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627Y1 - 이쑤시개 - Google Patents

이쑤시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627Y1
KR920004627Y1 KR2019900004997U KR900004997U KR920004627Y1 KR 920004627 Y1 KR920004627 Y1 KR 920004627Y1 KR 2019900004997 U KR2019900004997 U KR 2019900004997U KR 900004997 U KR900004997 U KR 900004997U KR 920004627 Y1 KR920004627 Y1 KR 920004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portion
teeth
bent
toothpick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4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849U (ko
Inventor
염대섭
박병재
Original Assignee
김인섭
박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섭, 박병재 filed Critical 김인섭
Priority to KR2019900004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627Y1/ko
Priority to JP1991026324U priority patent/JPH0621458Y2/ja
Publication of KR9100178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8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6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2Toothp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4/00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쑤시개
제 1 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잡이 2 : 돌기
3 : 자바라형요철부 4 : 제 1 경사부
5 : 제 2 경사부
본 고안은 음식물을 섭취한 후 이빨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사편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이쑤시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사편을 이루는 제 1 경사부에 참단이 가늘고 긴 제 2 경사부를 일체로 성형하여 주어 절곡가능하게 하여 사용잇빨위치 및 부위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한 이쑤시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쑤시개는 목재로 가공되는 것으로, 이는 단지 한끝 또는 양끝단만을 뾰족하게 가공하여 사용함으로 해서 그 끝단이 타액에 젖어 강도가 약해지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이러한 이유로 인해 그 끝단이 오히려 이빨사이에 끼어버려 이를 제거해야 하는등의 단점이 있었으며, 특히 이러한 종래의 이쑤시개는 목재를 일직선의 일자형으로 가공하기 때문에 안쪽에 위치한 이빨이나 어금니에는 그 사용이 극히 불편하여 입을 크게 벌려야만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타인에게 혐오감을 주게되고, 이러한 이유로 인해 벌린입을 손으로 가려야하는등의 사용상 단점이 있을뿐만아니라, 이러한 종래의 이쑤시개는 단지 끝단의 극히 일부만을 뾰족하게 가공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도중 뾰족하게 가공된 이후의 몸체부분이 이빨사이에 끼어 들어가서 이빨사이의 간격을 벌어지게 하거나 잇몸에 상처를 주게되어 각종구강위생을 위협하는 원인이 되어서 그 사용에 있어 상당한 주의를 요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단점을 일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목재와 같은 탄성과 강도를 가진 수지형의 재질을 사용하여 사출성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대량생산이 단시간에 가능하도록하고, 또한 어금니 또는 안쪽의 이빨까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끝단에 일정한 각도로 경사가 형성된 경사편을 두어 형성하고, 이 경사편은 각도조절을 임의로 가능하도록하되, 사용끝부분은 가늘고 길게 형성되는 또다른 경사편을 일체로 성형함으로 해서 이빨사이에 끼인 찌꺼기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할 뿐만아니라 사용에 의해 이빨사이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하고, 특히 사용이빨부위에 따라 경사편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변형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손잡이 (1)의 한끝단에 자바라형 요철부(3)를 두어 형성하고, 상기 요철부(3)에는 일정한 각도 또는 일자형으로 절곡 가능하게 이루어진 제 1 경사부(4)로 이루어진 이쑤시개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부(4)의 끝단에 첨단이 가늘고 길게 성형되어진 제 2 경사부(5)를 일정한 각도 또는 일자형으로 절곡가능토록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미설명부호 2는 손잡이(1)에 형성된 돌기로 사용도중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이쑤시개의 사용 및 제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첨부한 도면 제 1 도에서와같이 일정한 각도를 두고 제 2 경사부(5)상에 일체로 형성된 제 2 경사부(5)를 이용하여 이빨의 위치에 따라 사용하되, 필요에 따라 제 2 경사부(5)의 각도를 극히 변형시켜 주게되면, 끝단이 극히 가늘고 길게 형성된 제 2 경사부(5)로 어금니 상부안쪽이나 안쪽이빨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를 꺼내기 위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첨부한 도면 제 2 도 참조)
또한 이러한 것과 마찬가지로 제 1 경사부(4)를 요철부(3)상에서 절곡하여 하부로 하향시키면 가늘고 길게 형성된 제 2 경사부(5) 역시 이에따라 하향절곡되는데 이는 본 고안이 수지로 성형되는 재질상의 탄성에 의해 절단되지 아니하고 절곡되게 되어 결국 제 2 경사부(5)로 어금니나 안쪽에 위치한 이빨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를 입을 크게 벌리지 아니하고도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니등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를 꺼내고자 할 때에는 상기와 같이 제 2 경사부(5)를 일정한 각도로 절곡된 상태에서는 손잡이(1)를 입의하부 또는 상부에서 사용해야 하므로 그 사용이 불편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에는 상기 제 1 경사부(4)를 첨부한 도면 제 3 도에서와 같이 손잡이(1)와 일직선상 즉 일자형으로 요철부(3)상에서 절곡하되, 상기 제 2 경사부(5)역시 제 1 경사부(4)상에서 일직선상으로 절곡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제 1 경사부(4)와 제 2 경사부(5)가 요철부(3)에서 손잡이(1)와 일자형으로 형성케하여 종래의 이쑤시개와 동일한 방법에 입각하여 사용하면 될 것이다.
이 역시 본 고안의 이쑤시개는 수지로 성형되는 재질상의 탄성에 의해 절단되지 아니하고 일자형으로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이쑤시개는 이빨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를 직접제거하는 제 2 경사부(5)를 가늘고 길게 형성하므로서 사용에 따라 이빨사이의 간격을 벌리는 단점과 잇몸을 상하게 하는 단점이 없으며, 특히 제 2 경사부(5)의 그 형성각도를 제 1 경사부(4)와 함께 제 1 경사부(4)상에서 절곡가능하게 함으로서 이빨이 위치하는 부위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사용가능하며, 또한 제 1 경사부(4)역시 요철부(3)상에서 일정한 각도 또는 일직선상으로 절곡가능하도록 형성되도록하여 제 2 경사부(5)가 이빨에 사용될 때 절곡부위의 강도를 유지하게 함과 함께 이빨의 사용부위에 따라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 2 경사부(5)가 사용도중 절단되어버리는 단점을 배제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이쑤시개는 결국 상기와 같이 종래의 이쑤시개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완전히 일소하여, 구강위생을 한층높이고, 사용 역시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1)

  1. 일자형으로 형성된 손잡이(1)의 한끝단에 형성된 요철부(3)에 일정한 각도를 두고 제 1 경사부(4)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이쑤시개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부(4)의 끝단에 절곡이 자유롭게 첨단이 가늘고 길게 형성된 제 2 경사부(5)를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쑤시개.
KR2019900004997U 1990-04-19 1990-04-19 이쑤시개 KR920004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4997U KR920004627Y1 (ko) 1990-04-19 1990-04-19 이쑤시개
JP1991026324U JPH0621458Y2 (ja) 1990-04-19 1991-04-18 楊 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4997U KR920004627Y1 (ko) 1990-04-19 1990-04-19 이쑤시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849U KR910017849U (ko) 1991-11-28
KR920004627Y1 true KR920004627Y1 (ko) 1992-07-10

Family

ID=1929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4997U KR920004627Y1 (ko) 1990-04-19 1990-04-19 이쑤시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21458Y2 (ko)
KR (1) KR9200046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21458Y2 (ja) 1994-06-08
JPH0518514U (ja) 1993-03-09
KR910017849U (ko) 199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1854A (en) Teeth cleaning implement
US20040040572A1 (en) Tongue scraper/dental flosser
KR101885862B1 (ko) 치간칫솔 및 그 제조 방법
US5738125A (en) Dental flosser
CA1242598A (en) Tooth cleaning implement
US5289836A (en) Dental floss device with a guide post
KR200441684Y1 (ko) 이쑤시개
US5253661A (en) Composite oral cleaning apparatus
KR920004627Y1 (ko) 이쑤시개
US3771537A (en) Method and device for mechanical cleaning of teeth
JPH0336537B2 (ko)
US11963834B2 (en) Dental flosser with means for adjusting floss tension
US4367759A (en) Flexible teeth-cleaning device
US20020117184A1 (en) Toothpick with two functional ends
KR200158994Y1 (ko) 이쑤시개
KR200220966Y1 (ko) 귀이 개를 겸한 이쑤시개
KR200233785Y1 (ko) 브러시가 구비된 이쑤시개
KR200179955Y1 (ko) 변형 가능한 이쑤시개
KR200196045Y1 (ko) 이쑤시개
KR200295084Y1 (ko) 1회용 이쑤시개
KR200235879Y1 (ko) 이쑤시개
KR200320347Y1 (ko) 안전 이쑤시개
KR200195370Y1 (ko) 이쑤시개
WO2000030559A1 (en) Disposable dental inner and outer pick
KR200189241Y1 (ko) 이쑤시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