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345Y1 - 강관 접속기 - Google Patents

강관 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345Y1
KR920007345Y1 KR2019900011972U KR900011972U KR920007345Y1 KR 920007345 Y1 KR920007345 Y1 KR 920007345Y1 KR 2019900011972 U KR2019900011972 U KR 2019900011972U KR 900011972 U KR900011972 U KR 900011972U KR 920007345 Y1 KR920007345 Y1 KR 9200073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steel pipe
zip
socket
hexag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1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659U (ko
Inventor
박병옥
Original Assignee
박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옥 filed Critical 박병옥
Priority to KR2019900011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345Y1/ko
Publication of KR9200046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6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3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1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강관 접속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용을 나타낸 측면도로 (a)는 압착간을 벌린 상태의 측면도, (b)는 압착간을 압착하여 강관을 접속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압형 다이가 강관을 접속하는 요부 단면 확대도로 (a)는 강관의 압형 직전의 상태를 보인 단면 확대도, (b)는 강관의 압형 접속한 상태를 보인 단면 확대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강관 접속부의 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강관 접속기의 예시도.
제6도는 종래의 강관 접속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압착간 7, 7' : 스프링
8, 9 : 다이집 8', 9' : 안내홈
10 : 걸림턱 11 : 다이
11' : 안내 돌조 11" : 걸림턱
13 : 측판 13' : 걸림편
본 고안은 강관의 접속 단부에 접속 소켓을 끼운 다음, 소켓의 단부를 팻킹과 함께 환상으로 압착하여 밀접되게 관접하는 강관의 접속기에 있어서, 접속기의 압착간의 각 선단부에 6각형의 2등분한 형태로 요입된 압형 다이집을 형성하여 6각형을 4등분한 형태로 분할 형성된 압형 다이를 스프링으로 한쌍씩 연결되게 압형 다이집에 각각 유착한 다음, 강관에 끼운 접속 소켓을 압형 다이에 물린 다음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압착간을 압착시키면 4개의 다이가 관의 중심부를 향하여 압착되어서 관의 주면이 균이하게 힘을 받아 틈새 없이 환상으로 밀폐 압착되어 관접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한 강관의 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강관 압착기는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집게처럼 유착된 한 쌍의 압착간의 선단부에 6각면(26)을 가진 관의 협지공(23)을 형성하고, 협지공(23)의 중간 내부에는 반호상의 요홈(24)(24')을 대향하게 형성하여 두요홈(24)(24')사이에 강관(24")과 팻킹집이 환상으로 돌출 형성된 소켓(25)을 관을 밀탁 접속하게 되어 있으나, 압착간(21)(22)의 레버동작에 따라 서로 압착하는 반호상의 요홈(24)(24')의 중간부는 강관의 중심부를 향하여 압착 동작을 하기 때문에 소켓(25)의 주면은 강관의 주면에 밀착되는 반면, 요홈(24)(24')이 맞닿는 양연부(26')축에서는 소켓(25)의 일부 주면에 대하여 관의 외접 방향으로 압착하기 때문에 소켓(25)의 일부주면이 외접방향으로 밀리면서 강관의 외접 부위에 돌출부(27)를 형성하게 되고, 돌출부(27)의 내접면은 강관의 외주면에 밀착되지 못하여 미소한 공극(27')을 이루게 되며, 수압이 강할때 팻킹을 밀고, 물이 공극(27') 외부로 누수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한 쌍의 압착간을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집게처럼 압착할 수 있게 유착된 압착간의 선단부에 육각형의 다이집을 형성하여 4개로 분할 형성된 다이(die)를 각각 상하 2개씩 육각형으로 요입된 다이집에 스프링으로 유착하여 강관에 팻킹과 함께 소켓을 끼우고 팻킹집 부위에 다이의 요홈이 맞물리게 협지한 다음, 유압 실린더로 압착간을 압착하면 4개의 압형 다이가 경사진 다이집 내면에 의하여 강관의 중심 방향으로 압착 동작을 하게 되어 소켓의 전체부면에 균일하게 압력이 가하여져서 강관의 외주면과 소켓의 내주면을 긴밀하게 압착 접속하여 종래의 접속기처럼 접속관 주면에 틈이 생기지 않아 수압이 놓아도 관접부로 누수의 우려가 없이 안전하게 강관을 접속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쌍의 압착간(1)(2)의 축공(4)(5)을 맞대어 지지판(6)과 함께 지축(3)을 측공(4)(5)에 끼워 스넵링(3')으로 고정하고, 압착간(1)(2)사이에 스프링(7)을 설치하여 유압 실런더의 피스튼 로드(17)에 의하여 압착간(1)(2)을 집게처럼 압착하거나 벌릴 수 있게 된 것에 있어서, 압착간(1)(2)이 선단부측에 6각형을 2등분한 ""형으로 각각 다이집(8)(9)을 대향되게 형성하여 다이집(8)(9)중간부에 안내홈(8')(9')과 걸림턱(10)을 각각 형성하고, 6각형을 4등분한 형태로 된 4개의 압형 다이(11)의 배면과 양연부에는 각각 안내 돌조(11')와 걸림턱(11")를 형성하며, 압형 다이(11)의 내면 중앙부에 환상으로 도는 만곡된 요홈(12)을 형성하여 2개씩으로 스프링(7')에 의하여 연결한 다이(11)를 한 쌍식 다이집(8)(9)에 각각 안내홈(8')(9')과 안내 돌조(11')끼리 결합되게 유착하고, 다이집(8)(9)의 양측에는 각각 측판(13)을 체결 나사(15)로 압착간(1)(2)의 선단부의 나사공(14)에 체착하여 측판(13)에 절곡 형성된 걸림편(13')에 압형 다이(11)의 걸림턱(11")이 걸리어 외부로 이탈함이 없이 6각형의 다이집(8)(9)내에서 벌어지거나 수축 작용을 할 수 있게 하여서 강관(18)의 접속 소켓(19)을 팻킹집(19')과 함께 압착 접속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 1", 2', 2"는 지지판(6)의 고정편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제2도 (a)에 표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17)를 후퇴한 상태에서는 압착간(1)(2)을 압착 작동하지 않으므로, 다이집(8)(9)은 인위적으로 상하 간격을 벌릴 수 있으며 이때 다이집(8)(9)에 유착된 한 쌍씩의 다이(11)는 스프링(7')의 미는 힘에 의하여 서로 벌어져 걸림턱(10)에 닿아 외부로 이탈점이 없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 제3도 (a)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강관(18)의 접속부에 환상의 팻킹집(19')이 형성된 소켓(19)을 팻킹과 함께 끼운 다음, 환상의 팻킹집(19')이 합형 다이(11)의 만곡된 요홈(12)과 일치되게 하고 제2도 (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17)를 작동시키어 압착간(1)(2)을 버리면 상대적으로 다이집(8)(9)은 서로 근접되면서 압형 다이(11)도 소켓(19)에 근접되어 압형 다이(11)에 형성된 요홈(12)은 소켓(19)의 환상의 팻킹집(19')과 밀착된다.
이어서, 유압으로 압착간(1)(2)의 압착 동작을 더축 진행하면 벌어졌던 각 다이(11)는 6각형으로 경사진 안내홈(8')(9')과 각 다이(11)의 배면에 형성된 안내 돌조(11')간에 일종의 캠 작용이 일어나 벌어졌던 각 다이(11)는 서로 좌우에서 가운데로 근접되는 동시, 상하에서 근접되어 결국 압형 다이(11)에 형성된 요홈(12)은 강관의 중심부를 향하여 압착 작용을 하여 소켓의 주면은 균일한 압력을 받아 강관(18)의 주면에 균일하게 밀착되고, 압착간(1)(2)의 누르는 정도에 따라 강관(18)과 소켓(19)이 함께 작은 내경으로 압축되어서, 제3도 (b) 및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긴밀하게 접속되는 것으로, 유압으로 작동되는 압착간의 선단부에 6각형의 압형다이집을 형성하여 6각형을 4등분한 형태의 다이를 한쌍씩 스프링으로 연결시키어 다이집에 유착하여 다이집과 압형 다이간에 캠 작용으로 중시부측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종래 상하 2개의 압형 다이로 구성된 강관의 접속기에서 압형 다이의 양면부측에 틈이 생기던 폐단을 시정하고, 강관의 접속부에 소켓을 전체적으로 긴말하게 접속 유지하여서 높은 수압에도 관접부로 누수되는 일이 없이 보다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유압으로 작동되는 압착간(1)(2)의 선단부에 6각형을 2등분한 형태로 요입된 다이집(8)(9)을 형성하여 안내홈(8')(9')과 걸림턱(10)을 형성하고, 안내돌조(11')과 만곡된 요홈(12)이 배면과 내면에 각각 형성된 다이(11)를 6각형을 4등분한 형태로 형성하여 한쌍씩의 압형 다이(11)를 스프링(7')으로 연결되게 각각 다이집(8)(9)에 유착하며, 다이집(8)(9)의 양측면에 측판(13)을 체착하여 측판의 절곡된 걸림편(13')에 다이의 걸림턱(11")이 걸리어 외부로 이탈함이 없이 다이집과 다이간의 캠동작으로 강관과 소켓의 주면을 중심부로 긴밀하게 압착하여 접속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 강관 접속기.
KR2019900011972U 1990-08-08 1990-08-08 강관 접속기 KR9200073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1972U KR920007345Y1 (ko) 1990-08-08 1990-08-08 강관 접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1972U KR920007345Y1 (ko) 1990-08-08 1990-08-08 강관 접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659U KR920004659U (ko) 1992-03-26
KR920007345Y1 true KR920007345Y1 (ko) 1992-10-12

Family

ID=19302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1972U KR920007345Y1 (ko) 1990-08-08 1990-08-08 강관 접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3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8122B1 (ko) * 1995-04-13 2001-10-24 나카니시 마사히고 이중프레스식관이음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659U (ko) 1992-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8023A (en) Couplings for tubes
US42931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pipe to a fitting
US4834676A (en) Solderless wedge-lock coaxial cable connector
KR101575896B1 (ko) 배관용 압착체결구
US5029907A (en) Band for effecting a seal
US5025546A (en) Method of joining pipes
US4697832A (en) Snap lock connector
JPH04215272A (ja) 流体シールを備えたコネクタ
US4541659A (en) Permanently sealed threadless joint
JPH10132080A (ja) 密閉リング
KR101169664B1 (ko) 파이프 이음용 압착기
KR101568178B1 (ko)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
JP2858787B2 (ja) シリンダ装置
EP1567799B1 (en) Hydraulic hose fitting
KR920007345Y1 (ko) 강관 접속기
KR930002421B1 (ko) 연결구
US20020145284A1 (en) Fitting assembly for corrugated tubing
KR20190010412A (ko) 주름관 연결장치
US5768935A (en) Blade crimping device
KR200451357Y1 (ko) 관 연결구
EP0638752A1 (en) Pipe connector
KR200165067Y1 (ko) 관연결구
KR100282510B1 (ko) 파이프 연결구조 및 그 연결방법
EP0129303A1 (en) Spigot and socket connections
KR0117149Y1 (ko)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329

Year of fee payment: 6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