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122B1 - 이중프레스식관이음매 - Google Patents

이중프레스식관이음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122B1
KR100298122B1 KR1019950008655A KR19950008655A KR100298122B1 KR 100298122 B1 KR100298122 B1 KR 100298122B1 KR 1019950008655 A KR1019950008655 A KR 1019950008655A KR 19950008655 A KR19950008655 A KR 19950008655A KR 100298122 B1 KR100298122 B1 KR 100298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groove
ring
socket
diame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8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211A (ko
Inventor
마츠모토시게유키
야베야스오
스나가미노루
마루하시야스미
모토다미츠아키
시노다아키라
우라베요시오
이시카와마사카즈
Original Assignee
나카니시 마사히고
가부시키가이샤 벤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니시 마사히고, 가부시키가이샤 벤칸 filed Critical 나카니시 마사히고
Priority to KR1019950008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8122B1/ko
Publication of KR960038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122B1/ko

Links

Landscapes

  • Gasket Seal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켓부와 접속관의 체결접속위치를 O링의 양측방향의 두 곳으로 하고, 배관시공시 소켓부와 접속관이 체결되지 않았을 경우 수압 (공압) 시험에 있어서 압력 20kgf/cm2(최고시험압력 17.5kgf/cm2) 까지 상승시키더라도 O링이 환형홈내에서 소켓부의 개구끝측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변형되지도 않으며, O링의 오목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었던 간극유로도 소멸되지 않으므로 물 (공기)의 누설이 발생되어, 체결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실히 발견할 수 있도록 한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음매관의 소켓부의 중간 내주측에 외방으로 팽창돌출한 환형홈이 설치되고, 이 환형홈내에 O링이 장착되고, 이 O링은 외경이 환형홈 바닥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으로, 내경이 소켓부에 삽입되는 접속관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으로 됨과 동시에, 외주가장자리와 내주가장자리의 일부에, 환형홈 바닥과의 사이 및 삽입되는 접속관의 외면과의 사이에 간극유로가 형성된 오목부와, 그 양측에서 환형홈안으로의 장착에 의하여 눌려찌그러지고 또한 삽입되는 접속관에 의하여 눌려찌그러지는 볼록부가 설치되고, 또한 이 볼록부의 단면외측형상이 환형홈의 단면내측형상에 따르도록 대략 삼각형으로 되고, 소켓부와 접속관이 O링의 양측방향의 두 곳에서 프레스 공구에 의하여 동시에 체결접속되었을 때, 상기 간극유로가 소멸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에 관한 것이다.
이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에 있어서, 환형홈에서 소켓부 개구끝까지의 내경은, 환형홈에서 소켓부 안끝까지의 내경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에 있어서, 환형홈의 소켓부 개구끝측의 옆가장자리의 반경은 작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
제1도는 본 발명의 이중 프레스식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a)도는 종단면도, (b)도는 (a)도의 A-A선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에 있어서의 O링을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의 소켓부에 접속관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a)도는 종단면도, (b)도는 (a)도의 C-C선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의 소켓부에 삽입한 접속관을 O링의 양측 방향의 두 곳에서 체결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a)도는 종단면도, (b)도는 D-D선 단면도.
제6도는 종래의 프레스식 관이음매의 소켓부에 접속관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7도는 제6도의 프레스식 관이음매의 소켓부에 삽입한 접속관을 체결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8도는 제6도의 프레스식 관이음매에 있어서의 O링을 개량한 O링을 도시하는 도면.
제9도는 제8도의 O링을 장착한 프레스식 관이음매의 소켓부에 접속관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음매관 2 : 소켓부
3 : 환형홈 13 : O링
14 : 외주가장자리의 오목부 15 : 내주가장자리의 오목부
16 : 외주가장자리의 볼록부 17 : 내주가장자리의 볼록부
18 : 오목부(14)와 환형홈(3)의 바닥사이의 간극유로
19 : 접속관
20 : 오목부(15)와 접속관(19) 외면사이의 간극유로
21 : 돌출부 22 : 환형홈의 개구가장자리 양측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슬리브, 엘보, 티, 관이음쇠 등으로 성형된 이음매관의 소켓부에, 접속관을 삽입하여 2개의 위치에서 동시에 체결해 접속하는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부터 이음매관의 소켓부에 접속관을 삽입하여, 체결접속하는 프레스식 관이음매로서, 일본국 특개소 53-70072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프레스식 관이음매는,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음매관(1)의 소켓부(2)의 수구(受口) 내면에 환형홈(3)을 설치하여, 이 환형홈(3)내에 O링(4)을 장착하고, 소켓부(2)내에 접속관(5)을 삽입하여, 상하 분할형(型 ) 모양의 프레스 공구(7,7′)를 사용하여, 외주면에서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 및 직경축소시켜 소켓부(2)의 일부를 접속관(5)에 압착함과 동시에 환형홈(3)의 부분도 가압하여 O링(4)을 접속관(5)의 외주면에 압입 상태로 압착하여, 접속부의 내압성을 증가시키고 또한 수구부의 완전 기밀성을 유지하고, 유체의 누설을 완벽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프레스식 관이음매에 있어서 O링(4)은, 프레스 공구(7,7′)에 의한 가압의 전후에 걸쳐서 2단계의 압착여유(squeeze)가 설정되고, O링(4)은 가압후 뿐만 아니라 가압전에 있어서도 환형홈(3)과 접속관(5)에 끼워져서 어느 정도의 밀봉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배관시공시에 작업자가 접속부를 프레스 공구(7,7′)로 체결하는 것을 깜박 잊으면, 그후의 수압시험시에 누수가 없기 때문에 시공상의 결함을 검지할 수 없게됨에 따라 실제사용시에 대형사고가 발생될 염려가 있다. 상기 O링(4)을 사용하여 시공상의 결함을 검지함에는 프레스 공구에 의한 가압전의 단계에서 O링(4)을 비압축상태로 놓아두면 될 것 같지만, 이와 같이하면 이음매관(1) 과 접속관(5) 이 직경방향으로 흔들거려서 양관을 단단히 위치결정할 수 없게되는 문제가 생긴다.
이와 같은 문제로부터 상기 프레스식 관이음매의 O링에 대한 시공상의 결함을 검지하는 기능을 갖게한 것으로 일본국 실공평 6-33258호 공보에 기재된 패킹(O링)이 개발되었다. 이 O링은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주가장자리 및 외주가장자리의 일부에 오목부(8)와, 그 양측에 볼록부(9) 를 설치한 것으로, 이 O링(10)을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음매관(1)의 소켓부(2)의 수구내면의 환형홈(3) 내에 장착하고, 소켓부(2) 내에 접속관(5)을 삽입하면, O링(10)의 내주가장자리 및 외주가장자리 볼록부(9)가 눌려찌그러지고, 오목부(8)와 접속관(5)의 외주면 및 환형홈(3)의 바닥과의 사이에 간극유로(11, 12)가 형성된다.
따라서 프레스 공구에 의한 소켓부(2), 접속관(5)의 체결을 잊어버리더라도 수압(공압)시험의 경우, 간극유로(11, 12)로부터의 물(공기)의 누설을 발견할 수 있어 안전한 배관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프레스식 관이음매의 이음매관(1)은, 수구내면에 환형홈(3)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소켓부(2)와 접속관(5)의 체결접속위치는 한 곳이고, 접속관(5)의 삽입이 체결위치까지 도달되어 있지 않으면, 체결이 행해져도 실제사용시 접속관(5)이 쑥 빠져나가고, 또 접속관(5)의 삽입을 적정하게 행하게 되더라도 체결접속위치가 한 곳이어서는 강도가 충분하다고 할 수 없고, 진동등에 의하여 헐겁게 되는 경우가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여기서 본 발명은, 소켓부와 접속관의 체결접속위치를 O링의 양측방향의 두 곳으로하고, 배관시공시 소켓부와 접속관의 체결을 잊어버렸을 경우, 수압 (공압) 시험에 있어서 압력 20kgf/cm2(최고시험압력 17.5kgf/cm2) 까지 상승시키더라도 O링이 환형홈내에서 소켓부의 개구끝측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변형되지도 않으며, O링의 오목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던 간극유로가 소멸되지 않으므로, 물 (공기) 의 누설이 발생하게 되어, 체결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실히 발견할 수 있도록 한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는, 이음매관의 소켓부 중간의 내주측에 외방으로 팽창돌출하는 환형홈이 설치되고, 해당 환형홈내에 O링이 장착되고, 해당 O링은 외경이 환형홈의 바닥의 내경과 대략 같은 직경으로, 내경이 소켓부에 삽입되는 접속관의 외경과 대략 같은 직경으로 됨과 동시에, 외주가장자리와 내주가장 자리의 일부에, 환형홈 바닥과의 사이 및 삽입되는 접속관의 외면과의 사이에 간극유로가 형성되는 오목부와, 그 양측에서 환형홈안으로의 장착에 의하여 눌려찌그러지고 또한 삽입되는 접속관에 의하여 눌려찌그러지는 볼록부가 설치되고, 또한 이 볼록부의 단면외측형상이 환형홈의 단면내측형상에 따르도록 대략 삼각형으로 되어, 소켓부와 접속관이 O링의 양측방향 두곳에서 프레스 공구에 의하여 동시에 체결접속될 경우, 상기 간극유로가 소멸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에 있어서, 환형홈에서 소켓부 개구끝까지의 내경은, 환형홈에서 소켓부 안끝까지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환형홈에서 소켓부 개구끝까지의 내경과 환형홈에서 소켓부 안끝까지의 내경이 같으면, 내외주의 일부에 오목, 볼록부를 설치한 O링을 적절히 장착하기 위하여 환형홈의 외경을 크게 하였을 경우, 환형홈의 외방 돌출부의 높이가 높아져서, 프레스 공구에 의하여 O링의 양측방향 두 곳을 체결접속했을 때, O링이 적정하게 체결되지 않고 밀봉성능이 저하되므로, 환형홈의 외경을 크게 하더라도 환형홈의 외방 돌출부의 높이를 낮게 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에 있어서, 환형홈의 소켓부 개구끝측의 옆가장자리의 반경(R) 은 작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프레스 공구에 의한 체결을 잊었을 때의 수압 (공압) 시험에 있어서, O링의 이동을 적게하기 때문이다.
[작용]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는, 소켓부의 환형홈에 외주가장자리를 밀착하여 장착된 O링의 외주가장자리의 일부에 볼록부가 눌려찌그러지지만 그 볼록부사이의 오목부에 의하여 환형홈의 바닥과의 사이에 간극유로가 형성되고, 배관시공시, 소켓부에 접속관을 안끝까지 삽입하면, O링의 내주가장자리의 일부의 볼록부가 눌려찌그러지지만 그 볼록부 사이의 오목부에 의하여 접속관의 외면과의 사이에 간극유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소켓부와 접속관을, O링의 양측방향의 두 곳에서 프레스 공구에 의하여 동시에 체결접속하면, 환형홈의 부분도 가압압축되어 O링이 접속관의 외주면에 압입상태로 압착되어 상기 간극유로가 소멸하고, 접속부의 완전 기밀성이 달성되어, 유체의 누설이 완벽하게 방지된다.
이와 동시에 프레스 공구에 의한 체결접속위치가 O링의 양측방향 두 곳이므로, 접속부의 강도가 완벽해져 진동등에 의해 헐겁게 되는 일이 없어지고, 게다가 만의하나 소켓부에 대한 접속관의 삽입이 부족하더라도 O링을 관통하고 있으면 반드시 한 곳에서는 소켓부와 접속관이 체결접속되므로, 유체의 누설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배관시공후, 수압 (공압) 시험을 하여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의 밀봉검사를 하면, 상기와 같이 완전히 체결접속된 소켓부와 접속관은 물 (공기)의 누설은 없지만 만의하나 체결하는 것을 잊어버리거나 접속관의 삽입이 부족하게 되는 등의 경우에는, O링의 외주가장자리 및 내주가장자리 일부의 오목부에 의하여 형성된 간극유로를 통하여 물 (공기)이 누설되므로, 배관접속이 되어 있지 않은 것을 발견할 수 있어, 완전한 배관을 할 수가 있다. 상기의 수압 (공압) 시험에 있어서, 시험압력이 높아지더라도, O링에 설치된 볼록부의 단면외측형상이 환형홈의 단면내측형상에 따르도록 대략 삼각형 모양으로 되어, 이 대략 삼각형 모양의 볼록부 양측의 돌출부가 환형홈의 개구 양측 가장자리부에 결합되므로, 체결되어 있지 않은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에 있어서의 O링의 오목, 볼록부는 환형홈내에서 소켓부의 개구끝측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변형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O링의 오목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던 간극유로가 소멸되지 않으므로, 물(공기)의 누설이 발생하고, 체결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실히 발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에 있어서, 환형홈에서 소켓부 개구끝까지의 내경을, 환형홈에서 소켓부 안끝까지의 내경보다도 약간 크게한 경우에는, 내외주의 일부에 오목, 볼록부를 설치한 O링을 적절히 장착하기 위하여 환형홈의 외경을 크게한 경우에도 환형홈의 외방 팽창돌출부의 높이가 높아지지 않고, 따라서, 프레스 공구에 의하여 O링의 양측 방향 두 곳을 체결접속한 경우, 환형홈의 외방 팽창돌출부와 함께 O링이 적절히 체결되고, 밀봉성능이 향상된다. 게다가 접속관이 소켓부에 쉽게 삽입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에 있어서, 환형홈의 소켓부 개구끝측 옆가장자리의 반경을 작게한 경우에는, 프레스 공구에 의해 체결되지 않았을 때의 수압(공압) 시험에 있어서, O링의 이동을 적게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제1(a)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슬리브형 이음매관(1) 의 소켓부(2)의 중간 내주측에 외방으로 팽창 돌출한 환형홈(3) 을 설치하고, 이 환형홈(3) 내에 고무제의 O링(13)을 장착한다.
이 O링(13)은, 고무경도 Hs 87로, 외경이 환형홈(3) 바닥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으로, 내경이 소켓부(2) 에 삽입되는 후술하는 접속관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 있어 외주가장자리와 내주가장자리의 일부에,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14, 15)가 설치되어, 이 오목부(14, 15)의 양측에 각각 볼록부(16, 17)가 설치된다.
오목부(14)는 제1(a)도 및 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홈(3) 바닥과의 사이에 간극유로(18)를 형성하고, 오목부(15)는 소켓부(2) 에 삽입되는 후술하는 접속관의 외면과의 사이에 간극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오목부(14) 양측의 볼록부(16)는, O링(13)의 환형홈(3)안으로의 장착에 의하여 눌려찌그러져 O링(13)의 외경과 같아지고 오목부(15) 양측의 볼록부(17)는 소켓트부(2)에 삽입되는 후술하는 접속관에 의하여 눌려찌그러져 O링(13)의 내경과 같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볼록부(16, 17)의 단면외측형상이,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형홈(3)의 단면내측형상에 따르도록 대략 삼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소켓부(2)와 여기에 삽입되는 접속관이 O링(13)의 양측방향 두 곳에서 프레스에 의하여 동시에 체결 및 직경축소되어 접속되었을 때, 환형홈(3) 부분도 외방에서 가압압축되어 O링(13)이 압착되고, 오목부(14, 15)가 없어져, 간극유로가 소멸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이중 프레스식 이음매에 있어서, 환형홈(3) 으로부터 소켓부(2) 의 개구끝까지의 내경은, 제1(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형홈(3) 에서 소켓부(2) 의 안끝까지의 내경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환형홈(3) 의 소켓(2) 개구끝측의 옆가장자리 반경(R1) 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의 사용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음매관(1)의 소켓부(2)의 환형홈(3)에 장착된 O링(13)은, 외주가장자리 일부의 2개의 볼록부(16)가 눌려찌그러지지만, 이 2 개의 볼록부(16) 사이의 오목부(14)에 의하여 제1(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형홈(3)의 바닥과의 사이에 간극유로(18)가 형성되고, 배관시공시, 소켓부(2)에 제4(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관(19)을 안끝까지 삽입하면, O링(13)의 내주가장자리 일부의 2개의 볼록부(17)가 눌려찌그러지지만, 이 2개의 볼록부(17) 사이의 오목부(15)에 의하여 제4(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관(19)의 외면과의 사이에 간극유로(20)가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소켓부(2)와 접속관(19)을 제5(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O링(13)의 양측방향 두 곳에서 프레스 공구 (도시하지 않음) 에 의하여 동시에 체결, 직경축소하여 접촉하면, 환형홈(3) 부분도 외방에서 가압압축되어 제5(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O링(13)의 오목부(14, 15)가 없어지고, 상기 간극유로(18, 20)가 소멸하여, 접속부의 완전 기밀성이 달성되어, 유체의 누설이 완벽하게 방지된다.
이와 동시에 프레스 공구에 의한 체결접속위치가, O링(13)의 양측방향 두 곳이므로, 접속부의 강도가 완벽하게 되어 진동 등에 의해 헐겁게 되는 일이 없어지고, 게다가 만의하나 소켓부(2)에 대한 접속관(19)의 삽입이 부족하더라도 O링(13)을 관통하고 있으면, 반드시 한 곳에서는 소켓부(2)와 접속관(19)이 체결접속되므로, 유체의 누설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배관접속후, 수압 (공압) 시험을 하여, 밀봉검사를 하면, 상기와 같이 완전히 체결접속된 소켓부(2)와 접속관(19)은, 물 (공기) 이 누설되지 않지만, 만의하나 체결을 잊어버렸거나 접속관(19)의 삽입이 부족했던 경우에는, 제4(a),(b)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O링(13)의 외주가장자리 및 내주가장자리 일부의 오목부(14, 15)에 의하여 형성된 간극유로(18, 20)를 지나 물 (공기)이 누설되므로, 배관접속이 되지 않은 것을 발견할 수 있어 완전한 배관을 할 수가 있다.
이 수압 (공압) 시험에 있어서, 시험압력 (최고시험압력 17.5kgf/cm2) 을 20kgf/cm2까지 상승시키더라도, 제2도,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O링(13)에 설치된 볼록부(16, 17)의 단면외측형상이 환형홈(3)의 단면내측형상에 따르도록 대략 삼각형으로 되어, 이 대략 삼각형 모양의 볼록부(16, 17) 양측의 돌출부(21)가 제4(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형홈(3)의 개구양측가장자리부(22)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체결되지 않은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에 있어서 O링(13)의 오목, 볼록부는, 환형홈(3) 내에서 소켓부(2)의 개구끝측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변형도 되지 않는다. 따라서, O링(13)의 오목부(14, 15)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었던 간극유로(18, 20)가 소멸되지 않으므로 물 (공기)의 누설이 발생하여, 체결되어 있지 않는 것을 확실히 발견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의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에 있어서는, 제1(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형홈(3)에서 소켓부(2)의 개구끝까지의 내경을, 환형홈(3)에서 소켓부(2)의 안끝까지의 내경보다도 약간 크게 하고 있으므로, 내외주의 일부에 오목, 볼록부를 설치한 O링(13)을 적절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환형홈(3)의 외경을 크게 하더라도 환형홈(3)의 외방 팽창돌출부의 높이는 높아지지 않고, 따라서 프레스 공구에 의하여 제5(a),(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O링(13)의 양측 두 곳을 체결접속하였을 경우, 환형홈(3)의 외방 팽창돌출부와 함께 O링(13)이 적절하게 체결되고, 밀봉성능이 향상된다. 게다가 접속관(19)을 소켓부(2)에 삽입하는 것이 쉬워진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의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에 있어서는, 제1(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형홈(3)의 소켓부(2)의 개구끝측 옆가장자리의 반경(R1)을 작게 하였으므로, 프레스 공구에 의해 체결되지 않았을 때의 수압 (공압) 시험에 있어서, O링(13)의 이동을 적게 할 수 있다.
[발명 의 효과]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는, 소켓부와 접속관의 체결접속위치를 O링의 양측방향의 두 곳으로 하고 있으므로, 접속부의 강도가 완벽해져, 진동 등에 의해 헐겁게 되는 일이 없어지고, 게다가 만의하나 소켓부에 대한 삽입이 부족하더라도 O링을 관통하고 있으면 반드시 한 곳에서는 소켓부와 접속관이 체결접속되므로, 유체의 누설은 없다.
또, 배관시공후, 수압 (공압) 시험에 의한 접속부의 밀봉검사를 하면, 만의하나 체결되어 있지 않거나 접속관의 삽입이 부족하게 되는 등의 경우에는, O링의 외주가장자리 및 내주가장자리 일부의 오목부에 의하여 형성된 간극유로를 지나 물이 누설되므로, 배관접속이 되어 있지 않은 것을 발견할 수 있어, 완전한 배관을 할 수가 있다.
게다가 이 수압 (공압) 시험에 있어서, 시험압력이 극단적으로 높게 되어 있더라도 체결되어 있지 않은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에 있어서 O링은 오목부 양측의 볼록부에 있어서 돌출부의 존재에 의하여 환형홈내에서 소켓부 개구끝측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변형되지도 않으므로, O링의 오목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던 간극유로는 소멸되지 않으므로, 물(공기)의 누설이 발생하여, 체결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실히 발견할 수 있다.

Claims (3)

  1. 이음매관(1)의 소켓부(2)의 중간 내주측에 외방으로 팽창돌출하여 설치된 환형홈(3)과, 외경이 환형홈 바닥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내경이 소켓부에 삽입된 접속관(19)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되도록 환형홈(3)내에 장착된 O링(13)과, 외주가장자리와 내주가장자리의 일부에, 환형홈(3) 바닥과의 사이 및 삽입되는 접속관(19)의 외면과의 사이에 간극유로(18, 20)가 형성된 오목부(14, 15)와, 그 양측에서 환형홈(3) 안으로의 장착에 의하여 눌려찌그러지고 또한 삽입되는 접속관(19)에 의하여 눌려찌그러지는 볼록부(16, 17)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16, 17)의 단면외측형상이 환형홈(3)의 단면내측형상에 따르도록 대략 삼각형 모양으로 되고, 소켓부(2)와 접속관(19)이 O링(13)의 양측방향의 두 곳에서 프레스 공구에 의하여 동시에 체결접속되었을 때, 상기 간극유로(18, 20)가 소멸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
  2. 제1항에 있어서, 환형홈(3)에서 소켓부(2)개구끝까지의 내경이 환형홈(3)에서 소켓부(2)안끝까지의 내경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환형홈(3)의 소켓부(2)개구끝측의 옆가장자리의 반경이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프레스식 관이음매.
KR1019950008655A 1995-04-13 1995-04-13 이중프레스식관이음매 KR100298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8655A KR100298122B1 (ko) 1995-04-13 1995-04-13 이중프레스식관이음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8655A KR100298122B1 (ko) 1995-04-13 1995-04-13 이중프레스식관이음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211A KR960038211A (ko) 1996-11-21
KR100298122B1 true KR100298122B1 (ko) 2001-10-24

Family

ID=6668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8655A KR100298122B1 (ko) 1995-04-13 1995-04-13 이중프레스식관이음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81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797B1 (ko) * 2013-11-13 2015-01-28 황혜자 개선된 오,배수 입상배관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659U (ko) * 1990-08-08 1992-03-26 박병옥 강관 접속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659U (ko) * 1990-08-08 1992-03-26 박병옥 강관 접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797B1 (ko) * 2013-11-13 2015-01-28 황혜자 개선된 오,배수 입상배관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211A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02745A1 (ja) シール材および押輪および継手および弁
JPH0328623B2 (ko)
EP0763688B1 (en) Pipe joint
JPS6233468B2 (ko)
JP3436822B2 (ja) ダブルプレス式管継手
US6651689B1 (en) Valve stem assembly for a pneumatic tire
KR100298122B1 (ko) 이중프레스식관이음매
AU2019249124A1 (en) Fitting device for making connection tube that can fine position adjustment of the tube
JPH0771674A (ja) 管継手のソケット
JP3433248B2 (ja) 薄肉ステンレス鋼管と継手の接続構造
JP3955973B2 (ja) フレア管継手
US6851720B2 (en) Hydraulic joint structure
CN110967140B (zh) 变送器法兰
JPH0716151Y2 (ja) 管継手構造
US5016668A (en) Connection for extensions of inflating valves of motor vehicle tires
CA2325242C (en) Conical flange interface for railway applications
JP2002228062A (ja) 管継手
JP3880166B2 (ja) 管とケースのシール構造
EP0949409B1 (en) Combination of pipes and gasket for connection thereof
JPH08210570A (ja) 管継手
KR200274144Y1 (ko) 관 연결장치
KR19990015708A (ko) 관 이음 구조.
JP2001254878A (ja) 蛇腹管用管継手
JP3315281B2 (ja) 自在継手
JP3041481B2 (ja) 可撓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