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228B1 - 새우 박피기 - Google Patents

새우 박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228B1
KR920004228B1 KR1019900701138A KR900701138A KR920004228B1 KR 920004228 B1 KR920004228 B1 KR 920004228B1 KR 1019900701138 A KR1019900701138 A KR 1019900701138A KR 900701138 A KR900701138 A KR 900701138A KR 920004228 B1 KR920004228 B1 KR 920004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imp
slit
cutting
peel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1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1169A (ko
Inventor
그래머 아아더
Original Assignee
슈림프 웨이커 인코오포레이티드
돌러레스 그래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림프 웨이커 인코오포레이티드, 돌러레스 그래머 filed Critical 슈림프 웨이커 인코오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00701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1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2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2Processing shrimps, lobsters or the like ; Methods or machines for the shelling of 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2Processing shrimps, lobsters or the like ; Methods or machines for the shelling of shellfish
    • A22C29/024Opening, shelling or peeling shellfish
    • A22C29/026Mechanically peeling and shelling shrimps, prawns or other soft-shelled crustac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새우 박피기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새우 박피기를 한쪽에서 본 사시도.
제 2 도는 새우 박피기를 다른쪽에서 본 사시도.
제 3 도는 새우 박피기의 새우 삽입부와 새우 방출부의 확대 사시도.
제 4 도는 새우 삽입부를 상부에서 본 평면도.
제 5 도는 새우 박피기의 배부분 껍질 전단기를 상부에서 본 부분 평면도.
제 6 도는 새우 박피기의 새우 파지 부재의 단면도.
제 7 도는 옆쪽에서 본 삽입부의 개략도.
제 8 도는 앞쪽에서 본 삽입부의 개략도.
제 9 도는 상부에서 본 삽입부의 개략도.
제 10 도는 옆쪽에서 본 배부분 절단기와 방출부의 개략도.
제 11 도는 상부에서 본 배부분 절단기와 방출부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새우 박피기 12 : 프레임장치
14 : 새우 파지장치 16 : 새우 삽입부
20 : 방출부 22, 24 : 다리 받침대
28 : 브래킷 28C, 30C : 최상부
본 발명은 새우 박피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새우껍질의 등부분과 배부분을 자동으로 절단하여 껍질을 벗길 수 있도록한 것이다.
본 기술분야에 오래전부터 공지되어 있는 새우 박피기는 일반적으로 절단공정 후에 손으로 처리될 새우껍질의 연한 배부분을 남겨 두고 딱딱한 등부분 껍질을 절단하는데 사용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새우 박피기는 전형적으로 특히 새우를 절단할 위치에 파지하기 위한 기구들과 관련하여서는 근본적으로 아주 복잡하다.
이런 종래 기술의 예들로서는 미합중국 특허인 윌리스 등의 제3,465,383호, 존슨의 제3,751,766호, 도멕키의 제3,737,928호, 아마리아 등의 제4,019,224호, 호프만 등의 제4,087,887호, 호프만등의 제4,281,436호 및 배트의 제4,413,377호에 개시된 장치가 있다.
상기 미합중국 특허들을 검토해 본 결과 새우 박피기를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모든 기술은 기계적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었으며, 따라서 이 값 비싼 박피기가 자주 고장나는 일이 발생하였다.
특히, 종래의 모든 박피기는 새우살을 부분적으로라도 훼손하는 일없이 새우에서 껍질을 완전히 벗겨낼 수가 없었고 단지, 새우의 등부분 껍질만을 절단하였다. 따라서, 새우살에서 껍질을 분리하는데 사람의 손이 필요하거나 박피기에서는 회전 브러쉬를 사용한다.
이런 대책은 모두 이상적이지 못하다. 사람의 손을 사용하는 껍질 자체가 잘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각 새우를 잡고 껍질을 제거해야 한다. 이는 종래의 박피기를 사용하는 것보다 품이 많이 든다. 더욱 복잡한 종래의 박피기는 브러쉬 또는 여타 기구를 사용하여 껍질을 제거한다. 이런 박피기를 사용한 결과 껍질은 물론 새우살의 일부까지도 부서져 종래 박피기의 생산량을 저하시킨다.
새우껍질의 등부분과 배부분을 둘다 절단할 경우, 새우를 약간 이동시킴으로써 새우에서 껍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주지의 사실이다.
껍질이 완전히 떨어지지 않은 부분이라도, 새우를 간단히 누르면 최소한의 힘으로 껍질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새우 박피기로는 새우의 등부분과 배부분 양부분의 껍질을 절단하여 그 껍질을 쉽게 벗겨낼 수가 없다. 물론 이것은 새우를 붙잡기 위한 기구 때문에 새우의 배부분이 절단용 톱 또는 날에 노출되지 못하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우의 배부분을 절단하려면 새우를 회전시켜 제 2 의 절단을 위한 위치에 적절히 위치시키기 위해 박피기의 새우 조작기구를 상당히 변경시킬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변경을 가한 박피기의 훨씬 더 복잡하여 상업용으로 사용될 수 없다. 필요한 것을 새우의 등부분과 배부분 양부분을 절단할 수 있는 단순화 된 박피기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새우 박피기는 새우가 제 1 절단부를 지나갈때 새우의 등부분 껍질을 상기 제 1 절단부에서 절단하는 제 1 절단장치를 갖는다. 이 박피기는 종방향 슬릿을 가진 가요성의 중공으로 새우를 파지하는 튜브를 갖는 회전수단과, 상기 새우를 파지하는 튜브에 삽입되어, 파지장치가 회전할때 상기 슬릿을 벌리고 파지장치가 삽입수단을 지나 회전할때 삽입된 새우를 상기 슬릿에 파지하도록 된 삽입수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새우 박피기(10)는, 아래의 수직한 주변면들이 새우 박피기(10)에 부착되며 구성 부품들을 덮는 외측 패널들이 없는 채로 도시되어 있다.
새우 박피기(10)는 프레임장치(12), 새우 파지장치(14), 새우 삽입부(16), 등부분 껍질 절단장치(18) 및 배부분 껍질 절단 및 방출부(20)로 이루어진다. 이 부분(12∼20)들의 각자는 새우 박피기(10)의 주요 구성요소이며 개별적으로 상세히 후술할 것이다. 프레임장치(12)는 2개의 수직다리와 수평연결부재를 각자 포함하는 1쌍의 다리 받침대(22, 24)로 이루어진다.
1쌍의 다리 받침대(22, 24)의 4개의 다리를 각자에는 외측 패널(도시안됨)을 유지하기 위한 용기 패널브래킷(26)이 부착되어 있다.
다리 받침대(22, 24)의 다리를 각자는 필요한 경우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새우 박피기(10)를 일정하지 않은 새우의 표면에 적절히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장치(12)는 앞쪽 브래킷(28)과 뒷쪽 브래킷(30)을 포함하며, 이들 브래킷 각자는 예컨대 용접에 의해 다리 받침대(22, 24)에 부착된다.
앞, 뒤 브래킷(23, 30)의 각자는 다리 받침대(22, 24)로 부터 각각 연장하는 제 1 및 제 2 의 직선 관형부재(28a, 28b, 및 30a, 30b)를 포함한다.
이들 관형부재(28a, 28b 및 30a, 30b)는 각자 최상부(28c, 30c)에서 서로 결합되며, 관형부재(28a, 30a)는 최상부(28c, 30c)를 지나 새우 파지장치(14)의 상부 근처까지 연장한다. 2개의 브랫킷(28, 30)은 후술되는 방식으로 이들 사이에서 원형의 새우 파지장치(14)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서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장치(12)는 등부분 껍질 절단용 모터 브래킷(34)이 부차되어 있는 모터 장착패널(32)을 포함한다.
이 패널(32)은 다리 받침대(22, 24)들의 사이에 부착되며 뒷쪽 브래킷(30)의 외측에 위치한다. 패널(32)에 의해 프레임장치는 A형 프레임 구조의 형태와 강도를 갖는다.
새우 파지장치(14)는 원주부 둘레에 파지 튜브(38)를 갖는 원형의 지지휘일(36)을 포함한다.
상기 파지 튜브(38)에는, 그의 전장을 따라 연장하고 지지후일(36)의 반경상 중심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위치한 슬릿(40)이 있다. 제 6 도는 지지휘일(36)에 장착된 파지 튜브(38)와 슬릿(40)의 단면도이다. 파지튜브(38) 그의 바닥(68)과 동일면으로 일치되게 위치하는 나사(82)에 의해 지지휘일(36)에 고정될 수 있다.
파지튜브(38) 경질의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탄성재로 만들어지므로, 슬릿(40)을 형성하는 가장자리는 벌어지면 서로를 향해 조여진다. 지지위일(36)은, 제 6 도에서와 같이 파자튜브(38)의 수평상 직경보다 더 높이 연장하여, 슬릿(40)의 가장 자리가 벌어져도 서로 평행하게 놓이도록 파지튜브(38)를 당기는 힘을 부여할 수도 있다.
모터(42)는 모터 장착패널(32)에 장착되며, 축(46)에 회전 낮은 원운동을 부여하기 위한 감속기(44)를 포함한다. 예를들면, 분당 6회전될 수 있다. 측(46)은 지지휘일(36)의 중심부에 결합되며, 지지휘일(36)과 파지튜브(38)를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등부분 껍질 절단장치(18)는, 브래킷(34)에 장치되고 둥근 톱날(50)이 부착되어 있는 회전축을 갖는 모터(48)를 포함한다. 제 2 도에 잘 보이듯이 브래킷(34)은 모터 장착패널(32)에 대해 일정 각도로 위치한다.
모터(48)는 브래킷(34) 상에서 상, 하 방향으로 조정되어 슬릿(40)에 대해 원근운동하여, 톱날(50)을 슬릿(40)에 대해 원근 운동시킬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같이, 절단 될 새우(52)는 파지튜브(38)에 형성된 슬릿(40)에 파지되어 슬릿(40)에서 외측 방향으로 새우(52)의 크기에 따른 양만큼 돌출된다.
따라서, 새우(52)가 큰 경우에는 모터(48)를 브래킷(34)에 더 밑에 장착함으로써 톱날(50)이 슬릿(40)에서 부터 더 멀리 위치하게 되며, 새우가 작은 경우에는, 모터(48)를 브랫킷(34)에 더 윗쪽에 장착함으로써 톱날(50)이 슬릿(40)이 더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등부분 껍질 절단장치(18)는 새우(52)가 톱날(50)을 지나 회전할 때 작동하여 새우(52)의 딱딱한 등부분 껍질을 절단한다. 이런 형태의 등부분 껍질 절단장치는 껍질이 매우 딱딱하여 다른 기구로는 쉽게 절단하지 못하는 견고한 각질의 새우에 특히 유용하다.
제 3, 4, 7, 8 및 9 도를 참조하여 삽입부(16)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삽입부(16)는 관형부재(28a, 30a)의 상부에 부착되며, 브래킷(56)이 상방으로 일정 각도로 뻗어있는 슬릿(40)의 벌림부재(54)를 포함한다.
브래킷(56)은 슬릿(40)의 벌림부재(54)를 슬릿(40)의 두 가장자리들 사이에 적절히 위치시키도록 슬라이드 브래킷(60)에 의해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다음, 브래킷(60)은, 제 3 도에서와 같이 앞쪽 관형부재(28a)의 뒷쪽 관형부재(30a) 사이에 부착된다. 브래킷(56)은 그의 구멍(64)을 통해 끼워지는 볼트(62)에 의해 슬라이드 브래킷(60)에 부착될 수 있다.
브래킷(56)은 슬릿(40)의 두 가장자리를 사이에 적절히 위치하면 두 가장자리들을 서로 벌려, 그 뒤에 가장자리를 사이에 파지될 새우(52)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66)를 형성한다.
슬릿(40)의 벌림부재(54)는 일반적으로, 파지 튜브(38)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반대쪽으로 V형으로 뾰족하게 된 V형 부재일 수 있다. 또한, V형 슬릿(40)의 벌림부재(54)의 꼭지점부는 슬릿(40)이 벌림부재(54)쪽으로 회전할때 슬릿(40)과 일렬로 위치한다. 따라서, 파지튜브(38)가 회전할때, 슬릿(40)의 가장 자리들이 V형 벌림부재(54)에 의해 벌어져 제 3 도 및 9 도에서와 같이 슬릿(40)의 벌림부재(54)의 하류쪽에 개구부(66)를 형성한다.
슬릿(40)의 벌림부재(54)는 반드시 V형이거나 뾰족한 꼭지점부를 가질 필요는 없다. 슬릿(40)의 벌림부재(54)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 요건은 단지 슬릿(40)의 가장자리들을 벌리는 것뿐이며, 이러한 기능은 슬릿(40)에 위치되는 어떠한 벌림부재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으며, 특히 V형이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새우(2)를 박피하기 위해 박피기(10)에 삽입하고자 할때, 새우(52)는 파지튜브(38)의 저부(68)상의 개구부(66)에 위치한다.
모터(42)의 감속기(44)에 의해 부여된 회전에 의해 파지 튜브(38)가 전방 이동하여 삽입된 새우(52)를 슬릿(40) 벌림부재(54)의 하류쪽으로 이동시킨다.
새우(52)가 슬릿(40)의 벌림부재(54)의 하류쪽으로 더 이동하면 슬릿(40)의 가장자리들이 서로 평행시 있는 정상적인 위치가 될 때까지 더 접근된다. 새우(52)가 삽입되면 가장 자리들이 슬릿(40)의 벌림부재(54)의 하류쪽으로 오므라지면서 슬릿(40)의 가장자리들 사이에 파지된다.
제 3, 5, 10 및 11 도를 참조하여 배부분 껍질 절단 및 방출부(20)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절단 및 방출부(20)의 목적은 제 3 도에서와 같이 새우 껍질의 배부분을 절단하고 새우(52)를 트레이(70)로 방출하는 것이다.
트레이(70)는 제 3 도에 일부가 도시된 외측 패널(72)안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박피된 새우가 중력에 의해 절단 및 방출부(20)에서 트레이(70)로 하방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위치한다.
절단 및 방출부(20)는 브래킷(76)에서 하방으로 일정 각도로 뻗은 절단부재(74)를 포함한다. 그리고, 브래킷(76)은 관형부재(28a, 30a)에 부착되는 브래킷(78)에 의해 유지된다. 브래킷(76)의 폭은 절단부재(74)의 폭보다 상당히 더 넓으며, 슬릿(40) 사이에 위치하여 슬릿(40)을 벌림으로써 배부분 껍질 절단 및 방출부(20)에 개구부(80)를 형성한다.
절단부재(74)는 새우(52)가 절단부재(74)위를 통과할때 새우(52) 껍질의 연한 배부분을 절단할 수 있는 칼 또는 톱모양의 치형기구일 수 있다.
절단부재(74)는, 새우를 절단할때 슬릿(40)이 벌어져 개구부(8)가 형성되기 시작함에 따라 새우를 파지튜브(38)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밀도록 브래킷(76)에 약간 경사져 위치한다.
새우는 브래킷(76)에 부딪혀 개구부(80)를 통해 방출될 때의 새우의 이동 속도에 의해 브래킷(76)에서 트레이(70)로 떨어지게 된다. 톱날(50)에 의해 등부분이 절단되고 절단부재(74)에 의해 배부분이 절단되고 난후, 통상적으로 브래킷(76)에서 트레이(70)로 튀어나가는 반력에 의해 껍질(84)이 새우(52)에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박피기(10)를 조작하는 사람은 단지 박피된 새우살를 트레이(70)에서 꺼내는 일과 껍질(84)을 트레이의 끝에 있는 쓰레기통에 떨어뜨리는 일만 하면 된다.
조작자는 가끔씩 껍질(84)과 새우살(52)이 서로 엉겨붙어 있는 부분에서 껍질(84)을 제거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껍질은 새우살과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쉽게 제거되며, 나중에 쓰레기통으로 폐기되도록 트레이(70)안에 그대로 둘 수도 있다.

Claims (16)

  1. 새우(52)가 제 1 절단부를 지나갈때 새우(52)의 등부분 껍질을 상기 제 1 절단부에서 절단하는 제 1 절단장치(18)를 갖는 새우 박피기(10)에 있어서, 종방향 슬릿(40)을 가진 가요성의 중공으로 새우를 파지하는 파지튜브(38)를 갖는 회전수단(36, 42)과, 파지튜브(38)가 회전하고 삽입부(16)를 지나 파지튜브(38)가 회전할때 새우(52)를 상기 슬릿(40)에 파지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 박피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새우(52)의 배부분 껍질을 절단하고 그 껍질을 상기 슬릿(40)에서 방출하기 위한 제 2 의 절단부재 및 방출수단(74, 76)이 새우파지 튜브(38)의 안쪽으로 부터 바깥쪽까지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 박피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6)는 꼭지점부와 이것으로 부터 신장방향으로 연장한 다리들을 갖는 슬릿(40)의 벌림부재(54)를 포함하며 상기 꼭지점부가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향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 박피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6)는 새우 파지튜브(38)에서 떨어져 있고 상기 슬릿(40)의 벌림부재(54)를 새우 파지튜브(38)의 중공 부분에 고정지지하는 브래킷(56)을 포함하며, 상기 슬릿(40)의 벌림부재(54)의 다리들이 상기 슬릿(40)의 바깥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 박피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새우 파지튜브(38)가 중공의 튜브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 박피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36, 42)이 파지튜브(38)를 유지하는 지지휘일(36)과, 이지지휘일(36)을 회전시키는 모터(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새우 박피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휘일(36)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 박피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단장치(18)가 슬릿(40)과 일렬로 정렬되는 둥근 회전 톱날 (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 박피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단부재 및 방출수단(74, 76)이 슬릿(40)를 벌리는 벌림부재(54)와, 상기 파지튜브(38)안으로 부터 슬릿(40)의 벌림부재(54)쪽을 향해 각도를 갖고 위치하는 절단부재(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 박피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40)의 벌림부재(54)는 파지튜브(38)가 벌림부재(54)를 지나 회전할때 새우(52)를 파지튜브(38)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 박피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의 절단부재 및 방출수단(74, 76)이 파지튜브(38)에서 떨어져 있고 상기 제 2 의 절단부재 및 방출수단(74, 76)을 파지튜브(38)안으로 부터 고정 지지하는 브래킷(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 박피기.
  12. 새우(52)의 껍질을 박피하기 위해 절단하는 박피기(10)에 있어서, 중방향의 슬릿(40)이 원형의 지지휘일(36)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벽을 관통해 있고, 상기 슬릿(40)을 형성하는 1쌍의 가장자리가 서로 쪽으로 당겨지는 파지튜브(38)를 지지하는 원형의 지지휘일(36)과, 상기 슬릿(40)의 가장 자리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파지튜브(38)가 벌림부재(5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때 새우(52)를 슬릿(40)의 가장자리들 사이에 삽입하여 피지할 수 있도록 슬릿(40)을 벌리는 벌림부재(54)와, 상기 벌림부재(54)가 회전할때 새우(52)를 절단하는 수단(48, 50 또는 7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 박피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튜브(38) 안으로 부터 그 밖으로까지 각도 있게 위치하는 절단부재 및 방출수단(74, 76)을 포함하며, 상기 절단부재 및 방출수단(74, 76)이 새우(52)를 슬릿(40)의 가장자리 들에서 해제하여 상기 절단부재 및 방출수단(74, 76)에 의해 파지튜브(38)의 밖으로 안내하는 방출수단(7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 박피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재 및 방출수단(74, 76)이 새우(52)가 파지튜브(38)에서 방출될때 새우(52)의 배부분을 절단하는 제 2 의 절단수단(7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 박피기.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절단수단(48, 50)이 새우(52)의 등부분 껍질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 박피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절단수단(48, 50)이 둥근 회전 톱날(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 박피기.
KR1019900701138A 1988-09-30 1989-09-22 새우 박피기 KR920004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1,893 1988-09-30
US07/251,893 US4843683A (en) 1988-09-30 1988-09-30 Shrimp peeling machine
PCT/US1989/004146 WO1990003117A1 (en) 1988-09-30 1989-09-22 Shrimp peel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1169A KR900701169A (ko) 1990-12-01
KR920004228B1 true KR920004228B1 (ko) 1992-05-30

Family

ID=22953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1138A KR920004228B1 (ko) 1988-09-30 1989-09-22 새우 박피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43683A (ko)
KR (1) KR920004228B1 (ko)
AU (1) AU4412689A (ko)
ES (1) ES2016181A6 (ko)
WO (1) WO19900031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6744A (en) * 1990-02-08 1991-03-05 Meyer Grant C Shrimp processing machine
US5569065A (en) * 1995-08-09 1996-10-29 Prawnto Shrimp Machine Company Of Texas, Inc. Shrimp deveining machine having precision cutting control
US7467992B2 (en) * 2006-05-31 2008-12-23 Prawnto Shrimp Machin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belly-cutting shrimp
JP6348321B2 (ja) * 2013-05-17 2018-06-27 キヤノンアネルバ株式会社 エッチング装置
PE20221480A1 (es) 2020-02-07 2022-09-22 Nova Tech Eng Llc Aparatos y metodos de procesamiento de camaron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6699A (en) * 1967-03-29 1969-09-16 Alaska Peelers Inc Process and apparatus of deshelling cooked shrimp
US3787928A (en) * 1972-06-19 1974-01-29 E Domecki Shrimp splitting and cleaning apparatus
US4019224A (en) * 1975-09-18 1977-04-26 Canadian Patents And Development Limited Removal of meat from crustaceans
US4210982A (en) * 1976-09-29 1980-07-08 Hoffman Paul H Shrimp processing method
US4413377A (en) * 1981-08-26 1983-11-08 Gregor Jonsson Associates, Inc. Shrimp stripper
US4769871A (en) * 1986-08-18 1988-09-13 Gregor Jonsson Associates, Inc. Shrimp peeling machin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16181A6 (es) 1990-10-16
KR900701169A (ko) 1990-12-01
AU4412689A (en) 1990-04-18
WO1990003117A1 (en) 1990-04-05
US4843683A (en) 198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87253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 cluster of organs from a slaughtered animal
CN108741130B (zh) 一种全自动蔬菜清洗切根工艺
EP1064848B1 (en) Apparatus for severing the vent of slaughtered poultry
US50263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tting non-decapitated fish
US4551885A (en) Fish decapitator and eviscerator
CN108514131B (zh) 一种全自动蔬菜清洗切根系统
HU191594B (en) Device for removing meat parts from the breast of slaughtered poultry
JP6266003B2 (ja) 屠殺された家禽の枝肉部から鞍下肉を採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0149448B2 (ko)
KR920004228B1 (ko) 새우 박피기
US2245329A (en) Method of eviscerating and cleaning fish
US4653393A (en) Apparatus for peeling pineapples
US4715093A (en) Trimming and cutting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crabs for meat extraction
WO19890104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eling crustaceans
US3247542A (en) Machine for cleaning shrimp
US2301729A (en) Shrimp veining machine
US4307491A (en) Process and an apparatus for heading and eviscerating fish
JPH01312962A (ja) 骨外し装置
PT1327393E (pt) Processo e instalação para a preparação de corações de alface
US53521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fish
SE441722B (sv) Anordning for nackning av strupsnittade fiskar
US11700873B2 (en) Automatic peeling and splitting device for citrus fruits
US3277517A (en) Method of cleaning shrimp
GB2156197A (en) A fish-beheading apparatus
EP0360174B1 (en) Method for mechanical cleaning of freshly caught roundfish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of th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