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927Y1 - 전화기 완구 - Google Patents

전화기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927Y1
KR920003927Y1 KR2019900011853U KR900011853U KR920003927Y1 KR 920003927 Y1 KR920003927 Y1 KR 920003927Y1 KR 2019900011853 U KR2019900011853 U KR 2019900011853U KR 900011853 U KR900011853 U KR 900011853U KR 920003927 Y1 KR920003927 Y1 KR 920003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unit
central processing
circuit
data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18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053U (ko
Inventor
신현묵
Original Assignee
신현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묵 filed Critical 신현묵
Priority to KR20199000118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927Y1/ko
Publication of KR9200040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0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9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30Imitations of miscellaneous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lephones, weighing-machines, cash-register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기 완구
도면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것으로서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를 간략화한 블록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메모리 맵.
제4도는 본 고안의 데이터메모리의 데이터 구조의 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처리부 2 : 키패드
3 : 인터럽트발생기 4 : 프로그램메모리
5 : 데이터메모리 6 : 신호음발생기
7 : 저주파증폭기 8 : 발음체
9 : 표시회로 10 : 전원회로
11 : 훅크스위치 12 : 자동리셋회로
13 : 송수화기 14 : 송수화기 코드
15 : 표시창 16 : 전화기 본체
17 : 전화기 밑판 INT : 제어단자
RESET : 리셋단자
본 고안은 키패드를 사용하여 임의의 숫자열을 입력하여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에 저장을 한 뒤, 이 저장되어 있는 숫자열과 후에 입력하는 숫자열과의 일치의 여부를 판정하여 내장되어 있는 표시회로를 작동하도록 하는 전화기 완구에 관한 것이다.
완구는 어린이의 놀이의 도구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어린이는 놀이를 통하여 많은 것을 배우게 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완구들은 놀이를 통하여 보다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화기 완구를 보면 대부분의 외형은 실제의 전화기와 유사하나 그 기능이 실제의 전화기와 유사한 것이 없었으며, 특히 전화기의 가장 중요한 특징인 번호를 차례로 입력하여 특정의 번호와 일치할 때 작동되는 기능을 갖추고 있는 것이 없었기에 전화기 완구를 사용한 놀이를 한다고 하여도 실제의 전화기에 대한 높은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이에 본 고안은 임의의 번호를 입력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되어 있는 번호와 일치하는 번호를 입력할 때 내장되어 있는 표시회로가 작동되는 전화기 완구를 제공함으로써 전화기 완구를 사용한 놀이를 통하여 큰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전화기 완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외형은 종래의 전화기 완구와 같이 실제의 전화기와 유사하다.
그러나 본 고안과 종래의 전화기 완구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그 기능에 있다.
종래의 전화기 완구와 달리 본 고안의 전화기 완구는 임의의 숫자열을 입력 저장할 수 있으며, 후에 입력하는 숫자열이 이미 입력 저장되어 있는 숫자열과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입력 저장된 숫자열과 후에 입력하는 숫자열이 일치할 때, 그에 대응하여 내장되어 있는 표시회로가 작동되도록 한 점이 본 고안의 특징이다.
본 고안은 전원회로(10)를 훅크스위치(11)를 사용하여 회로와 연결을 하여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며, 훅크스위치(11)가 연결이 되어 전원이 인가될 때, 회로를 초기화하는 자동리셋회로(12)를 두어 그 출력을 중앙처리부(1)의 리셋단자(RESET)에 연결을 하고, 키패드(2)의 출력단에 프로그램메모리(4)와 데이터메모리(5)를 갖는 중앙처리부(1)의 입력단과 인터럽트발생기(3)의 입력단을 연결하며, 인터럽트발생기(3)의 출력을 중앙처리부(1)의 제어단자(INT)에 연결을 하고, 중앙처리부(1)의 출력단에 신호음발생기(6)와 표시회로(9)를 각각 연결하며, 신호음발생기(6)의 출력단에 발음체(8)를 갖는 저주파증폭기(7)의 입력단을 연결하여 전하기 본체(16)와 송수화기(13)에 각각 내설하여서 된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송수화기(13)를 전화기 본체(16) 위에 내려놓으면 작동되지 않고 송수화기(13)를 들면 작동되며, 이때 저장신호가 입력되면 이후에 입력되는 숫자데이터를 데이터메모리(5)에 저장을 하고, 저장신호가 선행되지 않은 숫자데이터 입력이 있으면 이를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과 비교를 하여 일치하는 것이 있을 경우 그에 대응하는 표시회로(9)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화기 본체(16) 위에 송수화기(13)를 내려놓으면 송수화기(13)의 무게로 인하여 훅크스위치(11)가 눌려지게 되어 회로와 전원회로(10)와의 연결이 끊기게 되어 회로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회로가 작동하지 않으며, 송수화기(13)를 들면 훅크스위치(11)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되어 회로와 전원회로(10)가 훅크스위치(11)에 의하여 연결이 되어 회로에 전원이 인가된다.
즉, 훅크스위치(11)는 전원스위치의 역할을 한다.
회로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동리셋회로(12)는 일정 시간동안 리셋펄스를 발생하며 이를 중앙처리부(1)에 가하여 중앙처리부(1)를 초기화 한다.
본 고안의 중앙처리부(1)는 메모리를 제어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입출력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중앙처리부(1)에서 모든 것을 관리하며, 중앙처리부(1)가 초기화되면 전회로가 초기화되면 초기화 이후 회로는 프로그램메모리(4)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을 시작한다.
이하, 프로그램메모리(4)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작동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처리부(1)의 초기화가 끝나면 중앙처리부(1)는 표시회로(9)를 대기의 상태에 있도록 하며, 데이터메모리(5)의 선두에 위치한 인덱스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번호의 저장유무, 각 번호의 저장위치 등 저장번호에 관한 데이터를 읽어들여 내부의 레지스터에 저장한다.
본 고안에서 "번호"라는 용어는 저장신호데이터를 제이한 연속된 유효한 데이터들의 집합 즉, 저장과 비교의 대상이 되는 특수개호를 포함한 숫자열을 의미한다.
저장유무데이터는 저장되어 있는 번호가 있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며 저장위치데이터는 데이터메모리(5)에 저장되어 있는 각 번호의 저장위치를 나타내고 또한 저장되어 있는 번호가 몇 개인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번호가 저장될 때 인덱스 영역에 저장되는 데이터이며 비교의 동작을 할 때 참조하는 데이터이다.
하나의 번호만을 저장할 수 있도록 실시하는 경우에는 인덱스 영역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없어도 가능하며 이하 설명할 저장 및 비교의 과정 중 몇 가지에 있어서는 다소 다르게 될 수도 있다.
또한 중앙처리부(1)는 신호음발생기(6)로 하여금 입력 대기의 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신호음을 발생하도록 하며 이 신호음은 저주파증폭기(7)에서 증폭이 되어 송수화기(13)에 내설된 발음체(8)을 울린다.
이 입력 대기의 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신호음은 키패드(2)로부터의 최초의 유효한 입력이 있기 전까지 발생되며, 최초의 유효한 입력이 있게 되어 저장이나 비교의 과정 중 또는 표시회로(9)가 작동되고 있는 도중에는 중지되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의 과정을 거친 후, 입력 대기의 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신호음이 발생되고 있는 도중 키패드(2)의 임의의 키를 누르면 인터럽트발생기(3)에서 키패드(2)의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여 중앙처리부(1)에 전달하며 중앙처리부(1)에서는 키패드(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받아들여 이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 인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본 고안에서 인터럽트발생기(3)는 키패드(2)의 상태가 변화하였을 때 즉, 하나의 키가 눌리거나 복귀될 때 또는 하나의 키가 눌린 상태에서 또 하나의 키가 추가로 눌려져 두 개의 키가 눌리는 경우 또는 두 개의 키가 눌려져 있는 상태에서 하나의 키가 떨어져 하나의 키만 눌려져 있는 경우 등 키이 상태의 변화가 있을 경우에 인터럽트 요구신호를 출력하여 중앙처리부(1)의 제어단자(INT)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이 신호가 있을 경우 중앙처리부(1)는 키패드(2)의 출력을 받아들인다.
이때, 위의 경우 중에서 하나의 키가 눌려져 있는 데 추가로 또 하나의 키가 눌려지는 경우, 두 개 이상의 키가 동시에 눌려져 있는 경우에는 인터럽트 요구신호가 발생되는 것은 같으나 중앙처리부(1)는 이 두 개 이상의 키가 눌려져 발생하는 출력은 공백기 즉, 무입력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두 개 이상의 키가 눌려져 있다가 차례로 하나씩 떨어져 종국에 하나만 눌려지는 상태가 되면 이 하나만 눌려져 있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입력 즉, 공백기 이후의 입력으로 인정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유효한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란 키패드(2)의 키가 눌려져 중앙처리부(1)에 입력된 데이터가 키패드(2)의 여러 개의 키가 동시에 눌려질 때 출력되는 무의미한 데이터나 의도적인 압력이라고 볼 수 없는 너무 짧은 시간 동안 유지된 데이터 또는 데이터의 전후에 적당한 길이의 공백기를 갖는 않은 데이터 등 불필요한 입력데이터인지의 여부를 검사함으로써 유효한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유효한 데이터로 판정된 입력 데이터는 중앙처리부(1)의 내부 레지스터나 데이터메모리(5)의 스택 영역에 저장을 하여 저장 또는 비교의 동작을 수행하며 신호음발생기(6)로 하여금 그 키가 눌려져 있는 동안 그 키에 해당하는 특정의 주파수의 음을 발생하도록 한다.
이때, 유효한 입력으로 판정되지 못하는 데이터의 입력은 무입력으로 처리한다.
키패드(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것은 입력 대기의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음이 발음되고 있을 때 입력되는 데이터를 비롯한 키패드(2)로부터의 모든 입력데이터에 대하여 실시한다.
이상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 뒤, 중앙처리부(1)는 유효한 데이터로 판정되어 중앙처리부(1)의 내부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입력데이터가 저장신호인지 또는 단순한 숫자의 입력인지를 검사한다.
본 고안에서 저장신호의 발생은 여러 가지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즉, 저장신호를 발생하는 기능을 가진 별도의 키를 두거나 또는 "*"나 "#" 등의 특정의 키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동시에 누름으로써, 또는 특정의 키를 기준 이상의 시간동안 누르는 등의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본 고안을 실현하는 데에는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가능하며 이는 프로그램메모리(4)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
본 고안의 작용은 앞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번호의 저장과 비교의 두 가지로 나뉘어지므로 이하 이 두 가지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번호의 저장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 대기의 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신호음이 발음되고 있는 도중에 입력되어 중앙처리부(1)의 내부에 레지스터에 저장된 유효한 입력데이터가 저장신호라면 신호음발생기(6)로 하여금 저장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특정의 주파수의 음을 일정시간 동안 발생하도록 하며, 만일 저장 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비교의 동작을 수행하고 있었다면 이를 중단하고 이후의 입력을 받아들이지 않으며 다시 초기화될 때까지 신호음발생기(6)로 하여금 입력에러 신호음을 발생하도록 한다.
이 저장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음이 저주파증폭기(7)에서 증폭이 되어 발음체(8)에서 발음된 뒤, 이후에 입력되는 유효한 데이터를 내부의 레지스터에 저장을 하여 이 데이터가 저장신호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저장신호가 아니면 차례로 데이터메모리(5)의 스택영역에 저장을 한다.
이때 중앙처리부(1)는 저장되고 있는 데이터의 갯수를 세어 저장신호가 아닌 연속된 데이터의 입력이 규정된 길이를 넘도록 저장신호의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이후의 받아들이지 않으며 신호음발생기(6)로 하여금 입력에러 신호음을 발생하도록 하고 이음은 회로가 다시 초기화 되기까지 계속된다.
또한 최초의 저장신호가 입력된 뒤, 숫자데이터의 입력이 없이 이어서 다시 저장신호가 입력된다면 이 두 번째의 저장신호는 무입력으로 처리하여 무시한다.
규정된 최소한 길이 이상의 숫자열이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저장신호가 다시 입력이 되면 중앙처리부(1)는 최초의 저장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발음된 것과는 다른 주파수의 신호음을 신호음발생기(6)로 하여금 일정시간 동안 발생하도록 하며, 이 저장신호 이후에 입력되는 최초의 데이터가 저장신호라면 이후의 입력을 받아들이지 않으며 신호음발생기(6)로 하여금 회로가 다시 초기화 되기까지 입력에러 신호음을 발생하도록 하고, 저장신호가 아니라면 이 입력데이터를 입력된 숫자열의 대표번호로 하여 데이터메모리(5)의 스택 영역에 저장되어 있던 숫자열 데이터를 그의 선두에 대표번호를 그리고 끝에 종료신호를 붙여서 대표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메모리(5)의 위치에 이동 저장을 하며 번호 저장의 유무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저장위치 데이터 등을 데이터메모리(5)의 선두에 위치한 인덱스 영역에 수정하여 저장을 한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데이터메모리(5)의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번호의 저장은 데이터메모리(5)의 용량에 따라 저장할 수 있는 번호의 갯수를 많게도 또는 적게도 할 수 있으며, 데이터메모리(5)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형식도 위의 설명과 다르게 데이터메모리(5)의 선두에 위치한 인덱스 영역에 번호 저장의 유무와 저장위치뿐만 아니라 각 번호별 숫자열의 길이 등을 저장할수도 있는 등 여러 가지의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실제 나타나는 효과는 대동소이하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대표번호는 두 개 이상의 번호를 저장할 수 있는 경우에는 입력데이터열의 저장위치와 표시회로(9)의 동작을 지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번호의 저장이 끝남과 동시에 중앙처리부(1)는 신호음발생기(6)로 하여금 입력 대기의 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신호음을 발생하도록 하며, 이후에 입력되는 유효한 데이터에 대하여 다시 저장신호인지의 여부를 검사하며 만일 저장신호라면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가정을 되풀이하여 번호를 저장하고, 아니면 이하 설명되는 번호의 비교를 하게 된다.
또한 송수화기(3)를 전화기 본체(16) 위에 올려놓아 훅크스위치(11)가 송수화기(13)의 무게로 인하여 눌려져 전원회로(10)와 회로가 차단이 되어도 데이터메모리(5)를 데이터 백업용전원을 갖는 스태틱 램(SRAM)이나 전기적 소거가능 쓰기 롬(EEPROM)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저장된 데이터는 보존이 된다.
번호의 비교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수화기(13)를 들면 중앙처리부(1)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일련의 초기의 작업을 수행한 뒤, 입력대기의 상태에서 중앙처리부(1)에 입력되는 데이터가 저장신호가 아닌 단순한 숫자의 입력이라면 중앙처리부(1)는 데이터메모리(5)의 선두에서 읽어들여 내부의 레지스터에 저장을 한 번호 저장유무 데이터를 확인하여 저장된 번호가 있으면 저장위치 데이터를 바탕으로 데이터메모리(5)에 저장되어 없으면 저장신호가 아닌 숫자데이터의 입력을 몇 개 받아들인 뒤, 신호음발생기(6)로 하여금 불일치의 신호음을 적당한 횟수발음하도록 한다.
이하 비교의 방법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처리부(1)에 입력된 최초의 숫자데이터는 초기에 데이터메모리(5)의 인덱스 영역에서 읽어들여 중앙처리부(1)의 레지스터에 저장해 놓은 저장 번호에 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저장된 번호들의 첫째자리의 데이터들과의 비교를 행하며 일치하면 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던 번지의 다음 번지의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종료신호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종료신호이면 그 번호와 일치하는 것이므로 비교를 멈추고, 신호음발생기(6)로 하여금 일치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음을 적당한 횟수 발음하도록 표시회로(9)를 작동시킨다.
만일 번호의 끝을 알리는 종료신호가 나타나지 않으면 그 번지 즉, 종료신호가 저장되어 있었는지의 여부를 근사한 번지를 스택영역에 저장을 하고 다음 번호의 첫째자리의 숫자와 비교를 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무시하고 다음의 과정으로 넘어가고 일치하면 다음 번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종료신호인지를 확인하는 식으로 저장되어 있는 번호들의 최초의 자리의 숫자들과의 비교를 한다.
처음의 입력데이터와의 비교가 끝나면 두번째의 유효한 입력데이터를 중앙처리부(1)의 레지스터에 저장을 한 뒤, 데이터메모리(5)의 스택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번지에 관한 데이터를 읽어들여 이 번지에 저장되어 있는 숫자와 비교를 하여 역시 일치하면 다음번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종료신호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종료신호이면 비교를 멈추고 종료신호가 아니면 그 번지를 데이터메모리(5)의 스택 영역에 저장을 하고 스택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다음 번호의 번지에 관한 데이터를 읽어들여 이 번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종료신호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종료신호이면 비교를 멈추고 종료신호가 아니면 그 번지를 스택 영역에 저장을 하고 다음 번호와 비교하는 식으로 입력되는 데이터와의 비교를 한다.
종료신호가 나타나기까지의 입력데이어와 모두 일치하는 것이 있으면 위에서 설명한 대로의 동작을 하지만 입력이 계속되고 있어도 일치하는 것이 하나도 없거나 저장되어 있는 모든 번호의 종료신호가 나타나 저장되어 있는 것과 일치하는 것이 하나도 없음이 판명되면 중앙처리부(1)는 모든 동작을 멈추고 신호음발생기(6)로 하여금 불일치를 알리는 신호음을 발생하도록 하며 다시 초기화되기를 기다린다.
또한 일치하는 번호가 없으면서 저장되어 있는 모든 번호의 종료신호가 나타나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 시간동안 무입력의 상태가 지속이 되면 중앙처리부(1)는 모든 동작을 멈추고 신호음발생기(6)로 하여금 불일치를 알리는 신호음을 발생하도록 하며 다시 초기화되기를 기다린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키패드(2)를 사용하여 임의의 숫자열을 입력하여 내장되어 있는 데이터메모리(5)에 저장을 한 뒤, 이 저장되어 있는 숫자열과 후에 입력하는 숫자열과의 일치의 여부를 판정하여 내장되어 있는 표시회로(9)를 작동하도록 하는 전화기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표시회로(9)로는 벨, 멜로디회로, 램프회로, 음성합성회로, 자동 토킹-백 음성합성회로, 액정표시화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표시회로(9)에 멜로디회로나 음성합성회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출력을 저주파증폭기(7)로 증폭을 하여 송수화기(13)에 내설한 발음체(8)를 울리도록 하며 자동 토킹-백 음성합성회로를 사용하는 경우 마이크는 송수화기(13)의 송화부에 내설하도록 한다.
또한 표시회로(9)의 동작은 프로그램에 따라서 결정되는데 만일 각각의 번호의 선두에 부여되는 대표번호에 따라서 정해지도록 한다면 음성합성회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대표번호에 따라서 각기 다른 음성이 발음되도록 하고, 램프회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대표번호에 따라서 각기 다른 램프가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특정의 번호에 대한 일치의 결과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액정표시화면을 사용한다면 각각의 번호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액정화면에 나타낼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여러 가지 종류의 표시회로(9)를 복합적으로 또한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 표시회로(9)의 역할은 각각의 번호의 일치의 여부를 알려주는 기능과 함께 그 번호가 의미하는 바를 알려주는 기능을 갖는다.
만일 표시회로(9)가 작동되고 있는 도중에 키패드(2)의 임의의 키를 누르면 인터럽트발생기(3)에서 키패드(2)의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여 중앙처리부(1)에 전달하며 중앙처리부(1)에서는 키패드(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받아들여 이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검사하며 유효한 데이터이면 표시회로(9)의 작동을 중단하고 그 키가 눌려지고 있는 동안 그에 해당하는 음의 발생은 있으나 저장이나 비교의 동작을 하지는 않으며 키가 다시 복귀되어 무입력의 상태가 되면 표시회로(9)의 작동을 계속한다.
본 고안은 중앙처리부(1)에서 모든 것을 관리하므로 프로그램 메모리(4)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서 그 동작을 조금씩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중앙처리부(1)가 일정한 주기를 갖고 키패드(2)의 상태를 검사하여 그 출력을 읽어들이도록 프로그램을 하면 인터럽트발생기(3)가 생략될 수 있고 또한 중앙처리부(1)에서 각각의 경우에 해당하는 음을 발생하도록 프로그램하면 신호음발생기(6)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부(1)가 멜로디나 음성 등의 음을 발생하도록 프로그램하면 비교의 과정에서 일치하였을 경우 각각의 번호에 대응하는 표시회로(9)의 작용을 대신할 수 있으므로 표시회로(9)를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숫자에 대한 분별력을 익힐 단계의 어린이로서 공지의 전화기에 대해 관심이 많은 연령대의 어린이에게 사용하도록 한다면 전화기 완구를 사용한 놀이를 통하여 올바른 전화기의 사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여주며, 사전에 임의의 번호를 필요한 만큼 등록 저장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은 사용한 놀이를 통하여 반드시 암기하여야 할 번호를 놀이를 통하여 암기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전원회로(10)를 훅크스위치(11)를 사용하여 회로와 연결을 하여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며, 훅크스위치(11)가 연결이 되어 회로에 전원이 인가될 때, 회로를 초기화하는 자동리셋회로(12)를 두어 그 출력을 중앙처리부(1)의 리셋단자(RESET)에 연결을 하고, 키패드(2)의 출력단에 프로그램메모리(4)와 데이터메모리(5)를 갖는 중앙처리부(1)의 입력단과 인터럽트발생기(3)의 입력단을 연결하며, 인터럽트발생기(3)의 출력을 중앙처리부(1)의 제어단자(INT)에 연결을 하고, 중앙처리부(1)의 출력단에 신호음발생기(6)와 표시회로(9)를 각각 연결하며, 신호음발생기(6)의 출력단에 발음체(8)를 갖는 저주파증폭기(7)의 입력단을 연결하여 전화기 본체(16)와 송수화기(13)에 각각 내설하여서 된 번호의 저장과 비교를 할 수 있으며 각 번호에 대응하여 표시회로(9)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전화기 완구.
  2. 제1항의 전화기 완구에 있어서 중앙처리부(1)에서 일정한 주기를 갖고 키패드(2)의 출력을 읽어들여 인터럽트발생기(3)의 기능을 중앙처리부(1)에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인터럽트발생기(3)를 생략한 전화기 완구.
  3. 제1항의 전화기 완구에 있어서 중앙처리부(1)에서 각각의 경우에 해당하는 음의 발생하도록 하여 신호음발생기(6)의 기능을 중앙처리부(1)에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신호음발생기(6)를 생략한 전화기 완구.
  4. 제1항의 전화기 완구에 있어서 중앙처리부(1)가 멜로디나 음성 등의 음을 발생하도록 하여 각각의 번호에 대응하는 표시회로(9)의 작용을 대신하도록 함으로써 표시회로(9)를 생략한 전화기 완구.
KR2019900011853U 1990-08-06 1990-08-06 전화기 완구 KR920003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1853U KR920003927Y1 (ko) 1990-08-06 1990-08-06 전화기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1853U KR920003927Y1 (ko) 1990-08-06 1990-08-06 전화기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053U KR920004053U (ko) 1992-03-25
KR920003927Y1 true KR920003927Y1 (ko) 1992-06-13

Family

ID=19301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1853U KR920003927Y1 (ko) 1990-08-06 1990-08-06 전화기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9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053U (ko) 199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5240A (en) Portable voice system for the verbally handicapped
CA2019319C (en) Voice recognition dialing unit
JPH0612092A (ja) 音声認識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US4328562A (en) Means for displaying at least two different words and for providing independent pronunciations of these words
US5131029A (en) Cellular car telephone dialing controller
US20060190267A1 (en) Voice activated clock
KR920003927Y1 (ko) 전화기 완구
SE8500697D0 (sv) Biltelefonapparat
JPH0124460B2 (ko)
JP2000334180A (ja) 音声出力装置
JPS5627683A (en) Electronic portable timepiece
JPH05167501A (ja) 個人選択呼び出し用受信機
JPH0137895B2 (ko)
JPS6117437Y2 (ko)
JPS59160361A (ja) 自動ダイアル装置
JPS6248855B2 (ko)
KR19990032910U (ko) 지문을 이용한 초인벨 자동 음성 발성 및 자물쇠 개폐기
KR970019274A (ko) 정보통신기기 등을 위한 한글코드화 처리 방법
JPS645274Y2 (ko)
JPS61175851A (ja) 文字処理方法
JPH0221951U (ko)
JPS59103455A (ja) 自動ダイアル装置
JPS62147059U (ko)
KR20030017085A (ko) 어학용 학습기 및 그 방법
JPH0261720A (ja) 情報入力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