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259Y1 - 세탁기의 수조진동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수조진동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259Y1
KR920005259Y1 KR2019900006403U KR900006403U KR920005259Y1 KR 920005259 Y1 KR920005259 Y1 KR 920005259Y1 KR 2019900006403 U KR2019900006403 U KR 2019900006403U KR 900006403 U KR900006403 U KR 900006403U KR 920005259 Y1 KR920005259 Y1 KR 9200052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washing machine
vibration sensing
tan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64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222U (ko
Inventor
임성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64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259Y1/ko
Publication of KR9100202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2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2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2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0Starting machine operation, e.g. delayed start or re-start after power c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탁기의 수조진동 감지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세탁기의 일부 개략정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 진동감지부재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로써, (a)는 본 고안 수조의 수평방향 진동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b)는 본 고안 수조의 좌, 우 방향 진동을 감지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c)는 본 고안 수조의 전, 후방향 진동을 감지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조 2 : 진동감지부재
3 : 제어스위치 4 : 작동고리
본 고안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 또는 탈수행정시 세탁물의 불균형에 의해서 수조가 수평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세탁기의 진동 및 소음을 초기에 방지할 수 있게하는 세탁기의 수조진동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조의 외곽에 수조가 형성된 일조식 세탁기는 일반적으로 수조를 세탁기 본체에 현수하는 수단으로 완충부재가 형성된 현수부재를 수조하부측의 적의개소에 고정하여 외체에 현수시키는 것으로, 그러한 완충부재는 세탁조로부터 상하로 발생되는 진동을 완화 시킬수 있으나 세탁조의 수평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특히, 세탁조가 회전하여 세탁룸을 탈수시키는 과정에서 원심력에 의해 세탁조상부에 심한 흔들림이 발생되어지면 수조가 세탁기의 본체를 때리면서 심한 진동과 소음을 유발시키게 됨에 따라 근래에 와서는 상기와 같이 수조의 수평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하게 위한 수단으로 수조에 소정범위이상의 흔들림이 발생되면 제어부의 스위치를 작동시켜 세탁기의 동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수조의 상단일측에 일정거리가 유지되는 하나의 작동편으로 구성된 진동감지부재를 설치하여 왔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설치된 진동감지부재는 수조의 상부로 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어 일방향 진동발생시에만 작동 되어짐에 따라 진동감지부재를 벗어난 타방향의 진동시에는 이를 감지하지 못하여 세탁기에 진동과 소음을 유발시키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수조의 수평방향으로 발생되어지는 한계범위이상의 모든 진동을 감지하여 세탁기의 소음 및 진동을 초기에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의 수조진동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통상의 제어부 양측에 스위치를 구비하고 수조의 상단일측에 작동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제어부의 스위치를 각각 작동시킬수 있는 진동감지부재를 갖추어 상기 작동고리의 천공부중심에 위치하도록 설치 구성한 세탁기의 수조진동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는 수조의 상단 일측에 설치된 작동 고리는 수조의 수평방향 움직임과 동일하게 움직여 이의 중심부에 설치된 진동감지부재를 작동시켜 주므로서 수조의 수평 방향으로 발생되는 한계범위이상의 모든 진동을 감지하여 세탁기의 동력을 제어할 수 있게하여 세탁기의 사용시 세탁물의 불균형에 의한 수조의 흔들림을 초기에 제어시켜 세탁기의 진동과 소음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세탁기의 일부 개략정단면도이고, 제 2 도는 본 고안 감지부재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써 1은 수조이고, 2는 진동감지부재이며, 3은 제어부이다.
상기 수조(1)는 세탁기의 세탁조(8)외곽에 감싸이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수조(1)의 상단 외주벽 일측에 진동 한계범위를 감안한 소정직경으로 천공된 작동고리(4)를 구성시킨 것이며, 진동감지부재(2)는 상기 작동고리(4)이 천공부(4a)중심에 위치하게 끼워지도록 후향으로 절곡된 지지대(2A)를 형성하고 이의 상단 소정위치에는 지지케이스(5)에 지지되어 360°회전이 가능하게 볼죠인트방식으로 연결시킨 볼지지구(2b)를 구비하여 이를 중심으로 상,하 이동하면서 후술할 제어부(3)의 스위치(3a-1)(3a-2)를 단락시키는 제 1 작동대(2c-1)와 제 2 작동대(2c-2)를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결설치한다.
이때 제 2 작동대(2c-2)에는 진동감지부재(2)의 설치중심을 유지하고 복원력을 갖도록 지지케이스(5)의 상부 내벽에 스프링(6)으로 탄력있게 설치한다.
상기 제어스위치(3)는 통상에서와 같이 세탁기 도어(7)의 개방시 동작되는 도어접점(3b)의 상부에 구비되고 그 하부전방에는 제 1 접점(3a-1)과 후방에 제 2 접점(3a-2)을 각각 갖추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의 동작과정과 작용효과를 보면, 먼저 제 3a 도에서와 같이 작동고리(4)의 중심점(O)(O')이 수조(1)의 진동한계점이 되는 것으로 수조가 좌,우 방향으로 진동되어 (a)에서와 같이 작동고리(4)의 중심점을 벗어나게 되면 (b)에서와 같이 지지대(2a) 볼죠인트방식으로 지지케이스(5)에 연결된 볼지지구(2b)를 중심으로 제 1 작동대(2c-1)(2c-2)가 동시에 상승하면서 제어스위치(3) 전방의 제 1 접점(3a-1)(3a-2)을 눌러 세탁기의 동력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고 (a)의 (b)에서와 같이 수조가 전,후 방향으로 진동되어 작동고리(4)의 중심점(O)(O')을 벗어나게 되면 (c)에서와 같이 제 2 작동대(2c-2)측이 상승하면서 제어스위치(3) 후방의 제 2 접점(3a-2)을 눌러 세탁기의 동력을 차단 시키므로써 세탁조(8)의 회전이 멈추게 하고, 이어서 제 2 작동대(2C-2)는 지지케이스(5)와 탄설된 스프링(6)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복귀된다.
이와같이 세탁조가 멈춘 상태에서 사용자는 세탁물을 가지런히 정리한 다음 파워스위치를 ON시켜서 세탁 및 탈수행정을 계속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세탁기의 세탁 및 탈수행정시 원심력에 의한 세탁물의 불균형으로 수조의 수평방향으로 발생되는 한계범위 이상의 모든 진동을 감지하여 세탁기의 동력을 제어시키므로서 세탁기의 진동 및 소음을 초기에 방지하여 제품성을 증대시킴을 특징으로 안출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수조의 상단일측주벽에 소정직경의 작동홀(4a)을 통공 시킨 작동고리(4)와, 상기 작동고리(4)의 작동홀(4a)중심으로 관통되도록 지지케이스(5)에 360°회동가능하게 착설되는 진동감지부재(2)와, 상기 지지케이스(5)의 전방에 설치되어 진동감지부재(2)의 작동에 의해 모터의 전원을 차단시키도록 제 1, 2 접점(3a-1)(3a-2)이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제어스위치(3)를 갖춘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수조진동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진동감지부재(2)는 봉체를 후향으로 절곡시키고 그 상부소정위치에 지지케이스(5)와 볼죠인트방식으로 연결되도록 볼지지구(2b)를 구비한 지지대(2a)와, 상기 지지대(2a)의 상단양측에 제어스위치(3)의 제 1, 2 접점(3a-1)(3a-2)을 작동시키도록 전방을 향해 수평으로 각각 연장되는 1, 2차 작동대(2c-1)(2c-2)를 갖춘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수조진동 감지장치.
KR2019900006403U 1990-05-15 1990-05-15 세탁기의 수조진동 감지장치 KR9200052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403U KR920005259Y1 (ko) 1990-05-15 1990-05-15 세탁기의 수조진동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403U KR920005259Y1 (ko) 1990-05-15 1990-05-15 세탁기의 수조진동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222U KR910020222U (ko) 1991-12-20
KR920005259Y1 true KR920005259Y1 (ko) 1992-07-31

Family

ID=19298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6403U KR920005259Y1 (ko) 1990-05-15 1990-05-15 세탁기의 수조진동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2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222U (ko) 199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7868B2 (en) Washing machine with balancer
JP2010057848A (ja) 洗濯機
JP2009006006A (ja) 洗濯機
JP2009100985A (ja) 洗濯機
KR920005259Y1 (ko) 세탁기의 수조진동 감지장치
JP3121640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3284890A (ja) 洗濯機のアンバランス検出装置および検出方法
JPH10211382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20069260A (ja) 洗濯機
JPS6340230Y2 (ko)
JP2545802Y2 (ja) 洗濯機の脚装置
KR100300574B1 (ko) 경사가변 세탁기
KR0154449B1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101690613B1 (ko)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49494Y1 (ko) 전자동 세탁기의 서스펜션 시스템
JP2009006082A (ja) ドラム式洗濯機及びドラム式洗濯機の減衰機構の減衰力制御方法
JP2834849B2 (ja) 洗濯機の制御方法
KR100242574B1 (ko) 세탁기
KR100233450B1 (ko) 세탁기
JPH0331479B2 (ko)
KR0182716B1 (ko) 세탁기의 방진장치
KR0125602Y1 (ko)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
KR200180640Y1 (ko) 세탁기의걸이봉위치조절장치
JP2950884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229661B1 (ko) 세탁기의 소음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