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810B1 - 압력 매체로 작동하는 활대형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압력 매체로 작동하는 활대형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810B1
KR920008810B1 KR1019890002931A KR890002931A KR920008810B1 KR 920008810 B1 KR920008810 B1 KR 920008810B1 KR 1019890002931 A KR1019890002931 A KR 1019890002931A KR 890002931 A KR890002931 A KR 890002931A KR 920008810 B1 KR920008810 B1 KR 920008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using cover
centering
r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928A (ko
Inventor
슈톨 쿠르트
쾬괴터 헤르베르트
Original Assignee
페스토 카게
로타르 뮐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스토 카게, 로타르 뮐러 filed Critical 페스토 카게
Publication of KR890014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15B15/1438Cylinder to end cap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tuator (AREA)
  • Sealing Devices (AREA)
  • Pistons, Piston Rings, And Cylin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력 매체로 작동하는 활대형의 공급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장치의 제1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Ⅱ-Ⅱ를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공급장치의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와 유사한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내 하우징 2 : 중공 공간
3 : 축방향 4 : 하우징 덮개
5 : 피스톤 6 : 밀봉부재
7 : 내부 상부면 8, 9 : 작동 공간
10 : 연결 개구 14 : 피스톤로드
15 : 덮개 개구 16 : 안내 및 밀봉부재
17 : 장착 스크류 18 : 센터링 부품
19 : 외부 주위 24 : 정지 칼라
29 : 고정 부품 30 : 대향면
34 : 수용홈 36, 36' : 홈측면
38 : 대향 평면부
본 발명은 중공의 안내 하우징을 구비하며, 이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전측면에서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덮개로 폐쇄되어 있으며 그 안의 원통형 중공 공간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이 배치되어 있고 이 중공 공간은 덮개 개구의 영역에서 하우징 덮개와 함께 밀봉체 밑으로 관통하고 그 외부에 힘 수용부와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 로드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 덮개는 하우징 측벽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길다란 센터링 부품을 구비하며 이 센터링 부품은 그 일부분을 그 측면에서 적어도 완전한 형상을 갖는 하우징 중공 공간에 배치하며 하우징 덮개의 링형 그루우브에 보유되어 있고 이 덮개와 안내 하우징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링을 구비한 압력 매체로 작동하는 활대 형태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공급장치에서 피스톤을 수용하는 규칙적인 2개의 작동 공간에서 밀봉체에 의해 피스톤을 분리되며 피스톤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도록 상기 작동 공간은 선택적으로 압력 매체로 작동하거나 배출되도록 분리된다. 피스톤 로드의 이동은 힘 수용부로부터 외부에서 조절될 수 있으며 이 힘 수용부는 기계 연장부, 로보트 팔 등에 의해 형성된다. 하우징 덮개의 관통구역에는 피스톤 로드를 밀봉 변위시키도록 안내 및 밀봉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 측면의 작동 공간의 주위와의 밀봉은 밀봉링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링은 하우징 덮개와 안내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다.
이 링을 고정시키기 위해 밀봉링은 링 형태의 반경 방향 그루우브에 배치되며, 상기 그루우브는 칩없는 제조 과정 중에 센터링 부품의 외부 주위에 개재되며 이후 하우징 덮개는 칩처리 과정에서 모든 관재료 블록으로부터 작동된다. 밀봉링과 그루우브면 내지 밀봉링을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내부 주위면 외부에 개재되어 있는 중공 공간부 사이의 밀봉 접촉에 의해 밀봉이 이루어진다. 상기 구조의 단점은 성형하기 위해 많은 제조 단계가 있어야만 하는 하우징 덮개의 제조 비용이 비싸다는 점이다. 또한 통상의 회전에 의해 밀봉링용 링그루우브를 정확히 성형하는 것은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덮개와 하우징의 조립도 문제가 있는데 이는 하우징을 밀 때 상기 그루우브에 있는 밀봉체가 가볍게 손상되며 이로 인해 모든 공급장치의 최종 조립체에 결점이 있을 수 있게 되며 시간면에 있어서도 또한 재정면에 있어서도 현저하게 낭비를 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안내 하우징의 비용이 많이드는 파지부는 중공 공간의 유입부에서 폐기물을 미미할 정도로 감소시키도록 안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 부품으로 간단하고 빠르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설치할 때 밀봉링이 손상되지 않고 설치 상태에서 신뢰할 정도의 밀봉이 보장되는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 덮개는 칩없이 만들어지는 성형 부품이며, 밀봉링을 수용하는 그루우브는 칩없는 제조시 직접 만들어지며 상기 하우징 덮개에는 성형된 수용홈이 형성되며, 이 하우징 덮개에는 안내 하우징을 축방향으로 안내하고 축방향에 위치하는 센터링 부품을 둘러싸는 정지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정지면에 안내 하우징의 대향면이 있으며, 수용홈은 정지면에 형성되어 있고 센터링 부품을 둘러싸고 하우징-대향면으로부터 밀봉되는 축방향 홈이 되도록 함으로써 해결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 덮개는 실제로 단일의 공정으로 제조되므로 비용이 많이드는 후속 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특히 수용홈은 간단히 제조될 수 있으므로 문제 발생없이도 센터링 부품의 외형에 임의의 형태와 윤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외형은 하우징 덮개의 제조 공정 중에 직접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홈 상부면은 평평하고 기공이 없으며 이로 인해 삽입된 밀봉링과 양호하게 밀봉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칩없는 제조 공정중에 생기는 공동 또는 이와 비슷한 결점은 생기지 않도록 한다. 또한 축방향 홈으로써 형성되는 수용홈은 하우징 덮개의 반경 방향 홈처럼 어려움이나 결점없이 성형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안내 하우징을 센터링 부품상에서 밀때 밀봉링은 손상되지 않는 점인데 이는 밀봉링이 하우징의 밀봉면과 덮개의 밀봉면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안내 하우징의 대향면은 하우징 덮개의 정지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2개의 면은 적당한 수단 예를 들면 스크류로 서로 마주보게 고정될 수 있으며, 길어진 구동 수명에 따라 덮개와 하우징 사이에 긴밀한 접촉이 있게 된다. 정지면과 대향면은 밀봉링과 함께 작용하는 하우징 측면과 덮개 측면상의 밀봉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모든 경우 전부 작동되는 하우징 덮개를 갖는 설비는 중량 절감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호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하우징 덮개는 다이 캐스팅(die casting) 또는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할 수 있도록 주조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강도와 작은 중량을 갖도록 덮개는 경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사출 성형 아연으로 제조된다. 또 다른 중량절감 방법은 합성수지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다. 덮개를 칩없이 제조할 때 직접 발생되는 링 형태의 수용 구명의 경계면은 또 다른 마무리 가공없이 밀봉링으로 밀봉 작용을 하는 밀봉면을 형성한다. 하우징 덮개의 정지면은 종축선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작동되는 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센터링 부품은 원통형 외부 윤곽을 갖고 정지면에 대해 하우징 덮개에서 중공 공간으로 축방향으로 돌출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 쪽으로 구비되어 있는 센터링 부품의 연결면은 정지면과 마주보는 축방향으로 개재되어 있다.
상기 대향면은 안내 하우징의 전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전측면으로부터 저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우징 측면에 축방형 홈을 밀봉하는 밀봉면을 보유하도록 비용이 많이 드는 제조 공정이 필요없게 된다. 상기 수용홈은 반경 방향으로 센터링 연장부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축 방향 홈의 반경 방향 내부 측면은 센터링 부품의 주위면의 축방향 연장부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를 보면 수용홈과 센터링 부품 사이에는 링 형상의 틈새가 있게 된다. 수용홈은 센터링 부품에 대해 동축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별한 장점은 센터링 부품이 타원형 또는 달걀형 외부 형상을 가질 때 실린더 부재로써 타원형 또는 달걀형 모서리면이 형성되는 점이다. 이러한 형상으로 적당히 성형된 피스톤을 수용하기 위한 중공 공간이 타원형 또는 달걀형 횡단면을 가지므로 부가의 보조 수단 없이도 소형의 구조물에서 회전안정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축방향으로 적당히 배치되어 있고 타원형 또는 달걀 형태의 링체를 구비하는 수용홈은 칩없는 형체 및 제조 과정시 정확하고 충실하게 형성될 수 있다. 원형의 외부 형태를 갖는 센터링 부품에서는 원형의 홈 형체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양호한 밀봉 특성은 밀봉링이 연한 탄성 재료로 만들어 질 때 나타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도면에 도시된 압력 매체 역할을 하는 공급장치는 안내 하우징(1)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은 그 내부에 중공 공간(2)를 구비하며, 이 중공 공간은 실제 실린더 운동 개구를 나타낸다. 상기 중공 공간(2)는 축방향(3)으로 뻗어 있으며, 전 길이를 통해 일정한 단면 형상과 표면을 갖고 있다. 이 중공 공간(2)는 또한 관통되어 있고 안내 하우징의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축방향 측면에서 개방되어 있다. 2개의 하우징 전측면은 하우징 덮개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어 있으며 단적으로 말해서 단지 하나의 하우징 덮개(4)만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 공간(2)에는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피스톤(5)가 있으며, 이 피스톤은 개략 도시한 밀봉부재(6)에 의해 중공 공간(2)의 내부 상부면(7)을 밀봉한다. 이에 따라 내부에서 2개의 작동공간(8,9)이 서로 분리되게 된다. 이 2개의 작동공간(8, 9)에서 연결 개구(10)가 개방되어 있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피스톤 이동을 야기하도록 이 연결 개구에 의해 압력 매체 특히 압축 공기가 공급되거나 배출 될 수 있다. 피스톤(5)의 한 측면에는 피스톤 로드(14)가 개재되어 있고 이 피스톤 로드는 축방향에서 하우징 덮개(4)와 동축으로 연장하고 덮개 개구(15)를 통해 외부 쪽으로 횡단한다. 외부 피스톤 로드 부분에는 임의의 힘 감소부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힘 감소부는 공급장치의 작용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위치한다. 하우징 덮개(4)의 덮개 개구(15) 영역에 안내 및 밀봉부재(16)가 유지되어 있으며, 이 밀봉부재는 피스톤 로드(14)를 둘러싸고 피스톤 로드를 변위 안내하며 동시에 하우징 덮개(4)와 피스톤 로드(14) 사이를 밀봉하게 된다.
실시예를 보면 봉잎 덮개로써 도시되지 않은 제2하우징 덮개는 덮개 구멍없이 형성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설치 개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안내 하우징(1)에 대해 밀봉 및 설치하는 방법은 하우징 덮개(4)에 의해 다음에 기술한 실시예와 일치한다. 상세히 도시하지 않은 실시예에서 관통하는 피스톤 로드가 구비되어 있고, 이 피스톤 로드는 덮개 개구의 구조에서 양 하우징 덮개를 관통하며, 여기에 이하 설명하는 2개의 하우징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덮개(4)는 안내 하우징(1)에 대해 분리된 부품으로 상기 하우징에 분리될 수 있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같은 고정은 적당한 장착 스크류(17)에 의해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 공간(2)로 향하는 측면에서 하우징 덮개(4)는 연장에 따라 형성되는 원통형 센터링 부품(18)을 구비하는데 이 센터링 부품은 중공 공간(2)에서 앞 측면으로 연장한다. 이 부품의 외형 즉, 센터링 부품(18)의 외부 주위(19)의 형상은 내부 상부면(7)의 형상에 적합하며 이들 두 형상은 서로 완전하게 형성된다. 이같은 방법으로 작은 활주 틈새를 갖는 플러그 연결부를 갖게 되며, 이 틈새는 상기 양 부품은 필요에 따라 조립 및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센터링 부품(18)에 의해 하우징 덮개(4)는 안내 하우징(1)에 대해 정확히 배치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덮개 개구(15)와 피스톤 로드(14) 사이에 정확하게 동축배향이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선회하지도 않고 마모되지도 않으며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덮개와 하우징의 설치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배향 없이도 가능하게 된다.
하우징 덮개(4)에는 축방향(3)에서 안내 하우징(1)쪽으로 놓여있는 또 다른 정지면(2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정지면은 축방향(3)을 가로지르는 가동되는 반경 방향 평면(21)에 배치되어 있다. 링평면은 축방향의 화살표(22)에 따라 센터링 부품(18)을 완전히 둘러싸며, 또한 축방항(3)에서 전측면과 마주하여 중공 공간(2)에 부가되어 있는 센터링 부품(18)의 단부(13)를 리세팅(resetting)시킨다. 링표면은 플랜지 형상의 정지 칼라(stop collar)(24)의 전측면(23)에 있으며 이 정지 칼라는 안내 하우징(1)의 전면(25)에 놓여 있다. 중공 공간(2)의 출구의 센터링 부품(18)에 정지 칼라(24)가 관측 방향(22)으로 연결되며 이 정지 칼라에 의해 그 외부에 원통형 고정 부품(29)이 있게 되며 이 고정 부품에서 안내 및 밀봉부재(16)가 덮개 개구(15)의 확대부에 고정되게 된다.
안내 하우징(1)의 전면(25)은 정지 평면(20)과 함께 만드는 대향면(30)을 형성하며, 이 양평면(20,30)은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외부 크기를 소형으로 하기 위해 정지 칼라(24)의 외형은 안내 하우징(1)의 외형과 일치하게 되며 이 외형은 실시예에서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된 직사각형 형태로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모서리 부분(32)에는 위에서 이미 선택된 장착 스크류(17)를 관통시키는 스크류 개구(33)를 구비할 만한 충분한 공간이 있게 된다. 상기 정지면(20)에는 수용홈(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은 관측 방향(22)에 있는 센터링 부품(18)을 둘러싸며 링에 따라 폐쇄된다. 상기 홈은 하우징 덮개(4)의 종측선과 동측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방향 홈 즉, 개방된 홈 측면은 축방향으로 안내 하우징(1)을 안내하며, 홈의 기부는 정지면과 축방향과 거리를 두고 놓여 있다. 상기 홈의 개구는 하우징-대항면(30)으로 덮혀 있다.
안내 하우징(1)과 하우징 덮개(4)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들에 의해 원통형이고 서로 동측배치되어 있는 홈측면(36, 36')과 링 형태의 홈의 기부면(37)을 수납하는 수용홈(34) 및 덮혀 있는 대향평면부(38)의 경계면으로부터 링공간이 형성되며 여기에 조립 전에 밀봉링(35)이 설치된다. 이 밀봉면은 한 부분이 조립전에 수용링(34)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며 정지면(20)과 대향면(30)의 수축시 압착되므로 이 밀봉링은 전술한 링공간의 4개의 모든 경계면에 밀봉 부착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외부 측면에 부가 작동 공간(9)이 압축되도록 폐쇄된다.
하우징 덮개(4)에는 칩(chip)없이 제조되는 성형 부품이 있게 되는데 이 부품은 센터링 부품(18)과 일체로 형성되며 정지 칼라(24)와 고정 부품(29)을 둘러싼다. 수용홈(34)는 하우징 덮개(14)를 칩없이 제조할 때 집적 성형되므로 추가되는 특히 칩없이 제조되는 과정이 필요없게 된다. 이같이 홈측상에 있는 경계면 즉, 측면(36,36') 및 홈기부면(37)은 기공이 없고 매끈하며 가압된 밀봉링부재에 대해 밀봉 접촉하게 된다. 대향평면(30)에서 편평한 평면이 바람직한데 대향평면(38)는 동일한 높이의 밀봉면을 형성하며, 이 밀봉면은 접촉 압력을 밀봉링(35) 위로 전달하게 된다. 밀봉링 재료로는 가요성 탄성 재료가 제공되는데 이 재료는 링공간의 주형에 가압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공간은 상기 밀봉 재료로 완전히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링(35)은 상기 덮개(4)와 안내 하우징(1) 사이의 모든 클램프력을 받아 들이지 않으므로 상기 대향면(30)과 정지면(20) 간의 고정 접촉에 의해 밀봉성은 그 수명이 길어지게 된다.
실시예를 보면 하우징 덮개는 주조 부품뿐만 아니라 경금속, 특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된 사출 성형 부품으로 만들어진다. 양호한 실시예를 보면 다이캐스팅된 아연으로 만들어진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 덮개는 사출 성형으로 형성되며 이는 합성수지 재료를 이용할 때 장점을 갖는다. 이와 다른 실시예를 보면 축방향에 있는 대향면은 안내 하우징의 전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또한 정지 및 대향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별한 장점은 실시예에서와 같이 센터링 부품(18)은 타원형 및 달걀형 외부 형상을 가지며, 타원형 또는 달걀형 기부면을 갖는 원통형 연장부도 바람직하다. 보조 피스톤 주형에 의해 부가 부품없이 비틀림 방지를 해야 되는 경우에 이러한 형상은 적당한 윤곽의 중공 공간에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홈(34)은 센터링 부품(18) 주위에 밀봉체가 구비될 수 있도록 적당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칩없는 제조의 결과로 수용홈(34)은 정밀하게 제조되지 않고도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 즉, 센터링 부품의 단면이 원형과 다른 경우 칩없는 제조가 바람직하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센터링 부품(18)과 정지 칼라(24)사이의 전이 구역에 있는 수용홈(34)은 센터링 부품의 외부 주위면에 직접 부착되어 있다. 이같이 외부 주위면(19)의 축방향 연장부를 정지 칼라(24)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용홈(34)의 반경 방향 내부 측면(36')은 센터링 부품의 주위면의 일부분으로 형성된다. 이로인해 특히 밀봉링의 삽입은 용이하게 되었으며, 밀봉링은 단지 센터링 부품(18)에 의해서만 슬립(slip)되며 밀봉링은 센터링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홈(34)에 배치된다. 이와 달리 제4도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용홈(34)과 주위면(19) 내지 센터링 부품(18) 사이에 링형태의 틈새(39)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 수용홈(34)은 정지면(20)의 한 부분의 반경 방향 외부 및 내부측과 인접하게 된다. 제4도에 따른 실시예를 보면 센터링 부품(18)은 원형의 외부 형상과 원형의 원통형 구조를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수용홈(34)은 적당한 원형의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수용홈(34)의 링형체는 센터링 부품(18)의 외부 형상을 갖는 형체와 일치할 필요가 없다. 피스톤 로드(14)는 센터링 부품(18)을 동축으로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Claims (21)

  1. 중공의 안내 하우징을 구비하며, 이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전측면에서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덮개로 폐쇄되어 있으며 그 안의 원통형 중공 공간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이 배치되어 있고 이 중공 공간은 덮개 개구의 영역에서 하우징 덮개와 함께 밀봉체 밑으로 관통하고 그 외부에 힘 수용부와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 로드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 덮개는 하우징 측벽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길다란 센터링 부품을 구비하며 이 센터링 부품은 그 일부분을 그 측면에서 적어도 완전한 형상을 갖는 하우징 중공 공간에 배치하며 하우징 덮개의 링형 그루우브에 보유되어 있고 이 덮개와 안내 하우징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링을 구비한 압력 매체로 작동하는 활대 형태의 공급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덮개(4)는 칩없이 만들어지는 성형 부품이며, 밀봉링을 수용하는 그루우브는 칩없는 제조시 직접 만들어지며 상기 하우징 덮개(4)에는 성형된 수용홈(34)이 형성되며, 이 하우징 덮개(4)에는 안내 하우징(1)을 축방향(3)으로 안내하고 축방향(3)에 위치하는 센터링 부품(18)을 둘러싸는 정지면(2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정지면에 안내 하우징(1)의 대향면(30)이 있으며, 상기 수용홈(34)은 정지면(20)에 형성되어 있고 센터링 부품(18)을 둘러싸고 하우징-대향면(30)으로부터 밀봉되는 축방향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대 형태의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덮개(4)는 주조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대 형태의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덮개(4)는 다이캐스팅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대 형태의 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덮개(4)는 사출 성형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대 형태의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덮개(4)는 경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대 형태의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덮개(4)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대 형태의 공급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덮개(4)는 다이캐스팅된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대 형태의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덮개(4)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대 형태의 공급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덮개를 칩없이 제조할 때 직접 발생되는 링 형태의 수용 구멍의 경계면(36,36',37)은 또 다른 마무리 가공없이 밀봉링(35)으로 밀봉 작용을 하는 밀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대 형태의 공급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하우징 덮개의 정지면(20)은 종축선(3)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작동되는 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대 형태의 공급장치.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부품(18)은 원통형 외부 윤곽을 갖고 정지면(20)에 대해 하우징 덮개에서 중공 공간(2)으로 축방향(3)으로 돌출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대 형태의 공급장치.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하우징의 전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대향면(30)은 전 측면으로부터 저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대 형태의 공급장치.
  13.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 측면에 있는 대향면(30)은 밀봉링(35)으로 밀봉작용을 하는 밀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대 형태의 공급장치.
  14. 제1항 내지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34)은 반경 방향으로 센터링 부품(18)에 직접 연결되며 축방향 홈의 반경 방향 내부 측면(36')은 센터링 부품(18)의 외부 주위면의 축방향 연장부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대 형태의 공급장치.
  15.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34)과 센터링 부품(18) 사이에는 축방향으로 배치된 링 형상의 틈새(39)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대 형태의 공급장치.
  16.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34)은 센터링 부품(18)에 대해 동축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대 형태의 공급장치.
  17.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부품(18)이 타원형 또는 달걀형 외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용홈(34)은 상기 센터링 부품(18)을 둘러싸는 타원형의 링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대 형태의 공급장치.
  18.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부품(18)은 달걀형의 외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용홈(34)은 상기 센터링 부품(18)을 둘러싸는 타원형의 링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대 형태의 공급장치.
  1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부품(18)의 외부 형상/및 또는 상기 수용홈(34)의 링체는 원형과 다른 구조를 갖는 특징으로 하는 활대 형태의 공급장치.
  2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부품(18)은 원형의 외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용홈(34)은 원형링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대 형태의 공급장치.
  2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링(35)은 탄성 재료 특히 탄성 밀봉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대 형태의 공급장치.
KR1019890002931A 1988-03-10 1989-03-10 압력 매체로 작동하는 활대형의 공급장치 KR920008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807889A DE3807889A1 (de) 1988-03-10 1988-03-10 Druckmittelbetaetigbare schlittenartige vorschubeinrichtung
DEP3807889.9. 1988-03-10
DEP3807889 1988-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928A KR890014928A (ko) 1989-10-25
KR920008810B1 true KR920008810B1 (ko) 1992-10-09

Family

ID=634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2931A KR920008810B1 (ko) 1988-03-10 1989-03-10 압력 매체로 작동하는 활대형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920008810B1 (ko)
CH (1) CH678446A5 (ko)
DE (1) DE38078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39667C2 (de) * 1994-11-07 1998-07-02 Festo Ag & Co Arbeitszylinder
DE19906698B4 (de) * 1999-02-18 2007-05-03 Schuler Smg Gmbh & Co. Kg Kolben-Zylinder-Vorrichtung
CN101755132B (zh) 2007-07-19 2013-05-22 费斯托股份有限两合公司 流体操纵的线性驱动装置
DE102007045849A1 (de) * 2007-09-26 2009-04-02 Bpw Bergische Achsen Kg Betätigungselement für Achslifte und Nachrüstsatz für Achsliftbetätigungselemente
DE102012208475A1 (de) * 2012-05-21 2013-11-21 Schunk Gmbh & Co. Kg Spann- Und Greiftechnik Handhabungseinheit zum Umpositionieren von Teilen
JP6159938B2 (ja) 2014-04-14 2017-07-12 Smc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3256A (en) * 1958-07-15 1961-05-09 Taylor Winfield Corp Multiple piston elliptical fluid cylinder
DE6913740U (de) * 1969-04-05 1977-04-14 Christian Buerkert Arbeitszyl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H678446A5 (ko) 1991-09-13
DE3807889A1 (de) 1989-09-21
KR890014928A (ko) 198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48594A (ja) 内燃機関用の蓋
KR920008810B1 (ko) 압력 매체로 작동하는 활대형의 공급장치
HU9500028D0 (en) Apparatus for emtying of container-with
EP0479808A1 (en) DEVICE FOR SEALING AND DAMPING A PISTON.
GB2241762A (en) Hydraulic clutch actuator
ITMI950714A1 (it) Piattello valvolare per una valvola termostatica
JPS5814948B2 (ja) 往復に運動する機械部材のシ−ル装置
CA2366696A1 (en) Externally mountable spiral bushing
BR102014009328A2 (pt) compressor
EP0427461A1 (en) Tubular member for sealing a reciprocating rod
US5730200A (en) Device and method for gripping a casting core in particular a sole core
CA1312433C (en) Closing mechanism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US6758127B2 (en) Pressurized medium activated working cylinder
US4898082A (en) Molded plastic air cylinder
US6811156B2 (en) Seal for hydraulically sealing a piston rod
KR850001974A (ko) 왕복 피스톤 모우터
CN213397635U (zh) 一种排气阀装置
KR920011616A (ko) 생사형 주형 설비 사용상의 압축공기 취입장치
JPS59158374A (ja) デイ−ゼル機関の各シリンダ用燃料噴射装置
CN1056734A (zh) 往复式压缩机的汽缸盖垫片
US5676104A (en) Stepped piston for a motor, pump or compressor
JPH06280826A (ja) 単動式流体圧シリンダー装置
KR100378819B1 (ko) 압축기용 흡입밸브의 고정장치
CN219733787U (zh) 油缸及作业机械
SU48961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ыпрессовки детал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