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343Y1 - 열기기구의 온도감지 보조구 - Google Patents

열기기구의 온도감지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343Y1
KR920005343Y1 KR2019880015904U KR880015904U KR920005343Y1 KR 920005343 Y1 KR920005343 Y1 KR 920005343Y1 KR 2019880015904 U KR2019880015904 U KR 2019880015904U KR 880015904 U KR880015904 U KR 880015904U KR 920005343 Y1 KR920005343 Y1 KR 920005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mit switch
temperature
duct
hot ai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59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044U (ko
Inventor
기성철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59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343Y1/ko
Publication of KR9000070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0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3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usings, Intake/Discharge, And Installation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기기구의 온도감지 보조구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 단면도.
제 3 도는 종래의 온도 감지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열기 안내 덕트 2 : 열기통로
3 : 관통공 5 : 열전도판
6 : 절곡편 9 : 온도감응 리미트스위치
본 고안은 가스 팬히터등 열기기구의 온도 감응 리미트 스위치에 결합하여 사용되는 온도감지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기통로내의 온도를 온도 감응 리미트스위치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시킬 수 있게한 온도감지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스 팬히터, 석유히터, 오븐 그릴레인지 등의 열기기구를 보면,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온도 감응 리미트 스위치 본체(10), 커버(11), 단자(12)등으로 구성된 온도 감응 리미트 스위치 장치를 열기통로(2)를 가진 덕트(1)의 외벽에 나사못(13)으로 밀접하게 설치하였는바, 이러한 구조는 열기 통로의 덕트(1)가 대부분 철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철판의 열전도율이 소망하는 정도에 못미치기 때문에 온도 감응 리미트스위치 본체(10)가 열기통로(2)내부의 온도를 신속,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어 리미트 스위치의 열감응에 의한 컨트롤시스템에 결함이 생기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열전도율이 양호한 재질은형으로 절곡하여 그 양단 절곡부를 덕트의 내부 즉 열기통로에 노출시켜 열기의 온도를 적극적으로 수열감지하여 외부의 본체로 전달시키도록하고 이 외부 본체의 표면에 온도 감지 소자를 밀접시켜 외부 본체 표면의 온도를 감지시키므로써 덕트 통로 내의 열기의 온도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는 열기기구의 온도 감지 보조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1은 열기를 안내 유통시키는 덕트로서 내부에 열기통로(2)가 마련하고 일측벽에 적당길이와 폭을 지닌 관통공(3)(3)이 천공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3)(3)의 내측에 나사공(4)(4)이 형성되어 있다. 5는 열전도판으로, 열전도율이 양호한 재질로 되고 양단이 적당한 폭으로 절곡되어 절곡편(6)(6)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관통공(7)(7)가 스토퍼(8)(8)가 형성되어 있다.
9는 공지의 온도 감응 리미트 스위치로서, 스위치 본체(10)를 부착시키는 커버(11)와 단자(12)(12)가 구비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3은 나사못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덕트(1)의 관통공(3)(3)에 열전도판(5)의 절곡편(6)(6)을 외부로부터 관통시켜 덕트(1)내부의 열기통로(2)에 노출시킨뒤 이 열전도판(5)의 표면에 스위치 본체(10)와 커버(11) 및 단자(12)가 결합된 온도감응 리미트 스위치(9)를 밀착시켜 나사봇(13)으로 체결하여 제 2 도와 같이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설치되는 본 고안은 스토퍼(8)(8)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9)를 정확한 위치에 쉽게 셋팅시킬 수 있어 조립을 신속하게 하고 열기통로(2)의 내부에 노출된 절곡편(6)(6)이 열기통로(2)를 상승하는 열기와 직접 접촉하여 가열되면 그 열을 신속하게 온도 감응 리미트 스위치(9)로 전달하여 미리 설정된 온도대에서 리미트 스위치(9)를 정확하게 작동시키는 것으로, 종래에 제 3 도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를 덕트 외벽에 적접 접촉시킨 것에 비하여 감응속도가 빠르고 정확한 특징이 있다.

Claims (1)

  1. 열기기구의 열기통로(2)를 가진 덕트(1)에 온도 감응 리미트 스위치(9)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덕트(1)에 관통공(3)(3)을 천공하여 이에 열전도율이 양호한 열전도판(5)의 양단을 절곡한 절곡편(6)(6)을 내부로 관통시켜 취부하고 이 열전도판(5)의 표면에 리미트 스위치(9)를 설치하도록한 열기기구의 온도 감지보조구.
KR2019880015904U 1988-09-29 1988-09-29 열기기구의 온도감지 보조구 KR9200053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5904U KR920005343Y1 (ko) 1988-09-29 1988-09-29 열기기구의 온도감지 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5904U KR920005343Y1 (ko) 1988-09-29 1988-09-29 열기기구의 온도감지 보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044U KR900007044U (ko) 1990-04-03
KR920005343Y1 true KR920005343Y1 (ko) 1992-08-03

Family

ID=19279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5904U KR920005343Y1 (ko) 1988-09-29 1988-09-29 열기기구의 온도감지 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34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044U (ko) 1990-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7979A (ko) 환기팬의 작동장치
KR970004995A (ko) 전자장치용 보호 케이싱 구조
KR870003381A (ko) 습도 검출기
KR920005343Y1 (ko) 열기기구의 온도감지 보조구
CA2354693C (en) Convective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KR880011576A (ko) 온도 측정 장치
KR880007978A (ko) 온열검지 장치
ES528096A0 (es) Dispositivo regulador o de control de temperatura para un aparato termico
JPS5949803U (ja) オ−ブン調理器の操作装置
KR860007521A (ko) 온풍 난방기
KR950023926A (ko) 가열기구 후드자동조절장치
JPH044317Y2 (ko)
JPS6026476Y2 (ja) 電気ヒ−タ−
KR950005364Y1 (ko) 전기보온밥솥의 온도감지장치
JPS5920683Y2 (ja) 検出器用加熱ブロック
JPH0127340B2 (ko)
JPH02178525A (ja) 加熱調理器
JPS6160394U (ko)
JPS6332665Y2 (ko)
KR970002142A (ko) 그릴레인지의 공기순환장치
KR960010149A (ko) 전기납땜인두
JPH0515419Y2 (ko)
DE3762777D1 (de) Thermometervorrichtung mit umhuellung.
KR910006557Y1 (ko) 코우크스로 연소제어용 열전대
KR860000038Y1 (ko) 바닥 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