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883Y1 - 경운기의 전륜(全輪)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경운기의 전륜(全輪)구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6883Y1 KR920006883Y1 KR2019900011868U KR900011868U KR920006883Y1 KR 920006883 Y1 KR920006883 Y1 KR 920006883Y1 KR 2019900011868 U KR2019900011868 U KR 2019900011868U KR 900011868 U KR900011868 U KR 900011868U KR 920006883 Y1 KR920006883 Y1 KR 92000688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fixed
- driven
- cam
- gea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원동부를 발췌한 단면도.
제3도는 피동부를 발췌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운기 2 : 엔진
3 : 원동축 4 : 이동캠
5 : 고정캠 6 : 클러치통체
7 : 원동체인기어 8 : 지지아암
9 : 기어박스 10 : 피동축
11 : 스플라인축 12 : 내측기어
13 : 평기어 14 : 피동체인기어
15 : 체인 16 : 베아링
17 : 고정판 18 : 요실
19 : 스프링 20 : 이동봉
21 : 이동판 22 : 마찰판
23 : 너트 24 : 슬리브
25 : 작동간 26 : 강선
27 : 작동환 28 : 작동편
29 : 추진축
본 고안은 경운기의 전륜(全輪)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작 경비의 소모가 적고 제어가 용이토록하여 등반 운행시나 회전시에 용이하게 운전할 수 있는데 주안점을 둔 것이다.
종래의 경운기은 전륜(前檜)구동방식으로서 다량의 짐을 적제하고 경사길 등반을 할시에는 전륜(前檜)에 과부하가 결려 등반에 난점이 있음은 물론 내리막길을 내려올시는 후륜의 가속력에 의해 차체전복의 위험성이 항시 내제하고 있었다.
상기의 제 결점을 해소코져 본 고안자는 경운기의 전륜구동장치(1988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3906호)를 기출원한 바 있으며, 본 고안은 상기 선출원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이다.
즉 선출원된 고안보다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경비가 저가임은 물론이며, 조작의 간편함을 제공하고 커브길에서도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다.
이하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술하면 하기와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통상의 경운기(1) 엔지(2)과연결된 원동축(3)에 이동캠(4), 고정캠(5)이 상호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있고, 이의 선측에 클러치 통체(6)및 원동체인기어(7)가 축설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동원동축(3)선단부에는 지지아암(8)이 엔진(2)하부 기어박스(9)의 피동축(10)선단과 연결되어 양축을 지지토록 구성된다.
피동축(10)에는 스플라인축(11)이 결합되어 내측기어(12)가 좌우 슬라이드 가눙케 삽설되며 이의 선측에는 평기어(13), 피동체인기어(14)가 축삽되어 있다.
원동체인기어(7)및 피동체인기어(14)는 상호 체인(15)으로 연결구성됨은 당연하다.
제2,3도는 이들의 내부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키로 한다.
제2도는 원동부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클러치 통체(6)내부에는 스플라인(3')이 형성된 원동축(3)이 베어링(16)으로 축삽되고 이의 단부에는 원동체인기어(7)가 축설되고 지지아암(8)의 일측이 삽설되어 있다.
원동축(3)의 스플라인(3')에는 클러치 통체(6) 내부의 고정판(l7)을 삽입고정시키되, 고정판(17)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수개의 요실(18)에 탄설되어 있는 스프링(19)이 이동봉(20)을 고착하고 있는 이동판(21)을 탄지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어 결합하고 이동봉(20)으로 수개의 마찰판(22)을 삽입하여 너트(23)로 고정시킨다.
클러치 통체(6)외측 원동축(3)에 결합되어 있는 슬리브(24)에 작동간(25)을 일측에 고착하고 있는 이동캠(4)을 고정캠(5)과 맞물리도록 결합하며, 이동캠(4)의 작동간(25)에는 핸돌(미도시)에 장착된 조절레바와 강선(26)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조절레버의 회동으로 이동캠(4)과 고정캠(5)을 단속토록 구성된 것인데 이를 통상의 경운기 클러치 레바(미도시)와 연결하여도 가능하다.
제3도는 피동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스플라인축(11)에는 작동환(27)이 삽설된 내측기어(12)가 슬라이드 가능케 결합되어 있다.
스플라인축(1l)내부에는 베어링으로 축설된 피동축(10)이 결합되어 동 피동축(10)에는 내측기어(12)와 상호 단속되는 평기어(13)가 축설되고 선단에는 피동체인기어(l4)가 축설되고 지지아암(8)의 일단이 삽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작동환(27)역시 작동편(28)이 형성되어 강선(26)등으로 핸들(미도시)에 장착된 조절래버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본 고안은 빈덤프로 평지를 운행할 때에는 종래와 동일하게 후륜을 구동치 않고 전륜(前檜)구동수단으로 운행이 가능하나, 평지에서 덤프에 다량의 짐을 적제하여 운행커나 급경사로를 등반하거나 내려갈때 또는 완만한 커브길이나 급커브길의 운행 통과시에 본 고안의 구성장치가 필요한 것으로서, 우선 이동캠(4)과 고정캠(5)을 조절레버로 조정하여 상호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원동축(3)이 회동하면 원동축(3)선단의 원동체인기어(7)가 회동하여 이와체인(15)으로 연결된 피동체인기어(14)가 회동하게 된다.
피동축(10)이 회동하면 평기어(13)와 내측기어(12)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스플라인축(11)도 회동하여 기어박스(9)와 추진축(29)을 통해 후륜이 구동케 되어 전륜(全輪)구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전륜(全輪)구동수단으로 전환되면 전후륜이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을 하게 되어 동일한 하중이 미치게 되므로 안전운행과 파워운행을 할 수 있다.
즉 급경사로의 등반이 용이하고 내려올때에도 전후륜이 동일회전수로 회동케 되어 후륜의 가속으로 인한 전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급커브길을 통과코져 할시는 전륜(全輪)구동이 불편함을 느낀다.
이는 커브길 통과시에는 전륜(前輪)은 방향전환을 위하영 속도를 줄여야 하는데 후륜은 동일한 속도로 회전케 되므로 불균형이 발생하여 커브길 주행에 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장치로 전륜(全輪)구동으로 주행하다가 급커브길을 주행코져 할시는 핸들(미도시)에 장착된 조절레버를 회동시켜 이동캠(4)을 고정캠(5)으로 부터 분리되게 하면 원동축(3)의 슬리브(24)외면에 삽입된 이동캠(4)이 회전이동하여 클러치 통체(6)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클러치 통체(6)내부의 이동판(21)이 이동봉(20)과 함께 이동을 하면서 고정판(17)의 요실(18)에 탄실되어 있는 스프링(19)을 밀게되어 제2도와 같은 상태로 압축하게 되면 이동봉(20)에 삽입되어 있던 마찰판(22)들 사이에 간격이 생기면서 마찰력을 상실하게되므로 원동축(3)의 회전력이 후륜으로 전달되지 못하므로 전륜(前輪)구동으로 전환케 되는 것이다.
즉 후륜은 전륜(前輪)의 구동력으로 견인회동 되는 것인데, 동력의 차단을 커브길 주행시 계속 시행하는 것은 아니며 조절레버를 수회 조정하여 전달 또는 단축으로 전후륜의 속도와 균형을 맞추어 커브길 주행을 수행케 되는 것이다.
즉 후륜에 동력이 순간순간 단절케 되면 단절되는 순간마다 전륜(前輪)과 핸들에 부하가 격감되어 적은 힘으로서 핸들을 꺽을 수 있는 이점이 주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경운기를 사용치 않을시에는 원동축(3)과 피동축(10)의 동력전달을 차단시켜둘 필요가 있는데 이때에는 조절레버를 조절하여 스플라인축(11)의 내측기어(l2)를 평기어(13)에서 이탈시켜 놓으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륜(前輪)구동에서 오는 문제점, 즉 급경사로의 등반시 또는 내리막길 주행시의 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전륜(全輪)구동에서 오는 급커브길의 통과를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본원의 선원보다 적은 제작경비와간단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어 효과적이라 할 것이다.
이하 부수되는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본 고안이 보호받고져 하는 기술적 범위가 언급될 것이며, 간단한 수정이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의 범위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Claims (1)
- 통상의 경운기엔진(2)과 연결된 원동축(3)의 스플라인(3')에는 클러치 통체(6)내부의 고정판(17)을 삽입고정시키되, 고정판(17)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수개의 요실(18)에 탄설되어 있는 스프링(19)이 이동봉(20)을 고착하고 있는 이동판(21)을 탄지하도록 일정한(19)이 이동봉(20)을 고착하고 있는 이동판(21)을 탄지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어 결합하고 이동봉(20)으로 수개의 마찰관(22)을 삽입하여 너트(23)로 고정시키며, 클러치통체(6)외측 원동축(3)에 결합된 슬리브(24)에 작동간(25)이 고착된 이동캠(4)을 고정캠(5)과 맞물리도록 결합하며, 이 동캠(4)작동간(25)에는 조절레버와 강선(26)으로 연결하며, 원동축(3) 선단에는 원동체인기어(7)를 축설하여 엔진(2)하부 기어박스(9)와 연결된 피동축(10)의 피동체인기어(14)와 체인(15)으로 연결하며, 피동부의 스플라인축(11)에는 조절레어와 연결된 작동환(27)이 삽설된 내측기어(12)가 슬라이드 가능케 설치되고, 스플라인축(11)에는 피동축(10)의 일단이 베어링으로 축설되고 타단은 원동축(3)과 연결된 지지아암(8)의 일단이 연결되며, 동피동축(10)에는 평기어(13)가 축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의 전륜(全輪)구동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00011868U KR920006883Y1 (ko) | 1990-08-02 | 1990-08-02 | 경운기의 전륜(全輪)구동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00011868U KR920006883Y1 (ko) | 1990-08-02 | 1990-08-02 | 경운기의 전륜(全輪)구동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04259U KR920004259U (ko) | 1992-03-25 |
KR920006883Y1 true KR920006883Y1 (ko) | 1992-09-28 |
Family
ID=19301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00011868U KR920006883Y1 (ko) | 1990-08-02 | 1990-08-02 | 경운기의 전륜(全輪)구동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20006883Y1 (ko) |
-
1990
- 1990-08-02 KR KR2019900011868U patent/KR920006883Y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04259U (ko) | 1992-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499571C (en) | Bi-directional overrunning clutch for a primary drive axle | |
CN104590476B (zh) | 电力驱动车轮的传动机构以及单轮平衡车和双轮平衡车 | |
EP0311328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heel slip in a full-time four wheel drive vehicle | |
DE102014007271A1 (de) | Stufenloses Tretlagergetriebe für LEV's ( Light electric vehicles) mit integrierbarem Elektromotor | |
KR920006883Y1 (ko) | 경운기의 전륜(全輪)구동장치 | |
US3788420A (en) | Differential type driving wheels system | |
JP3499068B2 (ja) | 農業用トラクタの走行駆動装置 | |
GB2170767A (en) | Drive transmission for an overhead rail conveyor system | |
DE102013015210A1 (de) | Stufenloses Getriebe insbesondere für Fahrräder mit Elektroantrieb | |
US2967580A (en) | Composite wheel | |
US20030038437A1 (en) | Portable reverse drive | |
KR900008140Y1 (ko) | 경운기의 4륜 구동장치 | |
CA2532015A1 (fr) | Vehicule lourd | |
EP1074768A3 (de) | Blockiereinrichtung für das Antriebssystem eines landwirtschaftlichen Fahrzeugs | |
GB1570230A (en) | Device for attaching to an output shaft for preventing unwanted reverse rotation of the output shaft | |
SU686931A1 (ru) | Колесно-шагающий движитель | |
SU1733281A2 (ru) | Механизм привода колес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
CN2269979Y (zh) | 一种8+2连体后桥型变速箱 | |
KR960002705B1 (ko) | 심경정지형 보행트랙터 | |
SU644656A1 (ru) |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 |
CA1253698A (en) | Drive train for self-propelled mowers | |
US5040650A (en) | Power transmission | |
SU1661009A1 (ru) | Механизм привода колес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
KR100224358B1 (ko) | 차동제한장치 | |
FI93623B (fi) | Pyöräst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