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172Y1 - 마스크판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판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172Y1
KR920006172Y1 KR2019900008384U KR900008384U KR920006172Y1 KR 920006172 Y1 KR920006172 Y1 KR 920006172Y1 KR 2019900008384 U KR2019900008384 U KR 2019900008384U KR 900008384 U KR900008384 U KR 900008384U KR 920006172 Y1 KR920006172 Y1 KR 920006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sk
fabric
ben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83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341U (ko
Inventor
이해열
Original Assignee
이해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열 filed Critical 이해열
Priority to KR20199000083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172Y1/ko
Publication of KR9200003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3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1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스크판의 제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공정도로서 제조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에서 마스크판의 제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서 마스크판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조부에서 수직절첩부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로서 (a)도는 분리된 상태도, (b)도는 결합된 상태의 측면예시도.
제5도 (a)(b)(c)는 본 고안의 요부인 수직절첩부의 A-A, B-B, C-C부분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조부에서 요부인 수평전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제7도는 (a)(b)(c)(d)는 본 고안의 요부인 수평전환부의 전환과정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1" : 로울러 2 : 원단
3 : 중첩부 3' : 절곡부
4 : 열융착땀 5, 5' : 전열선
6 : 전열로울러 7 : 제1제어박스
8. 8' : 제1조정핸들 9, 9' : 제2조정핸들
10 : 조절레바 11 : 융착톱니로울러
11' : 축작공 12 : 구동휠
12' : 구동축 13, 13' : 벨트
14 : 이동로울러 15 : 절단기
15' : 승강로드 16 : 탈리로울러
16' : 탈리변 17 : 제2제어박스
18 : 수집통 19 : 전열로울러
20 : 수직절첩부 21 : 상판
22 : 하단 21' : 절첩유도판
22 : 삼각유도판 30 : 수평전환부
31 : 상판 32 : 하판
31', 32' : 전환유도변 33 : 절곡유도변
본 고안은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판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스크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원단의 중앙 부분을 길이방향으로 다중으로 중첩시키고, 양 가장자리는 직조부가 풀리거나 헤지지 않도록 2단으로 매입절곡시켜 절곡된 부분을 열융착시킨 다음 적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마스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스크판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이 제조된 마스크는 마스크를 착용할때 다중으로 중첩된 중앙부분이 상, 하로 확개되어 코등에서부터 턱부분까지 완전히 덮어주도록 된 것이 특징이며 주로 의료센터나 연구소등에서 사용되는 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혼히 사용되고 있는 종래 마스크의 원판은 가장자리와 중앙부의 폭이 일률적으로 동일한 평판형천으로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마스크를 착용할때에 마스크판이 크와 입부분만을 겨우 덮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종래의 마스크는 폭이 항상 일률적으로 동일하게된 것이기 때문에 마스크판을 제조하기 위한 특별한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마스크판 제조용 원단을 캇터에 의하여 일정한 길이로 극히 단순하고 단편적으로 절단하여 주는 정도의 장치이면 족하였으며, 이와같이 종래의 장치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는 주로 일반인을 소비자의 대상으로 하고 있을 뿐이다.
또, 본 고안에서 제조된 마스크판과 같이 중앙부분이 중첩된 형태의 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하여서는 마스크판 제조용 원단을 일단 절단한 다음 절단부의 양단을 봉착할때의 수공작업에 의해 적당한 폭만큼씩 절첩하면서 봉착하게 되는데 좌, 우양단을 절첩하면서 봉착할때에 좌, 우 동일한 폭만큼씩만을 절첩하여야되나 거의 추측에 의존하면 절첩봉착하기 때문에 좌, 우측의 상호절첩폭이 펀차가 생겨 봉착된 마스크판이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되며 또 상당한 기능을 요할뿐만아니라 수공에 의존하기 때문에 너무 많은 시간 인력의 낭비에도 불구하고 생산량이 극히 적어 비능률적이며 상대적으로 제조원가를 터무니 없이 상승시키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중앙 중첩형 마스크판을 자동화에 의해 대량 생산하고 인력과 시간을 극소화함에도 불구하고 최대의 능률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특히 원단에서 상, 하양측의 가장자리까지도 조직된 부분이 헤지거나 풀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2단으로 매입절곡시킨다음 절곡된 부분에 열융착까지하여 절대적으로 풀려지지 않도록 하고 제조과정에서 열로울러에 의해 깔끔하게 다리미질까지 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단(2)이 수직절첩부(20)를 통과하여 수직의 다중으로 중첩부(3)를 형성하고, 수평전환부(30)를 통과하면서는 중첩부(3)가 수평전환되면서 양단이 매입 절곡되어 절곡부(3')를 형성하며, 전열로울러(6)에 의해 압착 1차 다리미질하고, 양단의 절곡부(3')가 한쌍의 융착톱니로울러(11)에 의해 열융착땀(4)이 형성되면서 융착되고, 다시 전열로울러(19)에 의해 압착 2차 다리미질 한 다음 절단기(15)에 의해 동일한 길이로 절단하도록하되, 수직절첩부(20) 는 상판(21) 의 절첩유도판(21') 과 하판(22)의 삼각유도판(22')을 맞물려지도록 교호로 형성하되 입구는 넓고 출구는 좁게하여 원단(2)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적정한 간격을 유지토록하고, 수평전환부(30)는 입구는 넓고 출구는 좁게 형성하되 상판(31)과 하판(32)에는 방향전환 유도판(31')(32')이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교호로 맞물려지고 하판(32)의 양단에는 절곡유도변(33)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공정도로서 마스크판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상세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서 마스크판의 제조부를 보여준 상태이고, 제3도는 제조된 마스크판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를 보여준 상태도이다.
로울러(1)(1')(1")에 각각 회권되어 있는 마스크판 제조원단(2)은 3중으로 중첩되면서 수직절첩부(20)에 인입된다.
수직절첩부(20)에 인입된 원단(1')은 제4도 (a)에 도시된 바와같은 장치에 의하여, 제4도 (b) 및 제5도(a)(b)(c)에 도시된 바와같은 과정을 거치게된다.
원단(2)이 수직절첩부(20)의 선단(A)에 인입되면 제5도 (a)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단(2)이 상판(21) 및 하판(22)의 절접유도판(21') 및 삼각유도판(22')의 가장 낮은 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되며, 원단(2)이 통과하여 중간(B) 지점에 오면 제5도(b)에 도시된 바와같이 약간 상승된 하판(22) 삼각유도판(22')에 의해 중간크기의 상하로 절첩되며, 출구쪽(C) 지점에 이르러서는 하판(22)의 삼각유도판(22')이 최대로 되어 원단(2)의 중앙부분은 완전환 절첩부(3)를 형성한 상태로 되어 배출된다. 수직절첩부(20)에서 절첩부(3)가 형성된 원단(2)은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수평전환부(32)에 인입되는데, 수평전환부(32)는 절첩부(3)를 수직에서 수평으로 전환시키고 양측단부를 2단으로 매입되도록 하는것이 특징이다.
수평전환부(30)의 입구(A)에 인입된 원단(2)은 절첩부(3)가 수평전환부(30)의 상판(31)과 하판(32)의 방향 전환유도판(31')(32') 사이에 인입되며 그 상태가 제7도 (a)에 도시되어 있다.
(B) 지점에 인입되면 제7도 (b)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첩부(3)는 방향 전환유도판(31')(32')에 의해 차차 경사지게 방향전환되고 원단(2)의 양측단부는 절곡유도변(33)에 의해 유도되면서 차차 절곡부(3')를 형성하는 상태에 진입된다.
(C) 지점에 이르러서는 절첩부(3)는 더욱더 경사진 상태로 변환되며 절곡부(3')는 2단 절곡된 상태로 유지하게되며, 출구(D)지점에 이르러서는 절첩부(3)는 방향전환유도판(31)(32')에 의해 완전히 수평상태로 변환되고 절곡부(3')도 양단이 매입되는 2중절곡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된 상태에서 수평전환부(30)를 벗어난 원단은 제1제어박스(7)에 연결되어 전열선(5)에 의해 온도가 제어되는 전열로울러(6)와 한쌍의 융착 톱니로울러(1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되는데, 전열로울러(6)는 절첩부(3)가 수평상태가 되고 양측의 절곡부(3')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압착하면서 열에 의해 제1차 다리미질을 하여주게 된다.
전열로울러(6)를 통과한 다리미질이 된 원단(2)은 한쌍의 융착톱니 로울러(11)를 통과하게 되는데 융착톱니로울러(11)는 제1제어박스(7)의 전열선(5)에 연결되어 융착열을 통제받게 된다.
원단(2) 양측의 절곡부(3')가 융착 톱니로울러(11)를 통과하게 되면 톱니의 융착열에 의해 절곡부(3')에 열융착땀(4)이 형성되면서 절곡부(3')를 융착시키게 되며, 이와같이 된 원단(2)을 제2제어박스(17)에 의해 발생열이 제어되는 전열로울러(19)에 의해 압착하면서 제2차 다리미질을 실시된후 승장로드(15')에 의해 수직선상을 승강하는 절단기(15)로서 동일한 길이로 절단되어 마스크판을 제조하게 되며 절단된 마스크판은 수집통(18)에 수집하여 다음 공정으로 옮기면 된다.
그런데 절단기(15)는 동력원(도시하지 아니함)과 연결되어 있는 벨트(13)에 의해 구동휠(12)이 회전되면 구동휠(12)의 구동축(12')과 동일축으로 축착된 휠이 회전하면서 승강로드(15')를 상,하로 작동시켜 줌으로써 원단(2)을 절단하게 된다.
일단 절단된 마스크판(2')은 구동휠(12)의 동력을 벨트(13')에 의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탈리로울러(16)가 회전함으로써 탈리변(16')이 마스크판(2')을 외부로 밀어 수집통(18)내부에 인입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판(2')은 중간부분이 다중으로 중첩된 상태이기 때문에 완성된 마스크를 착용할때에는 중첩부(3)가 확개되어 안면을 덮어주는 면적을 넓게하여 주게 특징으로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특징으로 갖는 마스크판을 제조하도록 된 본 고안은 마스크판을 자동으로 대량생산할 수 가 있어서 단위시간당 생산성 향상을 기할수가 있어서 원가를 현저하게 절감시키고, 불필요한 인력을 배제할 수 있으며 마스크의 전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된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원단(2)이 수직절첩부(20)를 통과하여 수직의 다중으로 중첩부(3)를 형성하고, 수평전환부(30)를 통과하면서 중첩부(3)가 수평전환되면서 양단이 매입 절곡되어 절곡부(3')를 형성하며, 전열로울러(6)에 의해 압착 1차 다리미질하고, 양단의 절곡부(3')가 한쌍의 융착톱니로울러(11)에 의해 열융착땀(4)이 형성되면서 융착되고, 다시 전열로울러(19)에 의해 압착 2차 다리미질 한 다음 절단기(15)에 의해 동일한 길이로 절단하도록 하되, 입구는 넓고 출구는 좁게하여 원단(2)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적정한 간격을 유지토록하고, 수평전환부(30)는 입구는 넓고 출구는 좁게 형성하되 상판(31)과 하판(32)에는 방향전환 유도판(31')(32')이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교호로 맞물려지고 하판(32)의 양단에는 절곡유도변(33)을 형성하여서 된 마스크판의 제조장치.
KR2019900008384U 1990-06-14 1990-06-14 마스크판의 제조장치 KR920006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8384U KR920006172Y1 (ko) 1990-06-14 1990-06-14 마스크판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8384U KR920006172Y1 (ko) 1990-06-14 1990-06-14 마스크판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341U KR920000341U (ko) 1992-01-27
KR920006172Y1 true KR920006172Y1 (ko) 1992-09-17

Family

ID=19299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8384U KR920006172Y1 (ko) 1990-06-14 1990-06-14 마스크판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17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225B1 (ko) * 2005-05-17 2006-02-08 김태규 방진마스크의 절곡와이어 공급 및 테두리 접지장치
KR102173710B1 (ko) * 2020-07-31 2020-11-03 주식회사 폴리쉘 마스크의 걸이끈 고정방법
KR20220061649A (ko) * 2020-11-06 2022-05-13 (주)그린텍 마스크 제조 장치
KR20220161791A (ko) * 2021-05-31 2022-12-07 정덕화 덴탈 마스크 상하 평행 주름 부가 장치
KR20230046332A (ko) * 2021-09-29 2023-04-06 노경일 마스크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4461B2 (ja) * 2000-01-24 2006-09-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マス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225B1 (ko) * 2005-05-17 2006-02-08 김태규 방진마스크의 절곡와이어 공급 및 테두리 접지장치
KR102173710B1 (ko) * 2020-07-31 2020-11-03 주식회사 폴리쉘 마스크의 걸이끈 고정방법
KR20220061649A (ko) * 2020-11-06 2022-05-13 (주)그린텍 마스크 제조 장치
KR20220161791A (ko) * 2021-05-31 2022-12-07 정덕화 덴탈 마스크 상하 평행 주름 부가 장치
KR20230046332A (ko) * 2021-09-29 2023-04-06 노경일 마스크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341U (ko) 199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6172Y1 (ko) 마스크판의 제조장치
EP0205852B1 (en) Zipper equipped bags and method of and means for manually filling and separating them
CA2034867A1 (en) Filter insert formed as a pleated pack and a process for its production
EP0300209A3 (en) Seam welding machine for thermoplastic material
CA2030667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leated filter insert
ITTO960163U1 (it) Macchina ad uso domestico per la fabbricazione, il taglio e la confor- mazione di paste alimentari
IN176386B (ko)
US2555409A (en) Heat sealed ruffled article
GB8811769D0 (en) Improvements in & relating to manufacture of wire binding elements
CA1300954C (en) Multiple seam forming apparatus for continuously running web
CN211870963U (zh) 一种服饰布料分切装置
US2666472A (en) Apparatus for making heat sealed ruffled articles
ES8600712A1 (es) Perfeccionamientos en los aparatos de fabricacion contina de elementos de acoplamiento para cierres de cremallera
US4406849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slide fastener coupling elements
CN207973871U (zh) 一种改善坯布毛边品质的装置
CN220450543U (zh) 无线窗帘粘合机构
CN217733367U (zh) 一种平膜扁丝拉丝机用牵引装置
CN218701370U (zh) 一种用于帽带机的烫料装置
CN209718783U (zh) 一种塑料编织袋生产用热压装置
CN212895335U (zh) 一种用于压边的呵筒
CN220183601U (zh) 一种高弹透气的涤纶面料定型装置
US2308850A (en) Combined apparatus for welding and sizing tubes
US4863077A (en) Automatic stretchers of sleeves of knitted garments and the like for ironing machines
CN210477789U (zh) 一种折框机
CN215970166U (zh) 一种密封性好的防护服生产加工用防水压胶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