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734Y1 - 샤틀직기용 북의 위사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샤틀직기용 북의 위사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734Y1
KR920005734Y1 KR2019910000832U KR910000832U KR920005734Y1 KR 920005734 Y1 KR920005734 Y1 KR 920005734Y1 KR 2019910000832 U KR2019910000832 U KR 2019910000832U KR 910000832 U KR910000832 U KR 910000832U KR 920005734 Y1 KR920005734 Y1 KR 920005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suttle
loom
guide
weft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08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850U (ko
Inventor
도한기
Original Assignee
도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한기 filed Critical 도한기
Priority to KR2019910000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734Y1/ko
Publication of KR9100168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8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7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5/00Shuttles
    • D03J5/20Devices in shuttles for thread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2700/00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looms; Weavening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Shuttles
    • D03J2700/10Shu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샤틀직기용 북의 위사 안내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샤틀 직기용 북의 위사 안내장치의 요부가 나타나 있는 북의 몸체사시도이며.
제2도는 동 정면도이며.
제3도는 제1도중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W : 위관으로 풀려나온 위사 1, 2 : 경사 안내핀
3 : 위사(W)의 안내홈 3' : 위사 안내홈(3)의 상부에 형성된 직각의 턱
3'' : 안내홈(3)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종래식 완만한 호상벽면
본 고안은 샤틀 직기용 북의 위사 안내장치의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북속의 위관으로 부터 풀려나오는 실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일정한 안내홈을 통하여 북 밖으로 공급되도록 함에 있어서 수직 안내핀과 호형 안내홈을 이용한 위사 안내장치가 알려지고 있었는바, 이 경우에는 위관으로 부터 풀려 나온 위사가 정면에서 볼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2개의 수직안내핀과 접촉되도록 하고 이 안내핀을 통과하여 나온 위사는 정면에서 볼때 상하 벽면이 완만한 호면을 이루고 있는 안내홈 사이를 따라서 북 밖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2개의 수직 안내핀에 접촉된 위사가 점차 아래쪽으로 흘러내려 오계 되고 따라서, 안내홈 속을 통과할때 아래쪽의 완만한 호면으로 부터 쉬이 바깥쪽으로 벗어 나오게 되어 위사의 공급이 정상통로를 벗어나게 되므로써. 위사가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아서 제직된 직물에는 위사의 방향이 비정상적인 홈을나타내는 불량품 발생의 요인이 된다.
또 종래에는 경사핀을 경사지게 한 구조가 있으나 안내홈의 상하 양벽면은 완만한 벽면을 이루고 있어 경사안내핀을 벗어난 위사가 안내홈의 상부의 완만한 벽면 윗쪽으로 벗어나서 위입 동작중 위사 절단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위사가 항상 일정한 예정된 통로를 따라 정확하게 북 밖으로 공급되어 나갈수 있는 새로운 위사 안내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조와 작용효과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상 정면에서 보아 위관으로 풀려나온 위사(W)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세워진 2개의 안내핀과 접촉한 다음 북의 일측부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서 위사가 풀려지도록한 샤틀 직기용 북에 있어서 위사(W)가 경사 안내핀 (1) (2)와 접촉하면서 북의 일측면 중앙에 형성된 긴 안내홈(3)의 상연부에 형성된 단면 직각의 턱(3')를 형성하여서 본 고안의 위사 안내장치를 구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위관으로 부터 풀려 나온 위사는 경사 안내핀(1) (2)가 위사의 풀려 나오는 방향을 향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되어 있으므로 위사는 안내핀(1) (2)의 위쪽으로 올라가게 되나 아래쪽으로 내려오지 않게 되어 있으므로 위관으로 풀려 나온 위사는 안내홈(3)의 상연부의 직각의 턱(3')의 걸려서 풀려나가게 되므로 턱(3') 윗쪽으로 풀려나가지도 않고 안내홈의 하연부의 완만한 경사면을 따라서 북의 아래쪽으로 풀려 나가는 일도 없게 할수가 있어 그 결과 본 고안의 구조에 의하면 위사가 위관으로 부터 풀려 나온후 북의 안내홈의 상하연부 밖으로 빠져나와서 위사가 절단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수가 있다.

Claims (1)

  1. 도면상 정면에서 보아 위관으로 풀러 나온 위사(W)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세워진 2개의 안내핀과 접촉한 다음 북의 일측부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서 위사가 풀려지도록 한 샤틀 직기용 북에 있어서 위사(W)가 경사 안내핀(1) (2)와 접촉하면서 북의 일측면 중앙에 형성된 긴 안내홈(3)의 상연부에 형성된 단면 직각의턱(3')를 형성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샤틀 직기용 북의 위사 안내장치.
KR2019910000832U 1991-01-21 1991-01-21 샤틀직기용 북의 위사 안내 장치 KR920005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832U KR920005734Y1 (ko) 1991-01-21 1991-01-21 샤틀직기용 북의 위사 안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832U KR920005734Y1 (ko) 1991-01-21 1991-01-21 샤틀직기용 북의 위사 안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3019900002883 Division 1990-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850U KR910016850U (ko) 1991-10-28
KR920005734Y1 true KR920005734Y1 (ko) 1992-08-21

Family

ID=19310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0832U KR920005734Y1 (ko) 1991-01-21 1991-01-21 샤틀직기용 북의 위사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7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850U (ko) 199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1603572A (en) Belting with tubular edge portions
JPS60110951A (ja) 帯状織物製造方法並びに帯状織物製造装置
FR2497841A1 (fr) Metier a tisser a tuyeres
US4817675A (en) Method for repairing a broken warp thread on weaving machines, and the rethreading mechanisms used
US3885600A (en) Method and temple apparatus for guiding fabric lengths through textile weaving machines
JPH0247344A (ja) エアジェットルーム
KR920005734Y1 (ko) 샤틀직기용 북의 위사 안내 장치
SU1449016A3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 прокладывани уточной нити на ткацком станке с зажимными челноками
RU1813131C (ru) Бесчелночный ткацкий станок
US3426807A (en) Loom
US4062382A (en) Extending carrier for looms with removal of the filling yarn from stationary bobbins
JP2731038B2 (ja) 重織物用グリッパ式織機
US4194539A (en) Loom shuttle
US3014503A (en) Filling inserting carrier
US3119416A (en) Filling carriers for shuttleless looms
SU991956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окладывани уточной нити на бесчелночном ткацком станке
JPH1053936A (ja) レピア織機の糸クランプの搬送体及び搬送体を有するグリッパ
KR0132396Y1 (ko) 워터제트 직기용 캣치코드사 절단방지장치
US4022253A (en) Rapiers with means for limiting rapier head divergence during weft-yarn transfer
KR820000805Y1 (ko) 원형 직기의 직조장치
KR830001308B1 (ko) 웨브 직성장치
US3921677A (en) Flat weaving machine
SU1652398A1 (ru) Подающа рапира дл прокладывани петли уточной нити к бесчелночному ткацкому станку
SU1664912A1 (ru) Захват подающей рапиры к бесчелночному ткацкому станку
US3456693A (en) Pirnless shu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