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836Y1 - 모노 서라운드 믹싱회로 - Google Patents

모노 서라운드 믹싱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836Y1
KR920005836Y1 KR2019890018305U KR890018305U KR920005836Y1 KR 920005836 Y1 KR920005836 Y1 KR 920005836Y1 KR 2019890018305 U KR2019890018305 U KR 2019890018305U KR 890018305 U KR890018305 U KR 890018305U KR 920005836 Y1 KR920005836 Y1 KR 9200058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
amplifier
input type
capacitor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83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580U (ko
Inventor
이용원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83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836Y1/ko
Publication of KR9100135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5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8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8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5/00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Broadcasting Method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노 서라운드 믹싱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상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1-R6 : 저항 C1-C7 : 콘덴서
OP1-OP2 : OP앰프 Vcc : 공급 전원 단자
A10 : BBD 집적회로 A20 : 잡음 제거 회로
본 고안은 텔레비젼의 모노, 스테레오 방송에 있어서, 모노 방송시 스피커를 통해 전달 되어질때 B형 잡음제거 및 디코더 지연 회로에 의한 음성신호의 피드백량과 딜레이 타임을 조정되게하여 실제의 모노 방송에 대한 홀 서라운드 효과를 얻을수 있도록 한 모노 서라운드 믹싱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수상기(음향기기 포함)에는 음성전달 방법에 따른 스테레오 방식과 모노 방식으로 구분되어지나 특정한 방송을 제외한 모든 음성신호는 모노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모노 방식 음성회로가 부여되어 있다.
이에 대한 통상의 텔레비젼의 모노 방식 음성회로는 안테나 로부터 수신된 방송신호가 튜너부를 통해 중간주파 증폭기, 디텍터, 매트릭스, 콘트롤부, 증폭부 및 스피커로 전달 되어져 화면의 동작 상태에 따른 음성신호를 들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통상 전기한 구성수단으로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특정한 방송을 제외한 모든 음성신호를 모노 방식에 의해 청취하게 됨으로 인하여 결국 모노 방식이 스테레오 방송에 비해 음향효과 및 현장감이 없는 매우 단조로운 방송 수단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실제 모노 방송이지만 스테레오 방송처럼 느낄수 있도록 한 목적으로 자사로부터 의사 스테레오 회로에 대한 실용신안 제 87-5808호를 선출원 한바 있다.
이의 내용을 참고적으로 요약하면 모노 방송회로의 매트릭스 출력단에서 콘트롤부로 전달되어지는 음성신호일부를 트랜지스터와 콘덴서 및 저항으로 이루어진 의사 스테레오 회로에 의해 180° 위상반전시키게 한다음 증폭단에서 출력되는 모노시 정상 위상의 신호보다 180° 위상이 빠른 위상 반전된 신호를 스퍼커로 전달되게 하므로서 다이나믹한 의사 스테레오 방송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매트릭스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두개의 음성신호중 일부(L 또는 R신호) 신호만을 위상반전시키게 하므로서 고역음 또는 저역음이 강조되어 옴분포 균형이 불평등하게 될뿐아니라 바란스가 맞지 않게 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역시 자사로부터 OP앰프를 이용한 의사 스테레오 회로의 실용신안제89-16660호를 선출원 하였던 바, 이는 모노, 스테레오 스위칭으로 전달되는 매트릭스의 출력 모노 음성 좌, 우측 분리신호(L, R) 각 단자에 각각의 OP앰프를 포함한 직렬 접속한 저역필터, 고역필터를 구성되게 하여 두 신호에 실린 특정주파수를 일단 위상 변환시킨 다음, 음의 분포확산 조정을 위한 OP앰프의 출력 신호를 피드백시켜 궤환량에 따른 주파수 보상을 하게 하므로서 스테레오와 같은 현장감 있는 음성으로 실현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모노음성신호를 각각으로 분리한 각 양단의 특정 주파수를 저, 고역필터 및 각 OP앰프를 주요 매체로 한 피드백 수단에 의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두신호에 실린 각각의 특정주파수를 위상 변환시키는 소자들의 결합 구성체가 의외로 복잡해진다는 사실과, OP 앰프 출력의 궤환량에 따른 화음보상을 일일이 조정해야 하는 불편한 단점이 포함되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감안하여 모노 방송사에 매트릭스(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모노음성 좌, 우측 분리신호를 합성시킨다음 이를 기준 레벨 값과 증폭케하는 OP앰프의 간단한 결합수단과 이의 출력단에서 BBD집적 회로를 통한 2차 OP앰프 출력의 피드백 궤환량으로 자동 보상하는 수단으로 이룩되게한 것인바, 이하 첨부 된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모노 음성 좌, 우측 신호(L, R)가 각각의 저항결합(R1, C1)(R2, C2)을 통해 상호 합성되어 차동 입력형 OP앰프(OP1)의 반전단다(-)에 인가되도록 연결되며, 그의 비반전 단자(+)에는 저항(R3)과 콘덴서(C3)가 병렬 결합된 타단에 공급전원(Vcc)측 저항(R5)과 접지측 저항(R4) 및 콘덴서(C4)를 상호 접속하고, 상기 OP앰프(OP1) 출력단을 통해 위상 반전 증폭된 모노 음성 신호가 BBD 집적 회로(A10)를 경유한 콘덴서(C6,C7) 및 단일 입력형 OP앰프(OP2)를 통해 잡음 제거 집적회로(A20)에 인가되도록 연결하되, 상기단일 입력형 OP앰프(OP2)를 통해 출력되는 지연 증폭 모노 음성 신호가 상기 차동 입력형 OP앰프(OP1)의 반전단자(-)로 피드백 되게 하는 사이에는 저항(R6) 및 콘덴서(C5) 직렬 결합을 연결시켜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이역시 도면에 준한 실시예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좌, 우측 신호(L, R)가 분리 출력되는 과정은 FM스테레오 복조 방식으로 한 매트릭스 검파 수단에 의해 FM 튜너부에서 얻어지는 스테레오 합성신호의 저역필터를 통해 얻어진 주신호(L+R)와 대역필터를 통과 하면서 부반송파가 가해지게 한다음 2극관 검파되어 얻어진 반송파 억압 진폭 변조의 부신호(L-R)가 매트릭스회로(미도시)에 의해 좌, 우측 신호(L, R)로서 분리되어 추출된다.
이렇게 분리된 좌, 우측 신호(L, R)가 모노 방송시 에는 미도시된 매트릭스 회로 출력단으로부터 좌측신호(L) 또는 우측신호(R)가 단독으로 출력된다.
출력된 모노 음성 신호 좌측(L) 또는 우측신호(R)가 저항 직렬 결합기(R1, C1) 또는 (R2, C2)를 통해 차동입력형 OP앰프(OP1)의 반전단자(-)로 인가될때, 이의 비반전단자(+)에는 분배저항(R4, R5)을 통해 인가되는 공급전원(Vcc)이 콘덴서(C3)에 일정시간 충전이 되면서 저항(R4)의 시정수 값에 의해 방전되어 병렬로 된 RC 결합기(R3, C3)를 통해 기준 레벨 설정 전위가 일정하게 공급된다.
이때 설정된 기준레벨 전위에 의해 상기 인가된 모노 음성신호(L 또는 R)는 위상이 180°반전된 다음 증폭보합되어 분리 제한하는 방식의 재생측 BBD 집적회로(A10)로 인가된다.
인가된 모노 음성신호(L 또는 R)가 BBD형 집적회로 (A10)에 의해 원래의 스테레오와 같은 옴의 퍼짐이나 옴원의 위치, 움직임을 재현하는 지연타임으로 조정되어 용량 감쇠 콘덴서(C6, C7)를 통해 단일 입력형 OP앰프(OP2)에 입력된다.
이의 입력된 신호는 상기 단일 입력형 OP앰프(OP2)에 의해 주파수 보상되어 보합된 신호를 잡음제거 집적회로(A20)에 보내게 되나, 이의 출력된 신호는 스테레오와 같은 좌. 우측 신호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충분한 서라운드 효과를 얻기 위해 상기 OP앰프(OP1)의 반전(-)으로 피드백시킨다.
이때 저항(R6) 및 콘덴서(C5)에 의해 필터링 된 궤환량과 원래의 모노음성 신호(L 또는 R)가 합성시킨 합성값을 상기 차동입력형 OP앰프(OP1)의 반전단자(-)로 재입력하여 전술한 과정을 통해 잡음제거 집적회로(A20)에 보내게 되면 이후의 서라운드 스피커에서는 실제의 모노음이 스테레오와 같은 현장감 내지 입체감이 생생한 음으로 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모노 방송시 메트릭스로부터 출력되는 모노음성 좌. 우측 분리 신호를 피드백되는 량과 딜레이 타임을 행하는 수단으로 이룩되게 함으로써 간단한 회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통상의 모노음성 신호를 스테레오 방송음과 같은 현장감내지 입체감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게 하므로서 텔레비젼 기능을 한층 더 부착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모노 음성 좌, 우측 신호(L, R)가 각각의 저항 결합(R1, C1) (R2, C2)을 통해 상호 합성되어 차동 입력형 OP앰프(OP1)의 반전단자(-)에 인가되도록 연결되며, 그의 비반전 단자(+)에는 저항(R3)과 콘덴서(C3)가 병렬결합된 타단에 공급전원(Vcc)측 저항(R5)과 접지측 저항(R4) 및 콘덴서(C4)를 상호 접속하고, 상기 OP앰프(OP1) 출력단을 통해 위상 반전 증폭된 모노음성 신호가 BBD 집적회로(A10)를 경유한 콘덴서(C6, C7)및 단일 입력형 OP앰프(OP2)를 통해 잡음 제거 집적회로(A20)에 인가되도록 연결하되, 상기 단일 입력형 OP앰프(OP2)를 통해 잡음 제거 집적회로(A20)에 인가되도록 연결하되, 상기 단일 입력형 OP앰프(OP2)를 통해 출력되는 지연 증폭 모노 음성 신호가 상기 차동 입력형 OP앰프(OP1)의 반전단자(-)로 피드백되게 하는 사이에는 저항(R6) 및 콘덴서(C5) 직렬 결합을 연결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 서라운드 믹싱회로.
KR2019890018305U 1989-12-04 1989-12-04 모노 서라운드 믹싱회로 KR9200058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8305U KR920005836Y1 (ko) 1989-12-04 1989-12-04 모노 서라운드 믹싱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8305U KR920005836Y1 (ko) 1989-12-04 1989-12-04 모노 서라운드 믹싱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580U KR910013580U (ko) 1991-07-30
KR920005836Y1 true KR920005836Y1 (ko) 1992-08-22

Family

ID=19292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8305U KR920005836Y1 (ko) 1989-12-04 1989-12-04 모노 서라운드 믹싱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83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580U (ko) 199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166B1 (ko) 스테레오 합성기
US4394536A (en) Sound reproduction device
US3943293A (en) Stereo sound reproducing apparatus with noise reduction
JP3419451B2 (ja) ステレオ受信機における可聴雑音低減装置
KR100364333B1 (ko) 신호처리회로와,신호처리회로를포함하는입체음향오디오재생시스템
JPH0127636B2 (ko)
US4394537A (en) Sound reproduction device
US5253298A (en) Reducing audible noise in stereo receiving
JPS6057270B2 (ja) Catvシステムにおけるデイスクランブル装置
KR920005836Y1 (ko) 모노 서라운드 믹싱회로
JPH05191885A (ja) 音響信号イコライザ回路
CA2117545C (en) Voice canceler with simulated stereo output
JPH02215240A (ja) Fmステレオ回路
GB1536961A (en) Frequency-modulated stereo-signal receivers
US5953067A (en) Multichannel television sound stereo and surround sound encoder
CA1140641A (en) Noise reducing circuit for ctd delay line
KR920003462Y1 (ko) Op amp를 이용한 의사(pseudo) 스테레오 회로
US3250857A (en) Stereo fm receiver
US4769840A (en) Receiver for sound multiplex broadcast
JPS5441102A (en) Signal converting circuit
KR900004473Y1 (ko) 모노음성신호의 유사스테레오음 발생회로
KR900010615Y1 (ko) 저음 전용 증폭회로
KR930004928B1 (ko) 서라운드 신호 처리회로
AU658034B2 (en) Stereo synthesizer
JPS6153847A (ja) Amラジオ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