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386Y1 - 수목 받침대 - Google Patents

수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386Y1
KR200326386Y1 KR20-2003-0017157U KR20030017157U KR200326386Y1 KR 200326386 Y1 KR200326386 Y1 KR 200326386Y1 KR 20030017157 U KR20030017157 U KR 20030017157U KR 200326386 Y1 KR200326386 Y1 KR 2003263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ree
pedestal
coupling 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명구
Original Assignee
전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명구 filed Critical 전명구
Priority to KR20-2003-0017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3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3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3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나무의 가지가 밑으로 쳐저 손상되지 않게 받치거나 나무에 지주를 설치할 때 사용하는 수목 받침대를 개량한 것인데 보다 구체적인것은, 지주상단에 설치되는 받침부에 받침구에서 착탈될 수 있게 만든 결속끈을 결합하여 나무가지를 받침대에 받치면서 결속하거나 나무를 지주와 결속시킬 때 결속끈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고 받침부를 지주에 결합할 때 직경이 큰 지주나 직경이 작은 지주에 구애받지 않고 결합할 수 있게 결합공을 크고 적게 형성하여 보다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목 받침대{The support of tree}
본 고안은 나무가지가 밑으로 쳐저 손상되지 않게 받치거나 나무가지가 위로 뜨지않게 묶어주거나 지주를 세울 때 사용하는 수목 받침대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지주상단에 설치되는 받침부에 착탈형 결속끈을 구비하여 받침대로 나무가지를 받치면서 받침대와 나무가지를 묶을 수 있게하고 지주가 삽입되는 결합공을 크고 적게 구분하여 규격이 다른 지주를 끼워 사용할 수 있게한 것이다.
종래의 수목받침대는 지지대 상단에 " V "형 받침부를 만들어 처진 나무가지를 받쳐 밑으로 쳐지지않도록 하거나 받침홈 상단에 밴드를 연결하여 나무가지를 붙잡아 맬 수 있도록 구성시키고 있지만 받침부에 결속끈을 착탈 시킬 수 없어서 나무가지를 결속시킬 수 없는 불편이 있고 지주가 결합되는 결합공의 규격이 단일화되어서 규격이 크거나 작은 것을 공용할 수가 없는 불편이 있었으며 받침대에 설치된 결속끈을 다른 부위에 이용할 수가 없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불편을 해소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 파절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받침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속끈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 도면의 미설명부호에 따른 부호의 설명
1 : 지주 2 : 받침부
2a : 받침홈 2b,2c : 돌출부
2d,201,202 : 결합공 3 : 받침판
4 : 연결끈 4a : 연결공
4b : 연결구 5 : 보조지주
일정굵기의 파이프 또는 봉체로된 지주(1) 상단에 합성수지제로 성형되어 상단에 " V "형 받침홈(2a)이 형성된 받침부(2)를 결합하고 지주하단에 받침판(3)을 설치하는 공지의 수목 받침대에 있어서, 받침부(2)에 형성된 받침홈(2a)의 외축에 돌출부(2b)(2c)를 형성하고 이에 착탈되도록 연결공(4a)와 연결구(4b)가 교호로 구성된 연결끈(4)을 구비하여 연결끈의 연결공(4a)을 받침부의 양측 돌출부(2b)(2c)에 착탈시킬 수 있게하며, 받침부의 지주 결합공(2d)을 큰 직경의 결합공(201)과 작은 직경의 결합공(202)으로 구분하여 규격이 다른 지주를 끼울 수 있게한 구조이다.
위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지주 상단에 받침부(2)를 결합할 때 큰 직경의 결합공(201)과 작은 직경의 결합공(202)이 구분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직경이 큰 지주는 직경이 큰 결합공(201)에 끼워서 결합하고 직경이 적은 지주를 직경이 적은 결합공(202)에 끼워서 결합할 수가 있으므로 지주의 규격이 다른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케되는 이점이 있고 받침부(2)의 받침홈(2a) 양측에는 돌출부(2b)(2c)가 형성되어서 연결공(4a)과 연결구(4b)가 반복적으로 형성되게 만든 연결끈(4)을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나무가지를 받침부에 받치고 그 외측으로 연결끈을 묶어서 받침부와 나무가지를 결속시킬 수 있고 필요하지 않을 때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시킨 결속끈(4)은 보조지주(5)를 나무와 묶을 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며 또, 연결끈은 연결공(4a)와 연결구(4b)가 교호로 형성되어 있어서 별도의 결속장치가 없어도 결속끈의 일측 연결공과 연결공사이에 타측 연결공이 투입되게 결합하는 방법으로 결속이 가능하고 역순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게되는 것이다.

Claims (1)

  1. 일정굵기의 파이프 또는 봉체로된 지주(1) 상단에 합성수지제로 성형되어 "V"형 받침홈(2a)이 형성된 받침부(2)를 결합하고 지주하단에 받침판(3)을 설치하는 공지의 수목 받침대에 있어서, 받침부(2)에 형성된 받침홈(2a)의 외축에 돌출부(2b)(2c)를 형성하고 이에 착탈되도록 연결공(4a)와 연결구(4b)가 교호로 구성된 별도의 연결끈(4)을 구비하여 연결끈의 연결공(4a)을 받침부의 양측 돌출부(2b)(2c)에 착탈시킬 수 있게하고, 지주가 끼워지는 받침부의 지주 결합공(2d)을 큰 직경의 결합공(201) 내측에 작은 직경의 결합공(202)이 형성되게 구분하여서 구성시킨 수목 받침대
KR20-2003-0017157U 2003-06-02 2003-06-02 수목 받침대 KR2003263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157U KR200326386Y1 (ko) 2003-06-02 2003-06-02 수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157U KR200326386Y1 (ko) 2003-06-02 2003-06-02 수목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386Y1 true KR200326386Y1 (ko) 2003-09-13

Family

ID=4941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157U KR200326386Y1 (ko) 2003-06-02 2003-06-02 수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3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086B1 (ko) 2012-10-15 2014-08-21 장용주 원터치 재해방지용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086B1 (ko) 2012-10-15 2014-08-21 장용주 원터치 재해방지용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074B1 (ko) 신축조절되는 수목지지대
CN100998303A (zh) 树木保护支架
CN201283220Y (zh) 伸缩式手机游戏手柄
US7666483B2 (en) Patio palm tree
US9743790B2 (en) Illumination assembly for providing a Christmas tree impression
KR200326386Y1 (ko) 수목 받침대
WO2005087062A3 (de) Ständer zum verankern eines stabförmigen gegenstandes, insbesondere eines baumes
US20130014438A1 (en) Hanging flowerpot structure
US20030031013A1 (en) Decorative assembly of a light string
CN208402709U (zh) 一种园林树木移栽用支撑固定装置
KR200313808Y1 (ko) 신발끈 고정구
CN203057973U (zh) 一种用于土球底部的六角形树木固定装置
CN211745675U (zh) 一种火龙果反季节生产架
KR200255444Y1 (ko) 작목가지 받침대
US20060245177A1 (en) Decorative tree
CN206888669U (zh) 一种植树用防沙围栏固定装置
CN206024706U (zh) 一种树木移植固定用护板
CN212116476U (zh) 一种果木苗栽种辅助支撑装置
KR200427902Y1 (ko) 포도 비가림용 골조
KR200230102Y1 (ko) 조립식 배드민턴용 네트
KR200321002Y1 (ko) 나무 가지보호 받침대
CN218736099U (zh) 一种多功能防寒葡萄高位嫁接培育装置
US6264502B1 (en) Connector assembly for decorative lighting net
KR200327674Y1 (ko) 연장 가능한 인장연결체가 구비된 안내판
CA2272760A1 (en) Socket for an ornamental light bul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