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372Y1 - 숟가락 포장대 제작용 포장지의 구조 - Google Patents

숟가락 포장대 제작용 포장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372Y1
KR920005372Y1 KR2019900012855U KR900012855U KR920005372Y1 KR 920005372 Y1 KR920005372 Y1 KR 920005372Y1 KR 2019900012855 U KR2019900012855 U KR 2019900012855U KR 900012855 U KR900012855 U KR 900012855U KR 920005372 Y1 KR920005372 Y1 KR 9200053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paper
packing
wrapping pa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2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377U (ko
Inventor
이석근
Original Assignee
이석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근 filed Critical 이석근
Priority to KR2019900012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372Y1/ko
Publication of KR9200043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3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3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3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4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areas coated with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숟가락 포장대 제작용 포장지의 구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단하고 일부를 해탈한 상태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포장지에서 얻어진 포장대의 사용상태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B-B선 단면도로서 (a)는 포장대에 숟가락을 넣는 상태도, (b)는 포장대에 숟가락을 넣고 덮개지로 포장대 상부를 덮은 상태도이다.
제 6 도는 종래의 포장대.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포장지 2 : 상부포장지
3 : 덮개지 4,5 : 접착부
4a :덮개지의 비접착부 100 : 포장대
본 고안은 낱개로 된 숟가락 포장대를 만들기 이전에 기계장치에 의해 제작되는 숟가락포장대 제작용 포장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숟가락 끼움이 보다 용이토록 하고, 숟가락 포장대의 일측에 절단되는 조각을 별도로 털필요가 없도록 하므로서 공정 단축에 따른 인력 절감을 꾀하여 경비를 절감하고, 숟가락 포장대로 사용시 포장된 숟가락을 먼지등으로부터 보호하므로서 위생성을 높이고자 함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근자에 있어서의 본원 고안과 유사한 유형의 포장대의 구조는 제 6 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었다. 상하부 포장지(101)(102)가 합해지되 상부포장지(101)상단이 짧게 절단된 상태에서 좌우측 둘레부가 접착부(103)로 접착되어 상하부가 뚫린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부는 숟가락(104)의 머리부가 포장대(100)의 내측으로 유입이 가능하도록 넓게 열려져 있으며, 하부는 숟가락손잡이가 빠질 수 있도록 작게 열려져 있다.
즉, 상기한 상부아 하부만을 제외하고 둘레면은 접착부(103)로 접착되어 포장대(100)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포장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과 취약점을 안고 있는 것으로, 첫째, 포장대(100)의 상부포장지(101) 상단을 짧게 함은 숟가락 (104)이 포장대(100) 내측으로 용이하게 들어가게하기 위함이나 전지(全紙)로 된 포장대 제작용 포장지를 낱개의 포장대(100)로 절단함에 있어서는 포장대(100)가 형성된 포장지 전지를 수십층으로 쌓아 절단기에 의해 절단하면 각 편으로 분리 절단된 묶음으로 된 포장대가 되는 것인데 이때 포장대(100) 상부를 짧게 함으로서 생기는 조각을 인력으로서 털어 떼어내야만 완성된 낱개의 포장대(100)를 얻었던 것이다.
즉, 절단기에 위해 절단되므로 포개진 포장대 간의 끝둘레부가 절단입력에 의해 서로 붙어 있어 조각들이 쉽게 떨어지지 않아 시간과 인력손실을 가져와 비경제성을 가지고 있으며, 둘째 : 포장대(100)의 상부 포장지가 짧게 형성되어 숟가락(104)을 포장대(100)에 끼울 경우 종래와 같이 2장의 포장지가 동일한 형상으로 절단된 포장대 보다는 용이하게 넣을 수 있으나 이 역시 얇은 종이와 종이가 서로 접해 있으므로 숟가락(104)의 손잡이부를 넣을때 쉽게 들어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여 끼움의 용이함이 미비했고, 셋째 : 대중음식점 등에서는 포장대(100) 내측에 숟가락(104)을 넣은 후 숟가락보관통에 보관하고 있는데 이때 숟가락머리부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세워 보관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숟가락이 넣어진 포장대 상측은 숟가락 머리부의 부피에 의해 벌려진 상태로 숟가락 보관통에 꽂혀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벌려진 공간 사이로 먼지 등이 들어감으로서 위생을 목적으로 한 포장대(104)가 오히려 위생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었던 것이다.
본원 고안은 상기의 종래의 결함을 감안하여 공정단축에 따른 인력절감과, 숟가락의 끼움용이 그리고 포장대의 포장된 숟가락으로의 먼지침입 등을 방지하고자 포장대 제작용 포장지의 구조를 안출한 것으로 그 구성을 첨부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을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부호 1은 전지로 된 하부포장지이고, 2는 상부포장지이며, 3은 덮개지이다.
하부포장지(1)는 바닥지로서 넓은 전지로서 이루어지며 이 하부포장지(1)의 상측으로 일정한 간격 (숟가락 머리부의 길이에 해당하는 정도의 간격)을 두고 폭이 좁은 띠형상의 덮개지(3)가 접착된다.
제 1 도의 덮개지(3)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표시한 부분이 접착부(4)이다. 이 접착부(4)는 덮개지(3) 상단에 형성되며 하단은 비접착부(4a)로 된다.
상기와 같은 모양의 접착부(4)에 의해 덮개지(3)는 하부 포장지(1)에 접착된다. 제 1 도에 있어서 상부포장지(2)에 표시된 가상선은 접착부(5)를 표시한다.
상부포장지(2)는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접착부(5)의 형상으로 하부포장지(1)에 접착되며 이때 상부포장지(2)의 상단은 덮개지(3)의 일부분(덮개지의 하단부)과 중첩된 상태로서 하부포장지(1)에 접착되며 상부포장지(2)와 덮개지(3)의 중첩부는 접착이 되지 않는다. 이들 접착부(4)(5)의 모양은 본 고안에 의해 날개로 만들어진 제 4 도의 포장대(100)에 의해 쉽게 이해되는 것으로 가상선으로 표시한 부분이 접착부(4)(5)이다.
본원 고안은 상기와 같이 하나의 전지 형상으로서 수십개의 숟가락포장대가 구획된 상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하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포장지를 사용시에는 수십겹으로 쌓아 절단기로 절단하면 각편에 해당하는 날개의 숟가락포장대 묶음이 형성되며 종래와 같이 일측 포장지의 상단이 짧게 되어야 함에 따라 발생되는 조각을 별도로 털어내는 공정이 생략되는 것으로 종래에 비하여 인력절감과 시간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가져온다.
본원 고안의 숟가락 포장지는 상기와 같이 차후 절단함에 따라 날개의 포장대(100)가 이루어지도록 종, 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분할 구획되고 이와 같이 된 포장지를 절단함으로서 완성된 포장대(100)를 얻을 수가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본원 고안의 포장지에 의해서 얻어진 포장대(100)의 사용에 있어서의 작용 효과를 제 4 도 및 제 5 도에 의해 살펴본다.
숟가락포장대(100)에 숟가락(104)을 넣을때는 제 4 도와 같이 넣어진다. 즉 하부포장지(1)의 상단을 일측손으로 잡고 숟가락(104)을 끼우면 용이하게 끼워진다.
이때 용이하게 끼워지는 이유는 덮개지(3)는 상단이 하부 포장지(1)와 접착되어 있고 하부는 "ℓ"길이만큼 비접착부(4a)로 되어 있으므로 도시한 바와 같이 손으로 포장대(100)의 상단을 잡았을 때에는 덮개지(3) 하단이 하부포장지(1) 상부로 떠벌려지며 동시에 상부포장지(2) 상단이 "S"길이만큼 비접착부로 되어 있으므로 상부 포장지(2)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작용을하여 결국은 하부포장지(1)와 상부포장지(2) 사이는 멀어져 숟가락(104)을 포장대(100)에 넣을때 상부포장지(2)의 상단면에 걸리지 않고 쉽게 들어가게 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숟가락(104)을 넣으면 숟가락의 머리부가 포장대(100) 내측으로 유입되며 이때 숟가락 머리부의 부피에 의하여 상하 포장지(2)(1) 사이가 벌어지는데 덮개지(3)를 빼내어 제 5b 도와같이 상부포장지(2) 상측을 덮개되면 외부에서 먼지의 침입이 방지된다.
즉, 대중음식점 등에서는 숟가락(104)을 포장대(100)에 포장한 후 숟가락 보관통에 세워서 끼워놓게 되는데 종래에는 덮개지(3)가 없음에 따라 먼지가 포장대(100) 내주로 들어가 숟가락(104)이 비위생적이었으나 본원은 덮개지(3)로 벌려진 부분을 덮개되므로 먼지가 들어갈 염려가 없어 위생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Claims (2)

  1. 하부포장지(1)를 바닥지로 하여 그 상측으로 띠 형상의 상부포장지(2)를 일정한 간격으로 접합하여서 된 공지의 숟가락 포장대 제작용 포장지에 있어서, 하부포장지(1) 상측으로 폭이 좁은 띠형상의 덮개지(3)를 접착하되 덮개지(3)의 상단부를 접착부(4)로 하여, 비접착부(4a)인 하단부가 공지의 상부포장지(2)의 상단내측에 끼워져 중첩되도록 하여서 된 숟가락 포장대제작용 포장지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덮개지(3)의 하단 비접착부(4a)가 상부포장지(2) 단부에 덮어질 수 있도록 상부포장지(2)의 상단보다 길게 형성하여서된 숟가락 포장대 제작용 포장지의 구조.
KR2019900012855U 1990-08-24 1990-08-24 숟가락 포장대 제작용 포장지의 구조 KR9200053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2855U KR920005372Y1 (ko) 1990-08-24 1990-08-24 숟가락 포장대 제작용 포장지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2855U KR920005372Y1 (ko) 1990-08-24 1990-08-24 숟가락 포장대 제작용 포장지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377U KR920004377U (ko) 1992-03-25
KR920005372Y1 true KR920005372Y1 (ko) 1992-08-08

Family

ID=19302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2855U KR920005372Y1 (ko) 1990-08-24 1990-08-24 숟가락 포장대 제작용 포장지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3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377U (ko) 199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138241A (en) Sealed package
KR101323501B1 (ko) 흡연물품의 계단식 힌지-뚜껑 팩
US2614934A (en) Tea packaging system
JPH0543586B2 (ko)
US7100764B2 (en) Box packaging for cigarettes
KR102405015B1 (ko) 흡연 물품의 패킷
KR920005372Y1 (ko) 숟가락 포장대 제작용 포장지의 구조
KR200421613Y1 (ko) 피자포장용 지지기구
RU2283266C2 (ru) Жесткая сигаретная пачка
US4083487A (en) Safety package of toothpick holder
KR200346995Y1 (ko) 일회용 김밥 포장시트
US2888352A (en) Bacon package and separator for bacon slices
JP7300333B2 (ja) 包装体及び包装体の使用方法
EP0200328A2 (en) A package for spreadable products
CN219383550U (zh) 自落抽取式包装盒
KR200457799Y1 (ko) 핑거캡이 일체로 구비된 음식물 포장박스
JPS5856210Y2 (ja) 包装材
KR860002687Y1 (ko) 담 배 갑
JP2526709Y2 (ja) おにぎり用包装体
JPH0559A (ja) おにぎり用包装体
KR200319555Y1 (ko) 취급이 용이한 계란 포장용기
KR870002730Y1 (ko) 컵 포장상자
JP4362192B2 (ja) 引き出し内蔵の紙包装容器
JPH0320244Y2 (ko)
JPH021941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