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525Y1 - 인삼발 고정용 밴드 - Google Patents

인삼발 고정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525Y1
KR920005525Y1 KR2019900008467U KR900008467U KR920005525Y1 KR 920005525 Y1 KR920005525 Y1 KR 920005525Y1 KR 2019900008467 U KR2019900008467 U KR 2019900008467U KR 900008467 U KR900008467 U KR 900008467U KR 920005525 Y1 KR920005525 Y1 KR 9200055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band
hole
fixing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84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025U (ko
Inventor
장정일
Original Assignee
장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정일 filed Critical 장정일
Priority to KR2019900008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525Y1/ko
Publication of KR9200000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0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5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5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삼발 고정용 밴드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밴드 2 : 중앙 관통홀
3, 4 : 관통홀 5, 5a : 홀
6, 6a : 탄성링 7 : 철사
8 : 끈
본 고안은 인삼 경작용 인삼밭에 설치하여 이동식으로 인삼밭을 용이하게 고정시키도록 하는 인삼밭 고정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삼밭에 설치되는 인삼밭은 일정한 간격으로 나무를 밖아 놓은후 일측으로 경사를 두고 길이 방향으로 철사와 나무를 고정시키고 그 상측에 짚으로 엮은 이영과 P. P로 제작한 밭을 얹어놓은 다음 다시 철사로 위를 덮어 고정시켜 인삼밭을 완성시켰으나 이는 이영과 밭 상. 하에 결속기를 이용하여 철사나 끈으로 결속시켜 견고히 고정시켰으므로 설치 시간이 오래 걸릴뿐만 아니라 설치비와 인건비가 고가로 소모되며 작업이 번거로운 등의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철사를 일정한 형틀에 돌려가며 성형시킨 밴드를 끼워 인삼밭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탄성링에 의해 상측에서 인삼발을 견고히 고정시켜 주고 또한 단가가 저렴하며 설치가 간단한 인삼밭 고정용 밴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정한 형틀에 철사를 감는 방식으로하여 양쪽에 다수의 관통홀과 중앙으로세개의 중앙 관통홀을 뚫은후 양측 선단에서 내측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링을 형성시켜 인삼밭을 고정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시작점(10)에서 일정한 형틀에 의해 관통홀(3)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시킨후 중앙에 사각형상의 중앙관통홀(2)을 세개 구성하고 관통홀(4)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시킨후 90°꺽어 내려와 홀(5)을 형성시키고 내측으로 경사지게 하여 선단에 탄성링(6)을 형성시켜 탄성이 하측으로 작용되도록 하고 다시 선단으로 나와 꺽어 두개의 링(5)을 형성시키고 90°꺽어 타측과 대향되도록 관통홀(3)(4)과 중앙관통홀(2), 탄성링(6a) 홀(5a)을 형성시켜서 밴드(1)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시킨 본 고안은 밴드(1)의 형상을 갖는 틀상에 철사를 대고 일정한 형틀을 따라 형성시킴으로써 간단히 완료시킬수 있어 제작비와 원가를 절감하여 인삼밭에서 인삼발을 설치할때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철사(7)를 관통홀(3)(4)과 중앙관통홀(2)의 두개의 홀에 끼워 관통시키고 중앙관통홀(2)의 중앙홀에 끈(8)을 끼위 결합시키며 그 상측으로 짚으로 엮은 이영(11)과 띠끈망(9)을 덮은후 선단의 링(5)(5a)에 의해 탄성을 받는 탄성링(6)(6a)이 상측으로 올라오도록 하고 밴드(1)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수 있도록 하여 인삼발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밴드(1)를 일정한 간격으로 실치하여 인삼발을 고정시키며 고정시킨 후에도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수있어 밴드(1)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중앙관통홀(2)과 관통홀(3)(4)에 철사(7)을 관통시켰으므로 인삼발로부터 밴드(1)가 이탈될 염려가 없으며 철사(7)과 끈(8)이 밴드(1)의 관통홀(3)(4)과 중앙관통홀(2)을 통과되므로 레일 역활을 하여 자유로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탄성링(6)(6a)을 원형으로 하고 양측 선단의 링(5)(5a)에 의해 탄성을 받아 인삼발을 견고히 고정시킬수 있으며 조립 및 이동 그리고 해체가 간단하여 사용이 편리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관통홀과 중앙 관통홀에 인삼발 설치시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철사를 관통시켜 인삼발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였으며 상측에서 인삼발을 누르는 탄성링의 선단을 원형으로 하고 밴드선단의 링에 의해 탄성을 받아 인삼밭을 견고히 고정시킬수 있도록 하였으며 밴드의 제작시 일정한 형상의 형틀을 따라 철사를 감아 주므로서 간단히 완성시킬수 있도록 하여 인건비와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가 간단하고 설치후에도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며 조립 및 해체가 간단한 등의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1. 중앙에 대향되게 세개의 중앙관통홀(2)과 그 양측로 일정한 간격의 관통홀(3)(4)이 형성되며 선단에 각각두개씩의 홀(5)(5a)이 형성되여 중앙 부분에서 내측으로 꺽이어 서로 대향되게 인삼밭을 누르는 탄성링(6)(6a)을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인삼밭 고정용 밴드.
KR2019900008467U 1990-06-15 1990-06-15 인삼발 고정용 밴드 KR9200055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8467U KR920005525Y1 (ko) 1990-06-15 1990-06-15 인삼발 고정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8467U KR920005525Y1 (ko) 1990-06-15 1990-06-15 인삼발 고정용 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025U KR920000025U (ko) 1992-01-27
KR920005525Y1 true KR920005525Y1 (ko) 1992-08-14

Family

ID=19299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8467U KR920005525Y1 (ko) 1990-06-15 1990-06-15 인삼발 고정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5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025U (ko) 199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88771A (en) Plant support
TR200001917T2 (tr) Plastik şilteler.
US4023307A (en) Trellis arm and support
DE3788453D1 (de) Komplementäres vertikales bipolares Transistorpaar mit flachem Übergang.
KR920005525Y1 (ko) 인삼발 고정용 밴드
KR200480088Y1 (ko) 농작물 지지구
KR102427311B1 (ko) 고추끈 결속장치
KR200321002Y1 (ko) 나무 가지보호 받침대
KR19990004709U (ko) 재배식물 지지대
KR200427902Y1 (ko) 포도 비가림용 골조
KR880000108Y1 (ko) 농작물 지지대
KR830001231Y1 (ko) 화분
KR200401883Y1 (ko) 수목지지대용 결착부재
KR890001110Y1 (ko) 고추목 지지대
KR200326386Y1 (ko) 수목 받침대
KR870003830Y1 (ko) 고추나무의 지지대
KR200228819Y1 (ko) 나무지지대
FI72776C (fi) Anordning foer faestande av en raels vid en syll.
KR940000436Y1 (ko) 조립울타리
KR920007043Y1 (ko) 조립식 새장
KR200427917Y1 (ko) 포도 줄기 지지구
KR890004279Y1 (ko) 수목 지지대
KR0129102Y1 (ko) 수박밭용 보조망
JPS6129254Y2 (ko)
KR200255444Y1 (ko) 작목가지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