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738Y1 - 파형관 접속용 조인트 - Google Patents

파형관 접속용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738Y1
KR920006738Y1 KR2019900003511U KR900003511U KR920006738Y1 KR 920006738 Y1 KR920006738 Y1 KR 920006738Y1 KR 2019900003511 U KR2019900003511 U KR 2019900003511U KR 900003511 U KR900003511 U KR 900003511U KR 920006738 Y1 KR920006738 Y1 KR 9200067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inner cylinder
cylinder
rigid r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35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045U (ko
Inventor
요시까즈 고바야시
다께야 사사
Original Assignee
닛또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또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filed Critical 닛또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9000035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738Y1/ko
Publication of KR9100170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0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7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7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8Joints tightened by eccentrics or rotatable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1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 F16L11/15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corrug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6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end surfaces of the pipes or flanges or arranged in recesses in the pipe ends or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형관 접속용 조인트
제1도는 파형관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제1실시예의 일부종단 측면도.
제2도는 삽입한 파형관을 죄어붙여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동일 실시예의 일부종단 측면도.
제3도는 파형관의 산의 통과에 의해 링이 원주홈으로 빠져나간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설명도.
제4도는 경사홈을 형성한 외통체의 전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파형관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종단 측면도.
제6도 삽입한 파형관을 죄여붙여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동일 실시예의 일부종단 측면도.
제7도는 강성링의 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8도는 동일 강성링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체 2 : 소경관통 구멍
3 : 통부분 4 : 대경관통 구멍
5 : 조인트 주통부분 6 : 층부분 원주홈
7 : 파형관 8 : 시일링
9 : 스토퍼 10 : 내통체
11 : 관통구멍 12 : 경사홈
13 : 핀 14 : 직선홈
15 : 강성링 16 : 원주홈
17 : 경사면 18 : 암나사
19 : 수나사
본 고안은 파형관(corrugated pipe)를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 주택등의 옥내가스 배관용 재료를 비롯한 많은 만곡배관 재료가 근래에 엘보우나 직관에서 시공하기 쉬운 파형관으로 변경되도록 되어 왔기 때문에 파형관과 배관을 접속하는 조인트가 요구되도록 되었다. 파형관은 그 외형이 뱀 배형상이기 때문에 직관에 비해서 접속이 어렵고, 이 때문에 종래의 파형관을 접속하는 조인트에 있어서는 그 내부 기구가 복잡하다.
상기한 종래의 조인트에 의하면, 접속기구가 복잡하기 때문에 취급이 번거로우며, 작업성도 나쁜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결점을 해소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경 관통구멍을 구비한 통과 대경관통 구멍을 구비한 조인트 주통과 상기 소경관통 구멍과 상기 대경관통 구멍과의 연접층에 형서오딘 원주홈 및 파형관 단면부를 걸어 맞추는 스토퍼와, 상기층 원주홈에 끼워 설치한 시일링으로 형성되는 외통체와, 사이 대경 관통구멍내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또는 회전이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고 파형관의 외경과 거의 같은 직경으로 형성된 관통 구멍과, 이 관통 구멍속의 내벽에 경사면을 갖능 원주홈이 설치되고, 이 원주홈 내에 원주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강성링이 설치되어 있는 내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외통체와 상기 내통체를 결합하였을 때 상기 경사면의 가압력으로 상기 링을 거쳐서 파형관을 소형 변형시켜 상기 시일링으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구성을 사용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 하였다.
조인트 주통의 대경관통 구멍에 끼워 맞춘 내통체를 회전시키면, 이 내통체는 축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한다.
파형관을 접속하는 경우, 상기 내통체를 회전시켜서 조인트 주통의 소경관통 구멍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두고, 이 상태에서 파형관을 내통체내에 단부가 스토퍼에 맞대일때까지 삽입한다. 파형관의 이 삽입 과정에 있어서, 내통체의 내주면에 설치한 원통홈에 끼워 맞춘 링은 파형관의 산에 의해 원심 방향으로 밀어서 넓혀지거나 골에 빠지거나 한다.
다음으로 내통체를 회전시켜, 이 내통체를 소경 관통 구멍측으로 이동시키면, 이 내통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링은 원주홈에 연접하는 경사면에 눌려서 경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파형관의 골에 결합한다. 또다시 내통체를 이동시키면, 파형관의 골에 결합한 상기 링은 상기 경사면의 가압력을 받으면서 조인트의 속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단부가 스토퍼에 걸어 맞춤되어 있는 파형관은 이동하는 링에 의해 주름(뱀 배면)이 축방향으로 눌려져서 상기 스토퍼로의 걸어 맞춤을 강고하게 함과 동시에 파형관의 골에 대한 상기 링의 걸어 맞춤도 강고하게 되어 파형관이 내통체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하여 접속을 완료한다.
또한 이때 파형관의 외주면은 시일링에 의해 말하자면 측면 시일된다.
상기 파형관의 접속 상태에 있어서 내통체를 역회전시켜 같은 통을 되돌려오면, 링에 대한 경사면의 가압력이 완만해져 링을 해방하므로 완전 해방 상태로 되었을 때에 파형관을 빼낼수가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하는 2개의 실시예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하나, 본 고안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1은 외통체이며, 이 외통체(1)는 내부에 소경관통 구멍(2)을 구비한 통(3)과 내부에 대경관통 구멍(4)를 구비한 조인트주통(5)이 각각의 구멍(2,4)을 연통시켜 형성되어 있다. 이 통(3)과 조인트주텅(5)은 실시예에서는 개별로 형성되어 있으나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소경 관통구멍(2)과 대경관통구멍(4)의 연접부에 형성한 층 원주홈(6)에는 삽압된 파형관(7)의 외주면을 시일하는 시일링(8)이 끼워 맞춤되어 있다.
또한 상기층 원주홈(6)의 근처에는 삽입한 파형관(7)의 선단부위를 맞대이게 하는 스토퍼(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대경관통구멍(4)의 내주면은 평활면에 형성되어 있다.
10은 상기 대경관통구멍(4)내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또는 원주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 맞춤된 내통체이며, 이 내통체(10)의 외주면은 평활면에 형성되고 또한 내주면에 상기 파형관(7)의 외경에 어울리는 관통구멍(1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대경관통구멍(4)을 구비한 조인트 주통(5)에는 축심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홈(12)이 형성되어 있다.
10은 상기 대경관통구멍(4)내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또한 원주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 맞춤된 내통체이며, 이 내통체(10)의 외주면은 평활면에 형성되고 또한 내주먼에 상기 파형관(7)의 외경에 어울리는 관통구멍(1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대경관통구멍(4)을 구비한 조인트 주통(5)에는 축심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통체(10)의 외주면에는 상기 경사홈(12)에 결합하는 핀(13)을 고정 설치하고, 내통체(10)를 회전시키면 핀(13)이 경사홈(12)에 가이드 되어서 회전을 수반하면서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 주통(5)에 형성한 핀 가이드용의 경사홈(12)은 그 단부에 후술하는 링의 최종 죄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조인트 주통(5)의 원주방향으로 연하는 직선홈(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내통체(10)의 내주면에는 파형관(7)의 외주면골에 결합이 가능한 코일 스프링에 의해 형성된 강성링(15)(제7도 참조)을 끼워 맞춤하는 원주홈(16)과, 이원주홈(16)의 일부에는 원주 홈(16)에 끼워 맞춤한 상기 강성링(15)을 구심 방향으로 비스듬이 가압하고, 이 강성링(15)으로 하여금 상기 내통체(10)내에 삽입한 파형관(7)의 외주면 주름(뱀 배면)을 축방향으로 눌려 찌그러지는 경사면(1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강성링(15)에 대신해서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강성링(15')을 채용할 수가 있다. 이 강성링(15')은 원주 길이를 축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마개 원형의 링을 소요칫수 w만큼 절제한 구조로 원심방향에서 가압력을 가하면 선지름 r을 변하지 않고 직경(내경) R을 축소하며 이 축소시에 파형관의 외주면 주름은 축심 방향으로 가압되어서 이 강성링(15')에 보다 주름이 눌려진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조인트 주통(5)의 대경관통 구멍(4)에 끼워 맞춤된 내통체(10)를 회전시키면 내통체(10)에 고정 설치한 핀(13)이 상기 조인트 주통(5)에 형성된 경사홈(12)에 의해 안내되고 회전을 수반하면서 축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한다.
파형관(7)을 접속하는 경우 먼저 상기 내통체(10)를 회전시켜서 소경관통구멍(2)에서 멀어지는 방향(제1도 좌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 상태에서 내통체(10)내에 파형관(7)을 삽입한다. 이때 내통체(10)의 내주면에 형성한 원주홈(16)에 끼워 맞춤되어 있는 강성링(15)은 파형관(7)의 산에 의해 원심 방향으로 눌려 넓혀져서 파형관(7)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제3도 참조). 이 파형관(7)의 삽입은 그 선단 부위가 소경관통 구멍(2)과 대경관통 구멍(4)의 층 원주홈(6)의 근처에 설치한 스토퍼(9)에 결합 될 때까지 계속된다. 파형관(7)의 선단 부위가 상기 스토퍼(9)에 결합하면, 스패너등의 적절한 공구를 사용해서 내통체(10)를 회전시킨다.
이 내통체(10)는 그 자신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원주홈(16)내에 끼워 맞춤되어 있는 강성링(15)을 경사면(17)에 가압하여 파형관(7)의 골에 결합한다. 또한 내통체(10)를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시키면, 파형관(7)의 골에 결합한 링(14)은 상기 경사면(17)에 의해 구심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이동하므로 강성링(15)은 파형관(7)의 골을 가압하여, 그 사이 선단 부위가 상기 스토퍼(9)에 걸어 맞춤되어 있는 파형관(7)은 이동하는 상기 강성링(15)에 눌려서 그 외주면 주름이 축방향으로 눌려 찌그러지며, 다른 편에 있어서 상기 강성링(15)은 이 골과 경사면(17)사이에 강교하게 끼워진 상태로 되므로 내통체(10)측의 핀 (13)이 조인트 주통(15)측의 경사홈(12)의 직선부(14)에 달했을 때에 파형관(7)은 완전하게 접속되고 일찍 내통체(10)에 빠져나가는 일이 없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하여, 내통체(10)내에 삽입되어 접속된 파형관(7)은 그 선단 외주면이 시일링(8)에 의해 말하자면 측면 시일된다.
제5도, 제6도는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점은 조인트 주통(5)과 내통체(10)와의 결합 수단이며, 내통체(10)를 조인트 주통(5)에 대해서 회전이 가능하고, 또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조인트 주통(5)의 내주면에 암나사(18)를 내통체(1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19)를 각각 형성하고, 양자(5, 10)가 나사식 끼워 맞춤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내통체(10)를 조인트주통(5)내에 진입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실시예와 같이 강성링(15)으로 파형관(7)의 주름을 눌러서 이 조인트와 파형관(7)의 접속을 완료하여, 역방향으로 내통체(10)를 회전하면 강성링(15)은 파형관(7)을 해방하여 파형관(7)은 내통체(10)에서 용이하게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 내통체(10)의 외주면에 록 너트를 끼워 맞춤하여 파형관(7)의 접속을 상기하는 바와 같이 하여 완료한 후에, 이 록 너트를 조인트 주통(5)의 단면에 끼우므로서 내통체(10)의 완만함을 더욱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해 내통체내에 삽입한 파형관을 접속할 때, 이 내통체를 회전시키므로서 파형관의 주름을 축방향으로 눌러서 강성링에 의해 걸어 맞춤 상태를 유지하므로 파형관의 빠짐을 불변적으로 방지되고, 파형관을 확실하게 접속 상태로 할 수가 있다. 더욱이 파형관의 접속 고정은 단지 내통체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한 조작으로 행할수가 있으므로 행할수가 있으므로 취급이 용이하며 작업성이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내부 구성이 간단하므로 유체 누설을 일으키는 원인을 해소할 수가 있고 제조가 용이하고 염가로 제공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한 단부에 설치된 소경 관통구멍(2)과, 상기 소경관통구멍(2)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파형관(7)의 단면부를 걸어맞추는 스토퍼(9)와, 파형관(7)의 외주면을 시일하는 시일링(8)을 구비한 외통체(1)와, 상기 파형관(7)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고 외주면에 핀(13)이 돌출 설치된 내통체(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통체(1)에는 상기 내통체(10)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핀을 가이드 하는 경사홈(12)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경사홈에 통체의 원주방향을 향하여 연장하는 직선홈(14)을 연달아 설치한 파형관 접속용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10)의 내주면에는 반경이 축소가능한 강성링(15)을 끼워 맞추는 원주홈(16)과 상기 강성링을 구심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경사면(17)을 형성하고, 상기 외통체(1)와 상기 내통체(10)를 결합하고 상기 내통체측에 설치한 강성링을 상기 외통체의 스토퍼(9)와 축방향의 거리로 접근 시키므로서 상기 경사면(17)에서 축경하는 강성링(15)을 파형관(7)의 주름에 바깥 방향으로부터 걸어 맞추고 상기 강성링으로 파형관(7)을 내통체의 핀(13)이 경사홈(12)의 가장 깊은 안쪽의 직선홈(14)에 도달하여 상기 강성링(15)의 최종 죄어 붙임 상태를 유지하게 되기까지 축방향으로 가압하는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접속용 조인트.
KR2019900003511U 1990-03-26 1990-03-26 파형관 접속용 조인트 KR9200067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3511U KR920006738Y1 (ko) 1990-03-26 1990-03-26 파형관 접속용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3511U KR920006738Y1 (ko) 1990-03-26 1990-03-26 파형관 접속용 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045U KR910017045U (ko) 1991-10-28
KR920006738Y1 true KR920006738Y1 (ko) 1992-09-26

Family

ID=19297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3511U KR920006738Y1 (ko) 1990-03-26 1990-03-26 파형관 접속용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7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045U (ko) 199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42302Y2 (ko)
US5080405A (en) Corrugated pipe coupling
AU709285B2 (en) Fluid couplings
KR910008123Y1 (ko) 관 접속기구
US5090741A (en) Hose end fitting
US4639019A (en) Luer connection
US4072328A (en) Pipe couplings
US3815940A (en) Joint for smooth end or flareless pipe
TW351745B (en) Resin pipe connector
JPH0339674Y2 (ko)
US20120049509A1 (en) Secondary contained csst pipe and fitting assembly
KR920001118A (ko) 파형 파이프 및 호스용 결합장치
US4223919A (en) Device for coupling hose, pipe or the like
US5503437A (en) One-piece coupler for connecting hoses
JPH0668346B2 (ja) コルゲート管接続用継手
US3532365A (en) Coupling
KR920006738Y1 (ko) 파형관 접속용 조인트
EP0995937B1 (en) Fluid coupling having stepped synchronised threads
JPH0339675Y2 (ko)
US3853339A (en) Coupling
US4191406A (en) Quick acting coupling
US3197242A (en) Coupling
AU711022B2 (en) A pipe coupling
US3228713A (en) Pressure sealed and locked pipe and hose coupling
JPS5914675B2 (ja) 流体管の継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