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799Y1 - 손가락으로 협지 사용하는 면도기 - Google Patents

손가락으로 협지 사용하는 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799Y1
KR920004799Y1 KR2019900010994U KR900010994U KR920004799Y1 KR 920004799 Y1 KR920004799 Y1 KR 920004799Y1 KR 2019900010994 U KR2019900010994 U KR 2019900010994U KR 900010994 U KR900010994 U KR 900010994U KR 920004799 Y1 KR920004799 Y1 KR 9200047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shaving
razor
fixing body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0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2276U (ko
Inventor
서종수
Original Assignee
서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수 filed Critical 서종수
Priority to KR2019900010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799Y1/ko
Publication of KR9200022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2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7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7Handles, e.g. tiltable, flexible attachable to fingers or to the human h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손가락으로 협지 사용하는 면도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 2 도는 동 종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작용 상태도.
제 5 도 및 제 6 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 및 그 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면도날 2, 3 : 상,하부고정체
4 : 면도날부 5, 5' : 협지편
5a : 할개부 5b, 5b' : 절결부
6 : 중지삽지공 7, 7' : 걸이편
7a, 7a' : 손가락걸이홈부 10, 10' : 결착홈부
11, 11' : 결착돌부
본 고안은 가운데 손가락에 끼워 협지 사용하는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면도기를 가운데손가락에 끼워 협지 사용하므로써 면도와 동시에 집게 및 약손가락으로 면도상태를 즉시 감지할수 있게 한 것이다.
종전의 면도기는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를 가진 면도기는 면도하는데 있어 큰 행동제약을 초래하지는 않으나 깨끗한 면도를 위해서는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면도해야 하는 매우 번잡하고 불편한 결함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대개 얼굴을 면도할 때 거울을 보며 면도를 하게 된다. 이같이 면도할 때 거울로서는 뺨이나 목부위의 면도상태를 면밀히 볼수 없다.
그러므로 대개는 면도하지 않는 손(주로 왼손임)의 손가락 바닥면으로 일단 면도할 부분을 문질러 보아 면도 상태를 감지한후 그 감지여부에 따라 재차 면도하게 되는데, 이같은 면도상태의 감지행위는 면도를 완전히 끝낼때까지 계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행하게 되므로 매우 번잡, 불편하였을 뿐만 아니라 면도시간을 오래 소요케하는 주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비교적 긴 기장의 손잡이를 가지고 있는 종전의 면도기는 그 손잡이로 인해 휴대가 그다지 간편치 않고 제조가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휴대용이나 일회용 면도기로서는 그다지 적합치 않을뿐만 아니라 대량 생산적으로 볼때 제조단가의 높음은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이미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면도와 동시에 면도하는 손의 손가락으로 하여금 면도된 상태를 그 즉시 감지, 확인할수 있는 면도기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사용 편리성을 도모하고 가일층 신속하고 깨끗한 면도를 도모하고져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를 구비하지 않고도 면도가능하게 하므로써 면도기의 소형화와 더불어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면도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면도날을 가진 면도날부 상측에 가운데손가락을 끼워 넣을수 있는 중지삽지공을 마련하고 그 양측에는 집게 및 약손가락에 지지되도록 한 지지편을 구비하여 면도기 전체가 손가락에 의해 협지되어 간편히 면도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이고, 제 2 도는 동 종단면도로서, (1)은 공지의 면도날을 나타낸 것이다.
이 면도날(1)은 비누거품이나 잘린 수염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배출구(2a)(2a')를 가진 상부고정체(2)와 하부고정체(3)사이에 고정되어 면도날부(4)를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3a는 하부고정체(3)를 상부고정체(2)에 고정시키기 위한 심보이다.
따라서 상부고정체(2)상단에는 면도날부(4)와 동일 길이를 가지는 한편 상단에 할개부(5a)를 가지므로써 한쌍이 되는 협지편(5)(5')을 일체로 형성되게 하여 이들의 저부에 손가락걸이홈부(7a)(7a')가 형성되게 한다.
그리고 걸이편(7)(7')상측의 협지편(5)(5')은 다수개로 절결하여 수개의 절결부(5b)(5b')가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각기 탄력성을 지니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 실시함에 있어 본 고안은 제 5 도 및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도날부(4)를 분리, 결착되게하여 교환,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즉, 일체로 협지편(5)(5')의 저부에는 결착홈부(10)(10')를 길이방향으로 요설하고 면도날부(4)의 상부고정체(2)상단에는 결착돌부(11)(11')를 역시 길이 방향으로 돌설하여 동 결착돌부(11)(11')가 결착홈부(10)(10')에 삽탈되도록 하므로써 면도날부(4)를 교환, 사용하게 할수도 있는 것으로, 이같이 면도날부(4)가 분리형으로 된 면도기는 가정용 면도기로서 적합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도면에 있어 한날 면도기로 도시되었지만 두날 면도기로도 구성, 실시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제 3 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에 끼워 사용된다. 즉, 중지삽지공(6)에 가운데손가락(h3)를 끼우는 동시에 손가락걸이홈부(7a)(7a')에 집게손가락(h2) 및 약손가락(h4)이 개삽되도록 끼운다.
이때, 협지편(5)(5')에는 할개부(5a)와 절결부(5b)(5b')가 있기 때문에 굵기에 따라 제각기 벌어지게 되므로 별다른 어려움 없이 원만한 삽입이 가능하게 되고, 아울러 이들은 제작기 내측으로 탄력을 갖기 때문에 협지편(5)(5')이 가운데손가락(h3)에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협지편(5)(5')양측에는 집게 및 약손가락(h2)(h4)이 활꼴형태의 걸이편(7)(7')에 걸림되어 오무림상태가 되기 때문에 집게와 가운데손가락(h2)(h3)사이에, 그리고 가운데와 약손가락(h3)(h4)사이에는 협지편(5)(5')의 하체가 협지되는 상태가 되므로서 자연스럽게 안정된 착용상태가 될뿐 아니라 면도날부(4)의 저면과 집게 및 약손가락(h2)(h4)의 바닥면은 가의 수평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엄지와 새끼손가락(h1)(h5)은 허공에 머문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제 4 도와 같이 면도함에 있어 위에서 아래로 면도한다고 가정할때 면도날부(4)에 의한 면도된 부위(P)가 그 즉시 약손가락(h4)에 의해 쓰다듬는 상태가 되므로 면도된 상태를 그 즉시 감지할수 있게 되고, 반대 방향으로 면도할 때에는 집게손가락(h2)으로 감지할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과 같이 면도하지 않는 손으로 면도된 부위를 쓰다듬어 면도된 상태를 확인할 필요없이 면도하는 손만으로도 면도와 동시에 면도된 상태를 즉시 감지, 확인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손가락에 끼워 협지 사용하는 것이므로 기존에서와 같은 손잡이가 필요없게 된다. 그러므로 면도날부(4)기장만큼의 크기만을 가지는 소형화된 면도기를 얻을수 있고, 또 면도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제조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면도하는 손만으로도 면도와 동시에 면도된 상태를 즉시 감지, 확인할수 있기 때문에 한손만을 사용하여 면도할 수 있는 편익성을 제공할뿐만 아니라 기존보다 신속하고 깨끗한 면도를 도모할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보다 소형화된 면도기를 제공하므로 휴대 편리성을 제공할뿐만 아리라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가정용 및 일회용 면도기를 대량 공급함에 있어 염가의 면도기를 제공할수 있는 잇점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한손만으로도 간편, 용이하게 면도할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예컨대 한손이 없는 장애자일라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면도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면도날(1)를 구비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배출구(2a)(2a')를 가진 상부고정체(2)와 심보(3a)를 가진 하부고정체(3)사이에 면도날(1)이 협지되어 면도날부(4)를 구성하고 상부고정체(2)의 직상부에는 상단에 할개부(5a)를 가진 협지편(5)(5')을 구비하여 중지삽지공(6)을 형성하며 동 협지편(5)(5')의 외측중간에는 활꼴형태의 걸이편(7)(7')을 각기 형설하여 손가락걸이홈부(7a)(7a')을 형성되게 하여서 구성된 손가락으로 협지사용하는 면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일체로 된 협지편(5)(5')의 저부에 결착홈부(10)(10')를 요설하여 이에 면도날부(4)의 상부고정체(2)상단에 돌설된 결착돌부(11)(11')가 삽탈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손가락으로 협지 사용하는 면도기.
  3. 제 1 항에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걸이편(7)(7')상측의 협지편(5)(5')을 다수 절결하여 수개의 절결부(5b)(5b')가 형성되도록 한 손가락으로 사용하는 면도기.
KR2019900010994U 1990-07-25 1990-07-25 손가락으로 협지 사용하는 면도기 KR920004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0994U KR920004799Y1 (ko) 1990-07-25 1990-07-25 손가락으로 협지 사용하는 면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0994U KR920004799Y1 (ko) 1990-07-25 1990-07-25 손가락으로 협지 사용하는 면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276U KR920002276U (ko) 1992-02-24
KR920004799Y1 true KR920004799Y1 (ko) 1992-07-20

Family

ID=19301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0994U KR920004799Y1 (ko) 1990-07-25 1990-07-25 손가락으로 협지 사용하는 면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7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276U (ko) 199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057B1 (ko) 면도기 및 면도기 손잡이
US8782911B1 (en) Versatile shaver
US5740611A (en) Grooming device
US4542585A (en) Hair clipper
JP2702760B2 (ja) 散髪方法
KR920004799Y1 (ko) 손가락으로 협지 사용하는 면도기
KR100582029B1 (ko) 미용가위
US2550972A (en) Shaving guide
US2883747A (en) Hair clipper
US3947960A (en) Wand hair cutter
CN217020489U (zh) 剃须刀及其剃须刀头
KR200436168Y1 (ko) 조발용 가위
US2645849A (en) Cutting instrument
US6751870B2 (en) Haircutting instrument and method of use
WO2015110808A1 (en) A razor or razor cartridge
US11878437B1 (en) Personal razor for shaving
KR200337267Y1 (ko) 가위
JPS64211Y2 (ko)
JP7228215B1 (ja) カミソリの柄及び当該カミソリの柄を備えるカミソリ
JPWO2002062537A1 (ja)
KR880000788Y1 (ko) 코털깎이
KR860002021Y1 (ko) 면도칼
US2748469A (en) Razors
KR900001105Y1 (ko) 면도기
KR200166315Y1 (ko) 면도날이경사진면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