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563B1 - 탐폰 - Google Patents

탐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563B1
KR920007563B1 KR1019900700934A KR900700934A KR920007563B1 KR 920007563 B1 KR920007563 B1 KR 920007563B1 KR 1019900700934 A KR1019900700934 A KR 1019900700934A KR 900700934 A KR900700934 A KR 900700934A KR 920007563 B1 KR920007563 B1 KR 920007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mpon
string
blood
shape
st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0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1236A (ko
Inventor
카쯔오 시마타니
Original Assignee
시마타미 스미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타미 스미에 filed Critical 시마타미 스미에
Publication of KR900701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1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5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34Means for withdrawing tampons, e.g. withdrawal 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51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structure of the inner absorbing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51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structure of the inner absorbing core
    • A61F13/2062Tampons made from folded lengths of material, e.g. of st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02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use
    • A61F13/202Catamenial tamp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탐 폰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제1도는 탐폰 소재를 형성하는 끈형상의 설명도.
제2도는 탐폰 소재의 평면도.
제3도는 탐폰 소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원통체의 사시도.
제4도는 원통체에 주름을 형성한 상태의 단면도.
제5도는 완성된 탐폰의 외관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제10도 및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12도 및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흐르는 피의 흡수 능력이 높고, 피를 새나가지 않도록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 후 인출이 용이한 탐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생리용 등에 사용되는 탐폰에는 구조상 여러가지가 있으나, 대별하면 다음 두가지의 것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중 하나는, 탈지면, 흡수지 등의 흡수체를 폭이 넓은 혁대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것을 풀리지 않도록 단단히 소용돌이 형상으로 돌려감은 후, 외주방향으로부터 압력을 가하여 탄환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며, 다른 또 하나는 확대 형상의 흡수체를 그대로의 형체로,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부터 압축하여 스택(stack)형체로 형성한 것이다.
그리하여, 이들 종래의 탐폰은 상기와 같이 압축 형성되는 동시에, 부수적으로 각종 구조가 채용됨으로써, 질안으로의 삽입이 편하게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으나,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점에서 문제가 있다.
즉, 먼저 전자에 있어서는, 질안에서 피를 흡수하여 부풀어 오르지만, 그의 부풀어 오르는 방향이 지름 방향이기 때문에, 질벽을 따라 흐르는 피를 잘 흡수할 망정, 사용후에는 이와 같이 부풀어 올라 지름이 크게된 탐폰 본체를 그대로의 형상을 보유한 형태로 체외로 빼내야만 한다는 점에서, 인출이 용이하지 않고, 인출시에 수축되기 어렵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인출끈이 인출 도중에 끊어져서, 의사의 손을 빌려야 하는 일도 가끔있다.
한편, 후자에 있어서는, 피를 흡수해서 주로 상하방향으로 부풀어 오르게하기 위하여, 전자에 비하여 인출이 용이한 반면, 사용중에는 질벽과의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되어, 피를 충분히 흡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피를 그의 량의 다과에 불문하고,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는 동시에, 그의 인출이 용이한 탐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탐폰을 형성하는 탐폰소재를, 단순한 대형상의 평면체로서가 아니라, 탈지면 등의 흡수성이 뛰어난 피흡수재로 이루어지는 끈형상체를 엮어 형성하고, 이를 사용하여 형성된 탐폰 본체에 외압을 가하여 압축한 탄환형상으로 압축 형성하고 있으므로, 표면적이 크고, 엮은 코에 의거한 틈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할 때에 피를 효율적으로 잘 흡수할 수 있으며, 또한, 탐폰 소재를 형성하는 끈형상체는 피를 흡수하여 그의 한개 한개가 독립하여 급속히 부풀어 오르므로, 거의 압축전의 상태로 복원되어 질벽을 따라 흐르는 피를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출시에는, 질입구의 내벽에 의하여 탐폰소재의 엮어진 코가 눌려 축소화되므로, 표면적이 작아져서 그의 인출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질경이 작은 사용자에게도, 흡수체의 체적이 큰 것, 예컨대 종래 품과 비교해서 2배 이상의 체적, 즉 흡수량이 2배 이상으로 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유동하는 피를 실제로는 2배 이상의 효과를 가지고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시한 실시예에 기인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 관한 탐폰을 구성하는 탐폰소재 1(제2도참조)은, 제1도에 보여주는 끈형상체(2)를 짜넣음으로써 형성되고 있다. 이 끈형상체(2)는, 1개 또는 여러개의 섬유사(3)에, 탈지면 또는 화학섬유 등으로서 흡수성이 뛰어나고, 또한 탐폰의 구성부재로서 사용 가능한 소재에 의하여 형성된 단섬유(4)를 꼬아서, 예컨대 5-8㎜ 정도의 굵기로 형성되고 있다.
탐폰소재(1)는 상기 끈형상체(2)를 완만하게 짠 탐폰의 S.M.L.의 각 사이즈에 맞추어 일정한 표면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끈형상체(2)의 짜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지만, 짜는 방식이 어떻든 간에, 짜는코(5)가 이그러지지 않을 정도로 완만하게 짜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소위 메리야스 짜는 방식으로 짜여지고 있다.
도면 중 부호(6)은 탐폰소재(1)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끈형상체(2)의 일부를 끄집어 내어 형성한 인출끈이다(제3도, 제5도참조).
상기 탐폰소재(1)는, 그의 양측끝단부를 맞대게 하고, 이 끝단부를 꿰매 맞춰지게 함으로써 제3도에서와 같은 원통체(7)에 형성한 탐폰본체 t를 조성한다. 이 원통체(7)는 상단부를 꿰메 맞추어서 포대 형상으로 되게 해도 좋다. 또한 이와 같은 원통체(7)는 끈형상체(2)에 의하여 직접 통형으로 짜서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해서 형성된 원통체(7)는, 상단부(7a)로부터 하반부(7b)에 이르는 전체를 제4도에서와 같이 끝단면이 별형상, 즉 외주면에 세로 방향으로 주름이 잡히도록 해서 일차 압축한 후, 상하방향 및 지름 방향으로부터 압축해서 제5도에서와 같이 탄환 형상의 탐폰 T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종래제품과 같이 손가락으로 혹은 아프리케이터(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해서 질내에 삽입한 상기 탐폰 T는, 탐폰소재(1)가 피흡수재를 소재로 하는 끈형상체(2)를 엮어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표면적이 가급적 크게되는 동시에 편물코로 이루어지는 틈을 망이 가지고 있게 되어, 흐르는 피가 효율적으로 잘 그리고 급속히 흡수된다.
흐르는 피를 흡수한 탐폰 T는 부풀어 올라서 지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확장되고, 제3도에서 제시하는 원통체(7)의 상태로 신속히 복원한다. 이때 탐폰소재(1)가 연속한 평면체가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이 흡수성이 뛰어난 소재로 이루어지는 끈형상체(2)를 짜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끈형상체(2)의 하나 하나가 독립해서 복원하려고 하는 복원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복원시에는 압축전의 제3도에 거의 가까운 상태로 복원하게 된다.
사용후, 인출끈(6)을 잡아당기면, 질의 입구 근방은, 탐폰 T가 삽입되어 있는 질내 깊숙한 곳과는 달리 영역이 좁혀지고 있지만, 상기와 같이 복원한 탐폰 T는 원통체(7)를 형성하고, 그의 중심부에 통형상의 공간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편물코(5)의 틈사이도 가지고 있으므로, 이 탐폰 T는 좁혀진 입구근방의 내벽에 압압되어서 해당 부분이 축소화해서, 최외로 용이하게 인출하게 된다.
이를 끌어낼 때에, 탐폰 T의 질내에 있는 부분은, 끈형상체(2)로 짜여진 굵은 망형상의 바깥 표면이 질 내벽과 맞닿고 있으며, 종래와 같이 단순한 평탄면이 맞닿고 있는 것이 아니므로, 질내의 오물을 닦아 내서 체외로 인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인출끈(6)이 탐폰소재(1)가 엮어진 끈형상체(2)와 연계 되어 있으므로, 그의 잡아당기는 힘은 인출끈(6)을 통하여 탐폰소재(1)의 전체에 부과하게 되어, 인출끈(6) 자체가 중도에서 끊어져 버리는 일도 없다.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 실시예로서는 제4도에서와 같이 종방향으로 주름이 잡히도록 1차 압축 형성된 탐폰 본체 T의 원통체(7)를 비틀은 상태로 돌려감은 것(17)으로서, 이것에 최종 압축을 부가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후에 인출끈을 잡아당기면, 이 비틀린 탐폰본체 t가 제6도에서와 같이 서서히 세워진 상태로 복원하므로 그의 인출이 가일층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탐폰소재(1)를 형성함에 있어서, 끈형상체(22)를 탐폰의 인출방향으로 펼쳐나가도록 하는 편물 방식으로 짜서, 부드러운 볼 형상으로 탐폰 본체 t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질내에서 흐르는 피를 흡수한 탐폰본체 t는 제8도에서와 같은 형태로 복원하고, 인출시에 인출끈(26)을 잡아당기면 제9도에서와 같은 가느다란 형태의 본체(27)로 변형해서 용이하게 인출되게 된다.
제10도 및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제3도에서와 같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탐폰본체 t를, 그의 길이 방향이 거의 중간위치에서, 인출끈(6)을 갖는 하반부(7b)가 상반부(7a)의 안쪽에 오도록하여 서서히 윗쪽으로 향하여 2중 원통형상으로 짜넣음으로써 하단부(8b)가 상단부(8b)와 거의 가지런히 되게 해서, 제10도에서와 같은 절발길이로 지름방향으로 약간 부풀어 올른 2중 구조의 원통체(8)를 형성한다.
사용후의 인출시에 인출끈(6)을 잡아당기면, 제11도에서와 같이 2중 통의 안쪽의 상단(8b)로부터 순차로 아래쪽으로 이행하여 제3도와 같은 원통 형상으로 탐폰 본체 t를, 그의 길이방향 거의 중가위치에서, 인출끈(6)을 갖는 하반부(7b)의 안쪽으로 오도록하여 서서히 윗쪽으로 향하여 2중 원통 형상으로 조립해 넣음으로써 하단부(8b)가 상단부(8a)와 거의 가지런히 되게해서 제10도에서와 같은 절반의 길이로 지름방향으로 약간 부풀어 올른 2중 구조의 원통형상체(8)를 형상한다.
사용후의 인출시에 인출끈(6)을 잡아당기면, 제11도에서와 같이 2중 통의 안쪽의 상단부(8b)로부터 순차 아래쪽으로 이행해서 제3도에서와 같이 1종의 원통형상으로 된다.
제12도 및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상기의 2중 통을 형성하기 위하여 접어 넣을 때에, 상기 제4실시예의 경우와는 역으로 제3도에 있어서의 원통체(7)의 상반부(7a)를 하반부(7b)에 대하여 위로부터 덮어 씌우도록 해서 2중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절반 길이로 형성된 원통형상체(8)를 얻는다. 이때, 인출끈(6)은 제4실시예와는 상이하여 하단에 위치하게 되어, 인출시에 인출끈(6)을 잡아당기면, 제13도와 같이 안쪽부분(7b)으로부터 순차로 1중 원통의 상태로 된다.
이들 통형상체(8)에, 그대로 지름방향으로 부터의 외압 혹은 경우에 따라서는 상하방향으로 부터의 외압을 가해서 제5도에서와 같은 탄환 형상의 탐폰 T를 형성한다.
이들 탐폰 T는, 사용시에 흐르는 피를 흡수하면, 각각 제10도, 제12도의 상태로 복원한다. 이 2중 통형상의 원통체(8)는 흐르는 피를 흡수하여 약간 부풀어 오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중심에 통형상의 공간부를 가지고 있는 동시에 편물코(5)의 틈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는, 탐폰 T가 삽입되고 있는 질내 깊숙한 곳과는 달리 영역이 좁혀져 있는 질의 입구근방을 통과할 때에, 1중으로 되어 인출되는 원통체(7)는 좁혀진 입구근방의 내벽에 압압되어 인출되는 부분이 다시 축소화되고, 체외로 용이하게 인출되게 된다. 이의 인출시에, 탐폰 T의 질내에 있는 부분은, 끈형상체(2)로 짜여진 굵은 망형상의 외표면이 질내벽과 맞닿아 있으며, 질내의 오물을 닦아내면서 최외로 인출된다.
더욱이, 탐폰소재(7)를 형성하는 끈형상체(2)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섬유사를 심으로 하는 구성이 아니라, 면화 등에 의하여 굵어 보이는 끈체에 그대로 형성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끈형상체(2)를 짜서 형성한 탐폰소재(1)는, 종래와 같이 그대로 통형상으로 돌려감아서 탐폰본체 t를 형성한 후, 지름방향에서,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상하방향에서 압축하여 탐폰 T를 형성해도 좋고, 이와 같이 한 경우에도, 상기한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은 두말할 것 없다.

Claims (5)

  1. 탈지면 등 흡수성이 뛰어난 피흡수제에 의하여 끈형상체(2)를 형성하고, 이것을 짜서 탐폰 소재(1)를 형성하고, 이 탐폰 소재(1)를 사용하여 형성한 탐폰 본체(t)에 외압을 가하여 압축해서 탄환 형상으로 압축 형성한 탐폰(T).
  2. 제1항에 있어서, 탐폰 소재(1)를 형성하는 끈형상체(2)의 일부가, 인출끈(6)을 겸하고 있는 탐폰(T).
  3. 제1항에 있어서, 탐폰 소재(1)가, 잡아 당기는 방향으로 뻗어나기는 편물 방식으로 짜여진 탐폰(T).
  4. 제1항에 있어서, 탐폰 소재(1)의 양측 끝단부가 맞닿아져서 원통형상체(7)로 형성되어 있는 탐폰(T).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탐폰 소재(1)가 통형상체(7)로 형성되고, 지름 방향으로 2중이 되도록 되접어 꺾여져서 2중 통형상체(8)으로 형성되어 있는 탐폰(T).
KR1019900700934A 1988-09-05 1988-09-05 탐폰 KR920007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88/000887 WO1990002541A1 (en) 1988-09-05 1988-09-05 Sanitary tamp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1236A KR900701236A (ko) 1990-12-01
KR920007563B1 true KR920007563B1 (ko) 1992-09-07

Family

ID=13930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0934A KR920007563B1 (ko) 1988-09-05 1988-09-05 탐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432263B1 (ko)
KR (1) KR920007563B1 (ko)
AT (1) ATE102472T1 (ko)
DE (1) DE3888368D1 (ko)
WO (1) WO19900025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957A (ja) * 1988-01-22 1990-01-11 Sumie Shimatani タンポン
DE19705737C2 (de) * 1997-02-14 2000-04-27 Spinnerei C B Goeldner Gmbh & Medizinischer Saugkörp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37113A (en) * 1939-11-15 1941-06-10 Hans Frey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ampons
NZ188326A (en) * 1977-09-16 1980-09-12 Personal Products Co Cellulose sponge tampon packaged in a moist condition
JPS6148724U (ko) * 1984-08-31 1986-04-01
JPH027957A (ja) * 1988-01-22 1990-01-11 Sumie Shimatani タンポン
SE460700B (sv) * 1988-03-04 1989-11-13 Johnson & Johnson Gmbh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n tampong genom korsvis lindning samt daerigenom framstaelld tampong
SE460701B (sv) * 1988-03-04 1989-11-13 Johnson & Johnson Gmbh Tampong och foerfarande foer dess framstaell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1236A (ko) 1990-12-01
DE3888368D1 (de) 1994-04-14
ATE102472T1 (de) 1994-03-15
WO1990002541A1 (en) 1990-03-22
EP0432263A4 (en) 1991-08-07
EP0432263A1 (en) 1991-06-19
EP0432263B1 (en) 1994-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9540B2 (ja) 漏れ防止強化タンポン
AU757643B2 (en) Sanitary tampon
US4212301A (en) Digital tampon
US20080015489A1 (en) Catamenial tampon employing composite yarn as withdrawal cord
US3981305A (en) Low density tampon of intermeshed deformable strip material and inserter therefor
KR100460253B1 (ko) 옆으로 팽창가능한 탐폰 및 탐폰의 제조 방법
AU2001296880B2 (en) Urinary incontinence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361151A (en) Tampon
DE2829954A1 (de) Menstrual-tampon
KR20020015681A (ko) 여성 요실금의 경감 방법
US3320956A (en) Catamenial tampon and method of making
WO2000006072A2 (en) Soft conformable hollow bag tampon and spreading tampon applicator
KR20010099840A (ko) 요실금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RU2629872C2 (ru) Тампон для межменструальных дней
US4185631A (en) Readily removable expanding catamenial tampon
US3291130A (en) Catamenial tampon
KR920007563B1 (ko) 탐폰
EP1372555A2 (en) Catamenial tampon employing composite yarn as withdrawal cord
US3058468A (en) Catamenial tampon
KR20050044635A (ko) 사전확장 탐폰 거즈
AU641120B2 (en) Tampon
WO2002058614A1 (en) Catamenial tampon employing composite yarn as withdrawal code
EP0224594A1 (en) Tampon
TW544304B (en) Catamenial tampon employing composite yarn as withdrawal cord
CA1040351A (en) Inserter for delivering soft, deformable tampons into body cavities and the combination of a tampon therew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