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615Y1 - 저음 전용 증폭회로 - Google Patents

저음 전용 증폭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615Y1
KR900010615Y1 KR2019870022709U KR870022709U KR900010615Y1 KR 900010615 Y1 KR900010615 Y1 KR 900010615Y1 KR 2019870022709 U KR2019870022709 U KR 2019870022709U KR 870022709 U KR870022709 U KR 870022709U KR 900010615 Y1 KR900010615 Y1 KR 9000106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bass
output
input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2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046U (ko
Inventor
곽성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22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0615Y1/ko
Publication of KR8900150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0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6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6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1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 H03F3/183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16Automatic control
    • H03G5/165Equalizers; Volume or gain control in limited frequency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저음 전용 증폭회로
도면은 본 고안의 저음 진동 증폭회로도이다.
본 고안은 서라운드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음부분만을 강조하여 증폭한 뒤 별도의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여 오디오 시스템의 충실도(Fidelity)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저음 전용 증폭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시스템에는 저음, 중음, 고음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평탄하게 하는 이퀄라이저(Equalizer)가 내장되어 있어 자체적으로 넓은 대역에 이르는 원음을 충실하게 재생시키거나 혹은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주파수의 음을 강조하여 재생시키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기술에 의하면 인간이 추구하는 오디오음, 즉 자연음을 재생시키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재생 능력에 한계가 있었으며, 주파수 특성상 고음 부분에 비해 저음 부분의 재생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해 음을 감상할 경우 사용자는 저음을 제대로 들을 수 없게되고, 저음을 듣더라도 입체감을 느낄 수 없게되어 사용자의 음에 대한 기호를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오디오 시스템의 충실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디오 시스템에서 출력된 스테레오 신호에서 저음만을 분리한 뒤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강조 증폭하고, 별도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중후한 저음을 들을 수 있게 하며 사용자의 기호를 만족시키며, 시스템의 충실도를 높일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뒷단의 영향이 입력단에 미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입력된 스테레오 신호를 일정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트랜지스터(Q1), 저항(R1-R4), (R7), (R11), (R22), 콘덴서(C1-C3) (C1')로 된 입력증폭부(1)와, 입력증폭부(1)의 출력에서 각각 다른 주파수이하의 저음을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증폭하는 트랜지스터(Q2), 저항(R5), (R6), (R12) 콘덴서(C4), (C5), (C7)로된 제1저음 분리 증폭부(2) 및 트랜지스터(Q4), 저항(R8-R10), (R14), 콘덴서(C6), (C16), (C17)로된 제2저음분리증폭부(3)와, 상기 제1 및 제2저음분리증폭부(2), (3)의 출력을 혼합하여 증폭하는 트랜지스터(Q5), 저항(R13-R16), (R'), 콘덴서(C8-C11)로된 혼합증폭부(4)와, 혼합증폭부(4)의 출력을 적정 레벨로 증폭하여 스피커(SPK)로 출력시키는 출력증폭기(AMP)와, 출력증폭기(AMP)를 거친 음성신호가 클 경우에 스위칭되어 그 레벨을 감쇄시키는 트랜지스터(Q1), 저항(R17-R21) 콘덴서(C12-C15), 다이오드(D1), (D2)로된 자동레벨 조정부(5)등을 연결하여 구성하였다.
여기서, 미 설명된 부호 S1은 라인/폰(LINE/PHONE) 전환스위치이고, S2는 인버트/노말(INVERT/NORMAL) 절환스위치이며, VR은 음량 조절용 가변저항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좌, 우측 채널 입력단자(L,R)에 오디오 시스템의 스테레오 출력단자가 연결된 상태에서 시스템으로부터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음성신호는 임피이던스 매칭용 저항(R1), (R2)과 결합 콘덴서(C1), (C2)를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여기서, 콘덴서(C1)에 직렬로 접속된 저항(R1)은 임피이던스 조정용 저항이며, 본 고안에서는 매우 낮은 저음만을 증폭하기 때문에 스테레오 분리를 귀로 느낄 수 없게 된다.
또한 전환스위치(S1)는 입력단자(L,R)에 연결된 오디오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선택하게 되는데, 디스크를 사용하는 전축과 같은 시스템을 연결할 경우에는 폰단자(PHONE)를 선택하여 저항(R22)을 이용해 입력단의 임피이던스를 매칭시키고, 그 외의 시스템을 연결할 경우에는 라인단자(LINE)를 선택하게 된다.
입력증폭부(1)의 트랜지스터(Q1)는 에미터 플로워로서, 제1 및 제2저음분리 증폭부(2), (3)의 이득 변화에 따른 영향이 입력단에 미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저항(R11)에 의해 자기 바이어스된 상기 트랜지스터(Q1)는 음성신호를 일정 레벨로 증폭하여 제1 및 제2저음분리증폭부(2), (3)에 각각 인가하게 된다.
상기 제1저음 분리 증폭부(2)에서는 입력된 음성신호에서 저항(R6)과 콘덴서(C4)에 의해 설정된 차단 주파수 이하의 저음을 분리하여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로 인가하게되고, 트랜지스터(Q4)에 의해 증폭된 저주파의 음성신호는 저항(R12)을 통해 혼합 증폭부(4)로 인가된다.
한편 제2저음분리 증폭부(3)에서도 입력된 음성신호에서 저항(R10)과 콘덴서(C6)에 의해 설정된 차단 주파수 이하의 저음을 분리하여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로 인가하게되고, 트랜지스터(Q4)에 의해 증폭된 저주파의 음성신호는 저항(R14)을 통해 혼합 증폭부(4)로 인가된다.
여기서, 음성신호를 제1저음 분리증폭부(2)와 제2저음 분리 증폭부(3)로 나누어 증폭하는 이유는 이들의 차단 주파수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위상의 차이를 느끼게하여 보다 더 중후한 저음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저음 분리 증폭부(2)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저항(R12)과 콘덴서(C7)에 의해 설정된 차단 주파수 이하의 저음이 필터링되어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로 인가되고, 상기 제2저음 분리 증폭부(3)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그대로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로 인가되므로 A점과 B점의 신호는 위상과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저항(R13)은 트랜지스터(Q2), (Q4)의 각 출력신호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혼합 증폭부(4)의 트랜지스터(Q5)는 저항(R14)을 개재시켜 전원(B+)에 저속되므로 충분한 그의 베이스 전원을 공급받게 되고, 트랜지스터(Q5)에 의해 증폭된 음성신호는 절환스위치(S2)를 선택함에 따라 각각 다른 경로를 거쳐 출력증폭기(AMP)로 인가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5)는 그의 출력이 가변저항(VR)에 의하여 임의로 조정되고, 출력증폭기(AMP)에 의해 증폭된 다음 저음 전용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중후한 저음을 들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환스위치(S2)는 혼합 증폭부(4)의 공진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인버트 단자(INVERT)를 선택하면 저항(R')과 콘덴서(C10)에 의한 공진 주파수가 선택되고, 노말단자(NORMAL)를 선택하면 저항(R15), (R16)과 콘덴서(C11)에 의한 공진주파수가 선택된다.
한편, 자동레벨 조정부(5)에서는 콘덴서(C14), (C15)와 다이오드(D1), (D2)로 구성된 배전압 정류회로를 이용하여 스피커(SPK)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는데, 출력 증폭기(AMP)에서 출력된 음성신호가 배전압 회로에 의해 직류로 변환되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로 인가됨에 따라 출력된 음성신호가 클 경우에는 상기 트랜지스터(Q3)가 도통되어 그 출력 레벨을 감쇄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오디오 시스템과는 별도로 저음만을 분리 추출하고, 저음분리시 차단주파수가 다름에 따라 위상과를 갖는 음성신호를 결합하므로 중후한 저음을 들을 수 있게되어 오디오 시스템의 고충실도를 실현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출력 증폭기(AMP)와 스피커(SPK)를 구비한 저음전용증폭회로에 있어서, 뒷단의 영향이 입력단에 미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입력된 스테레오로 신호를 일정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입력증폭부(1)와 입력증폭부(1)의 출력에서 각각 다른 주파수 이하의 저음을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증폭하는 제1저음 분리 증폭부(2) 및 제2저음 분리증폭부(3)와, 상기 제1 및 제2저음분리증폭부(2), (3)외 출력을 혼합 증폭하여 출력증폭(AMP)로 공급하는 혼합증폭부(4)와, 출력증폭기(AMP)를 거친 음성신호가 클 경우에 스위칭되어 그 레벨을 감쇄시키는 자동레벨 조정부(5)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음 전용 증폭회로.
KR2019870022709U 1987-12-22 1987-12-22 저음 전용 증폭회로 KR9000106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2709U KR900010615Y1 (ko) 1987-12-22 1987-12-22 저음 전용 증폭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2709U KR900010615Y1 (ko) 1987-12-22 1987-12-22 저음 전용 증폭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046U KR890015046U (ko) 1989-08-11
KR900010615Y1 true KR900010615Y1 (ko) 1990-11-23

Family

ID=19270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2709U KR900010615Y1 (ko) 1987-12-22 1987-12-22 저음 전용 증폭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06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046U (ko) 1989-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8095A (en) Acoustic apparatus
US4394536A (en) Sound reproduction device
US4179669A (en) Amplifying and equalizing
US4479235A (en) Switching arrangement for a stereophonic sound synthesizer
US3725583A (en) Volume and tone control for multi-channel audio systems
US3657480A (en) Multi channel audio system with crossover network feeding separate amplifiers for each channel with direct coupling to low frequency loudspeaker
US4055818A (en) Tone control circuit
US6275593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harmonic enhancement of electronic audio signals
US5533135A (en) Crossover system
US4394535A (en) Split phase stereophonic sound synthesizer
US4002835A (en) Multi-channel decoding circuit for two-channel audio systems
JPH06216865A (ja) ステレオ音声装置
KR900010615Y1 (ko) 저음 전용 증폭회로
US2256057A (en) Tone control circuit
US4257067A (en) Sound enhancement system for television receivers
US3050583A (en) Controllable stereophonic electroacoustic network
US4843625A (en) Sound reproduction systems
JPH0158886B2 (ko)
US3026373A (en) Dual feedback circuit for stereophonic audio-frequency signal amplifier systems
KR870000715Y1 (ko) 오디오/비디오 제어기기의 저음음향확대 증폭회로
US3001149A (en) Low-frequency amplifier
JPH0735517Y2 (ja) 音響装置
KR840002641Y1 (ko) 스테레오·모노럴 자동절환장치(自動切換裝置)
JPS5926682Y2 (ja) Fm−am受信機
JPH0735518Y2 (ja) サラウンド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