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877Y1 - 소하물 운반구 - Google Patents

소하물 운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877Y1
KR920003877Y1 KR2019880012281U KR880012281U KR920003877Y1 KR 920003877 Y1 KR920003877 Y1 KR 920003877Y1 KR 2019880012281 U KR2019880012281 U KR 2019880012281U KR 880012281 U KR880012281 U KR 880012281U KR 920003877 Y1 KR920003877 Y1 KR 9200038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lower frame
sliding member
slid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2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3124U (ko
Inventor
오사무 이와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바야시 한소오기끼
고바야시 다께지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바야시 한소오기끼, 고바야시 다께지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바야시 한소오기끼
Publication of KR8900131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31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8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 B62B1/0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1/125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by means of telescop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0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having a prop or stand for maintain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24Suit-cases, other lugg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501/00Manufacturing; Constructional features
    • B62B2501/06Materials used
    • B62B2501/065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7Stowable or retractable handle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하물 운반구
제1도는 상용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절첩상태의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부분단면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종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VI-VI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물대본체 2 : 하물적재부
3 : 오목형상부 5 : 차축
6 : 차륜 11 : 하부틀부재
13 : 지지축 15 : 상부틀부재
17 : 경첩 23 : 하부 미끄럼 이동부재
24 : 상부 미끄럼 이동부재 25 : 손잡이
26 : 가요성 부재
본 고안은 콤팩트하게 접혀져서 운반하기에 편리한 소하물 운반구에 관한 것이며, 보다 더 상세히는 뒷가장자리 양쪽에 한쌍의 차륜이 설치되며 양 옆가장자리에 일정 폭의 밴드형상의 차륜이 설치되며 양 옆가장자리 일정 폭의 밴드 형상의 하물적재부가 평행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오목형상부가 형성된 4각형 상자형상의 하물대본체와, 상기 오목형상부에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하단부를 상기 하물대본체의 뒷가장자리부에 회전가능하게 접합한 하부틀부재와, 이 하부틀부재의 상단에 그 뒷면쪽에서 경첩에 의한 연결한 상부틀부재와, 상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상부 미끄럼 이동부재와, 이 상부 미끄럼 이동부재의 하단에 가요성 부재를 개재시켜 연결된 하부 미끄럼 이동부재로 구성되어, 이 상부 미끄럼 이동부재 및 하부 미끄럼 이동부재를 상기 상부틀부재 및 하부틀부재속에서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장착시켜서 된 소하물 운반구에 관한 것 이다.
차륜을 구비한 소하물 운반구, 예컨대 푸쉬 카트는 하물대의 뒷가장자리에 핸들이 기립형상으로 설치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 핸들을 전방으로 넘어뜨려 접을 수 있도록 한 구조의 것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단순히 핸들을 전방으로 넘어뜨릴 수 있게 한 상기 구성의 것으로는, 여전히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예컨대, 자동차에 쌓아도 넓은 공간을 차지하고 운반하기에 불편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결점을 해소하고, 콤팩트하게 접을 수 있는 소하물 운반구를 제공하여, 그 운반 가능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소하물 운반구는, 오른쪽 가장자리 양쪽에 한쌍의 차륜이 설치되며 양옆가장자리에 일정 폭의 밴드형상의 하물적재부가 평행하게 형성되고 중앙에 오목형상부가 형성된 4각형 상자 형상의 하물대본체와, 상기 오목형상부에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하단부를 상기 하물대본체의 뒷가장자리에 회전가능하게 접합한 하부틀부재와, 이 하부틀부재의 상단에 그 뒷면쪽에서 경첩에 의하여 연결한 상부틀부재와, 상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상부 미끄럼 이동부재와, 이 상부 미끄럼 이동부재의 하단에 가요성 부재를 개재시켜 연결시킨 하부 미끄럼 이동부재로 구성되어, 이 상부 미끄럼 이동부재 및 하부 미끄럼 이동부재를 상기 상부틀부재 및 하부틀부재 속에서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장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손잡이를 잡고 상부 미끄럼 이동부재 및 하부 미끄럼 이동부재를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가요성 부재를 경첩이 위치하는 곳에 일치시킬 대는 상부틀부재가 하부틀부재에 대하여 2개로 꺾이게 되고, 다시 이 하부틀부재는 전방으로 넘어지게 함으로써 하물대본체의 오목형상부 안에 수용된다.
또 하부틀부재를 기립시켜 상부틀부재를 전개한후 상부 미끄럼 이동부재 및 하부 미끄럼 이동부재를 미끄럼 이동시켜 가요성 선재를 경첩이 위치하는 곳에서 겹치지 않게 함으로써 상부틀부재와 하부틀부재는 직선상태로 유지되어 간단히 사용상태로 된다.
이하,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플라스틱재에 의해 4각형 상자형상으로 형성된 하물대본체 이다.
이 하물대본체(1)는 윗면 양 옆가장자리에 4각형의 맞닿음판을 고착함으로써 수평한 일정 폭의 밴드형상의 하물적재부(2, 2)를 평행하게 형성하고, 이 하물적재부(2, 2)의 사이에는 오목형상부(3)를 형성하여 이루어져 있다.
하물대본체(1)의 뒷가장자리에 뱅크에는 수평으로 차축(5)을 관통삽입하여 이 차축(5)의 양쪽에 차륜(6, 6)을 회전이 자유롭게 축받이 하고 있다.
7, 7은 하물적재부(2, 2)의 뒷가장자리에 형성한 차륜 커버이다.
하물적재부(2, 2)를 이룬 맞닿음판의 윗면은 사선 격자형상으로 요철선을 형성하여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과 완충성을 구비하도록 한다.
또, 오목형상부(3)의 전단 가까이에는 아랫쪽으로 뻗어 나온 지지다리(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지다리(8)에서 후부(9)는 파형판 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기계적 강도를 높이고 있다.
또, 하물대본체(1)의 앞가장자리의 윗가장자리에는 내향편(10)이 안쪽으로 향해 일체로 뻗어 설치되어 있다.
11은 알루미늄제의 하부틀부재이고, 이 하부틀부재(11)는 가로폭이 오목형상부(3)에 삽입되는 치수이고, 앞쪽면은 구멍이 트인 편평한 등단면 각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특부재(11)의 하단 구멍트인곳 속에는 플라스틱제의 연결부재가 끼워 맞춤되어 있다.
13은 하물대본체(1)의 오목형상부(3)의 후부가까이에 상기 차륜(5)과 평행이 되도록 설치된 지지축이며, 이 지지축을 상기 연결부재(12)에 관통삽입함으로써 하부틀부재(11)를 전방으로 자유롭게 넘어지도록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더구나 연결부재(12)에는 뒷면에 돌출하는 스토퍼(14)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부틀부재(11)를 기립시켰을 때 스토퍼(14)가 하물대본체(1)의 뒷가장자리의 뱅크부(4)상에 맞닿아서, 이 하부틀부재(11)가 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15는 하부틀부재(11)와 같이 앞쪽면을 구멍트이게 한 편평한 등단면 각통형상으로 형성된 하부틀부재(11)보다 조금긴 알루미늄제의 상부틀부재이고, 하부틀부재(11)의 상단부 뒷면쪽에 나사(16, 16, 16...)에 의하여 경첩(17)의 일편을 고착함과 동시에 이 경첩(17)의 다른쪽을 나사(18, 18, 18...)에 의하여 이 상부틀부재(15)의 하단부를 뒷면쪽에 고착함에 따라, 이 상부틀부재(15)를 하부틀부재(11)의 상단에 후방으로 자유롭게 절곡되도록 연결한다.
또 상기 연결부재(12)의 하부틀부재(11)중에서의 끼움맞춤 부분이 이 하부틀부재(11)의 앞면으로 돌출한 핀(19)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 핀(19)에 하부틀부재(11)의 앞면 및 양 옆면을 덮은 플라스틱제의 앞맞닿음판(20)을 걸어맞춤시킴과 동시에, 하부틀부재(11)의 뒷면에 플라스틱재의 뒷판(21)을 겹쳐붙이고, 이 뒷판(21)과 앞맞닿음판(20)을 나사(22, 22)에 의해 서로 고정시킴으로써 하부틀부재(11)에 대하여 앞맞닿음판(20) 및 뒷판(21)을 각각 고착시킨다.
하부틀부재(11)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하도록 플라스틱제의 하부 미끄럼 이동부재(23)를 설치한다.
또, 상부틀부재(15)속에는 같은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미끄럼이동되도록 상부 미끄럼 이동부재(24)를 설치한다.
상부 미끄럼 이동부재(24)의 상단에는 일체로 손잡이(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미끄럼 이동부재(23)와 상부 미끄럼 이동부재(24)는 가요성부재(26)를 개재시켜 연결되어 있다.
가요성부재(26)는 경첩(17)과 거의 같은 폭치수를 가진 두꺼운 직포이고, 그 일단을 하부 미끄럼 이동부재(23)의 상부에 멈춤쇠(27), 나사(28, 28...)에 의해 멈추게 하고, 타단을 상부 미끄럼이동부재(24)의 하부에 멈춤쇠(29), 나사(30, 30...)에 의하여 멈추게 한다.
게다가 하부 미끄럼 이동부재(24)의 상단양 옆가장자리에 돌출부(31, 31)를 뻗게 설치한다.
32는 상부 미끄럼 이동부재(24)의 하부가까이에 코일스프링(33)에 의하여 뒷면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설치한 컵형상의 걸이맞춤버튼(32)을 일치시킬 수 있는 꼭지쇠(34)가 끼워붙임으로 고정되어 있다.
더우기 상부틀부재(15)에는 상기 꼭지쇠(34)가 끼워붙여져 있는 원형구멍외에, 상기 스토퍼(14)가 통과할 수 있는 각형구멍(35) 및 다음에 설명하는 훅(37)이 걸어맞춤할 수 있는 각형의 걸어맞춤구멍(36)이 트여져 설치되어 있다.
훅(37)은 하물대본체(1)의 뒷가장자리에 장착한 약탄성 플라스틱제의 것이며, 이 혹은 그 원통형상부(38)에 수용된 코일스프링(39)에 의하여 후방으로 힘을 가하도록 하고 있고 상단에 형성된 갈고리형상부(40)가 상기 걸어맞춤구멍(34)에 걸어맞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한 소화물 운반구는 사용할 때에는, 하부틀부재(11)를 하물대본체(1)위에 기립시켜 다시 이 하부틀부재(11)위에 상부틀부재(15)를 직선상태로 기립시킴과 동시에, 그 상태에서 손잡이(25)를 상부로 끌어 당겨서 상부 미끄럼 이동부재(24)를 상부 미끄럼 이동부재(24)를 상부 틀부재(15)속에서 윗쪽으로 미끄럼 이동하게 한다.
이와같이 하면 가요성부재(2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하부미끄럼 이동부재(23)도 윗쪽으로 잡아 당겨져서 하부 미끄럼 이동부재(23)는 그 대략 상반부가 상부틀부재(15)속으로 잡아 당겨질 수 있다.
즉,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첩(17)의 부위에 이 하부 미끄럼 이동부재(123)가 위치하도록 된다.
그리고 그때 걸어맞춤버튼(32)이 꼭지쇠(34)에 일치하여 이 꼭지쇠(34)속으로부터 이 상부틀부재(15)의 뒷면으로 이 걸어맞춤버튼(32)이 돌출한다.
이 때문에 상부 미끄럼 이동부재(23) 및 하부 미끄럼 이동부재(23)는 이 상태에서 미끄럼 이동을 할 수 없게된다.
이렇게 해서 하부 미끄럼 이동부재(23)는 경첩(17)의 부위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부틀부재(15)는 하부틀부재(11)에 대하여 절곡이 불가능한 직선상태로 잠겨진다.
그리하여 하물적재부(2, 2)위에 운반물을 올려놓고 손잡이(25)를 잡고 이 하물대본체(1)를 차륜(6, 6)을 지지점으로 하여 뒤로 기울어지게 함에 따라 지지다리(8)를 바닥으로 부터 들떠있게 한 상태에서 이 차륜(6, 6)을 바닥위에 구름 이동시킴으로써 그 운반물을 소요부재에 적은 노력으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 이것을 접을시에는 걸어맞춤버튼(32)을 눌러서 상부틀부재(15)속에 이 걸어맞춤 버튼을 넣고, 손잡이(25)를 아래로 눌러 상부 미끄럼 이동부재(24) 및 하부 미끄럼 이동부재(23)를 아래쪽으로 미끄럼 이동시켜, 경첩(17)의 부위에 가용성 부재(26)를 위치시킨다.
그렇게 하면, 상부틀부재(15)는 이 경첩(17)에서 후방으로 절곡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부틀부재(11)는 지지축(13)을 지점으로 하여 전방으로 오목형상부(3)속에 수용되고 동시에 이 하부틀부재(11)의 뒷면상에 상부틀부재(15)를 포갠다.
이때 가요성 부재(26)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경첩(17)의 축통부의 바깥둘레면을 덮는다.
그 때문에 이 가요성 부재(26)는 조금 당겨지게 되고, 하부 미끄럼 이동부재(24)를 조금 잡아당긴다.
즉, 제5도에서 하부 미끄럼 이동부재(24)는 조금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이 하부 미끄럼 이동부재(24)의 돌출부(31, 31)가 내향편(10)의 하부에 겹쳐진다.
또 훅(37)의 갈고리형상부(40)는 걸어맞춤구멍(36)에 걸어맞추게 되고 이 상부틀부재(15)는 하부틀부재(11)위에 겹침 상태에서 멈춰지게 된다.
이 때문에 운반할 때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형화된 손잡이(25)를 잡음으로써 손쉽게 취급할 수 있다.
또 사용함에 있어서는 훅(37)을 코일스프링(39)의 탄성에 저항하여 가압하고 갈고리형상부(40)를 걸어맞춤구멍(36)으로부터 빼내어 상기한 바와같이 하부틀부재(11), 상부틀부재(15)를 기립시키면 언제든지 간단한 사용상태로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소하물 운반구는, 하물대본체의 오목형상부속에 하부틀부재가 수용되어, 이 하부틀부재의 뒷면상에 상부 틀부재가 포기짐으로써 매우 소형으로 접을 수 있기 때문에 부피가 크지 않아서 운반에 편리하게 사용하기 쉬운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뒷가장자리 양쪽에 한쌍의 차륜이 설치되며 양쪽 가장자리에 일정 폭의 밴드형상의 하물적재부가 평행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오목형상부가 형성된 4각형 상자형상의 하물대본체와 상기 오목형상부에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하단부를 상기 하물대 본체의 뒷가장자리에 회전가능하게 접합한 하부틀부재와, 이하부틀부재의 상단에 이 뒷면쪽에서 경첩에 의하여 연결한 상부틀부재와, 상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상부 미끄럼 이동부재의 하단에 가요성 부재를 통하여 연결시킨 하부 미끄럼 이동부재를 상기 상부틀부재 및 하부틀부재 속에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소하물 운반구.
KR2019880012281U 1987-12-25 1988-07-28 소하물 운반구 KR92000387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98688U 1987-12-25
JP1987198688U JPH045423Y2 (ko) 1987-12-25 1987-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124U KR890013124U (ko) 1989-08-08
KR920003877Y1 true KR920003877Y1 (ko) 1992-06-12

Family

ID=16395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2281U KR920003877Y1 (ko) 1987-12-25 1988-07-28 소하물 운반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17401A (ko)
JP (1) JPH045423Y2 (ko)
KR (1) KR920003877Y1 (ko)
CA (1) CA129535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313B1 (ko) * 2002-10-29 2011-07-27 랜팩 코포레이션 완충재 제조 시스템, 부품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4910A (en) * 1992-11-25 1996-08-13 Products Finishing Corporation Portable luggage cart
CN2199909Y (zh) * 1994-02-26 1995-06-07 永溢有限公司 行李手推车
US5590897A (en) * 1994-12-06 1997-01-07 Tsai; James Structure of carriage
US5575362A (en) * 1995-01-05 1996-11-19 Samsonite Corporation Collapsible pull handle for wheeled garment bag
US5951037A (en) * 1997-08-07 1999-09-14 Hsieh; Hung-Ching Luggage cart
USD404871S (en) * 1998-04-06 1999-01-26 Rubbermaid Commercial Products Inc. Platform truck
US6561395B2 (en) * 2001-03-06 2003-05-13 Mona Lim Collapsible back pack
US20040108667A1 (en) * 2002-12-10 2004-06-10 James Tsai Platform of a handcart
US6971654B2 (en) * 2003-06-19 2005-12-06 Amsili Marc A Compact collapsible cart with vertical lift
US7614628B2 (en) * 2004-06-22 2009-11-10 Ezm, Inc. Convertible carrying case systems and collapsible wheeled carts for carrying cases
US20050284873A1 (en) * 2004-06-24 2005-12-29 Ian Albert Gas cylinder
CN100493974C (zh) * 2007-06-06 2009-06-03 顾新君 一种推车
TWM353856U (en) * 2008-07-10 2009-04-01 Rui-Jia Wang Pull rod cart structure
KR101995181B1 (ko) * 2018-12-27 2019-07-02 송재호 접이식 핸드카트
KR102027733B1 (ko) * 2019-03-29 2019-10-01 송재호 접이식 사륜 핸드카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3603A (en) * 1959-06-08 1962-07-10 Sr Raymond J Major Hand truck with pivoted wheel supports
US4452468A (en) * 1982-09-08 1984-06-05 O. Ames Co. Cart with molded bag supporting structures
DE3366882D1 (en) * 1983-05-11 1986-11-20 Leifheit Ag Foldable transport trolley
US4591183A (en) * 1984-05-08 1986-05-27 Christian Dior, S.A. Luggage carri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313B1 (ko) * 2002-10-29 2011-07-27 랜팩 코포레이션 완충재 제조 시스템, 부품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17401A (en) 1990-04-17
CA1295350C (en) 1992-02-04
JPH01101975U (ko) 1989-07-10
JPH045423Y2 (ko) 1992-02-17
KR890013124U (ko) 198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877Y1 (ko) 소하물 운반구
US4921270A (en) Convertible hand truck
US4822065A (en) Collapsible cargo carrier
US3997213A (en) Collapsible carryall with seat
US3827707A (en) Portable carrier
US5244219A (en) Hand held carrier
US3947054A (en) Folding luggage carrier
US4185853A (en) Folding noseplate for a handtruck
US5193842A (en) Combined golf bag and cooler cart
WO1985000329A1 (en) Portable luggage carrier
US3560015A (en) Combined wheel and pack carrier
US4793628A (en) Transportable and collapsable bag carrying cart
US3329442A (en) Portable load carrier for luggage and the like
US2437029A (en) Collapsible shopping cart
KR870000581B1 (ko) 절첩식 손수레
KR100571018B1 (ko) 카트형 가방
EP0050017A1 (en) Carrier for a baby or a child
US11110948B2 (en) Four-wheeled folding handcart
US4440409A (en) Boat transporter
US5176259A (en) Utility tray with flexible strap fasteners
KR200321315Y1 (ko) 절첩식 휴대용 쇼핑카트
US3539194A (en) Duffelbag carrier
JPH059267Y2 (ko)
JPH049255Y2 (ko)
US3532355A (en) Luggage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