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985Y1 - 수조가 부착된 양변기의 자동 수세 장치 - Google Patents

수조가 부착된 양변기의 자동 수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985Y1
KR920005985Y1 KR9207683U KR920007683U KR920005985Y1 KR 920005985 Y1 KR920005985 Y1 KR 920005985Y1 KR 9207683 U KR9207683 U KR 9207683U KR 920007683 U KR920007683 U KR 920007683U KR 920005985 Y1 KR920005985 Y1 KR 9200059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motor
capacitor
sc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76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식
Original Assignee
김윤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90004651A external-priority patent/KR900016557A/ko
Application filed by 김윤식 filed Critical 김윤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KR92076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985Y1/ko
Publication of KR9200059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9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조가 부착된 양변기의 자동 수세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럭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상세회로도 및 계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적외선 감지 센서 2 : 디코더(Decoder)회로
3 : 스위칭 회로 4 : 제어부
5 : 모터구동부 6 : 모터(MOTOR)
7 : 감속장치 8 : 크랭크축
9 : 레버 10 : 밸브
11 : 밸브구동장치 R1-R15: 저항
C1-C5: 콘덴서 Q1-Q4: 트랜지스터
SCR : 다이리스터 IC1-IC3: 타이머회로
Vcc : 전원 SW1-SW2: 리미트 스위치
본 고안은 양변기의 수조에 저장된 물을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적외선 감지센서에 의해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고 이의 신호로서 모터를 동작시켜 밸브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일정시간동안 자동으로 물을 배출되게 하는 수조가 부착된 양변기의 자동수세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조가 부착된 일반적인 양변기는 사용시에 물을 배출시키기 위해서 인위적으로 배출 레버를 동작시켜야 밸브가 개폐되므로 이는 레버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레버에 눈이 향하게 되면 오물도 동시에 시야에 들어오게 도어 불쾌감을 줄뿐만 아니라 변기사용자가 레버를 작동시키지 않고 나오게 되면 오물은 변기에 그대로 방치되는 등 레버의 인위적인 작동으로 인한 번거로움이나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많았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외선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인체의 접근 유무를 간파하고, 감지범위에서 벗어나면 제어부에서 모터를 구동시켜 일정시간 동안 수조의 밸브를 자동으로 개폐하여 양변기를 세척할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므로서, 수조가 부착되는 양변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편리함과 오물을 위생적으로 처리하고자 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가진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센서(1)를 디코더회로(2)에 접속하고 이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저항(R1-R7)과 트랜지스티(Q1-Q3)및 콘덴서(C1)로 이루어진 스위칭회로(3)를 디코더회로(2)의 출력단에 연결하며, 스위칭회로(3)의 출력단은 타이머회로(IC1IC2)와 콘덴서(C2-C4) 및 저항(R8-R15)으로 구성되는 제어부(4)에 접속하되 스위칭회로(3)의 트랜지스터(Q3) 콜렉터측은 콘덴서(C2)를 통하여 저항(R8) (R9)과 타이머회로(IC1)에 연결하는 한편 상기 출력신호는 저항(R10)을 거쳐 모터구동부(5)인 다이리스터(SCR)의 게이트단에 접속하며 저항(R12) (R13)이 연결되는 타이머회로(IC2)에는 밸브구동부(11)의 감속장치(7)가 회전되므로서 접촉되는 리미트스위치(SW2)를 연결하고, 또한 상기 타이머회로(IC2) 출력신호는 모터구동부(5)의 트랜지스트(Q4) 베이스측에 인가하며 콜렉터단에는 마이리스터(SCR)의 애노도에 접속함과 동시에 콘덴서(C5)를 거쳐 다이리스터(SCR)의 게이트단에 연결되도록 하고, 또한 캐소드에는 모터(6)의 일측에 접속하며 상기 모터(6)의 타측단자에는 리미트스위치(SW1)를 연결하는 한편 감속장치(7)에는 밸브(10)를 개폐시킬수 있는 크랭크축(8)과 레버(9)를 장착하여서 이루어진 수조가 부착된 양변기의 자동수세장치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록도로서 각 블록별 기능을 살펴보면,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고 감지범위를 벗어나는 순간 신호를 출력하는 적외선감지센서(1)와 이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특정신호를 보내는 디코더회로(2) 그리고 디코더회로(2)에서 출력되는 미약한 신호를 증폭시킬수 있는 스위칭회로(3)가 포함되며 제어부(4)는 스위칭회로(3)에는 입력되는 신호를 받아 타이머회로(IC1-IC2)에 설정된 시간동안 밸브(10)를 개폐시키는 신호를 모터구동부(5)로 전달하고 밸브구동부(11)는 모터(6)의 회전을 감속하여 수조에 저장된 물이 완전히 배출될수있도록 되어 있다.
제2도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원(Vcc)이 인가되어 저항(R12) (R13)에 의해 분활되어도 리미트스위치(SW2)가오프(OFF)되어 타이머회로(IC2)에 트리거신호를 인가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타이머회로(IC2)에서 출력되는 "하이(HIGH)"신호가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도통상태가 되므로서 전원(Vcc)은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에서 콜렉터로 흘러 다이리스터(SCR)에 인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양변기를 사용하게되면 적외선감지센서(1)에서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고 있다가 사용완료후 인체가 감지범위를 벗어나는 순간 특정신호가 디코더회로(2)에 인가되어 적외선 감지센서(1)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이 스위칭회로(3)의 저항(R1)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이 스위칭회로(3)의 저항(R1)을 거쳐 트랜지스터(Q1)베이스에 입력되어 도통상태로 되므로서 각 트랜지스터(Q2-Q3)가 턴온(TURN ON)되어져 제어부(4)를 동작시키기 위해 적절하게 증폭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3)에 의해 최종 증폭된 신호는 제어부(4)의 콘덴서(C2)를 거쳐 타이머회로(IC1)에 트리거신호가 가해지면 상기 타이머회로(IC1)에서 출력되는 "하이(HIGH)"신호가 저항(R10)를 통하여 다이리스터(SCR)의 게이트단자에 입력되어 트리거상태로 만들게 되면 콘덴서(C5)를 거쳐 다이리스터(SCR)의 애노드의 재차 입력되어 트랜지스터(Q4)에 인가 되어진 전압이 다이리스터(SCR)의 통하여 모터(6)에 전달되므로서 회전을 시작하게된다.
이때 밸브(9)의 개폐속도를 적정하게 하기 위해 감속장치(7)를 사용하며 감속장치(9)에 장착된 크랭크축(8)은 모터(6)가 구동하기전의 위치 즉 a점에 있게 되어 리미트스위치(SW1)은 온(ON)상태가 되므로서 모터(6)가 구동할수 있는 폐회로가 구성되어 진다.
다이리스터(SCR)가 동작되어 모터(6)가 구동하므로서 감속장치(7)가 회전하게 되면 크랭크축(8)이 동시 회전하고 따라서 레버(9)가 상승되어 밸브(10)를 개방되기 시작하며 감속장치(7)가 회전하여 크랭크축(8)이 b점에 도달하게 되면 밸브(10)는 최대로 개방되어 수조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게 된다.
이때 크랭크축(8)이 b점에 도달하는 순간 리미트스위치(SW2)가 온(ON)되어 타이머회로(IC2)에 트리거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상기 타이머회로(IC2)의 출력신호는 내부적으로 설정된 시간동안 "로우(LOW)"로 전환하여 출력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신호는 트랜지스터(Q4)를 차단시키게 되며 따라서 다이리스터(SCR)의 애노도에 주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므로서 모터(6)의 회전이 중지하게 된다.
이때의 시점은 밸브(10)가 최대로 열린 상태이므로 수조에 저장된 물이 완전히 배출되어 양변기가 세척될수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갖게되며 타이머회로(IC2)에 설정된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타이머회로(IC2)의 설정시간이 완료되면 상기 회로의 출력단이 "하이"신호로 반전되어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인가되면 제차 턴온되므로서 다이리스터(SCR)에 주전원이 공급되고 콘덴서(C5)의 설정용량만큼 다시모터(6)를 구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감속장치(7)도 회전을 계속하므로서 크랭크축(8)이 동시 회전하면 레버(9)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여밸브(10)가 닫히게 된다.
이때 크랭크축(8) 이 원래의 상태 즉 a지점에 도달하는 순간 리미트 스위치(SW1)는 일시적으로 오프되어 다이리스터(SCR)의 동작을 차단시켜 모터(6)의 구동이 정지하게 되며 이 시점이 밸브(10)가 완전히 닫힌 위치가됨과 동시에 적외선감지센서(1)의 다음 신호를 대기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은 수조가 부작된 양변기를 사용완료후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적외선 감지센서(1)를 사용하여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고 이의 신호에 의해 제어부(4)에서 모터(6)를 회전시켜 밸브(10)를 개폐하여 자동으로 물을 양변기에 공급할수 있음은 물론 타이머회로(IC2)에 의해 밸브(1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일정시간동안 모터(6)의 회전을 정지시키므로서 수조에 저장된 물이 완전히 배출될수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수동조작으로 인한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없애고 양변기의 위생적인 처리에 크게 기여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센선(1)를 디코더회로(2)에 접속하고 이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자동수세식양변기에 있어서 저항(R1-R7)과 트랜지스터(Q1-Q3) 및 콘덴서(C1)로 이루어진 스위칭회로(3)를 디코더회로(2)의 출력단에 연결하며 스위칭회로(3)의 출력단은 타이머회로(IC1-IC2)와 콘덴서(C2-C4) 그리고 저항(R8-R15)으로 구성되는 제어부(4)에 접속하되 스위칭회로(3)의 트랜지스터(Q3) 콜렉터측은 콘덴서(C2)를 통하여 저항(R8) (R9)과 타이머회로(IC1)에 연결하는 한편 상기 출력신호는 저항(R10)을 거쳐 모터구동부(5)인 다이리스터(SCR)의 게이트단에 접속하며 저항(R12) (R13)이 연결되는 타이머회로(IC2)에는 밸브구동부(11)의 감속장치(7)가 회전되므로서 접촉되는 리미트스위치(SW2)를 연결하고 또한 상기 타이머회로(IC2)출력신호는 모터구동부(5)의 트랜지스터(Q4) 베이스측에 인가하며 콜렉터단에는 다이리스트(SCR)의 애노드에 접속함과 동시에 콘덴서(C5)를 거쳐 다이리스터(SCR) 게이트단에 연결되도록 하고 또한 캐소드에는 모터(6)의 일측에 접속하며 상기 모터(6)타측 단자는 리미트스위치(SW1)를 연결하는 한편 감속장치(7)에는 밸브(10)를 개폐시킬수 있는 크랭크축(8)과 레버(9)를 장착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가 부착된 양변기의 자동수세장치.
KR9207683U 1989-04-08 1992-08-27 수조가 부착된 양변기의 자동 수세 장치 KR9200059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7683U KR920005985Y1 (ko) 1989-04-08 1992-08-27 수조가 부착된 양변기의 자동 수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4651A KR900016557A (ko) 1989-04-08 1989-04-08 수조가 부착된 양변기의 자동 수세 장치
KR9207683U KR920005985Y1 (ko) 1989-04-08 1992-08-27 수조가 부착된 양변기의 자동 수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651A Division KR900016557A (ko) 1989-04-08 1989-04-08 수조가 부착된 양변기의 자동 수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985Y1 true KR920005985Y1 (ko) 1992-08-27

Family

ID=26628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7683U KR920005985Y1 (ko) 1989-04-08 1992-08-27 수조가 부착된 양변기의 자동 수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9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9315A (en) Electrically opening and closing faucet device
KR920005985Y1 (ko) 수조가 부착된 양변기의 자동 수세 장치
JP3011665B2 (ja) 洗濯機のランプ駆動制御装置及び方法
KR920005984Y1 (ko) 수조가 부착된 양변기의 자동 수세 장치
KR920007244B1 (ko) 양변기의 자동수세장치
US3650435A (en) Photoelectric controlled dispenser
KR950005595Y1 (ko) 양변기의 자동수세장치
KR19990035066U (ko) 절수형좌변기의자동세척장치.
KR200175351Y1 (ko) 양변기의 자동 배수 제어장치
KR970004172Y1 (ko) 절수형 좌변기 자동세척장치
JPH075339Y2 (ja) ラッチングタイプの給水制御装置
JPS6211301B2 (ko)
KR850001550Y1 (ko) 급수전의 스위칭 장치
KR920002796Y1 (ko) 샤워기 밸브 자동개폐장치
JP2585367B2 (ja) 水洗便所の節水装置
KR0122450Y1 (ko) 좌변기의 자동 물 내림장치
JPH0330451Y2 (ko)
KR200405763Y1 (ko) 자동 물내림 및 절수 기능이 구비된 비데 장치
JP2723804B2 (ja) 押ボタン型小便器用自動水洗器
KR920002794Y1 (ko) 샤워기 밸브 자동개폐장치
JP2590352Y2 (ja) 自動水栓装置
JPH0330450Y2 (ko)
KR900016557A (ko) 수조가 부착된 양변기의 자동 수세 장치
JP3841586B2 (ja) パワーウインド制御装置
JP3362377B2 (ja) 電動便座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