1977-04-13 Tokyo Shibaura Electric Co Device for detecting improper vacuum of vacuum switc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131B1 (ko) * 2006-01-31 2011-02-14 토마스 앤드 베츠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진공형 전기 스위칭 장치
KR101723198B1 (ko) * 2017-01-20 2017-04-05 세아전설(주) 파센의 법칙을 이용한 절연파괴 시험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555A (ko) 1984-11-14
JPS598225A (ja) 198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79181B1 (en) Vacuum monitor for vacuum interrupter and use of the vacuum monitor
KR970007512B1 (ko) 진공밸브의 진공누설 검지방법 및 장치
US6426627B2 (en) Vacuum switch including vacuum-measurement devices, switchgear using the vacuum switch,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4163130A (en) Vacuum interrupter with pressure monitoring means
JP4169024B2 (ja) 真空開閉装置
CN107957529B (zh) 用于测试高压电容式套管组合件的电流连接的方法和装置
WO2001065653A1 (fr) Dispositif etanche aux gaz et procede de determination du taux de defaillances
KR100496660B1 (ko) 진공 인터럽터의 진공도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920008836B1 (ko) 진공차단기용 진공모니터
US4553139A (en) Vacuum monitor for vacuum interrupter
KR860001784B1 (ko) 진공차단기용 진공도 감시장치
JP2006337357A (ja) 電圧検出装置
KR101172750B1 (ko) 진공차단기용 전류차단기구의 부분방전 측정장치 및 방법
JP2670948B2 (ja) 部分放電監視方法
JP2705266B2 (ja) 真空バルブ形開閉装置の真空度低下検出装置
JPH0432488B2 (ko)
JPS63186512A (ja) 縮小形開閉装置の異常検出装置
JPS59175524A (ja) 真空しや断器の真空度監視装置
JPS645648B2 (ko)
KR20230069608A (ko) 진공차단기의 진공도 감시를 위한 부분 방전 측정 센서 및 이를 적용한 진공차단기
JPS6349845B2 (ko)
JPH0629751Y2 (ja) 電気機器の異常検出装置
JP2000173418A (ja) 真空開閉装置
SG174678A1 (en) Vacuum insulated switch device and vacuum insulated switchgear
JPH03332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