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070Y1 - 와이어 풀기기구 - Google Patents

와이어 풀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070Y1
KR920008070Y1 KR2019900016168U KR900016168U KR920008070Y1 KR 920008070 Y1 KR920008070 Y1 KR 920008070Y1 KR 2019900016168 U KR2019900016168 U KR 2019900016168U KR 900016168 U KR900016168 U KR 900016168U KR 920008070 Y1 KR920008070 Y1 KR 920008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ylindrical member
loosening
fixing
sp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61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680U (ko
Inventor
권형일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20199000161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070Y1/ko
Publication of KR9200076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6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0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와이어 풀기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가-가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와이어 풀기 기구에 고정철가 및 풀림제동 장치를 장착한 상태의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윈통부재 2 : 중심축
2A : 상부공간부 2B : 하부공간부
4A : 와이어 유입부 4B : 와이어 유출부
5 : 고정철가 6 : 풀림제동장치
6A : 지지대 6B : 조절보울트
6E : 고정링 6F : 조절링
7 : 고정보을트
본 고안은 와이어(Wire) 풀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구의 회전운동없이와이어를 용이하게 풀수있도록 구성한 와이어 풀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로된 점퍼(Jumper)선은 통신시설의 발달로 인하여 전화국(시험실, 반송실, 기계실, 분기국사), 통신업체, M.D.F가 설치되어 있는 고층아파트 등 그 사용량이 증가되고 있다.
점퍼선은 약300m 길이를 갖고 타레에 감겨진 상태로 출고되나, 점퍼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와이어 풀기기구에 재차 옮겨 감아야 한다. 풀기기구에 긴 길이의 와이어(점퍼선)를 옮겨감는데는 장시간의 작업시간 낭비 및 인력소모가 뒤따르며, 또한 기존의 와이어 풀기기구로 구조의 특성상 원활한 와이어의 풀기동작에 제약이 뒤따른다.
즉, 현재 사용중인 일반적인 와이어 풀기기구는 양축단과 지지판간에 베아링이 삽설되어 있는 구조로서, 회전부분이 있어 점퍼선이 되감길 경우가 많고 되감기지 않도록 서서히 점퍼선을 당기므로 풀리는 속도가 느리게된다.
또한 양축단에 삽설된 베아링등에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가 없으며 먼거리에서 와이어를 잡고 당길 경우 와이어의 감김상태 및 회전부분의 회전상태 불량으로 과도하게 잡아다니게 되어 와이어에 손상이 간다.
또한 동일방향 작업시 2선의 와이어를 동시에 끌고갈 경우에는 각 풀기기구의 회전상태 불균형으로 인하여 와이어가 감길 경우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여러가지의 사용상 단점을 갖는 와이어 풀기기구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출고시 타레에 감겨진 상태의 와이어를 곧바로 장착할 수 있으며, 원활한 풀림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와이어 풀기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풀기기구는 상부개방형 원통부재(1)와, 상기 원통부재(1) 내부저면 중심부에 고착되는 상기 원통부재(1)보다 작은 직경 및 긴길이로 구성된 원통형 중심축(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축(2)중심부에는 양부재(1, 2) 전높이에 걸쳐 일정직경의 상부공간부(2A) 및 보다 작은 직경의 하부공간부(2B)를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상부공간부(2A) 상단은 와이어 유입구(4A)로, 하부공간부(2B) 하단은와이어 유출구(4B)로 각각 이용하고, 상기 원통부재(1) 내주면과 상기 중심축(2) 외주면간의 공간에는 와이어가 감긴 타레를 수용하는 와이어 수용부(lA)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가-가"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일정높이의 상부개방형 원통부재(1)와, 원통부재(1)보다 높게 구성되어 원통부재(1) 내부 저면에 일체화뒨 원통형 중심축(2)으로 이루어진다.
중심축(2)의 상부일부는 동일직경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로 갈수록 그직경이 증가된다. 또한 중심축(2) 중심부에는 부재 전높이에 걸쳐 공간부(2B)가 구성되며, 공간부(2B) 상부 (중심축(2)의 동일직경 대응부)는 보다넓은 직경의 공간부(2A)가 구성된다(이하 편의상 상부공간부(2A), 하부공간부(2B)로 칭한다). 중심축(2) 내부면의 각공간부(2A, 2B)와 연접된 전모서리부(A, B, C)는 와이어 손상방지 및 원활한 유입과 유출을 위하여 굴곡(Rounding) 처리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와이어가 감긴 타레(타레의 중앙부는 공간으로 구성됨)를 수용할 경우, 타레의 중앙공간부에는 중심축(2)이 삽설되며, 타레에 감긴 와이어는 중심축(2) 연변과 원통부재(1) 내부면이 구성하는 와이어수용부(1A)에 수용된다.
본 고안에 수용되어 풀려지는 와이어의 상태를 설명하면, 제1도에 도시된 실선 L은 타레에 감겨진 상태로 와이어 수용부(1A)에 수용된 와이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편의상 타레 및 감겨진 와이어의 외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타레에 감겨진 와이어 내측부분)만 도시하였다.
와이어는 타레에 감긴부분중 속부분의 단부가 중심축(2) 상단의 와이어 유입구(4A) 및 중심축(2)내의 각공간부(2A 및 2B)를 통하여 원통부재(1) 하단의 와이어 유출구(4B)로 인출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입구(4A) 대응부와 타레에서 풀리기 직전 위치사이의 와이어는 그 특성상 중심축(2) 연변을 따라 나선형의 감김상태를 유지한다. 이와같은 상태로 유츨구(4B)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와이어를 사용자가 잡아당기게 되면, 와이어는 유출구(4B)를 통하여 인출되며, 타레에 감겨진 와이어는 계속적으로 풀려지게 된다. 이와같이 와이어가 유출구(4B)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동안 타레에서 계속적으로 풀려지는 와이어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나선형태로 중심축(2) 연변을 따라 유입구(4A)로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타레에 감겨진 위치에서 수직상승하게 된다.
즉, 와이어 유입구(4A)에 대응하는 와이어는 하부로 당겨짐에 따라 유입구(4A) 원주를 따라 회전을 하면서 유입되며, 중심축(2) 연변에 위치한 와이어는 유입구(4A)쪽으로 수직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타레어서 풀려지는 와이어는 제1도에 도시된 나선형태를 유지하면서 중심축(2) 연변을 따라 회전하게된다(나선상태의 회전).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인출되는 와이어가 와이어 유입구(4A)상단 원주면을 회전을 하면서 이송되므로 전술한 바와같이 유입구(4A)단부의 내, 외주면(4A)을 굴곡처리하는 것이 와이어의 손상방지에 효과적이며, 또한 360°전방향으로의 와이어 인출이 가능한 인출구(4B)단부의 내주면(C) 역시 인출되는 와이어의 손상방지를 위하여 굴곡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와이어 간추림 기능을 설명하면, 와이어의 특성상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입구(4A)로 유입되기 직전의 와이어와 중심축(2) 상부면과는 항상 소정의 간격 W(약 7㎝)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또한 와이어가 중앙축 연변에 나선형태로 감겨져 있어 타레에서 심하게 엉킨 와이어는 중심축 연변을 따라 계속적으로 이송될 수가 없다.
따라서, 엉켜진 상태로 어느정도 상향이송된 와이어는 와이어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와이어 수용부(1A)로 자연 낙하되어 엉켜진 부분이 간추려지게 되며, 또한 하부공간부(2B)의 직경을 약3㎝정도로 형성하여 이송된 와이어가 헝클어지거나 꼬였을 경우 하부공간부(2B)를 통과할 수 없도록 구성하였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풀림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고정철가 및 풀림 제어장치를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통부재(1) 양측면부와 저부에 다수의 너트(1B 및 1C)를 삽설시킨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와이어 풀림제어장치 및 천정부착용 고정철가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편의상 타레에 감긴 와이어는 도시하지 않았음).
상술한 바와같은 와이어 풀기기구를 필요에 따라 지면에서 3M 이상되는 곳에 설치, 사용할시에는 이미 풀려버린 와이어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와이어가 타레에서 자연적으로 풀려지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순간적으로 와이어를 탁탁 당길경우 와이어의 헝클어짐은 발생하지 않으나 와이어가 과도하게 풀리는 경우가 있어 불필요한 와이어 풀림을 제어하는 장치가 요구된다.
자형 부재를형태로 절곡시킨 천장부착용 고정철가(5)는 폭이 풀기기구의 원통부재(1)의 외경과 동일하며, 높이는 풀기기구 전높이 보다 높게 구성한다.
고정철가(5)의 상부부재에는 고정용 홀(5A)을 다수개 구성하며, 양측면부재의 원통부재(1) 대응부에도 고정용홀(5B)를 다수개 구성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풀기기구의 원통부재(1)의 양측면부에는 전술한 고정용철가(5)의 고정용홀(5B)과 연통하는 다수개의 너트(1B)를 각각 삽입관통시킴으로서, 고정철가(5)는 각고정용홀(5B)을 관통한 보울트가 각삽입너트(1B)에 체결됨으로서 풀기기구와 일체화되며, 이상태에서 고정철가(5) 상부재의 고정용홀(5A)을 통하여 천장이나 벽면등에 풀기기구를 고착할 수 있다.
한편, 와이어 풀림제어 장치(6)는 풀림기구의 원통부재(1) 저면에 고착되는 것으로서, 일측으로 90°절곡된지지대(6A)를 보울트(7)를 이용하여 원통부재(1) 저면에 구성된 다수의 삽입너트(제2도의 1C)에 체결함으로서 일체화된다. 지지대(6A)의 선단에는 고정링(6E)이 고착되며, 중단에는 조절너트(6C)를 장착하여 이와 연통하는 조절보울트(6B)를 삽설시킨다. 조절보울트(6B)의 고정링(6E)과의 대웅단부에는 고정링(6E)과 동일한 구조의 조절링(6F)를 고착시키며 또다른 단부에는 조절보울트(6B)를 회전시켜 조절링(6F)을 좌우이송(도면기준)할 수 있는 핸들(6D)를 구성한다.
이때 초기의 고정링(6E)은 원통부재(1) 저면의 와이어 유출구(4B)와 일직선으로 대응된다.
와이어 풀림제어장치(6)의 기능을 설명하면, 와이어 풀기기구에 풀럼제어장치(6)을 고착시킨후, 와이어를 계속적으로 자연스럽게 풀리게 하고 싶을 경우 핸들(6D)을 통하여 조절링(6F)의 위치를 와이어 유출구(4B) 및 고정링(6E)과 일직선으로 위치하도록 조절하여 와이어를 조절링(6F)과 고정링(6E)을 관통시켜 인출시킨다. 따라서, 유출구(4B), 조절링(6F), 고정링(6E)이 일직선으로 배열됨으로서 와이어는 자연스럽게 유출된다.
반면, 필요에 의해서 와이어를 사용자가 당기는 정도에 따라 빡빡하게 풀리게 하고자 할때는 핸들(6D)를 돌려 조절링(6F)을 우측(제3도 기준)으로 이동시킨후 와이어를 유출구(4B), 조절링(6F), 고정링(6E)을 관통시켜 인출하면, 와이어는 조절링(6F)과의 마찰로 인하여 사용자가 와이어를 당기는 힘에 비례하여 적절히 인출되며, 이미 풀려진 와이어의 무게에 의한 자연적인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베아링과 같은 회전부분이 없이 와이어의 성질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타레에감긴 와이어를 풀어 사용할 수 있어 와이어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정용 철가 및 와이어 풀림제동장치를 고착하여 사용함으로서 어느곳에서도 사용이 가능할뿐 아니라 불필요한 와이어의 풀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상부개방형 원통부재(1)와, 상기 원통부재(1) 내부저면 중심부에 고착되는 상기 원통부재(1)보다 작은직경 및 긴길이로 구성된 원통형 중심축(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축(2) 중심부에는 양부재(1, 2) 진높이에걸쳐 일정직경의 상부공간부(2A) 및 보다 작은 직경의 하부공간부(2B)를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상부공간부(2A) 상단은 와이어 유입구(4A)로, 하부공간부(2B) 하단은 와이어 유출구(4B)로 각각 이용하고, 상기 원통부재(1) 내주면과 상기 중심축(2) 외주면간의 공간에는 와이어가 감긴 타레를 수용하는 와이어 수용부(lA)로구성한 와이어 플기기구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재(1)의 양측면부에는 고정용 철가(5)를 착탈시키는 다수의 너트(lB)를, 저면부에는 와이어 풀림제어장치(6)을 착탈시키는 다수의 너트(1C)를 각각 삽입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풀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철가(5)는자형 부재를형태로 절곡시켜, 상부부재에는 고정용흘(5A)을, 양측면부재에는 상기 원통부재(1) 측면부에 삽입한 각너트(1B)와 연통되는 고정용홀(5B)을 각각구성하여 고정보울트(7)를 이용하여 상기 원통부재(1)에 일체화시켜 가설장소에 착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풀기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풀림재어장치(6)는 일축으로 90°절곡된 지지대(6A)를 보울트(7)를 이용하여 상기 원통부재(1) 저면에 삽설된 너트(1C)에 고정시키며, 상기 지지대(6A) 단부에는 고정링(6E)을 상기원통부재(1) 저면의 와이어 유출구(4B)와 일직선으로 대응되게 고착하고, 중앙부에는 조절너트(6C)를 장착하여 단부에 조절링(6F)이 고착된 조절보울트(6B)를 관통시켜 핸들(6D)을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 유출구(4B)와 상기 고정링(6E)간에 위치하는 상기 조절링(6F)의 위치를 조절시켜 와이어의 풀림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풀기기구.
KR2019900016168U 1990-10-24 1990-10-24 와이어 풀기기구 KR920008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6168U KR920008070Y1 (ko) 1990-10-24 1990-10-24 와이어 풀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6168U KR920008070Y1 (ko) 1990-10-24 1990-10-24 와이어 풀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680U KR920007680U (ko) 1992-05-19
KR920008070Y1 true KR920008070Y1 (ko) 1992-11-06

Family

ID=19304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6168U KR920008070Y1 (ko) 1990-10-24 1990-10-24 와이어 풀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0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680U (ko) 199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9893B1 (en) Retractable fiber slack storage device
EP1024720B1 (en) Retraction reel for keys and the like
US10343871B2 (en) Cable blowing apparatus and method
US5775621A (en) Combination reel caddy and stand for cable spools
JP2000502981A (ja) 改良コードリールアセンブリ
US4534522A (en) Spool retaining device
KR19980079636A (ko) 케이블행거용 나선형지지구의 시공방법과 시공용구
CA2016877C (en) Flexible member reeling device
KR920008070Y1 (ko) 와이어 풀기기구
EP1165423A1 (en) Box-like dispenser with a supporting device for a reel with a wound-on electrical cord or similar rope-like element, which can be unreeled from the dispenser
US20100122834A1 (en) Wire organization structure
KR200458496Y1 (ko) 빨랫줄 인출장치
US20020117574A1 (en) Wire spool stay
WO2016018177A1 (ru) Навивочная машина для навивки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KR101337009B1 (ko)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US4856070A (en) Retractable 2 way microphone
GB2337508A (en) Rotatable cable coiler
JPS6250804B2 (ko)
CN215518037U (zh) 一种具有锁紧机构的伸缩衣架
SE465239B (sv) Vinda
WO2001024334A1 (en) Cable laying device
GB2352953A (en) Angling pole bung
JP2628238B2 (ja) 管巻回物の繰出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管巻回物の繰出装置
JPS5898714A (ja) 光フアイバコネクタベ−ス
KR200193119Y1 (ko) 케이블 가설용 케이블 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3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