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764B1 - 격퇴-작용 필터 유닛 및 조립품 - Google Patents

격퇴-작용 필터 유닛 및 조립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764B1
KR920003764B1 KR1019860700089A KR860700089A KR920003764B1 KR 920003764 B1 KR920003764 B1 KR 920003764B1 KR 1019860700089 A KR1019860700089 A KR 1019860700089A KR 860700089 A KR860700089 A KR 860700089A KR 920003764 B1 KR920003764 B1 KR 920003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minant
outlet
collection
filter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700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700216A (ko
Inventor
죤 에프. 처어치
훌터 에이치. 스톤
리챠드 이. 스카우프
Original Assignee
파커-헨니핀 코포레이션
마크 에스. 리챠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커-헨니핀 코포레이션, 마크 에스. 리챠드 filed Critical 파커-헨니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60700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700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8Thickening liquid suspensions by filtration
    • B01D17/10Thickening liquid suspensions by filtration with stationary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4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removal of one of the ph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4Breaking emulsions
    • B01D17/045Breaking emulsions with coales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03Filters in combination with devices for the removal of liquids
    • B01D36/006Purge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1/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10G31/09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3/00Dewatering or demulsification of hydrocarbon oils
    • C10G33/04Dewatering or demulsification of hydrocarbon oils with chem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24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water separating means
    • F02M37/26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water separating means with water detection means
    • F02M37/28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water separating means with water detection means with means activated by the presence of water, e.g. alarms or means for automatic drain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34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by the filter structure, e.g. honeycomb, mesh or fibro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격퇴-작용 필터 유닛 및 조립품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은 몇개의 도면에 걸쳐서 같은 특징이 같은 부분을 나타내는 동봉한 도면에 관련하여 고찰될때 다음에 따르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알기쉽게 이해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닛과 조립품의 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닛의 윗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닛의 저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필터 조림품의 수거 보울과 함께 사용됨에 따른 배수공의 상세한 단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물 및 부유성 고형물(浮游性固形物)과 같은 오염물을 연료로부터, 특히 디이젤 연료로부터 제거하는데 유용한 필터 유닛(filter unit) 및 그것이 가입된 조립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필터의 진공측부(흡입측부라고도 부름)배치에 적합시킨다.
종래에는 여러가지 유형의 연료 필터 분리 유닛이 연료로부터 부유성고형물 및 액체 오염물(예로서 물)을 제거하도록 사용되어졌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필터", "연료 필터", 또는 "필터 유닛"이란 용어등은 부유성 고형물 및/또는 액체 오염물을 분리해내기 위한 어떤 장치라고 여겨진다. 그러므로, 연료 필터/분리 유닛은 간단히 연료 필터 또는 필터 유닛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디이젤 기관용으로 연료 필터는 연료 펌프(fuel pump)의 압력 측부나 연료 펌프의 흡입 측부에 위치하게 된다. 연료가 연료 펌프를 통해서 지나갈때, 연료중의 물은 대개 매우 작거나 또는 미소한 물방울로 흩어진다. 연료에서 물의 에멀젼화(emulsification)는 연료로부터 물의 분리를 어느정도 더욱 어렵게 하고 또 다른 상태로 만든다. 그러므로, 진공 또는 흡입 측부 필터에서 비교적 큰 물방울을 분리해내고자 할 경우에는 그 필터를 충분히 작동시키면 되었으나, 압력 측부 필터는 매우 작은 물방울을 분리해내도록 설계해내도록 설계되어야만 했다.
다수 종래 기술의 필터 조립품들에 공통되는 문제점은 그들의 적응성(flexibility)의 부족이다. 특히, 이러한 조립품들은 진공 측부 적용이던지 또는 압력 측부 적용에 자주 제한을 받는다. 진공 측부 적용에 아주 충분한 필터는 압력 측부 적용에서 펌프를 통해 지나감에 의해 에멀젼화된 물을 분리해내는데 정확히 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
통상으로 압력 측부 적용에서 작동되도록 설계된 조립품들은 작은 물방울을 큰 물방울로 합치기 위한 통합매체를 갖고 있다. 통합 매체로부터의 하부 흐름 수거영역으로 구성되는 이중의 오염물 수거영역을 포함한다. 통합 및 H2O 포화는 그 수거영역들을 분리하는 웰(wall)을 교차하여 차동 압력을 가져온다. 두 수거영역은 그들을 가로질러 필터 매체를 우회하는 유체가 없도록 분리되어야만 한다. 한편으로, 두 수거영역 사이의 단리는 대부분의 오염물이 매체의 한쪽 측부에 내려앉는 진공 또는 흡입 측부 적용에서의 단점이 있다. 특히, 그 두영역 사이의 단리는 대부분의 오염물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쓸모없는 찌꺼기를 가라앉히는 저장소로 오염물 수거 용적을 제한한다.
통합 필터가 연료 펌프의 흡입 측부에 사용될지라도, 더욱 작은 물방울을 제거하기 위한 그의 유용한 능력은 그러한 적용에서도 대개 불필요하다. 더우기, 제1통합 필터 매체와 제2필터 매체 사이의 일컬어 정적 영역 갭(quiet zone gap)의 사용(연료로부터 물방울을 떨어뜨리도록 통상적으로 사용)은 오물을 담기 위한 필터 용량을 제한하며, 이에 따라서 필터의 수명이 제한된다. 더욱더, 통합 필터의 특별 비용(증가된 복잡성에 기인)은 흡입 측부 필터 적용을 위해서 대개 부적당하다.
압력 및 진공부, 적용 양쪽의 적응성 부족외에도, 다수의 종래 기술 조립품은 부착 또는 제거가 어려운 오염물 수거 영역을 사용한다.
연료 필터 조립품들이 갖는 다른 공통적인 문제점은 필터 부품들이 너무 빠르게 제한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그와 동시에, 부품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필터 부품 및 조립품을 설계하기 위한 시도는 복잡하고 값비싼 구조를 가져왔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요약]
본 발명의 일반적 목적은 개선된 필터 유닛과 조립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력 측부 필터 유닛과 함께 대개 사용된 이중 수거영역 오염물 보울(bowl)을 사용케 되는 진공 측부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 유닛의 연장된 수명을 제공토록 배치된 필터 유닛 및 조립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은 효율의 물분리와 부유성 오염물을 담기 위한 높은 용량을 갖는 필터 유닛 및 조립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은 액체연료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도록 적합시킨다음 포함하는 필터조립품에 의해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은 액체연료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도록 적합시킨다음 포함하는 필터조립품에 의해 제공된다 : 보디 및 그안의 밀폐 루우프(closed loop)에 배치된 물 격퇴-작용필터 매체를 가지는 필터유닛이 포함되며, 보디는 연료입구공 및 연료 출구공과 제1 및 제2오염물 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제1 및 제2오염물 출구는 보디의 제1측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제1 및 제2오염물 출구 둘모두는 필터매체내의 공동챔버(common chmber)와 직접 통해 있으며 ; 보디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고 빼낼 수 있게 보디의 제1측부에서 맞물려져 있는 수거보울이 포함되며, 그 수거보울은 그 사이의 분리웰로서 분리되어 있는 제1과 제2오염물 수거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제1수거영역은 그 필터 유닛을 통하여 연료가 통과하는대로 제1 오염물 출구로부터 액체오염물을 수거하도록 제1오염물 출구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수거영역은 필터 유닛을 통하여 연료가 통과하는대로 제2오염물 출구로부터 액체 오염물을 수거하도록 제2오염물 출구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 제1 및 제2수거영역을 각기 배수하기 위한 제1 및 제2배수공이 포함되며 ; 그리고, 작동에 있어서, 제1과 제2수거영역은 그들 사이의 소통이 제1오염물 출구를 경류로 하여 보디를 통해서만 존재할뿐 분리웰에 의해 둘사이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오염물 수거영역사이의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연료입구공과 제1오염물출구는 보디의 반대쪽에 있는 나사선내에서 중심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수거보울은 보디의 제1측부에서 중앙접합나사에 맞물려진 중심적으로 설치된 나사선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2오염물출구는 보디의 접합나사선의 밖에 있다. 보디는 원주형이고 제2오염물출구는 원형으로 배열된 접합나사선의 밖에 있는 제1열의 호울(hole)이고 필터매체로부터 안쪽으로 방사하게 향해있다. 수거 보울나사선은 분리웰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보디는 외부 케이싱과 종단캡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외부케이싱은 보디의 제1측부에 중앙호울을 갖고 있으며, 그리고 제1오염물출구 및 제1열의 호울은 종단캡을 통해서 확장되어 있고 외부케이싱의 중앙호울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외부케이싱은 보디의 제1측부에는 원모양으로 배열된 제2열의 호울이 있으며 종단캡은 제2열의 호울을 덮고 있다. 그 외부케이싱은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종단캡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필터 유닛내의 필터매체는 단일하고, 전체적이며, 방사상으로 연속적이다. 보디는 원주형이고 제2오염물 출구는 필터매체로부터 방사상으로 안쪽에 있다.
본 발명은 액체연료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도록 적합시킨 다음을 포함하는 필터조립품으로 번갈아 기술된다 ; 보디 및 그 안에 배치되어 있는 단일하고, 전체적이고, 방사상으로 연속적인 환형의 필터매체를 가지는 흡입측부필터유닛이 포함되며, 보디는 연료 입구공 및 연료 출구공과 제1 및 제2오염물 수거영역을 가지며, 제1 및 제2오염물출구는 보디의 제1측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제1 및 제2오염물 출구 둘 모두는 필터 매체 안에 공동 챔버와 직접 통하고 있으며 ; 보디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보디의 제1측부에 빼낼 수 있게 맞물려진 오염물 수거 보울이 포함되며, 그 수거 보울은 그 사이의 분리 웰로서 분리되어 있는 제1 및 제2수거영역을 갖고 있으며, 제1수거영역은 연료가 필터 유닛을 통해 지나가는 대로 제1오염물 출구로부터 액체 오염물을 수거하도록 제1오염물 출구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수거 영역은 필터 유닛을 통해 연료가 통과하는대로 제2오염물 출구로부터 액체 오염물을 수거하도록 제2오염물 출구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 제1 및 제2수거영역을 각각 배수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배수공이 포함되며 ; 그리고, 작동에 있어서, 제1 및 제2수거 영역은 그들 두 영역 사이의 통합이 제1오염물 출구를 경유로 하여 보디를 통해서만이 존재할 뿐 분리 웰에 의해 둘 사이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으며, 그리고 제1 및 제2오염물 출구는 제1과 제2수거 영역 사이에서 자유 통함이 있게 한다. 보디는 원주형이고 제2오염물 출구는 필터 매체로부터 방사상으로 안쪽에 있다. 그 필터 매체는 적어도 물 격퇴-작용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물 격퇴-작용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발명으로 번갈아 기술된다 ; 연료 입구공과 연료 출구공 및 보디의 제1측부에 배치된 제1 및 제2오염물 출구를 가지는 보디가 포함되며, 그 제1 및 제2오염물 출구 둘 모두는 보디내의 공동 챔버와 직접 통하고 있으며 ; 보디내의 밀폐 루우프에 배치되어 있고 공동챔버를 둘러싸고 있는 물 격퇴-작용 필터 매체가 포함되며 ; 그리고 오염물 수거 보울에서 중심적으로 위치한 나사선과 접합하기 위한 보디의 제1측부에 있는 중앙 접합 나사선이 포함되며, 제1오염물 출구는 보디의 접합 나사선 안쪽에 있고 제2오염물 출구는 보디의 접합 나사선 바깥쪽에 있으며 ; 그리고 필터 유닛은 제1 및 제2오염물 출구의 아래에 배치된 분리되어 있는 제1 및 제2오염물 수거영역을 갖는 오염물 수거 보울을 지지하도록 작동된다. 제2오염물 출구는 접합 나사선의 바깥쪽에서 원모양으로 배열된 제1열의 호울이고 모두가 공동챔버와 직접 통하고 있으며, 그리고 그 공동챔버는 중심적으로 위치하고 있다. 필터 카아트리지(cartridge)내의 필터 매체는 단일하고, 전체적이고, 방사상으로 연속적이다. 연료 입구공은 보디의 제1측부 반대편에 있는 보디의 제2측부에 중심적으로 위치하고 있고 또 제2측부 나사선에 의해 제한되고 연료 출구공은 제2측부 나사선 바깥에서 보디의 제2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 보디는 외부 케이싱과 종단 캡을 포함하며, 그 외부케이싱은 보디의 제1측부에서 중앙 호울을 갖고 있으며, 제1오염물 출구와 제1열의 호울은 종단 캡을 통하여 확장되어 있고 외부케이싱은 중앙 호울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더욱더 외부케이싱은 보디의 제1측부에 원모양으로 배열된 제2열의 호울을 가지고 있고 종단캡은 호울의 외부 열들을 덮고 있다. 외부케이싱은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종단 캡은 플래스틱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은 더욱더 다음을 포함한다 : 보디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보디의 제1측부에 빼낼 수 있도록 맞물려진 오염물 수거 보울이 포함되며, 그 수거 보울은 그 사이의 분리 웰로서 분리되어 있는 제1 및 제2수거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제1수거 영역은 필터 유닛을 통하여 연료가 통과하는 대로 제1오염물 출구로부터 액체오염물을 수거하도록 제1오염물 출구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수거 영역은 필터 유닛을 통하여 연료가 통과하는 대로 제2오염물 출구로부터 액체 오염물을 수거하도록 제2오염물 출구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 제1 및 제2수거 영역을 각기 배수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배수공이 포함되며 ; 그리고, 작동에 있어서, 제1 및 제2수거 영역은 그들사이의 통함이 제1오염물 출구를 경유하여 보디를 통해서만이 존재할 뿐 분리 웰에 의해 둘 사이가 통함이 존재할 뿐 분리 웰에 의해 둘사이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으며, 그리고 제1 및 제2오염물 출구는 제1과 제2수거 영역사이에서 자유 소통이 있게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제 1 도에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조립품(10)의 단면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필터 조립품(10)은 필터 유닛(12), 오염물 수거 보울(14) 및 캡(16)으로 구성되어 있다. 캡(16)은 단지 부분적인 단면으로만 도식되어 있다. 캡(16)이 디이젤 트렁크 엔진, 자동차 엔진, 또는 다른 공업적 기계에 필터 조립품(10)을 끼우기 위한 조립 호울(18H)와 조립 플랜지(18F)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필터 유닛(12), 수거보울(14) 및 캡(16)은 실제적으로 원주형이다.
캡(16)은 나사를 돌려 제거할 수 있는 마개(24)를 거쳐서 근접할 수 있는 볼 체크 밸브(ball check valve)(24)로 안내되는 연료 인입공(20E)를 포함하고 있다. 통로(26)은 플런저 로드(plunger rod)(30)이 확장되어 있는 원주형의 하향하게 확장되는 플런저 영역(28)로 연료가 흐를 수 있도록 볼 체크 밸브(22)로부터 확장된다. 플런저 로드(30)은 그것의 바닥이 유연한 플런저 성분(32)에 붙어있고 그것의 상부는 나사를 돌릴 수 있게 설치된 녹(knob)(34)에 붙어 있다. 연료 출구공(20X)는 출구공(20E)와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만일 원한다면, 그밖의 연료 출구공이 출구공(20X)의 반대쪽에 직접 배치되고 빼낼 수 있는 마개가 그 출구공을 위해 제공되며, 그 마개는 출구공의 사용여부에 관련되어 빼내게 된다. 또 캡(16)은 외부적으로 나사선이 있고 중심적으로 배치된 실린더(36)를 포함한다. 또한 그 실린더는 실린더 투관(36)에 접합되는 볼트(36B)에 의해서 캡(16)의 주요부분에 조여지도록 상부 나사선을 포함한다. 변경되게, 투관(36)은 캡(16)의 상부부분에 접합될 수 있다.
제 1 도에 도식된 대로, 연료 필터 유닛(12)는 투관(36)의 나사선에 풀려질 수 있게 부착된다. 필터 유닛(12)는 금속성 외부케이싱(40)을 가지는 원주형 보디(38)와 O-링 시일(ring seal)(44)을 받기 위해 홈을 가지는 금속성 링 단편(42)을 포함한다. 상부 금속성 원판 단편(46)은 링 단편(42)에 부착되어 있고 캡(16)에 필터 유닛(12)가 부착되도록 실린더 투관(36)의 나사선에 풀려질 수 있게 부착되는 중심 나사선(48)을 포함한다. 연료는 그 나사선(48)내의 연료 입구공을 거쳐서 필터 유닛(12)로 들어가게 된다. 연료는 나사선(48)내로 한정된 호울의 둘레에 원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는 연료 출구공(50)을 거쳐서 필터 유닛으로부터 배출되게 된다. 금속성 단편(40), (42) 및 (46)은 접합 또는 다른 상태로 함께 부착되게 된다. 접합지점(42W)은 제 2 도에 도식되어 있고 단편(42)의 둘레에 원모양으로 공간을 두고 있다. 필터 매체(52)는 필터 유닛(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그 필터 매체(52)는 단일하고, 전체적이고(단편이 영역을 분리하게 될지라도 단지 단일한 단편을 포함), 방사상으로 연속적이고(불규칙 틈새 공간외에는 방사적인 겝이 없음), 균일하다. 바람직하게 필터 매체(52)는 공지된 물 격퇴-작용 구조로 유리 섬유 및 셀룰로오스로 만들어진다. 필터 매체(52)는 가스켓(56)에 의해 단편(46)으로부터 공간을 둔 상부 단편(54)에 의해 결합된다. 환형의 필터 매체(52)는 제 1 도에 도식된 바와 같이 중심적으로 배치된 원주형 챔버(58)를 둘러싸고 있다.
필터 매체(52)는 나사선(64)가 있는 원주형 부분(62)를 포함하고 있으며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바닥 종단 캡(60)에 의하여 그것의 하부 종단에서 결합된다. 도식된 바와 같이, 바닥 캡(60)은 외부 케이싱(12)의 바닥편에 있고 외부케이싱(40)의 바닥 측부로부터 필터 매체(52)의 공간을 두게 한다. 또 바닥 캡(60)은 제 3 도의 필터 유닛(12)의 밑면도에 최상으로 도식된 바와 같이 원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는 환형의 호울 또는 구멍(66)을 포함한다. 또한 제 3 도에 최상으로 도식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싱(38)은 하향하게 확장되는 플랜지(70)를 포함하는 플래스틱 종단 캡(60)에 의해 제 1 도에서와 같이 덮혀있는 구멍(68)의 원모양 배열부를 포함한다.
제 1 도에 계속 관련하고, 또한 제 4 도의 상세한 단면도를 주시할때,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됨에 따른 수거보울(14)이 자세히 설명되어진다. 수거 보울(14)는 필터 유닛(12)의 중간 접합 나사선(64)에 수거 보울을 나사 접합하기 위한 나사선(78)이 있는 원주형 분리 웰(76)에 의해 영역(72)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환형의 제2오염물 수거 영역 또는 챔버(74)와 중앙 오염물 수거 챔버 또는 영역(72)를 포함하고 있다. 외부 원주형 웰(80)은 오염물 수거 영역(74)와 조립품(10)의 외부 사이의 공간을 메꾸도록 O-링(82)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수거 보울(14)은 채움 수위를 육안으로 점검할 수 있게 맑은 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진다. 그밖에도, 원한다면, 전기적 수위 감지기(84)가 수거 보울과 함께 사용된다. 기기(84)는 수위가 그것의 상부, 전극 사이의 회로를 닫도록 충분히 올라갈때 닫혀지는 정상적으로 오픈 회로(open circuit)기기로 도식되어 있다. 다수의 다른 형태의 수위 감지기가 사용될 수 있다. 수위 감지기의 특정 유형에 상관없이, 수위 감지기는 조절 판넬 또는 자동차 계기판에 부착된 라이트(light)를 활성하도록 간단히 사용되게 된다. 그 라이트는 오염물 수거 보울(14)의 배수 시기를 알려준다.
수거 보울(14)의 배수는 비교적 간단하다. 특히, 중앙 오염물 수거 영역(72)에는 출구공(86)이 있으며 제2오염물 수거 영역(74)에는 출구공(88)이 있다. 출구공(88) 및 (86)은 수거 보울(14)의 주요 부분 아래에 있는 원주형 부분(9)을 향해 확장된다. 원주형 부분(90)에는 풀려질 수 있게 부착된 마개(92)에서 중앙 나사선이 있다. 마개(92)는 중앙 통로(94)와 고무 시일(96)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도에 도식된 위치에 있어서, 고무 시일(96)은 마개가 원주형 부분(90)안에서 단단히 조여지므로 오염물 출구공(86) 및 (88)을 차단한다. 마개(92)가 제 4 도에 도식되어진 위치처럼 풀려져 내려가면, 오염물은 제1 및 제2오염물 출구공(86) 및 (88)을 지나고 마개(92)의 통로(94)를 거쳐서 제1 및 제2오염물 수거 영역(72)와 (74)의 밖으로 쉽게 흐르게 된다.
수거 보울(14)은 1984년 1월 3일자 미국특허 연속출원 일련번호 568,271호로 출원되어 1985년 3월 5일자 미국특허 4,502,956호로 공고된 것을 위해 포기되어진 1982년 2월 24일자 윌슨(Wilsom)등에 의해 출원된 미국특허 출원 일련번호 351,716호의 제 4 도에 도식되어진 수거 보울과 작동상 유사하고, 상기의 출원들은 본 출원의 양도인에게 양도되어졌다. 그밖에도,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캡(16)은 윌슨 등의 출원서에 도식된 캡과 작동상 유사하다. 필터 매체는 윌슨 등의 출원서의 외부 매체와 함께 사용됨에 따라 같은 구조가 된다.
[작동]
작동에 있어서, 연료는 인입공(20E)에 의해 들어가게 되고 녹(34)와 부품(32)이 필터 유닛(12)에 연료를 주입하도록 사용될때 연료의 후진흐름을 방지하도록 하나의 상태 또는 체크 밸브(check valve)로 작용하는 볼 밸브(ball valve)(22)에 의해 통과된다. 그 연료는 통로(26)를 통해서 플런저 영역(28)을 끼고 필터 유닛의 내부 중간 챔버(58)로 내려간다. 도면에 도식되지 않은 펌프는 연료의 흐름을 일반적으로 강요하는 연료 출구공(20X)에서 흡입을 불러 일으킨다. 챔버(58)내의 연료는 연료 출구공(50)의 밖으로 필터 매체(52)를 통해서 환형의 연료 챔버(50C)로 외향 방사하게 진행되고 연료 출구(20X)의 밖을 향해 나아간다. 그렇지만, 비교적 큰 물방울(58W)은 그들 물방울의 큰 크기에 기인하여 필터 매체(52)의 내적으로 방사상인 표면에 의해 격퇴된다. 도식되지는 않았지만, 유리섬유 및 셀룰로오스 필터 매체(52)의 내적 방사 표면은 격퇴 작용에 도움이 되도록 주름이 잡혀지게 된다. 부유성 고형물 및 특히 물방울 또는 다른 오염물들은 원주형 부분(62)로 한정된 제1오염물 수거 영역을 통해서 진행되게 되고 필터 매체(52)와 접촉되기 전에 오염물 수거 영역(72)내에서 정지된다. 필터 매체(52)에 의해 격퇴되는 물방울(58W)은 하향하게 진행되고 플래스틱 종단 캡(60)내에 있는 호울의 밖으로 향한다. 어떠한 호울(66)은 원주형 부분(62)에서 정의된 제1오염물 출구와는 반대로 제2오염물 출구라고 숙고되고 필터 매체(52)로부터 내향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도식된 대로, 원주형 부분(62)내로 한정된 제1오염물 출구와 제2오염물 출구(호울(66)중의 어떤것)은 제1과 제2오염물 수거 영역 사이에서 통합을 자유(필터, 배플, 또는 다른 유사한 장치에 의한 방해가 없음)롭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오염물 수거 영역(72)가 제2오염물 수거 영역보다 먼저 채워진다면, 제1오염물 수거 영역(72)로부터의 오염물은 수거 보울(14)이 상기 인용된 윌슨 등의 미국특허 출원에 기술된 방식에서의 통합 필터와 함께 사용될때 수거 영역(72)와 (74)의 단리를 위해서 필요한 분리 웰(76)에 의해 생겨난 단리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제2수거 영역(74)로 흐르게 된다. 유사하게, 오염물 수거 영역(74)가 수거 영역(72)보다 먼저 채워지게 된다면, 호울(66)과 원주형 부분(62)안의 호울을 경유하는 자유 통함이 이용하게 되는 오염물 수거 영역 양쪽 모두에 대해 허락된다.
호울(66)과 나사선(64)내의 호울은 외부 케이싱(40)의 바닥에 있는 중앙 호울(40H)의 안쪽에서 방사상으로 향해 있다. 금속성 외부케이싱(40)에 구멍(68)의 가입은 금속성 케이싱(40)이 제 1 도의 진공 또는 흡입 측부 필터 매체를 위해서와 상기 나열된 윌슨 등의 특허출원의 제 4 도에 도식되어진 바대로의 통합 필터 장치 둘 모두를 위해 규격화 된다는 잇점이 있다. 특수하게, 윌슨 등의 출원에서 제 4 도의 통합 필터는 종단 캡(60)중에서 관통부 또는 호울(66)대신에 구멍(68)에 관통부와 다른 필터 매체 배치를 간단히 포함하지만 동일한 외부케이싱(12)를 사용하여 조립한다. 그 방식에 있어서, 단일 외부케이싱 조립품(40) 및 종단 캡(60)은 바닥 또는 종단 캡(60)와 플라스틱의 다른 부분에 간단히 구멍을 내어 실현된 진공과 압력 측부적용 사이의 변형과 함께 사용된다.
수거 보울(14)가 비교적 완전히 채워졌을 때(맑은 플래스틱의 시각적 점검 또는 수위 감지기(84)로부터 신호에 의해) 배수마개(92)는 수거 보울(14)의 수거 영역(72) 및 (74) 둘 모두를 동시에 배수시키도록 사용된다. 필터 유닛(12)의 교체가 요구될때, 그것의 나사선(48) 및 (64)는 캡(12)로부터 쉽게 접합을 분리할 수 있고 수거 보울(14)와 새로운 필터 유닛은 필터 유닛(12)의 양 종단에서 중심적으로 위치한 나사선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간단히 접합된다.
본 발명의 필터 유닛(12)에서 중심적으로 위치한 나사선(48)과 (64)의 유익한 특색은 이와 같은 중심적으로 위치한 나사선이 필터 유닛의 외부링에서 접합하게 되는 나사선에 비교된 위치로 부적당하게 나사 접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달리 말해서, 더욱 작고 단단한 나사선이 비스듬한 위치로 나사 접합되려하지 않는다.
종단 캡(60)에서 원주형의 호울(66)을 부가하므로써, 본 발명의 진공 또는 흡입 측부 필터 유닛(12)는 이중 수거 영역 통합형 필터 유닛과 함께 또한 유용하게 되는 수거 보울(14)와 함께 사용된다. 가장 용이하게, 그 호울(66)은 수거 보울(14)의 양쪽 모두의 오염물 수거 영역(72) 및 (74)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다수의 특정 구조 및 사항이 본원에 제시되었을지라도, 그것은 단지 예증하기 위해 제시된 것임을 알아야 한다. 다수의 변형 및 개작은 이 분야에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는 이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동봉한 청구범위를 참고로 결정해야만 한다.

Claims (28)

  1. 액체연료로부터 오염물들을 제거하도록 적합시킨 필터 조립품에 있어서, (a) 보디 및 그안의 밀폐루우프내에 배치된 물 격퇴-작용필터매체를 갖는 필터유닛이 포함되며, 보디는 연료입구공 및 출구공과 제1 및 제2오염물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제1 및 제2오염물 출구는 보디의 제1측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오염물출구 둘다가 필터매체안의 공동중앙챔버와 직접 통해 있으며 ; (b) 보디에 의해 지지되고 보디의 제1측부에 빼낼 수 있도록 맞물려진 오염물 수거보울이 포함되며, 그 수거보울은 제1 및 제2의 수거영역이 그들사이의 분리 웰로서 분리되어 있으며, 제1수거영역은 필터 유닛을 통해 연료가 통과하는대로 제1오염물 출구로부터 액체 오염물을 수거하도록 제1오염물출구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수거영역은 연료가 통과하는대로 제2오염물 출구로부터 액체오염물을 수거하도록 제2오염물 출구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 (c) 제1 및 제2수거영역을 각기 배수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배수공이 포함되며 ; 그리고, 작동에 있어서, 제1 및 제2수거영역은 그들 사이의 통함이 제1오염물출구를 경유하여 보디를 통해서만이 존재할뿐 분리 웰에 의해 둘사이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으며, 그리고 제1과 제2오염물출구가 제1 및 제2오염물수거영역사이를 자유소통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필터 조립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연료입구공과 제1오염물 출구가 보디의 반대쪽에서 각각 중심적으로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수거보울은 보디의 제1측부에서 중앙 접합 나사선에 맞물려진 중심적으로 위치한 나사선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1오염물 출구는 보디의 접합나사 안쪽에 있으며, 그리고 제2오염물 출구는 보디의 접합나사 바깥쪽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품.
  4. 제 3 항에 있어서, 보디는 원주형이고 제2오염물 출구는 접합 나사선의 바깥쪽에 있는 원모양으로 배열된 제1열의 호울이고 필터매체로부터 방사하게 안쪽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수거보울 나사선이 분리 웰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품.
  6. 제 5 항에 있어서, 보디는 외부케이싱과 종단캡을 포함하며, 그 외부케이싱은 보디의 제1측부에서 중앙호울을 가지며, 제1오염물출구와 제1열의 호울은 종단캡을 통해 확장되어 있고 외부케이싱의 중앙호울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외부케이싱은 더욱더 보디의 제1측부에 원모양으로 배열된 제2열의 호울을 가지고 있고 종단캡은 제2열의 호울을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외부케이싱은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종단캡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품.
  9. 제 3 항에 있어서, 필터유닛내의 필터 매체는 단일하고, 전체적이고 방사상으로 연속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품.
  10. 제 1 항에 있어서, 보디는 원주형이고 제2오염물출구는 필터 매체로부터 방사하게 안쪽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품.
  11. 액체연료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도록 적합시킨 필터 조립품에 있어서, (a) 보디 및 그 안에 배치된 단일하고, 전체적이고, 방사상으로 연속적이고, 고리모양의 필터 매체를 갖는 흡입-측부 필터유닛이 포함되며, 그 보디는 연료 입구공 및 연료출구공과 제1 및 제2오염물 출구를 가지며, 제1 및 제2오염물출구는 보디의 제1측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오염물 출구 둘 모두는 필터매체내의 공동챔버와 직접 통해 있으며 : (b) 보디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보디의 제1측부에 빼낼 수 있게 맞물려져 있는 오염물 수거 보울이 포함되는데, 그 수거 보울은 그 사이의 분리 웰로서 분리되어 있는 제1 및 제2수거영역을 가지며, 제1수거영역은 연료가 필터유닛을 통해 통과하는 대로 제1오염물 출구로부터 액체 오염물을 수거하도록 제1오염물 출구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수거영역은 필터 유닛을 통해 연료가 통과하는대로 제2오염물 출구로부터 액체 오염물을 수거하도록 제2오염물 출구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 그리고 (c) 제1 및 제2수거영역을 각각 배수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배수공이 포함되며 ; 그리고, 작동에 있어서, 제1 및 제2오염물 수거영역은 그들사이의 통함이 제1오염물 출구를 경유로하여 보디를 통해서만 존재할 뿐 분리 웰에 의해 둘사이가 완전히 차단되어 있으며, 그리고 제1 및 제2오염물 출구가 제1 및 제2수거영역 사이를 자유소통할 수 있게 하며, 그리고 그 필터 매체는 적어도 물격퇴-작용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필터조립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수거보울은 중심적으로 위치한 나사선을 포함하고 보디의 제1측부에서 중앙접합나사선에 맞물려져 있으며, 제1오염물 출구는 보디의 접합 나사선 안쪽에 있으며, 그리고 제2오염물출구는 보디의 접합나사선 바깥쪽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조립품.
  13. 제 12 항에 있어서, 보디는 원주형이고 제2오염물 출구는 접합나사선의 밖에 있는 원모양으로 배열된 제1열의 호울이고 필터매체로부터 방사상으로 안쪽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조립품.
  14. 제 13 항에 있어서, 보디는 외부케이싱과 종단 캡을 포함하며, 외부케이싱은 보디의 제1측부에서 중앙호울을 가지며, 제1오염물출구와 제1열의 호울은 종단캡을 통해 확장되어 있고 외부 케이싱의 중앙호울안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외부케이싱은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종단캡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품.
  16. 제 12 항에 있어서, 보디는 원주형이고 제2오염물 출구는 필터 매체로부터 방사사으로 안쪽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조립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수거보울 나사선이 분리 웰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조립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제1필터매체가 동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조립품.
  19. 다음과 같은 물 격퇴-작용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발명에 있어서, (a) 연료입구공 및 출구공, 그리고 보디의 제1측부에 배치된 제1 및 제2오염물 출구를 가지는 원주형 보디가 포함되며, 그 제1 및 제2오염물 출구 둘 모두는 보디내의 공동챔버와 직접 통해 있으며 ; (b) 보디내의 밀폐루우프에 배치되어 있고 공동챔버를 둘러싸고 있는 물 격퇴-작용 필터매체가 포함되며 ; 그리고 (c) 오염물 수거보울에 있는 나사선과 접합하기 위한 보디의 제1측부에 있는 접합 나사선이 포함되며, 그리고 보디의 제1측부에는 원주형 부분이 있으며, 그 원주형 부분의 안쪽에는 제1오염물 출구가 있고 그 원주형 부분의 바깥쪽에는 제2오염물 출구가 있으며 ; 그리고 그 필터 유닛은 제1과 제2오염물출구의 아래에 각각 배치된 분리의 제1 및 제2오염물 수거 영역을 갖는 오염물 수거보울을 지지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제2오염물 출구는 원주형부분의 밖에서 원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1열의 호울이고 모두가 공동 챔버와 직접 통해 있으며, 그리고 공동챔버는 중심적으로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
  21. 제 20 항에 있어서, 제1열의 호울은 필터매체로부터 안쪽으로 방사상으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
  22. 제 19 항에 있어서, 필터 카아트리지 내의 필터 매체는 단일하고, 전체적이고, 방사상으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
  23. 제 22 항에 있어서, 연료 주입공은 보디의 제1측부 반대편에 있는 보디의 제2측부에서 중심적으로 위치하고 있는 연료 입구공 제2측부나사선에 의해 제한되어 있고 연료 출구공은 제2측부나사선의 밖에 있는 보디의 제2측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
  24. 제 22 항에 있어서, 보디는 외부케이싱과 종단 캡을 포함하며, 외부케이싱은 보디의 제1측부에서 중앙 호울을 가지고 있으며, 제1오염물 출구와 제1열의 호울은 종단캡을 통하여 확장되어 있고 외부케이싱의 중앙호울안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
  25. 제 24 항에 있어서, 외부케이싱은 보디의 제1측부에서 원모양으로 배열된 제2열의 호울을 더욱더 가지고 있고 종단캡이 외부열의 구멍들을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
  26. 제 24 항에 있어서, 외부케이싱은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종단캡은 플래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
  27. 제 22 항에 있어서, 제2오염물 출구는 접합나사의 외부에서 원모양으로 배열된 제1열의 호울이고 모두가 공동챔버와 직접 통해 있으며, 그리고 공동 챔버는 중심적으로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
  28. 더욱더 다음을 포함하는 22항의 발명 : 보디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보디의 제1측부에 빼낼 수 있게 맞물려진 오염물 수거 보울이 포함되며, 그 수거 보울은 그 사이의 분리 웰로서 분리되어 있는 제1과 제2오염물 수거영역을 가지며, 제1수거영역은 연료가 필터유닛을 통해 지나감에 따라 제1오염물 출구로부터 액체 오염물을 수거하도록 제1오염물 출구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오염물 수거영역은 연료가 필터 유닛을 통해 통과하는대로 제2오염물 출구로부터 액체 오염물을 수거하도록 제2오염물 출구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 제1 및 제2수거영역을 각기 배수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배수공이 포함되며 ; 그리고 작동에 있어서, 제1과 제2수거영역은 그들 영역사이의 통함이 제1오염물 출구를 경유로하여 보디를 통해서 만이 존재할 뿐 둘사이가 서로 완전히 차단되어 있으며, 그리고 제1 및 제2오염물 출구가 제1 및 제2수거영역사이의 자유 소통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발명.
KR1019860700089A 1984-06-19 1985-06-19 격퇴-작용 필터 유닛 및 조립품 KR920003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22163 1984-06-19
US622,163 1984-06-19
US06/622,163 US4619764A (en) 1984-06-19 1984-06-19 Repelling-action filter unit and assembly
PCT/US1985/001144 WO1986000242A1 (en) 1984-06-19 1985-06-19 Repelling-action filter unit and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700216A KR860700216A (ko) 1986-08-01
KR920003764B1 true KR920003764B1 (ko) 1992-05-14

Family

ID=24493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700089A KR920003764B1 (ko) 1984-06-19 1985-06-19 격퇴-작용 필터 유닛 및 조립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619764A (ko)
EP (1) EP0185086B1 (ko)
JP (1) JPS61502318A (ko)
KR (1) KR920003764B1 (ko)
AU (1) AU569459B2 (ko)
BR (1) BR8506786A (ko)
CA (1) CA1237677A (ko)
DE (1) DE3585726D1 (ko)
ES (1) ES8607744A1 (ko)
MX (1) MX171460B (ko)
WO (1) WO1986000242A1 (ko)
ZA (1) ZA8542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3446A (en) * 1985-05-14 1997-07-01 Parker Hannifin Corporation Fuel filter and priming pump
US5547572A (en) * 1985-05-14 1996-08-20 Parker Hannifin Corporation Fuel Filter
US4708171A (en) * 1986-11-14 1987-11-24 J. A. Baldwin Manufacturing Co. Drain valve
US4834885A (en) * 1987-01-16 1989-05-30 Donaldson Company, Inc. Seal arrangement for fluid filters
US5236579A (en) * 1991-08-22 1993-08-17 Stanadyne Automotive Corp. Fuel filter assembly with modular drain bowl
US5389245A (en) * 1993-08-10 1995-02-14 Brunswick Corporation Vapor separating unit for a fuel system
US5922199A (en) 1993-09-15 1999-07-13 Parker Hannifin Corporation Double pass fuel filter assembly
US6113781A (en) 1993-09-15 2000-09-05 Parker-Hannifin Corporation Fuel filter with dual flow
US6053334A (en) * 1993-09-15 2000-04-25 Parker Hannifin Customer Support Inc. Fuel filter with valve device
AU7797194A (en) * 1993-09-15 1995-04-03 Parker-Hannifin Corporation Fuel filter element
US5507942A (en) * 1994-02-22 1996-04-16 Davco Manufacturing L.L.C. Fuel filter assembly
US5458767A (en) * 1994-08-10 1995-10-17 Parker-Hannifin Corporation Fuel filter assembly with dual filter media and by-pass device
US5547565A (en) 1994-12-05 1996-08-20 Baldwin Filters, Inc. Fuel/water separator with adaptor plate for drain valve and water detector
US6327599B1 (en) * 1995-06-07 2001-12-04 R. R. Donnelley & Sons Company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press to print fixed and variable information
US5783078A (en) * 1996-10-12 1998-07-21 Dana Corporation Fuel/water separator filter without flow diverter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855780A (en) * 1996-11-04 1999-01-05 Advanced Performance Technology, Inc. Fuel filter element with flow actuator
GB9700414D0 (en) 1997-01-10 1997-02-26 Lucas Ind Plc Filter arrangement
US6088710A (en) * 1997-10-29 2000-07-11 R.R. Donnelley & Sons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fulfillment pieces on demand in a variable imaging system
DE19811689A1 (de) * 1998-03-18 1999-09-23 Bosch Gmbh Robert Flüssigkeitsfilter zum Reinigen von Kraftstoff
FR2779661B1 (fr) * 1998-06-16 2000-11-24 Filtrauto Boitier de filtre a liquide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US6818594B1 (en) 1999-11-12 2004-11-16 M-I L.L.C. Method for the triggered release of polymer-degrading agents for oil field use
NZ540911A (en) 1999-11-12 2007-02-23 Mi Llc Method and composition for the triggered release of polymer-degrading agents for oil field use
US6258269B1 (en) 2000-05-30 2001-07-10 Parker-Hannifin Corporation Self vent drain valve
US6328883B1 (en) 2000-05-31 2001-12-11 Parker-Hannifin Corporation Fuel filter assembly with priming pump
DE20101572U1 (de) * 2001-01-31 2002-06-20 Hengst Walter Gmbh & Co Kg Flüssigkeitsfilter mit Entlüftungsbohrungen
US6729310B2 (en) * 2001-02-20 2004-05-04 Charles L. Ekstam Fuel delivery system
DE10255701A1 (de) 2002-11-29 2004-06-17 Mann + Hummel Gmbh Flüssigkeitsfilterelement
GB0313756D0 (en) * 2003-06-13 2003-07-23 Ross Geoffrey J Liquid separator
US7326342B2 (en) * 2004-09-13 2008-02-05 Baldwin Filters, Inc. Fuel filter cartridge and keyed end cap
DE102004050264B3 (de) * 2004-10-14 2006-02-16 Mann + Hummel Gmbh Filterelement
US7368060B2 (en) * 2005-01-14 2008-05-06 Warning Sa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etecting contaminant in a fuel system
DE102005015194A1 (de) * 2005-04-02 2006-10-05 Mahle International Gmbh Kraftstofffilter
US8440081B2 (en) * 2006-08-08 2013-05-14 Cummins Filtration Ip, Inc. Quick drain filter
US8168066B2 (en) * 2006-08-08 2012-05-01 Cummins Filtration Ip, Inc. Quick-drain filter
US20100117842A1 (en) * 2008-11-13 2010-05-13 Warning, Sa Contaminant Detection Unit
DE102009016601A1 (de) * 2009-04-08 2010-10-21 Mann + Hummel Gmbh Filtereinrichtung für Fluide, insbesondere für Kraftstoffe
DE102009040655B4 (de) 2009-09-09 2012-03-08 Hengst Gmbh & Co. Kg Kraftstofffilter eines Dieselmotors
DE102009041523B4 (de) 2009-09-15 2024-01-25 Mahle International Gmbh Filtereinrichtung
US10052575B2 (en) 2013-04-10 2018-08-21 Clarcor Engine Mobile Solutions, Llc Filter element
DE112015001865T5 (de) 2014-04-18 2017-01-05 Cummins Filtration Ip, Inc. Filtermodul mit fensterartigem klarem Filtertopf
US10894227B2 (en) 2014-12-18 2021-01-19 Cummins Filtration Ip, Inc. Auto drain plug for a filtration apparatus
DE112015005692T5 (de) 2014-12-19 2017-09-07 Cummins Filtration Ip, Inc. Luftfilter zur Vorreinigung
WO2017040367A1 (en) 2015-08-31 2017-03-09 Cummins Filtration Ip, Inc. Filter port seal
US10625184B2 (en) 2015-11-03 2020-04-21 MANN+HUMMEL Filtration Technology Group Inc. Coalescing filter element
CN109843409B (zh) 2016-10-21 2021-10-01 康明斯过滤Ip公司 过滤器组件的碗体
US20180161708A1 (en) * 2016-12-12 2018-06-14 Caterpillar Inc. Fluid filter system
CN113446140B (zh) * 2017-07-12 2023-06-09 康明斯过滤Ip公司 燃料-水分离器系统和方法
US11097210B2 (en) * 2017-09-20 2021-08-24 Neapco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s, Llc Disposable filter including an integrated sensor assembly
US10799819B2 (en) 2018-06-11 2020-10-13 Cummins Filtration Sarl Filtration system with automatic drain plug
DE112019003046T5 (de) 2018-06-16 2021-03-04 Cummins Filtration Ip, Inc. Dichtungssysteme und verfahren für ein filtrationssystem
USD967330S1 (en) 2019-03-21 2022-10-18 Mahle International Gmbh Pin for a filter element
US11426687B2 (en) 2019-06-27 2022-08-30 Mahle International Gmbh Fuel filter
US11452956B2 (en) 2019-06-27 2022-09-27 Mahle International Gmbh Fuel filter
DE202020104741U1 (de) 2020-08-14 2020-11-26 Cummins Filtration Inc. Dichtungssysteme für ein Filtrationssystem
US11511217B2 (en) 2020-09-22 2022-11-29 Mahle International Gmbh Filter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D958288S1 (en) 2020-10-09 2022-07-19 Mahle International Gmbh Filter device
DE102021200612A1 (de) * 2021-01-25 2022-07-28 Mahle International Gmbh Ringfilterelement und Flüssigfilter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792A (en) * 1909-08-21 1911-09-05 Bernat Weitzenhoffer Stench-trap.
US1616577A (en) * 1925-03-30 1927-02-08 John T Janette Strainer
US2326691A (en) * 1941-04-07 1943-08-10 Walter S Schum Free flow liquid fuel filter
US2524336A (en) * 1945-03-16 1950-10-03 Vokes Ltd Filter
US2494884A (en) * 1947-03-13 1950-01-17 Beech Aircraft Corp Combined fuel pump, selector valve, and strainer
US2651414A (en) * 1948-04-17 1953-09-08 Lawson Products Corp Hydrocarbon separator apparatus and separator element
GB903505A (en) * 1960-04-25 1962-08-15 Gen Motor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liquid filter apparatus
GB950333A (en) * 1961-05-17 1964-02-26 Winslow Engineering And Mfg Co Improvements in filters and separators
US3199676A (en) * 1962-01-02 1965-08-10 Briggs Filtration Company Coalescing and filtering apparatus
US3154487A (en) * 1962-11-16 1964-10-27 Framo Corp Dual fluid filters
US3280981A (en) * 1964-02-10 1966-10-25 Paul B Renfrew Filter assembly
US3508658A (en) * 1968-03-25 1970-04-28 Sun Oil Co Apparatus for cleaning and drying gasoline
US3550776A (en) * 1968-12-06 1970-12-29 Allis Chalmers Mfg Co Fuel line purifier
US4231768A (en) * 1978-09-29 1980-11-04 Pall Corporation Air purification system and process
JPS5727550Y2 (ko) * 1979-01-10 1982-06-16
US4253954A (en) * 1979-07-02 1981-03-03 Nelson Industries, Inc. Two-stage spin-on separating device
CA1167774A (en) * 1980-06-23 1984-05-22 Andrew D. Lewis Fuel filter assembly and cartridge
US4502956A (en) * 1982-02-24 1985-03-05 Racor Industries, Inc. Filter assembly
US4437986A (en) * 1982-09-22 1984-03-20 Fram Corporation Separating device and cartridge therefor
US4502955A (en) * 1983-04-14 1985-03-05 Racor Industries, Inc. Filter assembly
US4522712A (en) * 1983-10-18 1985-06-11 Donaldson Company, Inc. Double-ended, spin-on fuel water separator
US4500425A (en) * 1984-06-13 1985-02-19 Allied Corporation Pump valve for liquid sepa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607285A (en) 1986-01-24
WO1986000242A1 (en) 1986-01-16
BR8506786A (pt) 1986-11-25
EP0185086A4 (ko) 1988-04-26
JPS61502318A (ja) 1986-10-16
ES544343A0 (es) 1986-06-01
AU569459B2 (en) 1988-01-28
KR860700216A (ko) 1986-08-01
ES8607744A1 (es) 1986-06-01
JPH0450844B2 (ko) 1992-08-17
EP0185086B1 (en) 1992-03-25
US4619764A (en) 1986-10-28
CA1237677A (en) 1988-06-07
MX171460B (es) 1993-10-27
ZA854272B (en) 1986-01-29
DE3585726D1 (de) 1992-04-30
EP0185086A1 (ko) 1986-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764B1 (ko) 격퇴-작용 필터 유닛 및 조립품
US10166496B2 (en) Filter device and filter element provided therefor
US4298465A (en) Fuel filter and water separator apparatus
CA1236407A (en) Filter with end cap which will accommodate flow reversal
US5312546A (en) Dry change fuel filter system
US4640772A (en) Oil cleaning assemblies for engines
US5236579A (en) Fuel filter assembly with modular drain bowl
KR960001377B1 (ko) 오일 필터
US6217755B1 (en) In-tank fluid filter with valve assembly
US4865632A (en) Integrated separator for solid and gaseous contaminants in a fluid
US3144407A (en) Separator for immiscible fluids
US9546626B2 (en) Depth coalescing filter with barrier media patch
KR20070102537A (ko) 연료 필터 시스템
US5783076A (en) Fuel filter having improved communication with a contaminant container
EP0394585B1 (en) Oil filter
US4312751A (en) Centrifugal water separator
EP0342308B1 (en) Integrated separator for solid and gaseous contaminants in a fluid
US4167483A (en) Fluid filtering device
CA2026860A1 (en) Oil filter
JPH0771404A (ja) 作動油タンクのフィルタ装置
US4273651A (en) Return line filter
EP0242357A1 (en) Nonmetallic clean side spin-on filter
US3669268A (en) Fluid filter device
JPH0545371Y2 (ko)
GB2141354A (en) Oil filt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9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